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상대론을 쉽게 이해해봅시다.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2.08 20:06:56
조회 59 추천 0 댓글 1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뉴턴과 아인슈타인 사이에는 페러데이와 맥스웰이란 과학자가 있었습니다. 페러데이의 전자기에 대한 발견과 정리를


맥스웰이 수학적으로 정리했죠. 또 맥스웰에 의해 전기력과 자기력이 합쳐져서 전자기력이 되었고 빛은 파동인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설명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식에서 빛의 속도는 상수였죠. 변수와는 달리 상수는 불변량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 등장전까지 빛을 절대속도라고 가정한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절대속도란 것은 매우 이해하기 힘든 현상이죠


제가 초속 10m로 이동할때 초속 20m로 움직이는 당신의 상대속도는 제 기준으로 10m/s 입니다. 빛은 물체의 운동에 상관없이


항상 약 30만km/s의 속도인데, 즉, 저를 기준으로 해도, 당신을 기준으로 해도 똑같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운동에 의한 상대속도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에겐 빛의 절대속도는 매우 이해하기 힘든 현상인 것이죠. 그리고 관련하여 상대속도에 관한


사고실험을 있습니다. 제가 가속운동을 할 경우 관성력을 느끼게 되지만 등속운동을 할 경우 관성력을 느낄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무중력의 우주공간에 A와 B가 있고 누군지는 모르지만 한명은 정지상태라고 하고 한명은 초속 20m로 등속운동하고 있다고


하면 자신이 어떤 운동 상태인지를 A와 B는 뉴턴역학적으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특수상대론적으로는 알 수가 있습니다.


빛이 절대속도란 것을 통해서 말이죠. 상대론은 뉴턴역학에 빛이 절대속도란 공리를 추가해서 만든 이론이라 위의 사고실험을


뉴턴역학으로 분석해보고 상대론으로 분석해보면 왜 시간이 상대적인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먼저 뉴턴역학으로 분석해보면 빛이 절대속도란 가정이 없기 때문에 빛의 속도는 상대속도로 계산되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A와 B의 운동은 빛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속도의 운동임이 분명해집니다. A의 속도에서 빛의 속도를 뺀것이


A가 관측하는 빛의 속도가 될 것이고 B의 속도에서 빛의 속도를 뺀것이 B가 관측하는 빛의 속도가 될테니까요.


하지만 상대론적으로 다른 설명없이 A와 B가 관측한 빛의 속도가 같기만 하다면 빛을 기준으로 A의 운동과 B의 운동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가 없습니다. 이것을 아인슈타인은 대칭성을 이용해서 해결합니다. 이전에는 가변이라고 생각되었던


빛의 속도가 불변이라면 대칭성이 지켜지기 위해선 기존의 불변이라고 생각되었던 물리량중에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한다는


아이디어였죠. 그럼 왜 하필 길이수축이었을까요? 일단 질량은 저울을 통해 불변량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죠. 또 시간은 이동거리를


속도로 나눈 결과값이고 속도는 주어진 값이었죠? 따라서 이동거리가 운동상태에 의해 가변적(상대적)이게 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겁니다. 또 그렇게 길이가 상대적이 되면 시간도 상대적일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죠. 즉, 빛이 상대속도이면 A와 B가 서로 다른


운동상태란 것을 뉴턴역학적으로도 알 수 있지만, 길이수축 없이 빛이 절대속도이기만 하다면 위의 사고실험에서의 등속운동의


상태에서는 그걸 구분할수가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길이수축으로 인한 시간의 상대성을 설명하는 특수상대론을 통해 그런 구분이


가능해지게 된겁니다. 물론 속도가 빠르면 길이수축이 더 많이 되고 시간도 상대적으로 느리게 흐르는데 빛의 경우는 길이가


0으로 수축되어 시간이 흐르지 않을 정도죠. 그런데 이런 특수상대론이 뉴턴역학에 광속불변의 원리를 추가한 이론이라면


일반상대론은 특수상대론에 관성질량=중력질량이 같다는 등가원리를 추가해 만들어진 이론입니다.


