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사랑의 이해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사랑의 이해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개념글 리스트
1/3
- [요리대회] 아이리스아웃 논알콜 칵테일 Henziwa
- 북한 열병식 무기들 ㅇㅇ
- 북한의 류경호텔이 텅텅 비게된 이유...png 또또장금이
- 엘리자베스2세 여왕 추모 은화 1kg 도착 ㅇㅇ
- 장문 주의!)북아프리카에서 탈탈 털린 P40.ssul Berkut
- 싱글벙글 쿠바 하바나의 올드카들의 숨겨진 비밀 수인갤러리
- 싱글벙글 스벅에 배달기사있어서 품격없어보여 ㅇㅇ
- 싱글벙글 혼자 말도 안되는 레벨인 오타니 광고 스폰서 수익 ㅇㅇ
- 라이카유저 특 49mm
- 독일에서 솔직한 한국의 위상 배그린
- [나혼산] 피부과 간 구성환 레전드..jpg ㅇㅇ
- ‘여자의 적은 여자?’… 오래된 루머 ㅇㅇ
- 숨진 양평군 공무원 측, 특검 고발 검토 치킨먹고있는분
- 지역감정의 창시자 박정희 배그린
- 한동훈 페북 ‘감기 환자를 몰래 마취해서 멀쩡한 다리 절단하는 것’ ㅇㅇ
심각심각 10년안에 소나무 80퍼가 없어진다.. 난리난 한국산림 근황
소나무, 잣나무의 치사율 100퍼 감염병인 소나무재선충이 근래들어 급속도로 확산됨 이미 경상도에선 소나무 구경하기가 힘들다는 소리가 나올정도..올해에만 140만그루의 소나무가 재선충으로 뒈진다함 재선충은 1mm 이하의 작은 새퀴인데, 하늘소를 매개체로 소나무에 침투해서 수관을 막아버려 말라죽게함 번식력이 미친게, 암수 한쌍이 단 20일만에 20만마리로 불어난다함 감염되면 반년~1년 안에 뒈짐 밑짤 주황, 노랑색이 전부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다.. 일본의 경우, 훗카이도와 오키나와를 제외한 전 일본본토의 소나무가 전멸했음 일본에 첫 재선충 감염 소나무가 나오고 97퍼의 일본 소나무가 없어짐 1905년 일본에서 소나무가 갑자기 말라죽었고, 일본의 소나무가 없어짐... 그 원인을 밝혀내는데만 67년이 걸렸고, 미국에서 온 재선충 때문인 것으로 최종확인됨 한국은 1989년 부산 금정산에서 재선충 감염 소나무기 처음 발견됐고, 산림청과 부산시의 노력으로 1997년까지 잠잠하다가 다시 번짐... 부산의 동물원에 일본원숭이를 수입하는 도중 그 우리가 재선충의 감염된 나무였다함... 올해 여름부터 광주, 전남지역에 급속도로 재선충이 번지는 중 이대로면 10년 안에 한국서 소나무 80퍼가 없어진다고..ㄷㄷ 중국의 경우는 1982년 베이징부근서 처음 발견되었고, 대륙?의 방법으로 재선충 발견 소나무 반경 3km의 숲을 모두 태우는 방법으로 원천봉쇄한다함 (한국은 산이 사유지가 많아서 저 방법이 불가능) 자연산 송이버섯의 경우 소나무에서만 나고, 한국이나 중국도 그렇지만 일본에서 특히 자연산 송이버섯의 인기가 높은데 가격이 지구뚫음... 일본도 요새 1등급 자연산 송이가격이 키로당 200만원 넘는다 일본에서 1년에 1600톤의 자연산 송이가 소비되는데, 일본서 나오는건 수십톤에 불과함 특히 한국의 송이가 일본과 종이 같고 가까워서 수입산 중 최고로 침(다른 나라 수입 송이가격의 5~10배) 과거 산업시대 한국의 경제를 먹여살린 효자수출품 중 하나였고, 지금도 수출 ㅈㄴ 함 최근에는 한국도 수요는 느는데 소나무가 씨가 말라가고 이상기후로 수확량이 급감하며 일본수출량이 크게 줄었다함 저 소나무재선충 감염된 소나무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음 육안으로 확인됐을 때는 이미 죽어있으니... 앞으로도 없을거라함 유일한 방법은 예방뿐이라고...
