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겜알못이 해본 동아시아 장기들

겜알못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8.05 22:05:02
조회 46952 추천 235 댓글 267

장기(Changgi, ?, 7.1, 3.40)


쇼기(Shogi, 1587, 7.4, 3.80)


샹치(Xiangqi, 762, 7.1, 3.58)


18 릴리퍼트 쓰러 왔다가 아래에 장기 / 체스 글 있길래 씁니다. 18 릴리퍼트는 담에.


극동아시아 3국에 대해,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나라' 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잦은데 이를 단적으로 잘 설명해주는 문화적 예가 장기라고 생각한다. 보통 생각하기로 체스 = 서양식 장기, 장기 = 동양식 체스 정도로 인식되는 편이지만 사실 장기는 영어로 해도 장기(Changgi)다. 아님 코리안 체스던지. 그 자체로 고유명사인 셈. 중국 장기는 원 발음대로 샹치 혹은 차이니즈 체스고, 일본 장기는 쇼기 혹은 재패니즈 체스.


이건 체스와 비교하면 꽤 큰 차이인데, 물론 체스도 과거 지역마다 로컬룰이 존재하고 그랬지만 동일한 판에 동일한 기물을 가지고, 정말 특수룰에 걸친 경우에 해당했으며 결국 하나의 '체스'로 통합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 그러나 아래 설명하겠지만 동아시아 3국 장기는 기물의 모양도 다르고, 이동도 다르고, 정말 아예 다른 게임 수준이다. 태국 장기랑 몽골 장기도 있다는데 그건 안해봐서 모름.


사실 동아시아 3국 장기도 잘 모름. 이상한 파트는 그냥 아 얘는 이렇게 느끼는 구나. 겜알못새끼구나 하고 넘겨주셈.


viewimage.php?id=2fa8dc23e8d32aa462ba&no=24b0d769e1d32ca73feb86fa11d02831b7cca0f2855e21730c7240ebbc0a6d510ca1c9f1ab713443df3a36998fcac18b7feb16b2542fb9ee49faf3bddfcb8ca18ea457e59aa0


1. 한국 장기


친숙하지? 긱에서 퍼온거라 그런지 왕 위치가 이상하다. 기물 모양도 다르고. 삼국사기에도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과 비슷한 시기 전래된 것으로 추정한다 캄. 초나라와 한나라의 전쟁을 테마로 하며, 때문에 연장자가 한(한고조 유방이 초패왕 항우보다 나이가 많았으므로)을 잡는다는 테마적 설명도 어우러짐.


다들 알 테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은 아래서 타 국가 장기와(특히 중국 장기)와 비교하면서 말하겠음



viewimage.php?id=2fa8dc23e8d32aa462ba&no=24b0d769e1d32ca73feb86fa11d02831b7cca0f2855e21730c7240ebbc0a6d510ca1c9f1ab713443df3a36998fa7af82ca716a61786d8ab706275e27040906316344444931


2. 일본 쇼기


동아시아 3국 중 가장 특이한 장기. 모양부터가 특이한데, 사무라이의 칼 끝을 상징한다.


거의 패망에 이른 한국장기와 비교해서 대단한 성세를 누리고 있는 장기인데, 일단 기본적으로 일본의 KBS에 해당하는 NHK에서 쇼기 대회를 열고 생방송 중계까지 한다. 다들 장기 중계 보신 적 있으신지? 일본의 한 여 아이돌이 쇼기가 취미라 한 일화는 몰락해가는 한국 장기 팬에게는 꿈과 같은 일임.


일본에서는 바둑보다 더 높은 인기를 보유하고 있다. 물론 시대가 바뀌면서 컴퓨터나 콘솔 게임에 밀려 인기가 하락세긴 함.


일단. 동아시아 3국 장기 중에 가장 높은 진입장벽을 가지고 있다. 장기나 샹치에 비해 다양한 기물들을 가지고 있으며, 기물들의 이동도 다채롭다. 기물들의 이동은 체스나 장기가 아니라 보드게임 듀크나 오니타마 정도가 더 흡사함. 더군다나 체스처럼 승급(폰이 맵 끝에가면 퀸으로 바뀌는 거처럼)도 있으며, 체스랑 달리 승급할 수 있는 기물도 여러 개다.


그 와중에 포가 없다는 것도 중국 장기랑 한국 장기와 비교해서 큰 차이. 때문에 중국 장기나 한국 장기는 마(말)가 이동로에 다른 기물이 있으면 뛰어넘지 못하지만 쇼기는 뛰어넘을 수 있음. 체스의 나이트처럼.


그리고 가장 괴랄한 것은 잡은 상대 기물을 내 기물로 내려 놓을 수 있다는 것. 이 또한 사무라이들을 잡고 풀어주면 사무라이들이 은혜를 입었다며 주군을 갈아타는 식이라고 함. 덕분에 사진을 보면 한국 장기와 다르게 기물 간 차이(색, 필체)가 없다. 또한 가로 세로 선의 교차점에 착수하는 한국 & 중국 장기에 비해 얘는 그냥 공란에 착수함. 하여튼 유달라.