일반 상대론은 이를 통해 뉴턴역학을 대체하는 중력이론이 되었고 말이죠. 특상에서의 결론인 속도에 의한 길이수축은


가속에서도 당연히 성립합니다. 그리고 가속시에는 관성질량이란 관성력에 의한 질량증가가 발생합니다.


제가 엘레베이터 안에서 저울위에 서있을 때 만약 엘레베이터가 위로 가속해서 올라갈 경우 저울위의 제 무게(관성질량)은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관성력도 느끼게 되죠. 그런데 이런 가속에의한 관성력과 중력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다를게 없다고 아인슈타인은


결론지었습니다. 즉, 중력이 작용하는 지구 지표면위에 서있는 저는 위로 가속해서 올라가는 엘레베이터 안에 있는 것과


다를바 없는 상태란 것이죠. 결국 중력으로도 가속운동시에 발생하는 길이수축 현상이 발생해야 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지구 질량(중력)에 의한 길이수축이 전방위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그 길이수축이 중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죠.


이렇게 공간을 통해 중력을 설명할 수 있게 된겁니다. 그럼 뉴턴역학에서의 만류인력과 상대론의 중력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먼저 중력의 전달속도가 다릅니다. 뉴턴의 경우 아무리 멀리떨어져있어도 중력은 즉각 작용합니다. 만약 달이 사라지면 곧바로


그 영향이 지구에 오게 되죠. 하지만 상대론의 경우 중력의 작용속도는 빛의 속도와 같습니다. 따라서 광속으로 약 1.2초 거리의


달이 사라지면 그 중력의 영향도 1.2초 후에나 지구에 미치게 되고, 마찬가지로 달이 사라지고 나서 1.2초 뒤에나 지구에서 가시적으로


알 수 있게 되겠죠. 또 위와 관련해서 뉴턴역학의 경우 만류인력이 원격작용이었다면 상대론의 경우는 근접작용입니다.


그리고 중력이 뉴턴역학에서는 힘이었지만 상대론에서는 힘이 아니라고 설명됩니다. 질량에 의해 공간의 형태가 그럴 뿐이란


것이죠. 이처럼 뉴턴역학만 제대로 이해했다면 특상에서 일반 상대론까지 추가되는 원리를 통해서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이는 양자역학도 마찬가지고 말이죠.




아래는 질량의 상대성을 쉽게 이해해보는 사고실험입니다.


먼저 질량이 100kg인 물체와 질량이 1000kg인 물체가 동시에 불연속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해보죠.


그 둘은 동시에 존재했다가 존재하지 않았다가 존재했다가 존재하지 않았다가가 반복된다는 겁니다.


에너지 보존법칙이 성립하려면 질량이 가진 에너지가 질량이 아닌 상태로 바뀌었다가 다시 질량이 되어야 합니다.


저는 그 경우 질량이 공간화가 된다고 했었죠.


그럼 그 경우 질량이 서로 다른 물체가 '동시'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100kg의 질량의 에너지가 만든 공간이 질량화가 되는 것보다 1000kg의 질량의 에너지가 만든 공간이 질량화가 되는 것이 더 빨라야 합니다.


이렇게 아주 간단하게 상대론에서 설명하는 중력가속도가 설명되죠.


즉,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물체가 불연속으로 동시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질량이 더 큰쪽의 공간의 질량화가 더 빨라야 하고


그것이 중력가속도의 차이로 연결된다는 겁니다. 이런 간단한 사고 실험조차도 못하고 제 설명이 틀렸다고 하는 것들은


과연 사고력을 가진 것들인가 아니면 그냥 돌덩이인가 혼란스러울 정도입니다. 똑똑한 척은 다하면서 말이죠.


그게 이곳 물갤의 전공자들의 수준이란게 참 불쌍하고 말이죠. 적극적으로 제 설명을 비난만하는 것이 아닌 침묵하는 부류도 마찬가지고 말이죠.


