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 만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족한 점 지적해 놓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조작키
기본적으로 다른 FPS와 같은 WASD 이동을 사용합니다.
오브젝트 사용 : F
전체 채팅 : T
팀 채팅 : Y
숙이기 : C
스프린트 : Shift
엎드리기 : X
맵 : G
분대창 : Enter(키패드, 큰놈은 안됨)
상세정보 보기 : Alt
등등...
많은 키가 있지만 주요 조작키는 이 정도고, 여타 키는 옵션에서 알 수 있습니다.
게임 모드
딴 FPS와는 다르게 울펜은 오브젝트 매치만을 지원합니다. 스톱워치 모드처럼 진행방식에 변화를 주거나 커스텀 맵중 데스매치 맵이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맵에 지정된 임무를 공격/방어/탈취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파괴 맵은 방어측이 방어하고 있는 오브젝트를 엔지니어의 다이너마이트로 파괴하면 끝납니다.
탈취 맵은 방어측이 지키고 있는 오브젝트를 탈취, 탈출 포인트까지 도달하면 끝납니다.
호위 맵은 막아서는 방어측을 물리치며 공격측이 차량을 호위, 이동시키는 맵입니다.
(보통 다른 방식의 맵과 혼합 사용됩니다)
이외에도 각종 방식을 채택한 커스텀 맵이 있습니다.
팀
연합군/추축군(이라고 해봐야 아무래도 미군/독일군)이 있습니다. 맵에는 이런 진영의 스폰포인트 및 오브젝트가 정해져 있으며, 플레이어는 둘 중 하나를 골라서 뿜뿜하면 됩니다. 몇가지 기본화기에 차이가 있는 걸 빼면 두 진영의 장비는 모두 동일합니다.
림보 화면

ET를 하면 신물나게 봐야 하는 림보 화면입니다. 처음 게임에 들어왔을 때 보게 되며, 게임중에도 L키를 누르면 볼 수 있습니다.
노란 사각형 부분은 현재 자신의 상태(스킬레벨, 경험치, 수여받은 훈장, 아이디 등)를 나타냅니다.
빨간 사각형 부분은 오브젝트 설명 부분입니다. 화살표를 누르면 맵의 각 오브젝트들의 영상과 짧은 설명을 보여줍니다. 초보이지만 영어를 좀 한다고 생각하면 읽어봅시다.
파란 사각형 부분은 팀, 클래스 및 장비를 고르는 부분입니다.
무기의 경우 설정에 따라 제한(특히 판저파우스트)이 있으므로, 선택이 안 되면 포기하고 자리가 날 때까지 딴거나 합시다.
지도 부분에서는 리스폰 포인트를 고를 수 있습니다.
HUD 화면

게임의 기본 화면입니다.
맵 화면

G키를 누르면 볼 수 있는 맵 화면입니다.
일반 오브젝트

스폰 깃발
스폰지점을 나타내는 깃발입니다. 중립 포인트는 빈 깃발로 표시되며, 돌진(?)해서 아군 것으로 만들면 아군 진영 깃발이 올라오면서 아군이 그곳을 리스폰 포인트로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스폰시간에 잘 맞춰서 빼앗으면 전세역전의 중요한 열쇠가 되므로 잘 뺏고 잘 지킵시다.
개중에는 고정 스폰깃발도 있어서 상대편은 점령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량
퓨얼덤프, 골드러시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차량입니다. 이 물건이 끝까지 굴러가야 오브젝트 수행이 가능합니다(코옵을 적절히 쓸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전진하며, F키를 눌러 탑승해 장착된 기관총을 쏠 수도 있지만 기관총의 성능은 별로인 반면 탑승자는 눈에 아주 잘 띄게 되므로 웬만하면 안 타는 게 좋습니다. 자체적으로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폭발물에 의해 피해를 입습니다. 체력이 다 소진되면 파괴되며, 정지해서 연기가 풀풀 피어오르고 기관총 사용이 불가능해집니다. 엔지니어가 꾹꾹 찔러주면 다시 고쳐집니다.

아X 게임의 라X징더스트 맵에 나오는 그 물건은 아무래도 이걸 벤치마킹(?)한 것 같습니다만...

문짝
말 그대로 문짝이고, 앞에 서면 손 아이콘이 뜨는데 이때 F키를 눌러주면 열립니다. 위의 그림처럼 팀 로고(라고 해도 보통 추축군의 독수리)가 새겨진 문이 많이 있는데, 이런 문은 그 팀의 플레이어나 상대 팀의 변장한 코옵만 열 수 있습니다. 이런 문은 중요한 오브젝트로 가는 길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코옵이 잘 열어주면 뒷치기 뿜뿜이 가능합니다.

아모/헬스팩 선반
맵 곳곳에 이렇게 생긴 선반들이 있습니다. 일정 시간마다 일반 아모팩/헬스팩이 생겨나는데, 개념필옵/메딕이 없을 경우 오래 살고 싶으면 그 맵의 선반 장소를 잘 외워뒀다가 탄약이나 체력이 부족하면 와서 먹어둡시다.