작성자 : ㅇㅇ고정닉
싱글벙글 최근들어 사기극으로 의심받는 산업들
1. 종이 빨대 2010년대 후반부터 친환경을 명분으로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 사용하자는 장려운동이 세계적으로 일어났다. 그 이후 전세계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종이 빨대가 보급되었는데, 시간이 지나 '사실 종이빨대는 환경에 더 해롭다' 라는 연구결과가 쏟아져나왔고 결국 이 주장이 정론으로 받아들여지면서 근래들어 전세계적으로 플라스틱 빨대 사용으로 리턴하고있는 상황이다. 2. 전기차는 친환경적이다? 결론적으로 전기차는 주행중에 배기가스를 내뿜지않지만, 전체 생산 과정은 결코 무공해가 아니다. 배터리용 리튬-코발트 채굴은 심각한 환경파괴를 일으키며 배터리 폐기-재활용 인프라도 세계적으로 매우 부족하다. 게다가 전력 생산의 상당 부분이 화석연료 기반인 국가에서는 전기차 운행도 간접적으로 탄소 배출을 유발한다. 그럼에도 중국, 미국, 유럽연합은 전기차 산업에 매년 수천억달러의 보조금을 쏟아붓고있기에 일각에서는 이들이 현재 선도적인 일본 자동차산업을 죽이려고 하는것 아니냐 와같은 별에 별 음모론들까지 떠오르고있다. 그런 황당한 음모론이 나오는 이유는 간단하다. 전통적으로 자동차강국인 일본은 전기차 산업에서는 선도적인 기업이 없다. 중국의 BYD, 미국의 테슬라, 유럽의 폭스바겐 그룹이 톱3를 차지하고있고 그 밑으로도 미국의 GM,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 스텔란티스, 르노 등 유럽 기업들, 그리고 한국의 현대차가 자리를 잡고있지, 일본업체는 없다. 전기차 판매, 즉 상용화면에서도 중국과 유럽 두 세력이 완전히 장악하고있다. 수십년째 선두주자를 지켜온 일본의 자동차산업이 전기차시대라는 구조적이고 인위적인 변화에 의해 완전히 전망이 달라지고있는 상황.충전 인프라를 보면 더욱 무게가 실린다. 중국과 유럽 기업이 완전히 장악하고있다. 특히 쉘, ABB, 슈나이더 일렉트릭, 엔지와 같은 거대 에너지 인프라 기업들이 EV시장에 진출하면서 판도가 완전히 뒤바뀌고있다. 게다가 BYD, 니오와 같은 중국 전기차 기업들도 자체적인 인프라 구축을 하고있는상황. 실제로 미국과 유럽은 과거 전자산업을 포함한 각종 과학기술을 호령하던 일본 기업들을 불합리한 제재와 규제로 멸종시켰다. 그렇게 했기에 현재 일본에는 대형 기술기업이 하나도 없다. 생명공학, 반도체, AI,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스테이블코인까지 일본 회사는 없다. 일본 기술산업을 거세시키고 그대신 한국과 중국을 밀어준것.. 이런 선례가있기에 일본의 자동차산업까지 죽이려는것 아니냐는 음모론이 생긴것이다. 3. 바이오 플라스틱 옥수수, 사탕수수 등에서 유래한 바이오 플라스틱이 '생분해성'으로 홍보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바이오 플라스틱은 특수 산업시설에서만 분해가 가능하고, 일반 토양-바다에서는 수십년간 잔존한다. 제조 과정에서 바이오 플라스틱은 농지와 물을 낭비할뿐이며 식량자원경쟁을 유발한다. 플라스틱 대체품이라는 타이틀이 소비자 안심용 마케팅으로 변질된 대표적인 사례로 남았다. 4.패스트 패션의 에코 라벨 자라나 H&M 등에서 강조하는 에코 라벨은 실제로는 재활용률이 미미하다고 한다. 대부분은 기존 원단에 5~10% 재활용 섬유를 섞은 정도의 수준이라고한다. 대량 생산-폐기 구조는 그대로 유지된다는것이다. 친환경 라벨은 패션 거대기업들이 소비자 죄책감을 완화하는 심리장치에 불과하다는것이 오늘날 결론에 다다르고있다. 5. 메타버스 2021~2022년 미국을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메타버스 산업의 투자 열풍이 불었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이 실질 서비스 없이 토지 NFT 판매로 돈벌이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있다. 핵심적으로 공간혁명이라더니 광고판만 늘어났고 디지털 부동산이라는 신개념으로 포장된 투기성 금융 버블인것. 6. 지속 가능한 팜유 마케팅 RSPO와 같은 인증 제도를 통해 "지속 가능한 팜유"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세계 대부분의 팜유가 위치한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 등지에서 열대우림 파괴와 노동 착취가 이루어져 충격을 주고있다. 적발된 기업은 대표적으로 네슬레, 유니레버 등 유럽의 식품 기업들이 존재하는데, 워낙 규모가 큰 기업들인지라 EU조차 눈감아주는 방향으로 가고있어 국제사회에서 비판받고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코닭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