다시 말하지만 제 주장의 핵심은 간단합니다.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 질량이 상대적이다이고 그게 틀렸다고 하려면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 질량이 상대적이 아닌 절대적이라는 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해보면 되는 겁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사고력만 있다면 제 설명이 옳다는 것을 쉽게 알수있다고 누누히 이야기 했지만


결국 제 설명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유는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그 자체에 거부감을 갖고 있기 때문인것이죠.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면 과학을 하지 말길 바랍니다. 저도 사실 제 이론을 감정적으로는 굉장히 싫어하지만


이론적으로는 증명이 끝났기 때문에 거부하지 못하고 받아들이고 있을 뿐입니다.


어떤 이론이던 그 이론의 공리하에서는 현상과 상관없이 절대적으로 옳습니다.


수학이 현상과 상관없이 공리안에서 옳은 것 처럼 말이죠. 그런데 물리학이란 현상과 일치하는 이론이 옳은 이론인 것이고 말이죠.




빛이 절대속도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바로 기준이 달라져도 항상 같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런 불변(절대성)을 가진 것이 공리에 새롭게 추가될수록 '(에너지의) 대칭성'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기존에 불변인줄 알았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즉, 상대속도를 가질줄 알았던 빛이 절대속도라면 기존에 불변이라 생각했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그게 상대론에서의 길이의 (수축)가변입니다. 그런데 저는 변화가 불연속이라고 했고 그로인해 시간이 불변이 되면


마찬가지로 기존에 기준이 바뀌어도 불변이라 여겼던 것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죠. 그리고 이를 시각적으로 자명하게 보여주는 영상이 있습니다.




위의 영상처럼 매순간 모든 것이 정지해있다고 가정된 상황에서 포커스(기준)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크기는 크게보이거나


작게보이게 되는데 결국 상호작용이 임의의 기준과의 거리에 따라 상대적이게 될 경우 그 상호작용의 상대성으로 인한 어떤 현상이


발생해야합니다.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란 것이죠. 즉, 기준에 따라 질량이 다르다는 것이 질량의 상대성의 의미란 것이죠.


즉, 초등학생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제 이론입니다. 또 뉴턴역학과 상대론도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했고 말이죠.


