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유한함 속의 무한함 , 프랙탈 기하학과 우주[펌]

달에사는저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08.04 09:48:24
조회 632 추천 0 댓글 3

Mandelbrot_2.jpg
 
베노이트 만델브로트(1924 - )
--------------------------------------------------------------------------------
어느 학문이든 이방인은 존재한다. 혼돈 과학도 마찬가지다. 프랙탈 기하학의 아버지라고 불려지 는 베노이트 만델브로트가 바로 그 주인공. 그는 포앙카레, 로렌츠, 스메일, 요크로 이어지는 카오 스 로얄패밀리와는 조금 다른 길을 걸었다. 그러나 그는 영원히 이방인은 아니었다. 현재 혼돈 과 학은 프랙탈이라는 훌륭한 도구가 없었다면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는 불구의 신세로 전락했을 지도 모른다.
만델브로트는 1924년 폴란드의 바르샤바에서 태어났으며 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고 한다. 알파벳에 관심이 없었고 구구단도 5단 이상은 외우지 못했지만 기하학적 직관력만은 천부적이었다. 대수학 시험에서도 마음속에 그림을 그림으로써 해답에 접근하곤 했다. 당연히 기하학과는 거리가 먼 화학은 점수가 낮았고 수학은 남들이 풀지 않는 자기만의 해법, 즉 기하학의 직감에 의존하여 겨우 낙제 점수를 면했다.

IBM연구소에 근무하던 그는 통신상의 전송 오차를 해결하는 문제를 풀다가 19세기의 유물이라 고 할 수 있는 칸토어 집합을 생각해 냈다. 이를 이용해 통신 오차의 분포를 기술하는 방법을 제 시했다. 그가 제시한 방법으로 예측한 오차는 실제의 것과 정확히 들어맞았다.

그는 1천년에 걸친 나일강의 수위 기록에도 관심을 가졌고 10년 동안의 면화 가격이 그려내는 도표에 편집광적인 애정을 쏟았다. 자연의 경향성을 밝히려 했고 사회의 복잡한 메커니즘 속에서 일정한 질서가 있음을 알아내려 했다. 물론 그 질서는 뉴턴 역학에서 보여지는 단순 명쾌한 질서 는 아니었다. 그가 주장한 대로 자연에 경향성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항상 관철되 는 만능자는 아닌 것이다. 요크의 주기 배가 카오스 그림처럼 경향성은 갑자기 나타났다가 갑자 기 사라지기도 한다는 것이 만델브로트의 생각이다.

영국 해안선의 길이를 잴 때 자의 종류(잴 수 있는 최소 단위가 얼마냐)에 따라 해안선의 길이 는 다르게 나온다는 결론도 만델브로트의 통찰력에서 나왔다. 자의 최소 단위가 작으면 작을수록 해안선의 길이는 길어진다. 그는 이러한 기하학적 통찰력을 이용해 통상적인 차원과는 다른 프랙 탈 차원이란 개념을 창시하기도 했다. 프랙탈 차원은 상식적인 1, 2, 3차원과 같이 정수 차원이 아니라 1.6차원 2.3차원 등 소수 차원 으로 결정된다.

만델브로트의 업적은 자연이 가지고 있는 자기 유사성에 대한 연구에서 결정에 이르며, 카오스 의 본류와 대등한 자격으로 합류한다. 칸토어 집합과 코흐곡선에서도 보여주는 자기 유사성은 우 리 주변에 널려 있는 자연물에도 존재한다는 위대한 발견과 함께. 자기 유사성이란 많은 자연물 (예를 들면 나뭇잎, 해안선의 형태, 우리 몸 속의 기관지, 구름 모양, 은하 구조 등)의 부분을 확 대해 보면 전체 모습과 본질적으로 닮았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확대나 축소가 아 니라 전체를 바라보는 새로운 철학을 제시한 것이다.



영국의 해안선의 길이는?” 면접자의 창의력과 순발력, 그리고 지구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면접관이 던짐직한 이런 질문을 가지고 논문을 쓴 과학자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만델브로트. 그리고 그가 내놓은 답 역시 그의 논문 제목(영국을 둘러싸고 있는 해안선의 총 길이는 얼마인가)만큼 재미있다. 답은 무.한.대.

<?xml:namespace prefix = o /><o:p></o:p>


ⓒ flashearth.com All rights reserved.

