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건축학과 학생들 실질적인 조언 해준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9.22 01:00:08
조회 78273 추천 97 댓글 90

본인은


건축하면 세손가락에 꼽는 학교 출신이고


설계점수 A밑으로 내려간 적 없음


대형설계사무소 여러곳 합격함


ㄹㅇ 진지하게 말한다


1. 취업의 현

일반적으로 대형이 급여와 복지가 좋고, 아뜰리에는 배우는게 많아서 독립한다고 한다

근데 대형 잘 생각해봐라

삼우, 포스코, 희림, 해안, 정림 정도가 중견기업이다 (그것도 턱걸이 중견 수준임)

대기업급 급여랑 복지 주는 곳은 국내원탑 삼우랑 현대그룹 계열사인 현종이 유일하다

나머지는 중소기업이다 (초봉 4000 주는 곳에 낚이지 말아라, 연봉은 상승률도 중요하고, 복지나 각종 비용으로 왕창 빠진다)

즉, 건축에서 날고 긴다는 얘들이 중견, 중소 가려고 박터지게 싸우는거다


아뜰리에는 노예3년 버티고, 경험치 쌓아서 독립하려고 가는거다

그 노예 3년도 잘 생각해봐라

아뜰리에 초봉 2800이나 대형 초봉 3200이나 실수령액은 얼마 차이 안 난다

어차피 4000이상 받는거 아니면 신입사원은 다 가난하다


간혹 건축사는 개업하는 난이도와 경험치에 비해 수입이 적다고 하는데

막상 평균수입은 변호사랑 비슷하다 (즉, 변호사도 케바케다)


2. 공부량

제대로 된 건축가가 되려면 공부량 엄청 많아야 한다

구조, 재료, 설비, 법규, 허가같은 기본적인 것과

어느 정도의 디자인 감각, 프로그램도 잘 써야 한다

근데 이건 건축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거지


막상 학교에서는 이거 다 가르치느라

수박 겉핡기 수준으로 끝나는게 대부분이다

(그러니까 제발 학부생 수준에서 공부량 많다고 찡찡대지 마라)

그나마도 얘들이 "설계 때문에 너무 힘들어요"라고 찡찡대는 바람에

교수들이 시험 난이도, 과제, 시험날짜 등 편의 봐주는게 많다

그래서 대부분의 지식은 휘발성으로 날라가버리고

기사, 건축사 준비하면서 다시 다 공부해야 한다


그렇다고 다른 학과처럼 다른 스펙이라도 쌓나?

"설계하느라 바쁘다"라는 핑계를 대며

토익정도 따면 대단한거고

스피킹, 제2외국어 등은 할 줄 아는 얘들이 거의 없으며

한글이나 엑셀도 쓸 줄 모르는 얘들이 태반이다


3. 밤샘 및 모형제작

프로그램 잘 쓰는 얘들은 설계하느라 밤 안 샌다

그리고 시험기간에 밤새는거?

다른 학과도 샌다, 무슨 건축만 그런 것처럼 얘기하지 마라


그래도 힘든건 아마 모형때문일거다

근데 모형 만들면 교수들이 10초도 안 본다

왠지 아냐???

다 똑같이 폼보드랑 레이저커팅, 3D프린터로 만들어서 그런거다

창의적이지도 않고 그냥 의무적으로, 돈이랑 시간 들여서 만드니까 보지도 않는거고

결국 10분동안 발표하고 쓰레기통행이다

치우는 아줌마만 힘들다


그러니까 모형은 기본만 만들거나, 아니면 자기 창의성을 발휘해서 만들어라


4. 졸업전시

이거 진짜로 신경쓰지 마라

졸업전시 하고나서 바로 취업준비하면 덧없다고 느낄거다

그냥 기본만 해라


졸업전시에서 상 준다

학생들이 자기의 모든 역량을 쏟아부은 결정체라고 생각하고

동기랑 선후배들, 교수들 앞에서 수상하기 때문에

여기서 상받으면 대단하다고 생각하는데

대부분 대형사무소들은 교내수상경력은 인정 안 해준다


학생들이 6개월 혹은 그 이상동안, 자신의 모든 걸 쏟아부은 프로젝트를

교수랑 외부크리틱들이 개인당 5분 정도 발표 듣고

지들끼리 모여서 30분 얘기하고 상준다

이게 얼마나 깊이가 있겠냐???