그럼 이곳의 사이비는 중학교 수준의 대우도 모르는 걸 보면 초등학교 수준도 안되는 인간들이라는 걸까요?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71200 가천대는 의대가 더 유명하지않음? [6] ㅇㅇ(118.235) 23.12.29 197 1
71199 지잡대지잡대지잡대지잡대 대갤러(183.109) 23.12.29 84 0
71198 술강요있냐 대갤러(110.13) 23.12.29 70 0
71197 나는 군대 있을 때 제외하고 전부 한 동네 사는중임 [10] ㅇㅇ(106.101) 23.12.29 486 12
71196 대학원갤에 뭔 지잡이야기뿐이냐 [2] ㅇㅇㅇ(1.237) 23.12.29 141 1
71195 근데 수도권 목메는것도 서울 출신들이나 그렇지 [2] ㅇㅇ(182.231) 23.12.29 160 0
71194 내가 지잡들끼리 서열놀아 하는거 웬만하면 그냥 두는데 [7] 대갤러(118.235) 23.12.29 699 14
71193 사기업이 편하면 망할 징조 아니냐 [2] ㅇㅇ(121.183) 23.12.29 163 0
71191 아 1학기 에이마이너스 밭이네 대갤러(118.235) 23.12.29 368 0
71190 국내대기업은 도태된 애들이나 가는거다 [3] ㅇㅇ(118.235) 23.12.29 189 0
71189 유학 가는데 학점영향 큼? [2] 대갤러(223.39) 23.12.29 190 1
71188 삼전 SK 연구소애들 요즘 생활 알려줌 [9] ㅇㅇ(180.67) 23.12.29 545 3
71187 경북대랑 가천대 이제 완전하게 겹치는듯 [11] ㅇㅇ(180.67) 23.12.29 366 2
71186 수도권 물타기 좀 역한 듯 [2] ㅇㅇ(211.246) 23.12.29 118 1
71185 교수통제기관이 생긴다는 세계관 [2] ㅇㅇ(106.102) 23.12.29 133 0
71184 요즘, 대학선호도보니 그저 한숨만.. [10] 어둠의대공(103.107) 23.12.29 968 9
71183 교수님들 보통 이번 주에 나오심? [1] 대갤러(118.235) 23.12.29 175 0
71182 수원이 지방이 아니면 뭐임? [3] 대갤러(220.94) 23.12.28 153 0
71181 하… 진짜 어디까지 나락으로 갈까.. [12] ㅇㅇ(211.234) 23.12.28 362 0
71178 지방을 지방이라 안부르는 모지리는 뭐냐 ㅇㅇ(211.246) 23.12.28 100 0
71177 수강정정기간 전(성적 공고기간)에는 학점 못바꿈? [1] ㅇㅇ(211.246) 23.12.28 86 0
71175 카이스트나 포스텍이나 다 똑같은데 뭘 구분함 ㅋㅋㅋ [3] 대갤러(141.223) 23.12.28 244 0
71174 첫 논문 억셉됐다 [5] 대갤러(39.7) 23.12.28 358 1
71173 내가 그렇게 대단하지 않은데 남은 랩실이 대단한 곳이면 어떡함? [1] 대갤러(115.92) 23.12.28 172 0
71172 과거 현재 미래와 상호작용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63 0
71171 세종도 수도권이라해라 ㅋㅋ [1] ㅇㅇ(219.249) 23.12.28 110 0
71168 인하 아주 경북 부산 이화 건국 동국 홍익 [3] 대갤러(118.235) 23.12.28 201 0
71165 경기도가 지방이 아니면 뭐냐? [1] 대갤러(220.94) 23.12.28 87 0
71164 싸우는게 급식수준만도 못하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110 6
71163 판교는 서울 취급 하지 ㅇㅇ(211.234) 23.12.28 120 0
71162 성신여대 대학원 입학 [4] (211.201) 23.12.28 211 0
71161 지질학 대학원생인데 맘에 든다 [4] ㅇㅇ(211.234) 23.12.28 167 1
71160 밑에 경기도 지방드립 치는새끼 서울사람 아님 [5] 대갤러(118.235) 23.12.28 125 0
71159 바이오가 유일하게 좋은게 수도권 근무가 많음 [4] ㅇㅇ(211.234) 23.12.28 246 0
71158 서울 어디가도 사람많은게 이태원당할거같음 [1] ㅇㅇ(219.249) 23.12.28 74 0
71157 순수학문 <- 존나 낭만 있지 않냐 [3] 대갤러(211.234) 23.12.28 245 3
71156 하 사회성 없는 잡것들아… ㅇㅇ(211.234) 23.12.28 120 0
71155 지방은 서울 이외의 지역임 ㅇㅇ(39.7) 23.12.28 114 0
71154 지방이란 단어 자체가 [3] 대갤러(211.234) 23.12.28 110 0
71153 얘들 설마 수원 대전은 지방이 아니라고 생각하는건가 [9] 대갤러(118.235) 23.12.28 208 0
71152 예산 삭감 피해보는거 [5] 대갤러(59.15) 23.12.28 188 1
71151 얘네 뭐라는거냐 서울이 어딘지 모름? [5] ㅇㅇ(211.246) 23.12.28 165 2
71150 인용논문 찾기가 매우 귀찮은데.. 이렇게 해도 되냐? [5] 대갤러(118.235) 23.12.28 174 0
71149 서울 중견 VS 지방 정출연 [4] ㅇㅇ(211.234) 23.12.28 190 0
71148 지방 정출연 요즘도 가냐? [10] ㅇㅇ(211.234) 23.12.28 296 0
71147 건동홍 부경아인 라인 교수면 해외포닥 갔다 올만함? [8] 대갤러(118.235) 23.12.28 211 0
71146 랩실 걔폐급년놈들 공통점 [5] ㅇㅇ(121.160) 23.12.28 376 1
71145 ㅈㅇㅅㅇ 대갤러(121.160) 23.12.28 56 0
71144 뉴진스는 춤이 참 파닥파닥 거리네 ㅇㅇ(211.246) 23.12.28 86 0
71141 [성명문] 동료의 죽음을 추모하며 [10] ㅇㅇ(118.235) 23.12.28 601 2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