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ype 38 Rifle 38식 소총
Introduced Year : 1905
도입년도 : 1905년
Caliber : 6.5 mm
구경 : 6.5 mm
Barrel Length : 797 mm
총신길이 : 797 mm
Length : 1,280 mm
총 전체 길이 : 1,280 mm (1미터 28센티... ㅡㅡ; k-2가 얼마였더라... ㅡㅡ;)
Weight : 3.95 kg
무게 : 3.95 KG
Muzzle Velocity : 765 m/sec
총구에서 총알 나갈 때의 속도 : 765 m/sec (이것이 뭘 의미하는지는... 라스베이거스 가셔서 그리샴 반장님께 여쭤보세염... *^^;)
Range : 3,000 m
총알이 날아가는 거리 : 3,000 M
Magazine : 5 rounds
탄창 : 5발 (그것도 "삽탄자"라고 해서 총알 끝에 요철 같은 클립이 달려서리 거기에 총알을 꽂는 식이다. 군대에서 사격훈련 때 비슷한 것으로 탄창에 총알넣는 것을 본 것 같기도 하고... 하지만, 여기서는 그 "총알넣는 장치"를 탄창 대신 쓰는 것이다. 왜냐고? 싸니까! 근데, 믿음 없으니까! 그리고, 일본제국쩨니까! 헐헐헐...)
Production Qty : 3,400,000
생산량 : 3,400,000 정 (이탁이라는 전직 빨치산이었던 양반이 쓴 "남부군"이라는 책에서도 본 것 같고... 그 밖에 한국 근현대사나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책에 종종 등장하는 이유가... 역시 있다... ㅡㅡ; 물론, 이것보다 더 많이 생산된 총도 얼마든지 있지만...)
Type 38 Cavalry Rifle 38식 기병총
Introduced Year : 1905
도입년도 : 1905년
Caliber : 6.5 mm
구경 : 6.5 mm
Barrel Length : 487 mm
총신 길이 : 487 MM
Length : 966 mm
총 길이 : 966MM
Weight : 3.3 kg
무게 : 3.3 KG
Type 38 is a bolt-actioned rifle and had a high reliability and a high accuracy. Type 38 was the standard rifie of Japanese infantry.
Type 38 Cavalry Rifile is a short-barreled model of Type 38 Rifle. It was used not only by cavalry, but also used by engineer, quartermaster and other troops in rear.
38식 소총은 볼트액션식(볼트처럼 툭 튀어나온 장전손잡이를 총 한발 쏠 때마다 당겨줘야 하는 식... 걍 한번만 당겨주면 탄창 빌 때까지 계속 나가는 것은 "반자동" 혹은 "자동"이라고 한다...)에 높은 신뢰도와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니 솔로호프 선생님의 작품에서도 등장하지... ㅡㅡ...) 38식은 일본군의 표준적인(제식) 소총이었다.
38식 기병총은 38식 소총의 짧은 총신 모델이다. (즉, 말을 탄 채로 총을 쏘아야 하는 기병들을 위해 가급적 반동도 적고 또한 들고 있기에도 불편하지 않게끔 하기 위함...) 이 총은 기병대원만이 아니라, 공병, 보급계원, 그리고 여타의 지원 병과 병력들에 의하여 사용되었다.

Type 44 Cavalry Rifle 44식 기병총
Introduced Year : 1911
도입년도 : 1911년
Caliber : 6.5 mm
구경 : 6.5 MM
Barrel Length : 487 mm
총신 길이 : 487 MM
Length : 966 mm
총 길이 : 966 MM
Weight : 3.3 kg
무게 : 3.3 KG
Magazine : 5 rounds
들어가는 탄 수 : 5발
Type 44 Cavalry Rifle is the most same as Type 38 Cavalry Rifle, but its bayonet is a needle type and it can be folded backwards.
44식 기병총은 38식 기병총과 거의 많이 비슷하지만, 이 총의 총검은 '꼬챙이 식'(대검이 아니라... 관련해서 <플래툰>에서 오래전에 다루어준 적이 있고... 영화 <Dieep>에서도 캐나다군이 사용하는 것이 나오고... 사진 속에서도 자세히 보면... ㅡㅡ;)이며 거꾸로 접어넣을 수 있었다.

