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포항공대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포항공대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B.I 수사무마 양현석 징역 6개월에 집유 1년 확정…梁 "수용" 물냉면비빔냉면
- 노선 바꾼 래퍼들 근황 ㅇㅇ
- '낙마 없다'던 민주당, 이상 기류?...처음 나온 발언 마스널
- 이정후도시락 뭐냐 ㅋㅋㅋ 치갤러
- 버거킹 신메뉴와 가슴살 버거의 위기.jpg dd
- 수년째 남편을 애인처럼 대하는 시모…안 간다고 하자 공황장애 왔다 황당 감돌
- 직장선배한테 카톡왔는데 내가 잘못한건가 ㅇㅇ
- 다시보는 독박육아로 힘들다는 미쓰라진 아내 주갤러
- 메이드카페 갔는데 알고본 메이드가 전여친 ㄷㄷ ㅇㅇ
- 스압) 외국인 관광객들의 헌팅에 불편한 스시녀들 ㅇㅇ
- 쿠팡 에어컨 사기 ㄷㄷㄷㄷㄷ 39.118
- 日독도 도발 이틀 만에 韓 독도 방위 훈련... 현정부 들어 최초 난징대파티
- 자연도 버린 죽음의 폭염, 그때.. 인공연못 만난 인도 사자들.jpg ㅇㅇ
- 재미로 보는 디시 갤러리들 연령대와 성비 ㅇㅇ
- 조현우 클럽월드컵 출전 선수 중 전체 평점 1위 확정....jpg 바루
한류에 편승하는 글로벌 거대기업들 알아보기
미국 빅테크 플랫폼 넷플릭스는 K드라마를 전폭적으로 지원해주고 있다. 히트친 작품이 너무많아 하나하나 다 적기 힘들정도. 제일 대표적으로 오징어게임이 있다. 아마 넷플릭스의 한국드라마중 가장 히트친 작품일것이다. 문제는 오징어게임이 세계구급 대박을 쳤지만 거의 90%이상의 수익과 판권은 모두 넷플릭스가 가져가고 소유한다는것. 오징어게임으로 인해 1조원이 넘는 수익이 창출됐는데 한국 제작사가 가져간 마진은 고작 20~50억원에 그쳤다는 충격적인 보도가 나오고 있다. 오징어게임뿐만 아니라 넷플릭스가 제작한 모든 한국드라마들이 이런 상황일것이다. 사실상 하청인셈. 일본의 거대 미디어기업 소니는 요즘 흥행하고있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제작했을뿐만 아니라 지적재산권(IP)도 모두 가져갔다. 그리고 글로벌 배급은 넷플릭스가 하는 구조. 즉 한류에 편승하여 일본과 미국이 엄청난 이익을 보고있는셈. 유럽 빅테크 플랫폼 스포티파이는 KPOP의 인기를 이용해 어마어마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미국, 영국 아티스트들의 수익이 더 크지만, 이들을 제외하면 KPOP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스포티파이의 시가총액은 이제 200조원을 넘어섰다. 프랑스 미디어기업 비방디 산하에 있는 유니버셜 뮤직은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 KPOP 대형가수들과 독점계약을 맺어 미국, 영국, 일본 등 글로벌시장에 음반을 배급하면서 큰 수익을 거두고 있다. 미우미우는 장원영을 자사의 홍보 엠버서더로 발탁하였다. 샤넬은 블랙핑크 제니를 자사의 아시아 홍보모델, 엠버서더로 채택하였다. 루이비통은 블랙핑크 혜인, 리사를 엠버서더 모델로 채택하였다. 디올은 배우 남주혁을 주요 홍보모델로 채택하였다. 입생로랑은 블랙핑크 로제와 차은우를 주요 홍보모델로 채택하였다. 구찌는 BTS 진, 뉴진스 하니, 아이유 등을 주요 홍보모델로 채택하였다. 펜디는 배우 송혜교를 주요 홍보모델로 채택하였다. 발렌티노는 소녀시대 윤아를 주요 홍보모델로 채택하였다. 로에베는 배우 신민아를 주요 홍보모델로 채택하였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자사의 프리미엄 브랜드 마이바흐 브랜드센터를 세계 최초로 한국 서울에 런칭하였다. BMW는 자사의 프리미엄 전기세단인 i7 K-에디션을 한정판으로 출시하였다. 포르쉐는 자사의 핵심 전기모델인 타이칸 K-에디션을 출시하였다. 롤스로이스는 자사의 대표세단중 하나인 고스트 K-에디션을 출시하였다. 벤틀리 또한 코리아 에디션을 따로 한정판으로 출시하는 등 한국시장에 신경을 쓰고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나 빼고 다 돈 벌었나 봐", 빠르게 순자산 끌어올린 비결...jpg