영국의 리아스식 해안선은 움푹 들어간 해안선 안에 굴곡진 해안선이 연속된다. 이 들쭉날쭉함을 세밀하게 재기 위해서는 최소 단위가 작은 자를 사용해야 하는데 그 최소 단위가 작으면 작을수록 해안선의 길이는 늘어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컴퓨터 화면에 영국 해안선이 나온 사진을 띄워놓고 들쭉날쭉한 해안선이 직선으로 보일 때까지 줌을 확대해서 보다 보면 그 줌의 끝이 없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그리하여 원본 속 해안선 길이에 그 끝없는 줌 배율을 곱하면 무한대가 나온다는 말이다. ‘’말도 안 돼!’ 라며 바로 반론이 튀어나올 것처럼 입술을 열었다가 몇 초 후 아무 말 못하고 입을 닫아버리는 건 비단 나뿐일까? 아무리 넓다고 하더라도 유한한 넓이의 영국 땅 안에 무한의 길이의 해안선이 들어간다는 게 어디 말이 되는 소리냔 말이다. <o:p></o:p>

 <o:p></o:p>

하지만 이런 넌센스 같은 이론이 낯설게만 느껴지지 않은 것도 이상한 일이다. 불현듯 학창시절 천문관측 동아리에서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할 때의 일이 생각이 났다. 파인더로 원하는 별이 있음직한 위치를 맞추고 아이피스로 그 주위를 살피는 것이 보통의 관측 순서이다. 그리고 마침내 내가 원하는 별이 시야에 들어오면 다시 고배율의 아이피스를 망원경에 끼워놓고 그 별을 자세히도 들여다보곤 했다. 눈 하나가 겨우 들어가는 지름의 아이피스 안에는 들여다보면 들여다볼수록 넓은 우주가 있었다. 그래, 이제 서야 생각이 난다. 만델브로트의 저 이론은 들여다보고 또 들여다보아도 다 볼 수 없었던 우주를 많이 닮았다. <o:p></o:p>



ⓒ neave.com All rights reserved.

영국의 플래시 인터랙티브 디자이너 Paul Neave의 playground인 neave.com이 나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 까닭 역시 그의 놀이터가 어딘가 모르게 우주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그가 비록 밤하늘을 좋아하는 로맨티스트나 우주를 동경하는 공상가가 아니라 할지라도 이것 하나만은 분명하다. 그는 무한의 공간을 가지고 있는 영국의 해안선만큼이나 욕심쟁이라는 사실. 그는 자신의 놀이터에서 무궁무진한 놀이를 하고 싶어했고 그 놀이에 한계를 지우는 어떠한 제약도 그의 놀이터 안에 들여놓지 않았다.

심지어 그는 자신의 놀이터에 지구 안에 있는 모든 땅과 하늘을 담아 넣기까지 했다. 이만하면 그를 영국의 해안선에 버금가는 욕심쟁이라 불러도 되지 않을까. 그의 놀이를 함께 즐기기 위해 높은 해상도를 가진 모니터 따위는 필요 없다. 그저 호기심 하나면 당신도 그의 놀이터 안에서 충분히 즐거울 수 있을 것이다.

 

<?xml:namespace prefix = v /><v:shape id=_x0000_i1027 style="WIDTH: 425.25pt; HEIGHT: 240.75pt"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001" src="file:///C:/DOCUME%7E1/ADMINI%7E1/LOCALS%7E1/Temp/msoclip1/01/clip_image005.jpg"></v:imagedata></v:shape><o:p></o:p>


ⓒ neave.com All rights reserved.

neave.com에는 Paul Neave의 여러 작품들이 한데 모여있는데 그 중 Fractal이라는 작품이 내겐 가장 흥미롭다. 초기의 화면은 언뜻 보기에 작은 세포가 분열을 하다가 도중에 그만둔 것 같은 모습이다. 마치 혹처럼 달려있는 작은 원 주위로 잡음처럼 자글자글한 선들이 눈에 거슬리기까지 한다. 첫 화면의 그다지 아름답지 않은 광경에 윈도우 창을 닫아버리는 사람도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몇 번의 zoom을 시도해보면 누구나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것이 영국의 해안선과 닮은꼴임을. 저것의 테두리를 감싼 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넓이를 가졌지만 당신이 저 오밀조밀한 곡선이 찌그러지지 않을 때까지 보기 위해서는 아주 많이 인내해야 한다는 것을.(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신은 그것을 보지 못할 거라는 사실 역시) 그 잡음 같은 미세한 선을 쫓다 보면 어느덧 다른 공간이 열린다. 그리고 나는 그 공간 곳곳을 둘러보기에 여념이 없어진다. 이것은 우주선을 타고 미지의 우주를 탐사한다기보다 여유롭게 관망하는 것에 더 가깝다. 심지어 모체를 닮은 패턴들의 향연이 무한한 공간에 대한 막연함 대신 어디선가 본 것 같은 낯익은 친밀함마저 안겨준다. 도대체 이 여유로움은 어디서 오는 것인가.

