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자가 한민족 문자라는 결정적인 증거.

ㅅㅅㅅ(121.140) 2010.08.25 10:38:00
조회 425 추천 0 댓글 6


 

* 한민족의 비밀은 한자의 옛 발음속에 있다. [솔본]


언어와 문자는 그것을 함께 사용하는 집단을 하나의 문화공동체로 묶어 준다.


이러한 문화공동체는 정치 공동체의 선행조건이기도 하다.


오늘날 동아시아에서 한국과 중국은 대륙으로 연결되어 있음에도

또한, 중국의 가장 가까운 주변국임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공동체로

묶여지지 않아 왔다.


그것은 서로간에 말과 글이 달랐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말과 글을 놓고 이야기하자면 당연히 말이 있은 다음에 문자가 성립되었을 것이다.


예를들어 \'바람\'이라는 말이 있은 후에 \'風\'이란 글자가 쓰여졌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이 점에서 우리는 아주 이상한 상황과 마주한다.


우리 말 \'바람\'을 한자로 쓰면 風인데 중국어로는 \'펑\'(feong)이다.

그래서 우리는 음과 훈을 붙여서 바람 \'풍\'이라고 한다.


문제는 이 風이라는 한자의 고대음가는 현대 중국어 \'펑\'(feong)이 아니라

\'프람\' / \'퍼럼\' 등이었다는 사실이다.


다음의 자료를 보자.


=====================================================================================

Character: 風


Modern (Beijing) reading: 펑 1

Middle Chinese reading: pu"n|

Old Chinese reading: pr@m => 고대 중국어 발음

Dialects:

Sino-Tibetan:

Translation: wind

Comments: Also read *pr@m-s, MC pu"n| (FQ ), Pek. 펑 \'to criticize\'.

Number in GSR: 0625 h-i


- 스타로스틴, Chinease Etymology-

======================================================================================


위의 자료는 북경대와 대만대 연구진이 참여한 모스크바대학 스타로스틴교수의 \'바벨 프로젝트\'

에서 발췌한 것이다.


이것은 한 예에 불과하다.


같은 자료에 의하면 \'나\'를 의미 하는 我는 중국어로 워(wo)이지만 고대 중국어 음가는

\'나\' nah였다. 또한 너(you)를 뜻하는 이 爾 (너 이)는 중국어로 니(ni)이고 고대 발음은

네 (neh)였다.


Character: 我


Modern (Beijing) reading: wo 3

Middle Chinese reading: n|a^/

Old Chinese reading: n|ha:j? ==> 고대 중국어 발음

Dialects:

Shuowen gloss: ......

Sino-Tibetan:

Translation: I, we; my, our (inclusive, according to Yakhontov)

Comments: The form *n|ha:? (a later subjective/objective counterpart of ) is still used very rarely during Early Zhou; several times there occurs also an emphatic form *n|ha:n| "I for my part". Initial *n|h- is suggested here by archaic Min forms: Chaozhou ua3, Jianou n|uoi8 // ue|8 (see ROCP 126).

Number in GSR: 0002 a-g

=============================================================================================


Character: 爾


Modern (Beijing) reading: er 3

Middle Chinese reading: n/e/

Old Chinese reading: nhej? ==> 고대 중국어 발음

Shuowen gloss: ,.**###.###,######.. [128]

Sino-Tibetan:

Translation: you, your

Comments: One of the 2d person pronouns beginning in *nh- (cf. also *nh@:?, *nha?). For *nh- cf. Jianou ni8 (a colloquial form corresponding to MC n.y/, a late dialectal variant of ). The original meaning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Shuowen, is \'good-looking\', \'bright-looking\' - attested only within the rather late compound (MC liej-n/e/) id.

Number in GSR: 0359 a-b

============================================================================================


뿌리를 뜻하는 本은 어떤가? 현대 중국어로는 \'번\'(ben)이지만 고대 발음은 \'파르/퍼르\'였다.


Character: 本


Modern (Beijing) reading: ben 3

Middle Chinese reading: po/n

Old Chinese reading: p@:r? ==> 고대 중국어 발음

Vietnamese reading: ba`n

Dialects:

Sino-Tibetan:

Translation: root

Comments: Viet. also has a colloquial loan: vo^/n \'capital, funds, principal\'.

Number in GSR: 0440 a

============================================================================================


자 이제 핵심으로 돌아가 보자..


지금 예시한 경우는 정말 극 소수에 불과하다.

수많은 현대 중국어의 한자음의 고대음가 그리고 중세 음가는 한국어의 현재 중국어 한자

음에 가깝다. 다시말해 한자음의 고대 원형의 음가는 한국어에 있다는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말\'이 먼저 있은 뒤에 \'문자\'가 표현되었다라는 주장에 동의한다면

위의 사실들을 어떻게 해석하여야 할까?