지뢰
엔지니어가 깔아두는 지뢰입니다. 원래 상대편에게는 보이지 않고, 아군에게는 조그만 깃발로 보입니다. 다만 코옵이 망원경으로 보면 보이는데, 이때 클릭해서 찍어주면 상대편이 깐 지뢰도 볼 수 있습니다. 이 깃발이 보이는 데는 절대 밟지 말도록 합시다.
리스폰
체력이 0이 되면 중상을 당해 쓰러집니다. 바닥에 누워서 팔을 허우적거리며 살려달라고 애원하게 되는데, 이때 메딕이 주사를 꾹 찔러주면 다시 살아납니다. 중상을 당한 상태에서 스페이스바를 누르거나 공격당해 완전히 사망하면 리스폰 대기열에 이름이 올라가는데, 이 상태에서 리스폰 카운터가 0이 되면 선택해 놓은 리스폰 포인트에서 부활합니다.
다만 판저파우스트 등으로 폭살을 당하거나 공중폭격에 얻어맞는 것처럼 완전히 박살이 나면 메딕이 부활시켜줄 수도 없이 그냥 리스폰 대기줄로 갑니다.
오피셜 맵에서는 레일건을 빼면 모든 맵에서 연합군은 20초, 추축군은 30초의 리스폰 딜레이를 갖습니다. 레일건은 양측 모두가 20초로 같습니다.
공용화기
1번 - 칼

훚앙을 따는 데 필수인 칼입니다. 찌르는 속도가 무섭게 빠르지만 위력도 약하고 거리도 짧아서 생각보다 쓰기 힘듭니다. 주로 부상당한 적 시체를 확인사살해서 부활을 못하게 하고, 코옵은 옷을 빼앗아입는 데 씁니다. 다만 코옵 4레벨이 되면 팀포2 스파이처럼 백스탭으로 한방에 훚을 딸 수 있습니다.

적의 훚앙에 겨누면 백스탭 아이콘이 뜹니다.
2번 - 권총 (콜트 M1911, P08 루거)


어떤 게임에서도 볼 수 있는 딱총입니다. 명중률은 별로이지만 SMG와 똑같은 탄을 쓰므로 탄약이 떨어졌을 때 잘 쏘면 꽤 도움이 됩니다. 경화기 4레벨이 되면 두 자루를 한꺼번에 들 수 있는데, 이때는 마우스 연타로 엄청 빠르게 연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꽤 위력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코버트 옵스는 기본적으로 소음기 권총이 지급되며, 우클릭으로 소음기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3번 - SMG (톰슨 M1A1, MP40)


솔저, 메딕, 필드옵스, 엔지니어가 선택할 수 있는 기본화기입니다(메딕/필옵은 어차피 이것밖에 못 쓰지만). 평이한 성능의 화기로, MP40쪽이 연사력이 약간 빠르며 톰슨쪽이 위력이 약간 높습니다. 개인적으로 MP40이 톰슨보다 나은 것 같지만...
ET PRO 모드에서 둘이 평준화되었다는 소리를 들은 것 같은데, 실험은 못 해봤습니다. 어차피 성능이 고만고만해서 큰 상관은 없습니다.
4번 - 수류탄


5초 신관이 달려 있는 수류탄입니다. 귀퉁이/창문 너머의 적을 때려잡는 데 유용하고, 실력이 향상되면 추격해 오는 적에게 던져서 때려잡는 기술을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보통 그냥 던지기보다는 마우스 버튼을 누르고 기다려서 신관을 좀 태운 뒤 던져서 즉시 터지도록 합니다. DoD에서 흔히 말하는 \'작업수류탄\'인데(좀 다르긴 하지만)수류탄 사용에 있어 중요한 기술입니다.
공용스킬
공용스킬을 포함한 모든 스킬의 레벨업에 필요한 경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레벨 : 20포인트
2레벨 : 50포인트
3레벨 : 90포인트
4레벨 : 140포인트
(이는 디폴트 수치로, 서버마다 스킬별로 차등수치를 설정해놓은 곳이 많으므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배틀센스 - 전투에서의 생존에 관련된 스킬입니다. 플레이어가 주거나 받은 데미지에 따라 30초마다 자동으로 경험치가 쌓입니다.
1레벨 - 망원경이 주어지는데, 이걸로 적의 위치를 찍을 수 있습니다. 필옵과 코옵의 경우 기본적으로 망원경을 갖고 나오기 때문에 이 스킬은 별 쓸모가 없습니다.
2레벨 - 스태미너 바 재충전 속도가 1.6배가 됩니다.
3레벨 - 최대 헬스가 15포인트 늘어납니다.
4레벨 - 코옵이 아니라도 짧은 거리 내에서 상대방이 깔아놓은 지뢰를 볼 수 있습니다. 지뢰는 흰색 윤곽선으로 보입니다.
경화기 - 경화기 사용에 관련된 스킬입니다. 칼, 권총, 수류탄, SMG, 소총(스코프가 달린 것은 줌을 안 했을 경우)으로 적을 사살하면 경험치가 쌓입니다.
1레벨 - 리스폰시 탄창 1개가 추가로 생깁니다. (메딕은 메딕 스킬을 올려야 탄창 추가가 되므로 이 기술은 소용이 없습니다)
2레벨 - 무기 재장전 속도가 35% 빨라집니다. 한 탄창을 통째로 비워도 적을 잡지 못하는 경우가 꽤 있는 ET이므로 먼저 재장전하는 쪽이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
3레벨 - 권총의 반동이 절반이 되고 SMG의 집탄률이 35% 높아집니다.
4레벨 - 아킴보 피스톨(쌍권총)을 들 수 있습니다.
직업별 화기 및 스킬
솔저