(물론 시간의 한계 때문이긴 하다, 밤까지 크리틱을 할 수는 없으니까)


학기 동안 상 받을 만한 얘들 이미 정해지고

그 중에서 돈 많이 쓴 얘들, 그리고 대학원 가는 얘들이나 교수랑 얽힌 얘들 주는거다

그리고 회사도 이거 다 안다

상 주는 크리틱이 자기 회사 임원이고 소장이니까


모형도 크게 신경쓰지 마라

몇십, 몇백 들여서 만드는 얘들 많은데

렘콜하스처럼 창의적이고 컨셉 잘 보여주는 모형 만드는게 아니라 (이렇게 만들면 돈 얼마 안 든다)

레이저커팅이랑 3D프린팅만 주구장창 돌려서 만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것도 지가 안 만들고, 시다 잔뜩 불러서 시키잖아

그거 회사도 다 안다

이런거 포트폴리오에 넣어봤자

별 의미 없다

어설프면 안 넣느니만 못하다


그러니까 본인 모형 만드는 스킬 보여주려면

레컷이랑 3D프린팅 도배한거 말고

직접 자르거나, 점토나 석고 같은거 쓴거 보여줘라 (퀄리티가 좋은 경우에만)

그렇다고 직접 콘크리트 시공하는거 하지 마라

남자얘들 절반은 군대에서 해본거고, 특별한 경험도 아니다


여기서 돈 아끼고, 취준할때 양복사고, 구두사는데 써라


5. 교수 크리틱

설계교수도 잘 모른다

자기가 소장으로 열심히 뛰는 경우는

저학년때 주택이나 근린시설 할때는 도움 된다

근데 고학년 올라가고, 대형프로젝트랑 도시규모로 진행하면 지들도 안 해봐서 잘 모른다

(구조, 법규 이런거 물어보면 딴소리한다)


자기 프로젝트는 자기가 제일 잘 안다

교수들이 5분 설명 듣고, 몇초 생각해서 크리틱 해주는거 그렇게 안 중요하다

잘하는 얘들은 지가 알아서 잘 한다

교수 의견 적당히 무시하고, 지들이 알아서 잘 하는 얘들이 A+ 가져가고, 좋은데 인턴 들어가고, 큰 회사 들어간다

교수 크리틱은 별 의미 없다, 자기가 인터넷이랑 책 잘 찾아서 진행하는게 중요하다


6. 공모전

건축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공모전 수상경력 거의 점수 없다 (없는 것보다 조~~금 나은 정도?)

교수나 현직자가 도와주는 경우가 태반이다

내가 직접 들은 것만 5개가 넘고, 뉴스에도 나온 적 있다

특히 "공모전 헌터"라고 해서, 모르는 학생들 이름만 빌려서 상 따오는 경우도 많다

그거 회사도 다 안다

(지네 회사에서 적발된 사례가 있으니까 당연하지)


그래도 참가하는건 좋다

포트폴리오도 풍부해지고, 학교에서 하지 못하는 프로젝트도 많기 때문이지


할거면 지자체 공모전이나 LH, SH이런거 하지 마라, 수상인정 안 해주고

공0, 정0 처럼 권위있는 대회 참가해라 (근데 이것도 부정행위 심하다)

해외공모전은 적극 추천한다

딱히 대학생만 대상이 아니라, 국내 아뜰리에도 참가해서 경쟁률이 빡세다

그래서 상타면 ㄹㅇ 개쩌는거고

사이트가 해외인 프로젝트도 진행 가능하고, 제대로 진행되면 자기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좋은 퀄리티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특히 U로 시작하는, 그 대학들 모여서 파빌리온 만드는거