<o:p></o:p>

<v:shape id=_x0000_i1028 style="WIDTH: 425.25pt; HEIGHT: 207pt"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002" src="file:///C:/DOCUME%7E1/ADMINI%7E1/LOCALS%7E1/Temp/msoclip1/01/clip_image007.jpg"></v:imagedata></v:shape><o:p></o:p>

 <o:p></o:p>

ⓒ neave.com All rights reserved.
<o:p></o:p>


다시 재미난 과학자인 만델브로트 씨의 이야기로 넘어가면 그는 분수차원의 개념으로 자연현상의 불규칙적인 패턴을 연구하여 자기유사성 개념을 창안했다. 자기 유사성은 물체를 다른 크기의 규모로 들여다보면 동일한 기본요소가 반복적으로 나타나서 규모에 무관하게 스스로 닮은 성질을 말한다. 예컨대 코흐의 눈송이, 나무의 잔가지, 신체의 혈관 등이 좋은 본보기다. 그는 유한한 면적을 둘러싸고 있는 무한한 길이의 곡선을 단순한 선 이상의 것으로 보아야 하며 이것은 분명 1차원 이상이지만 2차원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의 이론에 따르는 영국의 해안선은 1.25차원이며 그 차원 안에서 그것 역시 상세한 모양을 되풀이 하고 있음이다. [
이인식의 과학컬럼 ‘자연의 기하학 프랙탈’ 발췌]

<o:p></o:p>

ⓒ neave.com All rights reserved.