중화기를 사용하고, 적을 쳐죽이는 것만을 업으로 삼는 클래스입니다. 박격포나 MG42듣을 이용해 아군의 화력지원과 거점방어도 가능하며, 판저파우스트를 들고 날아다닐 수도 있습니다(로켓점프는 안 됩니다).
수류탄 4개와 SMG 탄창 3개(SMG를 선택했을 때만)를 들고 나옵니다.
MG42 (3번)


150발 용량을 가진 발사속도가 매우 빠른 기관총입니다. 그냥 쏘면 전무후무할 정도로 반동이 끔찍하기 때문에 꼭 X키를 눌러 엎드린 뒤 오른쪽 버튼으로 거치해서 쏴야 합니다. 위력과 연사력은 좋은데 다른 게임에 비해 명중률이 좀 떨어지고, 오랫동안 쏘고 있으면 과열되어 발사할 수 없기 때문에(총기아이콘에 빨간 게이지가 차오릅니다)식혀가면서 쏴야 합니다. 공격보다는 방어에 잘 쓰이는 무기입니다.
헤비 2레벨을 찍지 않으면 한 탄띠를 다 쏘기 전까지는 재장전이 안 됩니다.
화염방사기 (3번)

말 그대로 불을 뿜어냅니다. 사거리는 짧지만 위력이 꽤 높은 편이며, 한번 불에 닿으면 몸에 불이 붙어 일정시간동안 계속 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밝아서 시야를 가리는 효과도 있고, 벽에 닿으면 화염이 벽을 타고 흐르기 때문에 귀퉁이 너머의 적도 공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좁은 데서 쓰면 자기에게도 불이 붙을 수 있고, 같은 편을 태워먹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쓸만한 곳은 꽤 제한된 무기입니다.
박격포 (3번)

50%의 파워바를 쓰는 무기입니다. 그냥은 발사할 수 없고, 적당한 장소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거치하게 됩니다. 거치되면 각도계가 표시되며, 각도를 적당히 맞춘 뒤 왼쪽 버튼을 누르면 발사됩니다. 탄착지점은 맵(G키)을 누르면 과녁 모양으로 표시되며, 이걸 보고 각도를 조금씩 바꿔서 탄착지점을 보정, 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쏜 지점은 빨간 줄로 표시되고, 필드옵스가 망원경으로 찍은 지점은 누런색의 타겟 모양으로 방위가 표시되기 때문에 필드옵스와 연계해 효과적인 화력지원을 해줄 수 있습니다.
무기의 특성상 맞는 곳을 볼 수가 없기 때문에 명중률이 상당히 낮고, 줄창 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필드옵스가 하나쯤 붙어서 탄약공급을 해줄 필요가 있는 무기입니다. 보통은 적이 자주 다니는 길목 하나를 잡고 그곳에만 줄창 쏘기 때문에 맵의 요소요소를 잘 알고 있어야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나, 실력이 뛰어난 플레이어라면 견제에 아주 뛰어난 성능을 보여줍니다.
가끔 TK가 꺼진 서버에서 웬 미\'친 놈들이 발사중인 박격포 위에 올라가 앉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발사하면 아군에 맞으면서 그놈은 안 죽고 자신만 폭사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판저파우스트 (3번)

