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전화,‘민주 41.8:국힘 29.5, ARS,‘민주52.6:국힘 36.8

macmaca1(122.34) 2023.09.14 13:48:11
조회 205 추천 2 댓글 3

[여론조사꽃] 전화면접,‘민주 41.8% vs 국힘 29.5%’.. ARS,‘민주 52.6% vs 국힘 36.8%’, 리얼미터조사:민주당 44.2%, 국힘 36.8


1]. 요약

1. 2023,9,11, 스트레이트 뉴스 김 상환 선임기자 보도기사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민주 41.8% vs 국힘 29.5%’.. ARS, ‘민주 52.6% vs 국힘 36.8%’


2. 2023,9,11, 시사위크 최 찬식 기자 보도기사

리얼미터 조사:더불어민주당 44.2%, 국민의 힘 국민의힘 36.8


3. 2023,9,13, 비즈니스포스트 김 대철 기자 보도기사

[조원씨앤아이] 윤석열 지지율 38.9%, 총선 투표 국힘 37.1% 민주 49.2%




2]. 2023,9,11, 스트레이트 뉴스 김 상환 선임기자 보도기사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민주 41.8% vs 국힘 29.5%’.. ARS, ‘민주 52.6% vs 국힘 36.8%’

전화면접, 국민의힘 지지율 3주 연속 30% 이하


여론조사꽃이 9월 8일부터 9일까지 양일간 실시한 전화면접 정당지지율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은 41.8%, 국민의힘은 29.5%, 무당층은 22.7%로 집계됐다.


민주당은 지난주 대비 3.1% 포인트(p) 내렸고, 국민의힘은 0.4%p 내려 양당 지지율 격차는 12.3%p로 나타났다.


민주당은 충청권에서 6.8%p 상승했지만 그 외 지역에서 일제히 하락했고, 국민의힘은 호남권과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상승으로 지지율을 방어했지만 30%의 벽은 넘지 못했다.


국민의힘은 3주 만에 민주당 우세지역이었던 부산·울산·경남지역을 탈환, 대구·경북지역과 함께 국민의힘 우세지역으로 회복했다.


30대 미만과 50대의 하락이 민주당의 지지율을 끌어내렸고, 국민의힘은 70세 이상에서 8.8%p 하락했지만 18~29세와 30·60대의 상승으로 전체 지지율에 변동은 거의 없었다.


18~29세는 무당층이 47.0%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호각지세를 보였고, 30대와 40대, 50대는 민주당이 우세했고,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이 앞섰다.


여론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도층은 민주당은 44.0%, 국민의힘은 24.4%였다.


ARS, 양당 격차는 15.8%p로 줄었으나 중도층 격차는 여전히 20%p 이상


ARS 조사 결과는 민주당은 2.5%p 하락한 52.6%, 국민의힘은 2.1%p 상승한 36.8%로 조사되어 양당 격차는 15.8%p로 지난주보다 4.6%p 좁혀졌다.


민주당은 서울과 대구·경북지역에서 10%p 이상 하락하며 지지율이 떨어졌고, 국민의힘은 서울, 대구·경북, 강원·제주지역에서 큰 폭으로 오르며 상승을 견인했다. 하지만 여전히 대구·경북지역 외에 모든 지역은 민주당이 우세했다.


50·60대의 민주당 상승으로 50대 이하는 민주당 우세, 60대는 지난주 국민의힘 우세에서 1.0%p 차이로 팽팽하게 갈렸고, 70세 이상은 국민의힘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층은 민주당이 소폭 하락해 54.1%였고, 국민의힘은 33.5%를 기록했으나 양당의 격차는 여전히 20%p 이상이었다.


이번 ARS 조사는 9월 8일부터 9일까지 이틀간 무선전화 100% RDD를 활용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진행했고 응답률은 2.4%다. 또한 CATI(전화면접 조사)는 같은 기간 무선가상번호를 활용 1009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응답률은 18.5%다. 두 조사 모두 표본오차는 ±3.1%p(95% 신뢰수준)이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스트레이트뉴스 김상환 선임기자]


출처 : 스트레이트뉴스(https://www.straightnews.co.kr)


3]. 2023,9,11, 시사위크 최 찬식 기자 보도기사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8월 4주 차 이후 44.2%에서 횡보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율이 소폭 상승하면서 민주당과의 격차를 줄였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지지율 격차는 지난 주 8.0%P에서 이번 주 7.4%P로 소폭 좁혀졌지만, 오차범위 밖이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실시해 11일 공개한 정당지지율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8월 4주차 주간집계와 동일한 44.2%를 기록했다.



민주당 지지율이 대구·경북에서 지난 주 대비 4.1%P 상승한 29.7%였고, 인천·경기에서도 1.0%P 올라간 48.2%를 나타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 주 대비 0.6%P 높아진 36.8%였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30%대 중후반에 머물고 있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부산·울산·경남에서 지난 주 대비 10.3%P 급등한 44.2%였고, 대전·세종·충청에서도 6.3%P 오른 41.4%를 기록했다.



