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취임 1주년 진우스님 "마애불 못 세우면 지하통로 방식 검토"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9.28 17:00:08
조회 324 추천 0 댓글 0
														


대한불교조계종 충무원장 진우스님 /사진=대한불교조계종 홈페이지


26일 대한불교조계종 충무원장인 진우스님은 '5cm의 기적'으로 불리는 고꾸라진 경구 마애불을 세우기 정 어렵다면 지하에 통로를 뚫어 관람객이 아래에서 올려다보도록 하는 방안을 차선책으로 검토할 것이라 말했다.

진우스님은 충무원장 취임 1주년을 이틀 앞두고서 서울 종로구 소재 불교문화역사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일단은 세우는 게 목적이다. 문화재 위원들이 세우는 게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그때 제2안으로 지하 통로 관람방식을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진우스님이 거론한 차선책은 쓰러진 마애불을 가능한 현 상태로 보전하되 석굴처럼 생긴 또 다른 관람로를 뚫어 방문객이 바닥에 닿을 듯 말 듯 애매하게 쓰러진 마애불의 안면부를 직접 관람하도록 하자는 구상을 염두에 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방안은 올해 5월에 열린 학술대회에서 김재경 한양대 건축학부 교수가 직접 제안해 이목을 끌었다.


진우스님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사진=대한불교조계종 홈페이지


진우스님은 마애불을 다시는 세울 수 없는 경우와 관련해서 파손과 균열에 의한 마애불 변형 문제가 생길 가능성을 주장했다. 그는 토지소유권, 각종 허가, 문화재 관리 권한, 시뮬레이션, 예산 등 현실적인 제약과 행정절차 등의 여러 단계가 있어 기대만큼 사업이 재빠르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언급하며 내후년 정도에나 다시 세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경주 남산에 위치한 마애불은 2007년 5월 22일 남산 열암곡석불좌상과 일대를 발굴 조사하던 중에 지면과 얼굴의 코 부위가 약 5cm 간격을 두고 넘어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마이불의 길이 약 6.8m, 너비 약 4m 두께 약 2.9m에 달하고 무게는 약 70~80t으로 추정되는 어마어마한 크기의 불상이다.

진우스님은 최근 정치권에서 대립과 혼란이 거세지자, 정치인들에게 직접 조언하거나 때에 따라서 꾸짖으며 대표 종교 지도자로서 맡은 역할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진우스님 /사진=대한불교조계종 홈페이지