솔저의 꽃으로, 100%의 파워바를 쓰는 무기입니다. 왼쪽 버튼을 누르면 삐이 소리가 나면서 잠깐의 충전시간을 가진 후 로켓이 빠른 속도로 직선궤도를 그리며 날아갑니다. 로켓은 위력이 매우 세며, 한방에 두셋정도 날려버리는 것은 일도 아닙니다. 다만 아무래도 직접 맞추는 일은 쉽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약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보통 누르고 나서 충전시간때 점프, 상대가 있는 지점의 바닥을 노리고 발사하면 로켓의 강력한 스플래시 데미지때문에 적을 쉽게 때려잡을 수 있습니다.
다만 파워바를 통째로 쓰기 때문에 한 발을 쏘고 다음 발사까지 오랜 시간이 걸려서 상대를 못 죽였거나 다른 놈이 붙으면 꼼짝없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1레벨 올릴 때까지는 몸을 사리는 편이 좋습니다. 또한 잘못해서 갑자기 튀어나온 아군에 오인사격을 하거나 하는 일이 있을 수 있는데, 발사를 급히 중단해야 할 때는 충전시간에 q나 e등의 기울이기(Lean)키를 눌러주면 발사가 취소됩니다.
스킬 - 그냥 중화기로 상대를 때려잡을 때마다 3포인트가 쌓입니다. 굳이 솔저가 아니라도 고정MG나 차량의 기관총으로 적을 사살하면 솔저 스킬포인트를 쌓을 수 있습니다.
1레벨 - 중화기 발사에 쓰이는 파워바 양이 감소합니다. 판저파우스트는 2/3, 모타는 1/5만 쓰면 되기 때문에 쏘기 아주 편해집니다. 특히 판저파우스트를 쓸 때는 아주 중요한 스킬.
2레벨 - MG42의 가열속도가 50% 감소하며 탄띠를 다 쓰지 않아도 중간에 재장전할 수 있게 됩니다.
3레벨 - 중화기를 들었을 때의 이동속도가 상쾌하게 빨라집니다. 원래 중화기를 들고 있으면 이동속도가 현저히 느려져서 빨리 이동할 때는 칼이나 권총을 들게 되어 위급시 대처능력이 떨어지는데, 이 스킬로 그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4레벨 - 권총 대신 SMG를 들 수 있습니다. 중화기를 들었을 때는 거치하지 않았을 때나 파워바가 없을 때 적을 만나면 여러모로 곤란합니다. 이럴 때 SMG가 있으면 그런 단점을 거의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강력해집니다.
메딕


아군의 치료와 소생을 맡는 클래스입니다. 다른 클래스보다 10의 헬스를 더 가지고 있으며,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헬스가 조금씩 회복됩니다. 생존력이 가장 높으며 아군을 살려주면서 경험치를 쌓기 쉽기 때문에 초보자도 쓰기 쉬우며, 고수가 사용할 경우 그야말로 날아다니는데, 흔히 이를 람보 메딕이라고 부릅니다. 다만 개인화기의 탄약수가 가장 적기 때문에 탄약수급을 원활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사기 (5번)

부상당한 아군에게 꾹 찔러주면 절반의 체력을 가진 채로 살아납니다. 가끔 체력이 많이 소진된 아군의 경우 헬스팩을 던져주는 것보다 그냥 사살한 뒤 이걸로 살려주는 편이 더 효율적이기도 하기 때문에 우수한 메딕은 팀킬 카운터도 꽤 높은 일이 종종 있습니다.
헬스팩 (6번)

바닥에 떨어뜨려 놓고 먹으면 체력이 약간 회복됩니다. 메딕의 끈질긴 생명력을 이어주는 중요한 물건입니다. 1개 놓는데 파워바 25%를 소모합니다.
아드레날린 주사 (5번을 두번 누름)

4레벨 메딕에게 주어지는 물건으로, 자신에게 주사할 수 있습니다. 주사하면 10초동안 스태미너가 무한이 되어 계속 뛰어다닐 수 있으며, 모든 공격으로부터의 데미지를 절반만 입습니다. 안 그래도 생명력이 높은 메딕이 이것을 사용하면 더럽게 안 죽고 날아다니기 때문에, 속칭 \'뽕맞은 메딕\'이라고 부릅니다.
수류탄 1개와 SMG 탄창 1개를 들고 나옵니다.
스킬 - 아군에게 헬스팩을 하나 던져줄 때마다 1점, 아군을 한명 소생시킬 때마다 4점의 포인트를 얻습니다.
1레벨 - 1개의 추가탄창과 1개의 추가수류탄을 갖고 나옵니다.
2레벨 - 주사기 2개를 추가로 가지고 스폰되며, 헬스팩을 던지는 데 소모되는 파워바가 25%에서 15%로 감소합니다.
3레벨 - 주사를 꾹 찌르면 절반이 아닌 가득찬 헬스를 가지고 살아납니다. 살려낸 뒤 헬스팩을 던져줄 수 없기 때문에 경험치 획득량이 줄어드는 건 오히려 안타깝지만...
4레벨 - 아드레날린 주사를 가지게 됩니다. 설명은 위에 있습니다.
엔지니어


팀의 승리에 가장 중요한 기여를 하는 클래스입니다. 각종 오브젝트의 수리 및 파괴를 맡으며, 별별 곳에 다 쓰이기 때문에 바쁘게 뛰어다니게 됩니다. 그러나 총류탄을 사용해 전투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커스텀 맵이 아니라면 어느 맵이든 각 진영에 최소 한명씩은 있어야 미션 진행이 가능한 필수 클래스입니다.
수류탄 4개와 SMG 탄창 2개, 또는 소총 클립 4개와 총류탄 4개를 들고 나옵니다.
소총 (M1 개런드, K43 / 3번)


반자동 소총입니다. 그냥 쏘면 고만고만한 소총이지만 오른쪽 버튼을 눌러 총류탄을 부착했을 때 진가를 발휘합니다. 총류탄은 한 발에 파워바 절반을 소모하며, 발사하면 포물선을 그리며 비행합니다. 바닥에 닿아서 바로 터지지는 않으므로 적당히 거리를 조절해서 쏘면 무서운 위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기존 수류탄과는 탄약계산을 따로 합니다.
개런드는 일부 서버를 제외하면 중간에 재장전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중간에 재장전이 하고 싶으면 바닥이나 허공에 탄환을 비울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나온 ET PRO 모드에서는 K43과의 불공평함을 채우기 위해 탄창도 10발에 중간재장전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오리지널에서는 안됩니다.
플라이어 (5번)

이거 하나로 온갖 잡스러운 짓을 다 할 수 있는 엔지니어의 성스러운 도구입니다. 사용할 곳에 대고 왼쪽 버튼을 누르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건축 오브젝트의 건설과 파괴된 차량의 수리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는 파워바를 조금씩 소모합니다. 파워바가 다 떨어지면 건설과 수리 속도가 엄청나게 느려집니다.