이제 그 낯익음에 대해 알 것 같다. Neave의 이 사이트 제목인 프랙탈(fractal)처럼 그것은 무한하게 분열하고 무한한 길이를 가졌지만 분열하면 할수록 자기 스스로를 닮아가는 방향으로 계속하여 뻗어나간다. 비록 그 첫인상이 무한과 불규칙성으로 점철돼 보이기는 하지만 조그만 더 관심을 가지고 찬찬히 관찰하면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일정한 규칙과 질서를 발견하고 안도하게 될 것이다. 
이는 우리 주위의 모든 것에도 적용된다. 자연의 모든 현상이-심지어 인간관계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불규칙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Fractal은 우리에게 이러한 것을 낯설어 하지 말고 조금만 더 관심을 가지고 이해해 보라는 친절한 권유를 던지는 것 같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30055 행성 항성 위성 별 혜성 등의 정의가 ...몇가지 궁금한점. [3] 우갤러(124.53) 10.08.11 180 0
30054 우주끈 존재가능성 영원한폐인(110.35) 10.08.11 401 0
30053 태양 폭풍 영향이 어느정도 인가요?? [6] (211.117) 10.08.11 338 0
30052 서울에서 유성우 관찰하면 시망ㅋ인가요? [6] 유성우(121.133) 10.08.11 191 0
30051 다원우주론을 받아들인다면... [2] 우주주주주(220.117) 10.08.11 447 0
30050 달에 와이파이존 만들면 안되나요? [3] .(124.50) 10.08.11 240 0
30049 우주선이 아닌 '우주공간'에서 공기나 물을 뿌리면 어떻게 되나요? [5] 늅뉴(124.199) 10.08.11 394 0
30048 왜 설명하지 못하는 현상을 블랙홀이라고 단정하지? [7] 지적호기심(220.85) 10.08.10 244 0
30047 밤하늘이 검정색인건 ,우주가 검정색이라 그런건가요, 빛이 없어서 그런건가요 [14] 미앙(115.23) 10.08.10 351 0
30046 우주에 가면~ [2] ㅁㄴㅇㄹ(218.237) 10.08.10 73 0
30045 History 채널 우주 다큐 봤어요 ㅎ [4] 신소재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198 0
30043 한국인의 우수한 IQ .. [7] 때릴꺼야?(119.67) 10.08.10 583 0
30042 구글과 유튜브에 스너프 영상들이 돌아다니고 있는 것이 미스테리 [4] 텔레파시(211.209) 10.08.10 387 0
30041 블랙홀 다 구라아닌가여 [7] .(124.50) 10.08.10 318 0
30040 머리도 식힐겸^^ 쉴릴리(222.251) 10.08.10 49 0
30039 제가 우주과학쪽은 아무 지식이 없어서 그러는데요 [7] 지적호기심(220.85) 10.08.10 144 0
30038 제가 엄청난 법칙을 발견했습니다. [2] 무언가(121.64) 10.08.10 227 0
30036 횽들 솔직히 나 [4] 암흑시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101 0
30035 안녕하세여 뉴비입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5] sq(119.75) 10.08.10 71 0
30034 NASA에서 일하고 싶다. [3] NAS(125.190) 10.08.10 197 0
30033 일본과 한국과 우주과학이 어느정도 차이가 남? [2] 창조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282 0
30032 달에는 왜 광고 안하나여 [8] .(124.50) 10.08.10 209 0
30030 빛의속도로 움직이는법 [8] 프리러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252 0
30029 은하계 충돌 초고화질 사진 [2] DJ.SD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431 0
30028 살면 살수록 신은 없다고 느낀다... [4] 창조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306 0
30027 시간 공간 물질 에너지의 본질이 뭘까? [2] 창조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245 0
30026 요즘 밤 11시경 동쪽에 가장 밝은별은 무엇인가요? [2] avav(211.195) 10.08.10 463 0
30025 횽들 진짜 중요한거 물어볼게 있어.. [2] 귀조낸얇아(61.102) 10.08.10 53 0
30023 BBC다큐 [3] No.21[방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269 0
30022 핵에너지를 비행체 원료로 사용하면... [5] 붉은동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254 0
30021 이렇게 하면 빛의 속도는 쉽게 넘을 수 있지 않아? [6] 지적호기심(220.85) 10.08.10 276 0
30020 망원경으로 줌인하면 빛보다 빠른속도로 과거를 보는거임? [1] 지적호기심(220.85) 10.08.10 192 0
30019 가끔 우주다큐 보다보면..... 순규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10 87 0
30018 우주에서 UFO가 떨어질 확률은? [3] 닭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9 204 0
30017 아 동이 봐야 되는데 칼세이건 코스모스땜이 ㅠ.ㅡ 밥면수(220.85) 10.08.09 107 0
30016 님들 우리우주는 어떤 초거대 잉여의 코딱지 안에 있을지도 모르는거 아님? [1] 코딱지우주(220.125) 10.08.09 127 0
30015 현재는 없다? [12] 칭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9 331 0
30014 태양 핵폭발..? [6] 코스모스(121.64) 10.08.09 383 0
30013 끈이론 잠간 들었는데 [6] ㅇㅇ(61.104) 10.08.09 234 0
30012 뜬금없는 무식한 질문인거 같은데요 그래도 궁금해서요 [1] 내가창조자(220.85) 10.08.09 87 0
30009 13일인가 유성우떨어지는거 미국에서도 보이나염 정신나간듯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9 58 0
30008 우주공간이 내리막길 형태이면 어떻게 되냐?? [3] ㅁㄴㅇ(124.52) 10.08.09 165 0
30007 (펌)요즘 제가 푹빠져있는 생각, 의견좀 부탁드립니다! [3] 유전(121.163) 10.08.09 279 0
30006 지구 자전방향이 반대로 바뀌면 어떻게 됨? [4] 물의 행성(61.4) 10.08.09 703 0
30005 창백한 푸른점 한번 영상만들어봤습니다 [2] 익살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9 226 0
30004 세레스가 왜행성이잖아,... [4] 챕시(115.22) 10.08.09 330 0
30002 밤 해변에서 아름다운 별을 보고 왔어요 ㅎㅎ [5] 신소재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8 163 0
30000 칼세이건 코스모스 [2] BBC(121.184) 10.08.08 419 0
29999 밤하늘이 검게 보이는건 누군가가 조작해놔서 그런거 아닌가요 [5] 미앙(115.23) 10.08.08 402 0
29998 천동설과 지동설은 어쩌면 같을수도 있다. [5] 자유(180.68) 10.08.08 21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