그거 별로 의미 없다

내가 면접보러 다니면서 그거 보여주는데

"실제 디자인은 몇명이서 하고, 대부분은 조립 도와주면서 이름 넣은거 아니냐"라고 말했다

즉, 자기가 디자인 한건지, 노가다만 도와준건지 알 길이 없다


7. 건축사 개업

건축사 따는거 힘들다, 공부량도 많고, 합격률도 낮고, 거기까지 가는데 박봉에 경험치 쌓는거 힘들다

근데 다른 전문직도 마찬가지다, 의대는 말할 것도 없고, 로스쿨처럼 돈내면서 대학원까지 마쳐야 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건축사 연봉 변호사랑 비슷하다

(물론, 그 연봉이 아뜰리에 직원들 피빨아 먹는 거라고 생각하기는 한다)

어차피 전문직으로 개인사업하면 개인역량으로 뜨는거다


8. 건설사 취업

건축학과 나온 메리트 중에 아주 큰 메리트다

건설사는 고소득 직장이고, 왠만한 대기업은 대부분 건설사가 있으며, 그룹 내에서도 급여가 높은 편이다

업무가 힘들다고? 급여 높은 직무는 다 힘들다


건설사에 가장 유리한 학과는 건축공학과다

근데 건축학과는 2번째로 유리한 학과다

기사시험 별로 안 어렵다

외국어 준비하고 다른 취준생처럼 스펙 쌓고, 자소서 착실히 준비하면 갈 수 있다

설계한다고 다른 과목 다 버리고 학점 개판쳐놓지만 않으면 가능하다


무슨 설계 경쟁에서 패배한 얘들이 탈건해서 가는 곳이라고 생각하는데

개인사무소 차려서 성공할거 아니면 건설사보다 돈도 못 벌고 인정받기도 힘들다

건축에 뜻 없으면, 스스로나, 주변에서 보나 건설사 선택이 합리적인 선택이다


결론


1. 학부생들 공부량, 작업량 다른 학과에 비해 그렇게 많은거 아님 (의미 없는 모형만들기 비중이 큼)

2. 제일 가기 힘들다는 회사들도 중견기업이고, 대부분 중견이랑 중소기업 가려고 박터지게 싸우는 꼴임

(근데 학부생들 스펙이 그냥 그 정도 수준임)