빨간 깃발이 붙은 오브젝트는 추축군, 파란 깃발이 붙은 오브젝트는 연합군만 만들 수 있으며, 커맨드 포스트(옷장 속에 든 기계 모양)를 지을 때도 똑같습니다. 건설 오브젝트가 지어지는 중에는 하얀색으로 반투명하게 표시되는데, 그 안에 서 있으면 오브젝트가 완공되면서 끼어서 죽기 때문에 가까이 가지 말도록 합시다.
건설과 수리 이외에도 바닥에 던져놓은 지뢰나 다이너마이트를 활성화시킬 때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이 설치한 다이너마이트를 해체하거나 아군이 발견/밟은 지뢰(발을 안 떼면 안 터지는 이상한 지뢰)를 해체할 수도 있습니다.
다이너마이트 (6번)


엔지니어의 꽃으로 오브젝트 파괴에 사용됩니다. 던져놓는 데 파워바 한 줄을 소모하며, 던진 뒤 플라이어로 활성화시켜야 작동합니다. 활성화되지 않은 다이너마이트는 노란 색으로 빛나고, 활성화된 다이너마이트는 빨간 색으로 빛나며 30초 카운트가 붙습니다.
지뢰 (7번)



거점방어에 아주 그만인 물건입니다. 다이너마이트처럼 던져놓은뒤 플라이어로 쑤셔서 활성화시킵니다. 1개 던지는 데 파워바 50%를 쓰며, 활성화된 뒤에는 누가 밟아도 터집니다. 적이 자주 들어오는 거점에 깔아두면 숨어오는 놈을 잡는 데 유용하지만, 아군이 밟아도 터지는 관계로 굉장히 짜증나는 무기이기도 합니다. 팀킬 옵션이 꺼진 경우 웬 정신나간 놈이 깔린 지뢰를 일부러 다 밟고다니는 경우도 있고, 켜진 경우엔 멍청한 아군이 밟고 폭사할 수 있기 때문에 운이 꽤 따라줘야 하는 무기입니다.
서버에 따라 한 팀이 최대 매설할 수 있는 지뢰 숫자가 정해져 있으니 엔지니어끼리 사이좋게 깔아둡시다.
스킬 - 건설에 파워바 50%를 쓰는 작은 오브젝트(고정 MG등)건설에 5점, 파워바 100%를 쓰는 큰 오브젝트(커맨드 포스트 등)건설에 7.5포인트를 받습니다. 다이너마이트로 오브젝트를 파괴하면 10점의 포인트를 받습니다. 사살의 경우 총류탄이 3점, 지뢰/다이너마이트 폭살이 4점이며 적 지뢰를 해체하면 4점, 다이너마이트를 해제하면 6점을 받습니다.
1레벨 - 4개의 총류탄과 4개의 수류탄을 추가로 들고 나옵니다.
2레벨 - 지뢰와 다이너마이트의 활성화/해체에 걸리는 시간이 절반이 됩니다.
3레벨 - 건설/수리/활성화/해체에 드는 파워바 양이 30% 감소합니다. 또한 지뢰를 던지는 데 드는 파워바가 30%로 감소합니다.
4레벨 - 모든 폭발물 피해를 50%만 받습니다. 판저파우스트의 스플래시 데미지에 휩쓸려도 안 죽는 경우가 생깁니다. 물론 직격데미지는 300~500에 이르기 때문에 정통으로 맞으면 박살이 납니다.
필드옵스


보급과 화력지원을 맡는 클래스입니다. 아모팩을 던져서 아군에게 탄약을 공급할 수 있고, 공중폭격이나 지원포격을 요청해 일거에 적을 쓸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ET는 다른 게임보다 체력이 많아 개인의 생존시간이 꽤 길어서 탄약부족이 자주 일어나므로 필옵의 역할이 꽤 중요합니다.
수류탄 1개, SMG 탄창 2개를 들고 나오는데 어차피 자기보급하면 되므로 부족할 일은 없습니다.
공중폭격 유도용 연막탄 (5번)

하나 던지는 데 파워바 1줄을 쓰는 연막탄입니다. 던지면 화려한 색깔의 연막이 피어나며, 잠시 후 대상 지역에 일렬로 공중폭격이 작렬합니다. 범위가 넓고 위력이 아주 강력하지만 연막이 눈에 잘 띄어서 튀면 안 맞으므로 잘 써야 많이 때려잡을 수 있습니다. 연막을 몸으로 덮어서 눈에 안 띄게 해 적을 잡을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실험해보진 않았습니다...
당연하지만 건물 내에서는 던져봐야 폭격이 오지 않기 때문에 파워바 낭비일 뿐입니다.
아모팩 (6번)