진우스님은 정치 지도자들에게 교훈을 주는 법어를 내리고 꾸짖는 장면을 본 적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 "총무원장을 찾아오는 정치인이 많다. 보도가 잘 안 되지만 굉장히 꾸짖는 경우가 많고 서로 화합시키려는 시도도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우스님은 "첨예한 진영 논리 속에서 일갈하면 양비론으로 번질 확률이 높고 각자가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해서 또 다른 정치적 논리가 발생할 소지도 있다. 그런 면에서는 굉장히 조심스러운 측면이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진우스님은 서울의 한 복지관을 방문했을 때 장애인과 장애인을 돌보는 이들이 처한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애를 쓰고 있다고 말하며 정치인이 '어렵게 살아가는 분들에 비해서 얼마나 편안하고 살아가고 있는가'를 직접 깨우칠 수 있도록 미디어가 이들에게 더욱더 주목해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문화재 관람료라는 명목으로 지원받는 정부 지원금에 대해 "문화재를 국보, 보물, 지방문화재로 지정한 것에 대해서는 국가가 어느 정도 보호와 관리, 운영해야 한다. 앞으로는 관람료 차원이 아니라 국가가 당연히 국가 문화재로서의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100년 만에 문 연 대한제국 서양식 영빈관 '덕수궁 돈덕전'▶ 2023 조선왕릉문화제 개최, 판타지 공연 '신들의 정원'▶ 백제의 향기, '백제금동대향로 3.0, 향을 사르다' 특별전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공지 갤러리 댓글 기능 개선(멘션 기능) 안내 운영자 25/05/08 - -
2076 "입장료·주차비 다 무료"... 52만 년 자연이 만든 폭포 출렁다리 명소 [2]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4 823 0
2075 "입장료 없이 즐겨요"... 부모님과 무료로 즐기는 66종 봄꽃 정원 축제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4 16 0
2074 "5월 연휴, 어디로 떠났나 봤더니"… 2위는 나트랑, 뒤이은 1위는? [3]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2060 0
2073 "당일치기도 가능하다"... 가족들과 가면 더 좋은 5월 여행지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1915 1
2072 "410m 출렁다리와 78,650평 꽃 정원"... 6천 원에 즐기는 수도권 봄꽃 여행 [1]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821 3
2071 "연 1만 5천 명이 찾는다!"... 숲길 트레킹과 족욕까지 즐길 수 있는 힐링 명소 [4]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715 2
2070 "5060세대 감성 저격"... 청보리와 작약이 출렁이는 봄꽃 축제 [1]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451 3
2069 "8만 송이 튤립이 활짝"... 도심 속 유럽이 펼쳐지는 꽃 명소 [1]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150 3
2068 "5월에도 벚꽃길 걷고 싶다면?"... 고즈넉한 사찰 속 봄 산책 명소 [1]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6593 6
2067 "서울 벚꽃 끝나도 여긴 시작이에요"... 4월 말 겹벚꽃 추천 여행지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218 1
2066 "무료라 놓치면 후회해요!"... 1,500마리 나비와 철쭉이 반겨주는 꽃놀이 명소 [2]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6244 6
2065 "출렁다리 건너면 꽃섬이 펼쳐진다"... 봄꽃 가득한 섬 속의 숨은 명소 [3]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5816 8
2064 "걷기만 해도 힐링 100%"... 바닷길 따라 이어지는 소문난 트레킹 명소 [2]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5895 1
2063 "걷고, 쉬고, 치유받는다!"... 도심 속 자연에서 무료로 누리는 힐링 프로그램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859 3
2062 "벚꽃보다 예쁘다고?"... 5월에만 열리는 이팝나무 산책길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632 0
2061 "가족 여행으로 제격"... 트레킹·섬·사찰 한 번에 즐기는 1박 2일 여행 코스 [3]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6076 2
2060 "올해 꽃축제 중 넘버원!"... 270만 송이 튤립이 만든 동화 같은 풍경 [2]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6153 6
2059 "단돈 만 원대로 여행이 가능하다고?"... 따뜻한 날씨에 가기 좋은 봄 여행 명소 [3]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207 3
2058 "왕벚나무 300그루가 만든 풍경"... 출렁다리 걷고 힐링까지 가능한 봄 여행지 [4]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2267 6
2057 "입장료가 무려 공짜!"... 철쭉·겹벚꽃·황매화까지 한가득 핀 봄꽃 명소 [1]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1823 1
2056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풍경"... 유네스코가 인정한 국내 이색 명소 [6]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572 9
2055 "25만 명이 몰렸다"... 저수지 따라 걷는 벚꽃 야경 명소 [1]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141 2
2054 "70만 송이 봄꽃이 활짝"... 하천 옆에 펼쳐진 2km 꽃길 산책로 [1]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7173 6
2053 "딱 4일 동안 열린다"... 무료라서 더욱 즐거운 봄 대표 축제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6536 2
2052 "이번 주말 절정"... 조명 벚꽃길에 감탄한 서울 3대 벚꽃 축제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5699 2
2051 "북적임이 하나도 없어요"... 차량 통행 적은 벚꽃 드라이브 명소 [4]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6060 2
2050 "호수 위에 한반도가 떴다"... 42만 명이 방문한 봄 힐링 명소 [6]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2328 2
2049 "전국 어디에도 없는 풍경"... 바다 따라 걷는 5,600송이 장미 꽃길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677 1
2048 "도심 한가운데에 벚꽃섬?"... 시민들이 추천하는 봄꽃 명소 3곳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7736 7
2047 "섬 하나가 통째로 축제가 된다"... 봄꽃 마니아들 몰리는 4월의 섬 [13]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8282 6
2046 "국내인지 해외인지 헷갈려요"... 그랜드캐니언을 닮은 걷기 좋은 해안절경 길 [12]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7224 6
2045 "76.9%가 국내 선택, 그중 1위는?"... 전문가도 추천한 5월 여행지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692 1
2044 "비싸고 번잡한 축제는 그만"... 14만 명이 다녀간 바가지 없는 봄 축제 [5]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7596 7
2043 "1위에 오른 이유가 있네"... 1박은 부족해 또 가고 싶은 국내 여행지 [3]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7005 1
2042 "쌀 천 섬으로 만든 다리?"... 감탄이 나오는 신비한 전설 품은 벚꽃 명소 [14]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6864 6
2041 "60대도 찾았어요"... 1년간 가장 사랑 받은 국내 여행지 1위는? [10]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6814 8
2040 "2천 그루 벚꽃이 만든 분홍빛 호수길"... 국내에서 가장 낭만적인 벚꽃길 [5]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9930 3
2039 "여의도 공원 면적의 3.5배에 달하는 진달래꽃밭"... 50대 이상도 즐기는 전국 봄꽃 산행 명소 3곳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514 2
2038 "벌써 만개했어요"... 봄마다 수십만 명 몰리는 왕벚꽃길 3곳 [8]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6447 5
2037 "벚꽃 대신 여기 간다"... 차 타고 30분, 한국 속 유럽을 느낄 수 있는 곳 [11]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7201 4
2036 "이번주 이곳은 절정 이룬다"... 어른들을 위해 준비한 벚꽃 축제 [10]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6587 2
2035 "이렇게 정성스러운 축제는 처음"... 50년 벚나무가 만든 벚꽃 축제 2곳 [4]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5968 1
2034 "봄이면 난리 난다"... SNS서 입소문 난 국내 겹벚꽃 여행지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2886 0
2033 "이 모든 곳이 무료랍니다!"... 주말 떠나기 좋은 서울 근교 봄 산책 명소 [4]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2127 3
2032 "620만 명이 방문했다"... 25개국이 참여하는 국내 최대 규모 꽃축제 [4]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6716 9
2031 "다녀온 사람 10명 중 9명 감탄"... 봄날 떠나기 딱 좋은 힐링 여행지 [6]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6759 1
2030 "전국 최대 유채꽃밭"... 부모님 모시고 떠나는 '봄 나들이' 명소 [4]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3548 3
2029 "10만 송이 수선화가 반긴다!"... 2025년 가장 아름다운 봄 여행지 [3]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6718 6
2028 "서울보다 10배 예쁘다"... 주민들이 아껴온 '숨은 벚꽃 명소' 공개 [2]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4338 1
2027 "진해 보다 여기가 낫네"... 전국에서 꼭 가봐야 할 벚꽃 명소 5곳 [10] 아던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8708 4
뉴스 “서로 너무 좋아서 큰일”…日 유명 배우들 ‘불륜 의혹’ 메신저 대화 파장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