3. 건축사 따기 힘든거 맞는데, 수입 변호사랑 비슷함, 즉, 건축사 돈 그렇게 못 버는 직업 아님

4. 기사 따고 외국어 준비해서 건설사 취직하면 좋은 연봉 받으면서 회사 다닐 수 있음


내부적으로나 설계로는 문제가 많지만

취업시장이 그렇게 나쁜 학과는 아니다

추천 비추천

97

고정닉 2

8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공지 건물 갤러리 이용 안내 [43] 운영자 07.01.18 20799 3
37265 강의, 자문, 심의, 등은 돈 안 된다. 잘 해야 년 1300만원 정도 건갤러(220.75) 05.05 48 1
37264 전과할려는데 그나마 건축이랑 비슷한 과가 어디임? [5] 건갤러(121.151) 05.05 132 2
37263 목수 중에 멍청한 애들 존나 많음 건갤러(112.168) 05.04 117 2
37262 건축 하다가 전기 자격증 따고 에너지공기업 왓다 [4] 건갤러(118.235) 05.03 213 7
37261 건축물과 착한 법 건갤러(203.229) 05.03 68 4
37260 건축설계랑 도시설계 하나만 꼽자면? 건갤러(211.104) 05.03 56 1
37259 PREFER 1644(61.253) 05.03 29 2
37258 인정기술사는 언제 없어질까.. [5] ㅇㅇ(211.108) 05.03 161 1
37257 유통기한 끝나가는 식품 싸게 파는 플랫폼 나온다. [1] 건갤러(117.111) 05.01 117 1
37256 설계사무실 출신 직원 [2] 건축드워프(211.199) 05.01 211 1
37255 비전공자 구조 [3] ㅇㅇ(112.168) 05.01 183 1
37254 학식 구조해석 프로그램 추천점여 [5] ㅇㅇ(211.235) 05.01 160 1
37253 학점 2점대 [1] 건갤러(125.178) 04.30 126 1
37252 초급감리 기본교육,최초교육 질문이요 [3] 건갤러(211.244) 04.30 129 1
37251 인생 망했으면 감리로.. [2] ㅇㅇ(223.39) 04.30 235 1
37247 3학년 인서울 건공, 건축기사, 토익 970 어디 취업 해야할까요 [15] 안산시콜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352 3
37245 이젠 솔직히 건축학, 건축공학 다시 통합해야 하지 않을까? [11] 건갤러(223.38) 04.27 564 7
37244 BIM 이거 진짜 병신같네 ㅋㅋㅋㅋ(118.235) 04.27 245 1
37243 지거국 나오니까 학벌가지고 머라 한소리듣는 일은 없네... [2] ㅇㅇ(14.46) 04.27 223 3
37242 전문대학전용 3급 건축사 만들어 줘 징징 [2] 건갤러(223.39) 04.27 213 3
37241 기술사 공부 개 노챔이다 [13] ㅇㅇ(116.43) 04.26 375 2
37240 자격증 학력 이직할때 뭐가 더 좋을까요 [12] 건갤러(58.239) 04.26 260 1
37238 안전진단 몸을 쓴다는 게 [9] ㅇㅇ(222.232) 04.25 320 2
37237 상급병원 진짜 화려하구나 건갤러(112.168) 04.25 187 3
37236 30살 안전진단 가능할까요? [18] ㅇㅇ(222.108) 04.24 497 2
37235 이번달을 끝으로 탈건한다… [5] 안관4년차(223.38) 04.23 416 3
37234 한국가스공사 좋은회사인가요? [3] ㅇㅇ(106.101) 04.23 231 3
37233 서울교대 여장남자, 삼위일체, 양갈래, 대주교, 팔리움, 서울교육청, 서 건갤러(118.235) 04.23 98 0
37232 주재비 신청할때 월세계약 구라로 하면 걸리나요? [1] ㅇㅇ(118.235) 04.22 138 1
37231 야근은 30분~ 2시간 정도가 효율이 있지 그이상은 [1] GULFSTRE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162 1
37230 선배님들 시공사 보통 스펙이 어떻게 됩니까 [3] ㅇㅇ(211.246) 04.22 266 1
37229 미인증 대학전용 2급 건축사 만들어 줘 징징 [3] ㅇㅇ(223.39) 04.22 245 2
37228 건갤러들아 의견좀 [9] 건갤러(218.152) 04.22 261 2
37227 야근 하면 안된다고 생각하는 이유 [8] 건갤러(211.104) 04.20 411 3
37226 구조설계쪽 일감 많이 줄어든거 체감 확실하게 됨?? [7] 건갤러(121.164) 04.20 454 1
37224 학교선배가 군대 공병으로가라는데 이거맞음? [6] 건갤러(106.101) 04.20 297 3
37222 누수 누구 잘못일까? [3] ㅇㅇ(182.222) 04.20 203 2
37221 홍건이 왜 이렇게까지 떨어졌냐.... [8] 건갤러(218.153) 04.19 609 11
37219 4학년 진지한 고민 [3] 건갤러(39.7) 04.19 273 3
37217 건축직 공무원 개꿀 아님?? [2] 건갤러(220.82) 04.18 382 1
37216 역겨운 윗대가리 틀딱새끼들 진짜 [5] ㅇㅇ(223.38) 04.18 502 12
37215 근데 지금 구조가려는 사람들 ㅇㅇ(211.108) 04.18 258 3
37214 한국 건축설계판은 내부에서부터 노답 [1] 건갤러(121.187) 04.18 301 6
37213 안전진단 건축직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신가요.. [9] ㅇㅇ(222.232) 04.18 304 4
37212 중소 시공사도 타지역으로 많이 감? [2] ㅇㅇ(222.232) 04.17 211 2
37210 홍대 건축학과 출신도 건축사 못따는경우 허다함? [6] 건갤러(106.101) 04.17 453 1
37209 시공과 구조 [6] 건갤러(223.39) 04.17 312 0
37208 전 건축학이나 건축개론이 좋아서 건축학과왔는데 [1] ㅇㅇ(118.235) 04.17 284 2
37207 한국 건축사 시장규모가 10조 넘네 [3] 건갤러(106.101) 04.17 357 2
뉴스 ‘바이러스’ 역병의 시대는 넘었지만 관객 허들은 ‘글쎄’ [IS리뷰]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