바닥에 떨어뜨려 놓고 먹으면 탄약이 공급됩니다. 1개 놓는데 파워바 25%를 소모합니다. 여기저기 뿌려두면 아군이 주워먹으며 알아서 포인트를 쌓아주기 때문에 좋긴 하지만 상대편이 먹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포격요청용 망원경 (B키)

다른 직업처럼 망원경을 꺼내드는데, 들여다보는 상태에서 왼쪽 버튼을 누르면 망원경이 가리키는 지점에 포격요청을 합니다. 잠시 후 그곳에 포격이 몇 발 떨어지며, 찍어놓은 지점은 박격포를 쓰는 솔저의 각도계에 나타나기 때문에 적당한 곳을 찍어주면 좋습니다. 공중폭격과는 달리 떨어지기 전까진 상대방에게는 전혀 안 보이는 것은 좋지만 범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잘 노려서 쏴야 합니다. 파워바 1줄을 소모하며 역시 실내에선 아무 소용 없습니다.
스킬 - 아군이 아모팩 하나를 먹을 때마다 1점, 적을 공중폭격이나 포격지원으로 사살할 때마다 3점, 오브젝트(차량 등)를 파괴하면 7.5점의 포인트가 쌓입니다.
1레벨 - 아모팩이 메가아모팩으로 업그레이드됩니다. 생긴게 좀 더 멋있어지고 안에 탄창이 1개 추가됩니다. 또한 아모팩을 던지는 데 드는 파워바가 15%로 감소하며, 수류탄의 최고 소지량이 2개로 늘어납니다.
2레벨 - 공중폭격과 포격요청에 드는 파워바가 30%만큼 감소합니다.
3레벨 - 지원위력이 강력해집니다. 공중폭격이 폭격 2줄을 깔며, 포격지원은 지속시간이 2배가 됩니다.
4레벨 - 변장한 코버트옵스에게 크로스헤어를 가져다 대면 \'Disguised enemy\'라는 표시가 떠 변장한 적을 알아볼 수 있게 됩니다.
코버트 옵스


정찰과 암살, 파괴공작이 주 역할인 클래스입니다. 죽은 적의 시체에서 옷을 벗겨내 적으로 위장이 가능하고, 이렇게 해서 적진으로 잠입해 각종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격총을 사용해 장거리 저격을 할 수도 있습니다.
코옵은 칼빵 데미지가 다른 클래스보다 높습니다. 다른 클래스는 정면에서 10 정도지만 코옵은 정면 20~25정도의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옷 벗겨내기 (F키)

죽은 적의 시체에서 옷을 벗겨냅니다. 적과 아군의 눈에 모두 시체 원주인의 모습으로 보이지만, 적에게는 아이디가 표시되지 않습니다(스킬레벨에 따라 보충가능). 옷이 있어야 적을 속일 수도 있고 잠긴 문을 열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다만 다음의 행동을 하면 자동으로 옷이 벗겨집니다.
※소음기가 달리지 않은 무기(FG42, 권총, 수류탄 등)를 발사하는 행위
※고정MG나 전차 기관총을 잡는 행위
※어떤 무기든(소음기 장착 무기 포함)발사하는 것을 적이 보았을 경우
(배낭 폭탄이나 연막탄 제외)
필옵 4레벨은 변장한 코옵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거기다 반대쪽으로 달려간다든가 하면 의심을 살 수 있기 때문에 들킬 가능성이 있고, 팀킬 옵션이 꺼진 서버의 경우 아군에게 총질을 하는 경우도 있어서 더 조심해야 합니다.
저격소총 (3번)


엔지니어가 쓰는 M1 개런드, K43과 똑같지만 대신 소음기와 스코프가 달렸습니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스코프 줌인이 가능합니다. 스코프로 겨누고 있는 동안에는 크로스헤어가 심하게 떨리며, 오른쪽에 떨림 게이지가 표시됩니다. 기다리면 떨림 게이지가 점점 줄어들며, 조준을 더 쉽게 할 수 있게 됩니다. 앉거나 엎드리면 더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게 되고, 한발 발사할 때마다 떨림 게이지는 초기화됩니다.
저격총의 데미지가 약한 데다가 맞추기 힘들어서 다른 게임의 저격수같은 활용은 불가능하지만, 맵에 따라서 꽤 쓸만하게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FG42 (3번)

줌인하면 반자동 저격총, 그냥 쓰면 SMG와 비슷한 느낌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동소총입니다. 데미지는 저격소총보다 낮지만 올라운드로 쓸 수 있는 점이 매력입니다. 다만 탄창의 탄약 수가 20발로 너무 적어서 사용하기 까다로운 것이 단점입니다.
스텐건 (3번)