금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한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부, 그러니까 국민 순자산이 크게 늘었다고요?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순자산이 2경 4천105조 원으로 전년 대비 5.3%, 1천217조 원 늘었습니다.국민 순자산은 정부, 기업, 가계, 은행처럼 국민 경제를 구성하는 모든 주체가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부채의 빚을 뺀 값을 가리키는데요.우리 경제가 가진 순수한 부의 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이번에 불어난 1천217조 원, 국민 순자산 증가 폭은 지난 2021년 이후 3년 만에 최대치인데요.비금융자산에서 635조 원, 순금융자산에서 582조 원 각각 늘었습니다.그런데 제가 보니까 이 증가 폭이 2023년에는 300조 원이 안 됐거든요. 1년 만에 꽤 많이 늘어난 건데, 순자산이 증가한 이유가 뭔가요?국민 순자산 증가율이 불과 1년 만에 1.3%에서 5.3%로 늘었는데요.집값과 미국 주식이 오른 덕에 자산 가격이 늘면서 국부 증가에 900조 원을 기여했습니다.지난 국민 순자산 증가는 거래 외 요인이 908조 원, 거래 요인이 303조 원에 달했습니다.거래 외 요인이 거래 요인의 3배에 달하죠.거래 요인은 자산 순취득을 의미하고, 거래 외 요인은 그 외인 자산 취득에 연관되지 않은 시장 가격 상승, 자산 가격 변동의 플러스 마이너스 요인을 뜻합니다.그러니까 전체 국부 증가의 4분의 3이 거래 외 요인인 셈인데, 쉽게 얘기해서 부동산을 실제로 사서 부를 취득한 것보다, 그게 값이 올라서 부가 더 올랐다는 겁니다.부동산을 포함한 비금융자산의 명목 보유 손익이 352조 원 급증하면서 1년 전 마이너스 67조 원의 감소세를 벗어났습니다.특히 토지 가격이 1년 전에는 2% 하락했지만, 이번에는 1.2% 올랐습니다.지난해 주택 시총의 경우 7천조 원이 넘어서 전 년보다 4.2% 증가했는데, 주택 시가총액이 증가한 건 3년 만입니다.수도권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해서, 수도권 기여율이 90.6%로, 2010년 이후 14년 만에 최대치였습니다.그런데 지난해 생각해 보면 환율이 상당히 높았고요, 또 해외 주식시장은 상당히 좋았잖아요. 결국 금융자산이 많이 늘었을 것 같은데요?지난해 사실 부동산보다 금융자산에서 자산 가격 상승이 더 뚜렷했습니다.순금융자산이 역대 최대로 증가해서 582조 원 증가했는데요.금융자산이 금융 부채보다 크게 늘어서 전년 대비 56%나 급증했습니다.지난해에는 순금융자산에서 해외 주식 등 금융자산 순취득도 증가 폭이 43조에서 117조 원으로 컸지만, 거래 외 요인, 그러니까 가지고 있던 해외 주식이 많이 올라서 순금융자산이 급증한 영향도 있는데요.마이너스 19조 원이었던 게 무려 465조 원으로 불어났습니다.실제로 지난해 미국 S&P500 지수는 23.3% 증가했고, 환율은 연말까지 1천480원까지 치솟은 바 있습니다.이제 1인당 가계의 순자산은 일본을 넘어선 지 꽤 오래됐잖아요. 이번에도 2억 5천만 원 수준을 넘어섰네요.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 5천251만 원으로 1년 새 3.3% 늘어났습니다.물가를 고려한 구매력 평가 환율 기준 가계 순자산은 1인당 27만 1천 달러 수준인데요.이는 일본과 영국보다 많은 규모로, 우리나라는 일본을 2019년부터 5년 연속, 영국은 2021년부터 3년 연속 앞서고 있습니다.가계의 순자산 구성을 보면 주택이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요, 절반이 넘는 50.9%를 차지했습니다.그다음으로도 역시 부동산으로 주택 외 부동산이 23.7%고요, 현금 예금이 19.4%, 보험 연금이 12.1% 순이었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