전국 여론의 바로미터인 서울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동반 하락했다. 이곳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지난 주 대비 3.3%P 하락한 43.4%였고, 국민의힘도 지난 주 대비 2.3%P 내려간 34.4%를 나타냈다. 두 당의 지지율 격차는 9.0%P였다.



연령대별로 정당지지율이 분석해보면 50대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가장 높았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60대에서 가장 높았다. 50대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55.8%였고 국민의힘은 28.2%였다. 60대에서는 국민의힘 지지율이 51.3%였고, 민주당은 35.7%를 기록했다.



그동안 70세 이상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으나 이번 주에는 60대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정의당 지지율이 지난 주 대비 0.2%P 낮아진 3.0%였고,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는 무당층은 1.5%P 감소한 13.0%였다.



이번 리얼미터 여론조사는 지난 7일부터 8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02명을 대상으로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2.5%였다.



기타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4]. 2023,9,13, 비즈니스포스트 김 대철 기자 보도기사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소폭 상승하며 30%대 후반을 유지했다.


국민 절반가량은 내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에 투표하겠다고 말해 국민의힘에 투표하겠다는 의견보다 많았다.

 [조원씨앤아이] 윤석열 지지율 38.9%, 총선 투표 국힘 37.1% 민주 49.2%


조원씨앤아이가 13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긍정평가가 38.9%, 부정평가는 59.5%로 집계됐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차이는 20.6%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긍정평가는 직전 조사(8월30일 발표)보다 0.8%포인트 상승한 반면 부정평가는 0.8%포인트 하락했다.


지역별로 대구·경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높았다. 대구·경북은 긍정평가(50.4%)와 부정평가(48.2%)가 오차범위 안이었다.



서울에서 긍정평가가 직전조사보다 5.1%포인트 늘었다.


지역별 부정평가는 광주·전라 68.2%, 서울 58.0%, 경기·인천 63.6%, 대전·세종·충청 60.0%, 부산·울산·경남 56.9%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을 뺀 다른 모든 연령층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많았다. 60세 이상에서는 긍정평가 51.3%, 부정평가 46.8%였다.


연령별 부정평가는 40대 71.5%, 50대 64.0%, 20대 63.3%, 30대 62.0% 순으로 조사됐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의 부정평가가 64.9%였다. 보수층의 긍정평가가 73.7%인 반면 진보층에서는 부정평가가 87.2%였다.


'내년 총선에서 어느 정당에 투표할 예정인가’를 물은 결과 ‘정권 견제를 위해 제1야당인 민주당’이라는 응답이 49.2%로 ‘국정수행을 뒷받침하기 위해 여당인 국민의힘’(37.1%)을 오차범위 밖으로 앞섰다. ‘기존 양당이 아닌 제3세력’ 13.7%였다.


대장동 사건으로 재판 중인 김만배 씨가 대통령선거 전 ‘뉴스타파’와 인터뷰한 내용을 최근 검찰이 압수수색 하는 등 수사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6.0%가 ‘공작수사’라고 바라봤다. 인터뷰가 ‘대선공작’이라고 답한 비율은 39.9%였다.


무당층(대선공작 29.6%, 공작수사 42.7%)과 중도층(대선공작 38.3%, 공작수사 45.7%)에서도 ‘공작수사’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정당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 37.0%, 더불어민주당 45.5%로 집계됐다. 두 정당의 지지율 차이는 8.5%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조사보다 1.9%포인트 상승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0.1%포인트 내렸다.



정의당은 1.2%, ‘없음·잘 모름’은 14.2%였다.


이번 조사는 조원씨앤아이가 스트레이트뉴스 의뢰로 9일부터 1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7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무선(100%) 임의전화걸기(RDD)·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다. 2023년 8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 가중치(림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대철 기자