소음 기관단총입니다. 소리가 나지 않아 잠입화기로 좋은 데다가 명중률도 우수하고 위력도 쓸만합니다. 다만 MG42처럼 과열되는 병기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쏠 수는 없고, 끊어 쏴야만 합니다. 과열되면 일정시간동안 발사가 불가능합니다.
연막탄 (5번)

그냥 연막탄입니다. 위치를 가리는 데 쓸만한 편입니다. 사용에 파워바 1줄을 소모합니다.
배낭 폭탄 (6번)




무선으로 기폭이 가능한 폭탄입니다. 일부 보조 오브젝트나 건설 오브젝트를 파괴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던지는 데 파워바 1줄을 소모합니다. 던지고 나면 자동으로 기폭장치로 전환되는데, 기폭장치에는 조그만 미터기와 전구 2개가 달려 있습니다. 미터기는 폭탄과 플레이어와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미터기가 왼쪽의 빨간 지점으로 들어가면 신호가 닿지 않는 위치라는 의미입니다. 기폭이 가능할 거리일 때는 위의 녹색 전구가 들어오고, 불가능할 거리일 때는 아래의 빨간색 전구가 들어옵니다. 가능한 거리일 때 왼쪽 버튼을 누르면 폭탄을 폭발시킵니다.
오브젝트 말고도 길목에 깔아 놓고 적이 왔을 때 터뜨려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깔아놓은 폭탄의 경우 엔지니어가 플라이어로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합니다.
스킬 - 저격소총으로 저격을 해(줌인하지 않으면 경화기로 분류됩니다)적을 사살하면 3점, 적 지뢰를 찍으면 3점, 적의 옷을 벗기면 5점, 배낭 폭탄으로 적을 사살하면 5점, 오브젝트를 배낭 폭탄으로 파괴하면 7점의 포인트를 받습니다.
1레벨 - 스코프가 달린 무기(M1, K43, FG42)의 탄창이 1개 늘어납니다.
2레벨 - 배낭 폭탄과 연막탄을 던지는 데 사용되는 파워바가 2/3으로 감소하며, 변장했을 때 적에게는 시체 원 주인의 아이디를 표시합니다.
3레벨 - 저격시의 떨림과 반동이 50% 줄어들며, 물 속에서 더 오래 숨을 참을 수 있습니다.
4레벨 - 적의 뒤에서 칼을 담그면 한번에 적을 죽일 수 있습니다.
계급
별 효과는 없지만 레벨이 올라감에 따라 계급도 올라갑니다.
Private First Class/Oberschütze: 어떤 스킬이든 1레벨 달성
Corporal/Gefreiter: 같은 스킬의 2레벨 달성
Sergeant/Feldwebel: 같은 스킬의 3레벨 달성
Lieutenant/Leutnant: 같은 스킬의 4레벨 달성(최대)
Captain/Hauptmann: 스킬 2종류를 4레벨 달성
Major: 스킬 3종류를 4레벨 달성
Colonel/Oberst: 스킬 4종류를 4레벨 달성(다른 클래스로 바꿔야 함)
Brigadier General/ Generalmajor: 스킬 5종류를 4레벨 달성
Lieutenant General/ Generalleutnant: 스킬 6종류를 4레벨 달성
General: 모든 스킬을 4레벨 달성
맵 설명
널리고 깔린 게 ET의 커스텀 맵입니다만, 여기에서는 가장 많이 플레이하는 공식맵 6가지만 소개하겠습니다.
시와 오아시스 (Siwa Oasis)


사막의 오아시스에 있는 대전차포 때문에 연합군의 전차가 진입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합군이 독일군의 대전차포 2문을 파괴하면 끝납니다. 1단계에서는 연합군과 추축군이 오래된 도시(Old city)를 두고 공방을 벌이는데, 도시에서 추축군 기지로 가는 쪽의 벽을 다이너마이트로 파괴하면 도시의 스폰포인트가 영구적으로 연합군 것이 됩니다. 2단계에서는 연합군이 추축군 기지로 공격해 들어가며, 연합군 엔지니어가 다이너마이트로 대전차포 2기를 모두 폭파하면 게임이 종료됩니다.
굳이 도시 벽을 파괴하지 않고도 엔지니어가 추축군 기지로 잠입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벽 옆의 추축군용 문이 있는데, 이를 변장한 코옵이 열어주면 추축군 기지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또 도시 스폰지점 앞의 우물 펌프를 고치면 추축군 기지 뒤쪽으로의 샛길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그래서 대부분 샛길 출구에는 추축군 엔지니어가 지뢰를 잔뜩 깔아둡니다).
시월 배터리 (Seawall Battery)


연합군이 독일군 벙커 안에 있는 해안포 제어장치를 다이너마이트로 파괴하면 끝납니다. 해안과 벙커 사이에는 절벽이 놓여있으며, 엔지니어가 건설할 수 있는 발판 오브젝트가 있습니다. 우선 위에서 쏟아지는 포화를 뚫고 엔지니어가 돌격해 발판을 짓고, 발판을 타고 병력이 밀려올라가 전방 벙커 스폰지점을 점령하면 이곳을 거점으로 삼아 연합군이 2차 공격을 개시합니다. 이곳 말고도 해안 구석진 곳에 벙커 뒤쪽으로 올라가는 샛길이 있는데, 이곳에는 추축군 전용 문이 있습니다. 해안가에서 죽은 추축군이나 여기서 기어나오는 적을 사살한 뒤 남은 시체의 옷을 빼앗아 입은 코옵이 이 문을 열 수 있으며, 엔지니어가 여기로 잠입해 다이너마이트를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골드 러시 (Gold rush)