Type 97 Sniper Rifle 97식 저격총
Introduced Year : 1937
도입년도 : 1937년
Caliber : 6.5 mm
구경 : 6.5 mm
Barrel Length : 797 mm
총열길이 : 797 mm
Length : 1,280 mm
전체길이 : 1280 mm
Weight : 3.95 kg
무게 : 3.95kg
Muzzle Velocity : 765 m/sec
총구에서의 발사속도 : 765 m/sec
Range : 3,000 m
사거리 : 3000 m
Magazine : 5 rounds
들어가는 탄수 : 5발
Type 97 is the same as Type 38 Rifle, except a telescopic sight.
97식 저격총은 38식 소총과 같은 것이다. 다만 "저격용 망원경"이 달렸다는 점 빼고... ㅡㅡ;

Type 99 Rifle 99식 소총
Introduced Year : 1939
도입년도 : 1939년
Caliber : 7.7 mm
구경 : 7.7 mm
Barrel Length : 657 mm
총열길이 : 657 mm
Length : 1,120 mm
전체길이 : 1120 mm
Weight : 3.7 kg
무게 : 3.7 kg
Muzzle Velocity : 730 m/sec
총구 발사 속도 : 730 m/sec
Range : 3,500 m
사거리 : 3500 m
Magazine : 5 rounds
들어가는 탄 수 : 5발
Though Type 38 Rifle was an excellent rifle, its small bullet was not enough effective. So, IJA developed Type 99 with 7.7 mm caliber, based on Type 38.
IJA intended to replace Type 38 with Type 99. However, as the Pacific War began before completed its replacing, IJA had to use both types during the war.
비록 38식 소총이 아주 좋은 소총이기는 했으나, 그 자그마한 탄은 충분한 위력을 발휘할 수 없었다. (화약이라던가... 혹은 탄피나 총열 등과 관련한 이런저런 기술들이 좋아진 덕인지... 오늘날에는 거꾸로 5.56mm 등으로 줄어들어온 추세랄까요... ㅡㅡ; "무조건 크면 좋다"는 생각은 가라!) 그래서, 일본제국육군(Imperial Japanese Army)은 38식 소총을 바탕으로 7.7mm 구경의 99식 소총을 개발했던 것이다.
일본제국육군은 38식 소총을 99식 소총으로 교체하려고 했다. 그런데 그것을 마치기도 전에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였고, 결국 일본제국육군은 두가지 총 모두를 그 전쟁 기간 내내 (위에 언급했던 내용대로... ㅡㅡ;) 사용해야만 했다.

Type 99 Sniper Rifle 99식 저격총
Type 99 Sniper Rifle is a sniper model of Type 99 Rifle. The specific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ype 99 Rifle.
99식 저격총은 99식 소총의 저격수용 모델이다. 제원은 99식 소총과 동일하다. (저격수용 망원경이 달린 것이야... 당근~ 빼고... ㅡㅡ;)

TERA Rifles 테라 소총
The IJA developed some special rifles for paratrooper, called as TERA Rifle. They could be separated into two components and easily assembled/disassembled.
일본제국육군은 공수부대원들을 위해 이른바 'TERA 소총'이라 불리는 특수한 총들을 약간 개발한 적이 있다. 그 총들은 (사진에서처럼)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아주 쉽게 조립되거나 분리되었다.
TERA Rilfes had three models. Type 100 and Type 2 were based on Type 99 Rifle and Type 1 was based on Type 44 Cavalry Rifle. Type 1 was not separated but folded. Type 1 was not introduced, because its folding mechanism was not enough reliable. Above is a Type 2 Rifle.
이 'TERA 소총'은 3가지 모델들이 있다. 100식 그리고 2식은 99식 소총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1식은 44식 기병총을 모델로 제작되었다. 1식 TERA 소총은 분리는 되지 않지만 그래도 접히기는 했다. 1식은 도입되지 않았는데, 이는 그 총 접는 장치의 신뢰성 부족 때문이었다.
사진 속에 나와있는 것은 2식 TERA 소총이다.

Experimental Automatic Rifles 실험적으로 만들어진 자동소총
Japan had developed several experimental models of Automatic Rifle, including a copy of US M1 Automatic Rifle (Above). However, non of them were introduced, due to the supply problem of the ammunition.
일본측은 자동소총의 시험적인 모델들을 여러종 개발하였다. (자동소총이란 앞서의 38식 소총과 같은 볼트액션식 소총과 달리, 한번 장전해주면 탄창이 빌 때까지 방아쇠만 당겨주면 계속 발사되는 총이죠. 앞서 말씀드렸듯이... *^^*) 그 중에는 위의 사진에서와 같은 (노획한) 미국제 M1 자동소총의 복제품 같은 것도 있었다. 하지만, 그들 중 그 어느 것도... 채택되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탄약의 보급문제" 때문이었다. ㅡㅡ;
원문 출처 - http://www3.plala.or.jp/takihome/rifle.htm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