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에 우커가 올린 동아리 소개가 있긴 하지만, 뭔가 부정적으로 서술되기도 했고 틀린 정보도 있어서 한 번 적어봄.
우선 필동마장은,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동아리 만화얼 내의 마작소모임 입니다.
2009년도부터 마작을 시작했으며 2015년 현재 15학번 신입생들까지 어찌어찌 이어져내려오는, 우리나라 대학들 중에서는 아마 열 손가락 내에 꼽힐 정도의 대학교 마작 소모임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 대학교 마작 소모임 자체가 그다지 많지 않지만...
정작 말을 하자니 뭔가 할 말이 없어서 나무위키에 올려져 있는 필동마장 소개글을 보게 되는데...
원칙적으로 동아리실 내에서의 마작활동은 매주 금요일에 열림. 그러나 그냥 사람 모이면 적당히 잘 치고 있음. 동아리실이라던가, 학생회관 내의 동아리 공용장소라던가...
위에 첨부한 게 필동마장룰, 줄여서 필동룰. 기본 리치마작에 매번 역이 없어서 화료하지 못 하는 초보자들을 위해 어떻게든 구제의 사다리를 만들어주고자 이것저것 로컬룰을 추가하고, 오야와 코의 차이를 사소한 룰 부분에서 조금이라도 줄여보자는 취지를 구현한 초보자 친화적인 룰입니다. 하지만 초보자라도 매너는 지켜야하기 때문에 과거 신천마장처럼 매너 위반에 대한 1천점 공탁은 꽤나 까다롭게 규정되어 있으니 주의. 기본적으로는 필동룰로 많이 치지만, 외부 대회 참가를 위한 연습이라든가 오랜만에 쿠이탕 좀 하고 싶거나 하면 일본룰도 칩니다.
신림마장 전 알바생인 JJ와 우커가 소속되어 있는 마작 소모임이라 개개인은 나름대로 마작 실력이 있는 편인데, 이상하게 필동룰만 치게 되면 '너도 병신 나도 병신 이히히 론이야 론 론이라구 쯔모 발사'가 되버려서 초보자들도 안심하고 즐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림마장 최강자 출신 퍼랭쥐도 가입은 되어있음. 근데 퍼랭쥐는 휴학했잖아?게다가 학번도 높잖아?복학해서 잘 어울릴 수 있을까 걱정...
패는 싸구려 중국패랑 일본제 보급패인 반야를 보유 중. 반야를 주로 사용하기는 한데 심심치 않게 중국패가 더 좋다는 애들도 있다. 마작패가 커서 보기도 편하고 치는 맛이 있다나. 뭐 나 자신도 처음 마작을 배운 게 중국패라서 애착은 가지고 있는 편이기는 하지만, 일본패가 편하기는 하다. 탁자는 앉은뱅이 작탁이 하나 있고, 그외에 넓다란 판자가 있어서 개다리소반 위에 올려두고 친다. 그리고 아마 이번년도 안에 작탁 하나를 직접 만들 듯.
자주 가는 마장은 2년 전까지는 쟈파쟝/레노. 학교에서 가장 가까운 마장이라 전탁이 그리울 때면 항상 갔었다. 근데 지금은 자주 가는 마장은 딱히 없고, 개개인이 신림이랑 신천에 종종 출몰하는 정도. 필동마장 출신 한 명이 현재 대전에 살아서 가끔 대전 메카에 가긴 한단다.
나름 6년쯤 된 마작 소모임이라 여기저기 마작대회는 빠지지 않고 참여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자체적으로 마작강화합숙을 빙자한 마작MT도 두 번 정도 다녀왔고, 이번 겨울이나 내년 봄에도 한 번 더 계획이 잡혀있기는 함. 이게 재밌는게 마작강화합숙을 가면 졸업생들도 함께 가고는 해서 제일 막내랑 가장 왕고가 10학번 이상 차이 나기도 함. 그래도 애들이 착해서 갈등을 빚거나 충돌이 발생한 적은 한 번도 없었음. 나이 차이가 너무 나서 꼬꼬마애들이 차마 대들 생각을 못 하는거라구? 아닙니다. 선배들이 얼마나 잘 해주는데요~
음...그리고...또 뭔 말을 해야하나...대충 할 말은 다 한 듯 한데...
에라 모르겠다! 이상! 여기까지! 또 쓸 거 생각나면 적당히 슬쩍 글 수정 하지 뭐.
어쨌든 앞으로도 필동마장 잘 부탁드립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