연합군이 탈취한 야크트판터 구축전차를 이용해 추축군이 방어하는 은행 문을 파괴하고 금괴를 가지고 튀는(?)맵입니다. 연합군은 구석진 곳에서 시작하며, 건물 마당에 있는 전차를 수리해야 합니다. 전차가 수리되면 추축군의 스폰지점은 은행 옆쪽으로 밀려나며, 전차는 서서히 전진을 시작합니다. 추축군은 전차를 파괴하거나 보조 오브젝트인 대전차 방어물을 설치해 전차의 전진을 방해해야 하고, 연합군은 전차를 계속 수리하고 대전차 방어물을 폭파해 전차의 전진을 도와야 합니다. 전차가 은행 앞에 도착하면 주포로 은행 문을 날려버리는데, 연합군이 이 구멍으로 침투해 금괴를 들고 은행 앞마당에 대기하고 있는 트럭에 가져다놔야 합니다. 트럭도 전차처럼 파괴될 수 있으며, 트럭의 탈출로에는 따로 트럭 방어물이 있어 트럭의 전진을 막습니다. 연합군이 방어물을 파괴하고 트럭을 수리하며 탈출지점까지 호위하면 맵이 끝납니다.
뷔르츠부르크 레이더 (Würzburg Radar)


연합군이 추축군의 레이더 부품을 트럭으로 가지고 튀면 끝나는 맵입니다. 우선 연합군은 저택에서 시작하며, 추축군의 시작지점인 전방 벙커 앞의 문을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해야 합니다. 폭파되면 추축군의 스폰지점이 주 기지쪽으로 밀려나고 연합군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정문을 이용해 돌격하거나 옆길의 소형 벙커쪽으로 가는 길도 있습니다. 이 벙커의 문도 엔지니어가 폭파시킬 수 있으며, 이곳에 있는 커맨드 포스트를 건설하는 쪽이 이곳을 새 스폰지점으로 쓸 수 있게 됩니다.
레일건 (Rail gun)


오피셜 6종 중 유일한 추축군 공격맵으로, 추축군이 탄약고에서 포탄을 실어와 구스타프 열차포에 장전, 발사하면 끝나는 맵입니다. 추축군 기지 앞에는 조그만 열차가 있는데, 여기에 플레이어가 타면 열차가 이동을 시작합니다. 열차가 탄약고에 도착하면 포탄이 열차에 옮겨지고 다시 반대쪽으로 이동합니다. 기지 앞에는 크레인이 있어 열차의 포탄을 다른 열차로 옮겨싣고, 이 열차가 열차포에 포탄을 장전하면 추축군이 열차포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 연합군은 열차를 운전하는 추축군을 사살하고 올라타 열차를 반대 방향으로 운전할 수 있으며, 탄약고로 가는 길 중간의 차단기를 내려서 열차의 운행을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열차포의 제어장치를 다이너마이트로 폭파시켜 장전된 열차포의 발사를 막을 수 있는데, 파괴된 제어장치는 추축군의 엔지니어가 수리해야 합니다.
탄약고는 연합군과 추축군 모두가 사용가능한 스폰 포인트이기 때문에 쟁탈전이 치열하고, 이곳을 점령하는 쪽이 게임을 수월하게 이끌 수 있습니다.
퓨얼 덤프 (Fuel dump)


연합군이 처칠 전차를 추축군의 연료집적장으로 몰고 가 집적장 문을 파괴한 뒤 연료탱크를 파괴하면 끝나는 맵입니다.
1단계는 전차를 중앙벙커까지 호위해야 하며, 전차가 강을 건너기 위해 엔지니어가 다리를 건설해야 합니다. 중앙벙커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추축군 플레이어들이 연합군을 쉽게 공격할 수 있습니다. 연합군은 추축군의 포화를 버티며 전차를 수리하고 다리를 건설해 전차가 중앙벙커 문 앞까지 몰고 가면 됩니다.
전차가 중앙벙커 문을 파괴하면 추축군의 스폰 포인트가 연료집적장으로 밀려나고, 중앙벙커는 연합군의 차지가 됩니다. 이제 전차가 연료집적장까지 전진하는 동안 호위와 파괴의 공방전이 벌어지는데, 집적장 문이 폭파되면 엔지니어가 들어가 연료탱크를 폭파할 수 있습니다.
집적장 정문 옆에는 조그만 추축군 전용 문이 있어서 변장한 코버트옵스가 엔지니어를 들여보낼 수 있기 때문에 샛길을 통해 중앙벙커를 무시하고 전진, 연료탱크만을 폭파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users.ecs.soton.ac.uk에서 자료를 좀 가져다썼슴미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