. 본 글은 비영리적이며, 공익적인 글입니다. 다방면으로 연구.검토하기 위하여 자료인용을 하고 있으니, 널리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306777 하마스 테러... 조공받쳐 얻은 평화는 가짜 평화다 (123.111) 23.10.12 107 7
306776 연고대 공대 겨우 60년 [2] ㅇㅇ(118.235) 23.10.12 212 3
306775 자격검정 홍보 동영상 제작 공모전🎬(~11/5일 마감) 성갤러(221.149) 23.10.11 99 0
306774 이스라엘... 핵공격 수준의 대량 공습! 신인균(123.111) 23.10.10 130 2
306773 2023년 가을. 宮성균관대 유생이 평가하는 세계적인 대학들. macmaca1(122.34) 23.10.09 413 5
306772 2023 공인회계사 대학별 합격자수 [2] 스누라이프(펌)(123.111) 23.10.08 1973 53
306771 아시안게임 축구 결승전 한일전 홍대앞 거리응원 (123.111) 23.10.08 138 1
306770 대학4강 [2] ㅇㅅㅇ(123.111) 23.10.07 465 49
306769 유교문화 24절기.2023년 10월 8일은 한로(寒露)! macmaca1(122.34) 23.10.07 298 2
306761 [동영상] 2023 성균관대학교 가을 축제 건학기념제 (1.241) 23.10.02 252 51
306759 강서구청장 진교훈44.6vs김태우37.0,정당 민주당,42.3국힘33.6 macmaca1(122.34) 23.10.02 490 3
306757 인산인해... 엄청난 인파가 모인 국군의 날 시가행진 ㅇㅇㅁ(1.241) 23.10.01 125 6
306755 국민 축제가 된 국군의 날 시가행진... 울트라 대박!!!!! ㅇㅅㅇ(1.241) 23.10.01 117 6
306754 개잡사립대생 처지가 [1] ㅇㅇ(118.235) 23.10.01 167 2
306753 [직캠] 국민과 국군과 미군이 하나 된 국군의 날 시가행진 (1.241) 23.10.01 111 6
306752 2024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대학 순위 [1] 매일경제(1.241) 23.10.01 295 60
306748 즐겁고 풍요로운 추석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macmaca1(122.34) 23.09.29 247 2
306747 이재명 기각 예견한 윤석열 대통령의 선견지명 [1] ㄴㅇㅀ(1.241) 23.09.28 243 10
306746 [동영상] 10년만에 부활한 국군의날 시가행진 ㅇㅅㅇ(1.241) 23.09.28 113 10
306745 추석이 다가왔습니다. 차례,성묘, 달맞이 행사등! macmaca1(122.34) 23.09.27 305 2
306744 경기대 >>> 국민대 > 숙명여대 > 서울대 [1] ㅇㅇ(118.235) 23.09.27 155 7
306743 이규용 회장... 성균관대에 100억 기부! 초일류성균관(123.111) 23.09.26 346 61
306742 솔벤시 제도 뭔지 아냐? ㅇㅇ(118.235) 23.09.25 107 4
306740 민주당, 46.7%, 국민의힘 35.7%. 알앤써치 여론조사 macmaca1(122.34) 23.09.24 174 2
306739 진중권, '가결표 색출 민주당은 정당 아닌 조폭집단' ㅇㅅㅇ(123.111) 23.09.24 117 10
306738 상경계 등신들아 공부해라 ㅇㅇ(118.235) 23.09.24 176 2
306737 2023 성균관대 가을 축제 동영상 (123.111) 23.09.23 167 14
306736 아주대 > 성균관대 > 경희대 용인분교 > 수원대 [2] ㅇㅇ(118.235) 23.09.23 234 7
306735 무죄추정의 원칙! 이재명대표 구속영장 심사 탄원서 이해함. macmaca1(122.34) 23.09.23 163 2
306734 스포츠 통게학과는 체대냐 성갤러(1.240) 23.09.23 114 0
306733 유교문화 24절기 추분. 2023년 9월 23일. macmaca1(122.34) 23.09.22 356 1
306732 [노래] 환희의 송가... 이재명 체포안 가결 [2] 우왕굳(123.111) 23.09.21 134 12
306730 진중권, '이재명은 가면 구속된다는 걸 아는 것' [1] 어이없삼(123.111) 23.09.20 135 13
306729 느그 학교 어학당 수원에 있노? [1] 수원아재(118.235) 23.09.20 144 0
306728 일본,인도,독일,브라질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요구 반대함. macmaca1(122.34) 23.09.19 281 2
306727 천하사절 설고연성 [1] 대학4강(123.111) 23.09.18 280 19
306726 역대급 성균관대 축제 브이로그 (123.111) 23.09.17 343 7
306724 대한민국 최고 인기 대학은 성균관대 [1] ㅎㅎㅎ(106.102) 23.09.16 273 11
306723 2024 대입 수시 지원자수 1위 대학은 성균관대 [1] 조선일보(123.111) 23.09.16 259 10
306722 스윙스가 의외인게 성균관대 출신임 [1] 성갤러(106.101) 23.09.16 200 0
306721 개잡사립대 [2] ㅇㅇ(118.235) 23.09.16 144 3
306720 잃어버린 30년 ㅇㅇ(211.225) 23.09.16 116 2
306719 JTBC 폐간된다 시대정신연구소(123.111) 23.09.15 151 11
306718 성대 과잠입고 공연하는 뉴진스 보러 빼곡히 모인 학생들 초일류성균관(123.111) 23.09.15 289 13
306717 macmaca 누구냐 [2] 아베레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5 193 14
306716 오늘 성균관대 축제 뉴진스 직캠 [1] 유튜브(펌)(123.111) 23.09.14 223 15
전화,‘민주 41.8:국힘 29.5, ARS,‘민주52.6:국힘 36.8 [3] macmaca1(122.34) 23.09.14 205 2
306713 율전 pc방 어디가 좋음? 성갤러(223.62) 23.09.14 112 1
306712 언론에서도 성대 축제를 크게 보도하네 [1] 초일류성균관(123.111) 23.09.13 371 15
306711 외부인에게 장벽 세우는 대학 축제 해럴드경제(123.111) 23.09.13 274 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