다시말해 \'프람/퍼람\'이라는 말이 있고 이 발음과 뜻에 대해 (風)자가 쓰여졌던 것이지

현재 중국어 펑(feong)이라는 발음이 風에 처음부터 대응되었다는 것이 아니란 말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중국어 feong/ 風이 과거에는 pram/prem 이었는데 현재 바뀌어서 \'feong\'

이 되었다고 설명할 수 밖에 없어진다.

다시말해 我는 과거에는 \'나(nah)\'였는데 지금은 워(wo)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風을 고대 발음 바람/퍼럼(중세국어)이라고 하고 있고

本을 고대 발음인 뿌리/ 불휘(중세국어)로 하고 있으며 我를 고대발음인 \'나\'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자어의 고대 음가에 가장 가까운 발음은 우리 한국어의 한자식 발음뿐이다.,


무슨 뜻인가?


한자는 처음부터 우리 한민족의 발음 음가에 맞추어서 표기되었다는 뜻이다.

다시말해 지금의 지나족의 음가에 한자의 발음이 대응되었던 것이 아니란 뜻이다.


지나인들은 我를 처음부터 워(wo)로 발음했고 우리는 \'나\'(nah)로 발음했으며

風을 지나인들은 처음부터 펑(feong)이라 발음할 때 우리는 프람(pram)이라고 했으며

本을 지나인들이 번(ben)이라고 할 때 우리는 \'파르\'(뿌리)라고 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인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한자가 지금 중국인들(지나족) 의 글자라고 우기고 싶다면

어떻게 중국어 \'나\'가 \'워\'로 바뀌었는지 \'프람\'이 \'푼\'으로 바뀌었는지

\'파르\'가 \'번\'으로 바뀌었는 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런 한자어의 음가변천을 설명하는 글은 단 한편도 보지못했다.


영어 One의 고대음가가 \'오네\', 아나(ana)라는 사실은 이미 학계에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음가의 변화가 앵글로색슨족 스스로가 변화시킨 것으로 보는 학자는

아무도 없다. 하나를 뜻하는 One을 오네, 아나로 발음했던 것은 아리안인과 그 영향을

받은 켈트족이었던 것이다.


유럽에서 켈트족이 색슨족에게 밀리면서 \'아나\'는 색슨족의 사투리 \'원\'에 자리를 내 주었을

따름인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러시아에서도 발견된다.


러시아에서 하나를 뜻하는 \'odin\'을 \'아진\'이라고 하지 않고 문자 그대로 \'오딘\'이라고

발음하면 촌놈취급을 받는다. 사투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딘\'은 켈트족의 위대한 신의 이름이었고 first, One을 뜻했던 Odin 그 발음의 고어는

그대로 \'오딘\'이었다.


러시아에서 켈트문화의 영향이 쇠퇴하고 슬라브문화권이 들어서면서 거꾸로 Odin의 사투리

\'아진\'이 표준발음이 되었을 뿐이다.


자 이제 정리해 보자.


나(I)를 의미하는 한자 我의 고대 음가는 \'나(nah)\'였다. 이것이 표준음이었고

현재 지나인들의 \'워\'(wo)는 그 당시 사투리였을 것이다.

