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에 미국행 노선이 없는 이유 ... 김포공항에서는 왜 일본, 중국, 대만만 운항하는 이유
대한민국 수도권엔 대표적인 국제공항이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이 있다
현재 김포공항과 인천공항의 이원화 정책으로 인천공항에선 대부분의 국제선 항공편 운항을 김포공항은 일부 단거리 국제선만 운항중

인천공항 국제선 노선

김포공항 국제선 노선
그 중 김포공항은 현재 도쿄(하네다), 오사카(간사이), 베이징(서우두, 다싱), 상하이(홍차오), 타이페이(쑹산) 노선을 운항중이고
6월 말부터는 가오슝도 취항 예정이라고 함


가끔 "김포공항에 미국행 or 유럽행 노선 없는 이유" 등등 김포공항 장거리 노선에 관한 질문들을 볼 수 있는데
이건 정부에서 행정명령으로 못 박아놔서 실현 불가능한 일임

실제로 국토교통부 훈령 제 204호: 김포공항의 국제선 전세편 운영규정을 보면

*정기성전세편: 동일한 구간을 동일한 시간에 주1회 이상의 횟수로 3주 이상 연속적으로 운항하는 전세편
1. 김포공항으로부터 반경 2,000km 이내 위치한 외국공항
2. 상대국과 항공협정 등을 통하여 김포공항과 국제선 노선 개설이 합의된 외국공항
3. 우리나라와 사증면제(무비자), 자유무역협정 또는 사전입국심사제도를 체결하였거나 협의중인 국가에 위치한 공항

김포공항으로부터 반경 2,000km
일본과 대만은 반경에 완전 포함되어있고
중국과 러시아는 반경에 일부 포함되어있음
이론적으로 후쿠오카, 삿포로, 칭다오, 울란바토르 등 위 사진에 반경에 포함되어 있는 도시들은 취항 가능하지만
아래 이러한 이유로 운항할 수 없음

제8조를 보면
1. 인천공항 허브화 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김포공항 국제선은 기업활동 지원 등 '상용 직항노선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함
2. 인천공항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김포공항의 국제선 운항횟수를 설정 운영할 수 있음
즉, 김포공항 국제선 운항은 비즈니스 성격이 짙은 노선을 중심으로 운항중임
그래서 도쿄, 오사카, 베이징, 상하이, 타이페이 단거리 국제선만 운항중
그러므로 후쿠오카, 삿포로 등 여객 성격이 짙은 노선은 제8조 1항에 따라 운항할 수 없음

그리고 소음 문제도 있어서 신중하게 고려해야함
결론:
김포공항에 미국행 노선이 없는 이유: 애초에 반경 2,000km 초과함


만약 개인 제트기를 가지고 있거나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전용기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김포공항에서 유럽 또는 미국까지 갈 수 있다
2줄요약
1. 김포공항에 미국행 노선이 없는 이유
2. 반경 2,000km 이내에 위치해야함. 미국행 노선은 2,000km 초과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