<P style="FONT-SIZE: 10pt; MARGIN: 0px; COLOR: #000000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8842 중국어 공부 처음 시작하려고 하는데요. 조언좀요. [1] 인형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6 407 0
28841 어느 것 하나 버릴게 없다라는 뜻의 말! [2] ㅈㅁㅈ(121.135) 10.09.06 357 0
28840 우리나라 사람들이 불어에서 R발음을 미친듯이하는 이유가뭘까+멍멍이소리 [7] 산토끼(211.200) 10.09.06 420 0
28839 태풍 말로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말장난) [1] zombiu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6 101 0
28837 핀란드어가 영어 다음으로 가치 있다. [2] (175.121) 10.09.06 190 0
28836 일본이 우리나라처럼 띄어쓰기+가나전용하면 [17] ㅁㄴㅇㄹ(114.207) 10.09.06 505 0
28835 터키어 고수님들 제발 이것좀 봐주세여 ㅠㅠ 엉엉 [7] (58.87) 10.09.06 162 0
28834 도대체 시비 트다라는 말은 어디서 굴러온 개소리야? [4] 맛스타(118.40) 10.09.06 166 0
28833 한글전용 한국어는;; 참으로 쓰레기다. [15] daS(209.202) 10.09.06 739 2
28832 혹시 이런 시 아시는 분ㅠ (112.167) 10.09.06 32 0
28831 유럽 국가 중에서 가장 발음하기 쉬운 언어는? [3] (175.121) 10.09.06 523 0
28830 스페인어 한국 발음이랑 같이 정리된거 없나?ㅠ [1] 이청용ㅋㅋ(121.187) 10.09.05 162 0
28829 이스라엘 연구팀, "전세계 문자 중 아랍어 해독이 가장 어려워" [5] Goth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5 574 0
28828 중국어 작문 가능한 분 (一擧一動이 사소한 행동하나하나라는 뜻이면..) [1] 사피엔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5 86 0
28827 -었과 -었었의 차이가??.. [1] 궁금이(221.162) 10.09.05 285 0
28826 중국어 이거 해석 좀..ㅠㅠ [1] 헐ㅋ(218.39) 10.09.05 75 0
28823 Vio Spuilum Endalaust 이말의 뜻을 아시는 분??? [2] ㅇㄴㄹ(220.120) 10.09.05 393 0
28819 중국어 fandianhuabo가 무엇일까요 ㅠㅠ [5] 1(112.162) 10.09.05 111 0
28818 일본처럼 다른 종류의 문자를 섞어서 쓰는 경우가 또 있어? [7] ㅇㅇ(121.115) 10.09.05 248 0
28815 불란서 유명 시인 랭보 어떻게 발음해요? [1] (175.125) 10.09.05 264 0
28811 중국어 공부하시는 분 가장 많이 찾는 사이트는 어디? [2] 뭥미(210.109) 10.09.04 159 0
28810 킹오브파이터즈 만화, 이거 이해할려면 HSK 몇급정도? [2] KOF(124.54) 10.09.04 354 0
28808 '행선지'가 일본어 '行き先地'에서 온 거야? [9] ㅋㅋㅋㅋㅋㅋ(121.115) 10.09.04 268 0
28805 일본어 공부한 사람이 대만,홍콩을 가면...... [1] 울산(121.115) 10.09.04 283 1
28801 횽들 미안한데 ㅜㅜ 짧은 중국어 문장 해석좀 [4] 인인(61.106) 10.09.03 137 0
28799 우리말에서는 과거와 현재를 혼용하기도 하나요? [11] 진심으로궁금(221.162) 10.09.03 249 0
28796 횽들...띄어쓰기 질문점요!! [1] sad(211.210) 10.09.02 102 0
28795 프랑스 20년거주 아줌마한테 발음 연습 교정을 받고 있소. [9] ㅁㄴ(175.121) 10.09.02 362 0
28794 '난항' 발음 [8] 가나다라(110.46) 10.09.02 179 0
28793 갤러님들 맞춤법을 가르켜주세요... [4] 호두과자(175.115) 10.09.02 108 0
28792 So what? [2] ㅁㄴ(175.121) 10.09.02 123 0
28791 ㄷ이거무슨뜻인지아는사람잇음?? [3] ㅁㄴㄴ(59.152) 10.09.02 123 0
28790 우리나라에서는 한자를... [2] ㅇㅋ(211.192) 10.09.02 197 0
28789 일본에서 한국어 봉사활동을 하고있는데 질문이있습니다.. [21] 무선전화기17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2 356 0
28786 [f]가 하나의 음소로서 구분되는 언어가 존재? [1] asdf(114.207) 10.09.02 218 0
28785 뉴비 입갤합니다 ㅋㅋ [2] NK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2 61 0
28784 러시아 시 한편 [2] 모스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2 164 0
28783 '통상'이란말 쓰임새좀 알려줘라 날납득시켜봐 [9] 그냥(218.236) 10.09.02 136 0
28782 쓸 수 있는 한글들 [1] d123(211.58) 10.09.02 502 0
28781 "그대에게 축복을" 라틴어로 하면 뭘까요? [1] ㅁㄴㅇ(220.76) 10.09.02 635 0
28780 자명이 형 러시아어 배운지 얼마나 됬음 ? [2] 김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1 128 0
28779 한자 생성원리 있는 그런 책 없나요? [3] 한자(61.109) 10.09.01 127 0
28775 각 언어를 쓰는 국가와 그 인구수 [18] 흐규(211.192) 10.09.01 561 0
28774 마이너 언어를 하나 파고싶은데 [20] zombiu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01 904 0
28773 En cours de traitement? 불언데 무슨 뜻인지 아는 훃? [2] 어렵다(119.192) 10.09.01 608 0
28771 미국하고 유럽은 사극드라마 같은거 별로 없어? [10] ㅇㄴㅇㄴ(220.70) 10.09.01 429 0
28770 을리ㅂ우라니 ㅡㅡ; [3] 찌아찌아(210.119) 10.09.01 137 0
28769 중국어 단어장 같은 거나 간체자 쓰기 같은 거 활용하는 횽 있음? [2] 횽아(210.116) 10.09.01 96 0
28767 프랑스어 독학교재 좀 추천해주세요! (조공짤有) [2] ㅇㅇ(122.38) 10.08.31 1209 0
28765 유럽포어하고 브라질포어하고 차이가 어느정도인지 실감이 안나는데.. [7] ㅇㅋㅇ(220.70) 10.08.31 56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