국가 감정도 그렇고, 애초 진입장벽이 높은 탓에 한국에서는 제대로 플레이 할 수가 없는 게임인데, 변형 쇼기라면 어지간한 보드게이머라면 모두가 체험해 봤다. 바로 동물장기, 혹은 더 지니어스에 나왔던 십이장기가 대표격임.



viewimage.php?id=2fa8dc23e8d32aa462ba&no=24b0d769e1d32ca73feb86fa11d02831b7cca0f2855e21730c7240ebbc0a6d510ca1c9f1ab713443df3a36998fa7af82ca716a61786d8ab706265b71000a5367294d3c9932


동물장기 - 쇼기의 관계가 일종의 참새작 - 마작의 관계와 유사하다. 동물장기는 애초에 쇼기의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만들어진 보드게임이다. 기물들을 아동들에게 적합하도록 귀엽게 표현했고, 각 기물마다 이동법을 적어두었으며, 원래 9x9이던 맵을 5x5, 4x3으로 줄여 접근성을 높인 게임임. 게임사에서는 4x3으로 시작해 점차 넓혀나가 9x9까지 시도하라고 말하고 있고. 동물장기가 맘에 들면 쇼기도 진출해보셈


동물 장기 외에도, 장기처럼 말만 국민게임이 아니라 '진짜' 국민게임이었던 보드게임답게 바리에이션이 많다. 요즘 보드게임스런 것도 있고.


viewimage.php?id=2fa8dc23e8d32aa462ba&no=24b0d769e1d32ca73feb86fa11d02831b7cca0f2855e21730c7240ebbc0a6d510ca1c9f1ab713443df3a36998fcac18b7feb16b2542fb9ee49faa5b4dfc38fa9e5f126bad5c4


3. 중국 샹치


??? 기물을 보면 바로 뭔가 이상한게 보일거다. 초 한 구분이 없제? 난 처음 봤을 때 문화충격이었음. 장기를 보고 초한지라 한 건 옛날 사람들의 리테마였다. 두둥. 바다 건너 쇼기와 다르게 여기는 한국 장기와 흡사하긴 하다. 말 배치도 왕 빼고는 흡사하잖음? 다른 건 육각 기물이 원형이 된게 어색하다는 것 정도? 물론 겉모양만 흡사함.


일단 맵 중앙을 보면, 선이 이어지지 않은 부분이 있는데, 저길 '강'이라 표현한다. 아예 퍼렇게 칠해진 보드판도 있음. 강은 기물들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데, 졸은 강을 건너기 전까지는 직진만 가능하며, 상은 강을 아예 건너지를 못함.


그 외에도 차, 마를 빼고는 기물의 이동이 한국장기와 비교하여 모두 다르다. 왕은 상하좌우로만, 사는 대각으로만, 포는 차와 동일하게 이동하면서 공격 시에만 기물을 넘고 포끼리 넘거나 포가 포를 먹는 것도 가능함. 왕끼리 직선상에 섰을 때 안피하면 죽는다는 룰도 중국 장기에는 없다.


더 나아가, 인게임에서는 상당히 전략성이 큰 부분으로, 한국 장기는 패스가 가능하지만 중국 샹치는 패스가 불가능하고, 한국 장기는 상마마상/ 상마상마 대충 이런 식으로 기물들의 위치를 바꿀 수 있고, 그게 초기 전략이 되는데 반해 중국 장기는 안된다 는 점이 있다.


그래서 플레이를 해보면, 한국 장기가 뭔가 융통성이 더 있다. 애초 말의 기동성이 중국장기에 비해 다들 업그레이드 되어 있어서 초반부터 공격적으로 행동하기 좋고, 역으로 사와 졸을 활용한 방어도 능동적이며, 특히 면포, 중포 등 포를 활용한 공격과 방어가 전략의 핵심으로 떠오른다.


중국 장기는 초반에 이동이 까다로우므로 한국 장기에 비해 기동성 너프를 안먹은 차를 이용한 침투(외통수)가 굉장히 효과적이다. 한국 장기에서는 졸을 졸 옆으로 붙여 차를 이용한 침투 원천 차단이 가능한데, 샹치는 그런게 불가능하기 때문임.


둘의 차이는 후반으로 갈 수록 서로 상황이 역전되어 극명한데, 한국장기는 공격이 핵심이 되는 포가, 후반으로 갈수록 뛰어넘을 말이 없어 붙박혀있고 궁의 대각선을 타고 다니는 왕과 사의 방어 무빙이 좋아 자연스레 게임이 루즈해지는 반면,


중국 장기는 포가 후반으로 갈수록 날뛰기 좋고(이동을 차랑 똑같이 하기 때문. 오히려 기물들이 많아 진로에 방해가 되는 초반 활용이 더 불편), 왕 무빙과 사를 이용한 궁 방어가 불편하고, 졸이 제 역할을 뿜어내므로 게임이 보다 스피디 하게 진행된다.


그래서 전체적인 게임은 중국 장기가 훨씬 더 빨리 끝나는 편임. 한국에서 '장기 잘 둔다 = 끝내기 잘한다'로 인식이 고정되는 이유이기도 하고. 한국 장기는 초반에 아무리 잘해봤자 끝내기 수계산 할 줄 모르면 무승부 나걸랑. 이런 후반의 답답함이 한국 장기의 진입장벽이기도 하고.




전 세계적으로는 동아시아 3국 장기 중에 중국 장기인 샹치가 가장 인기가 좋다. 예전에는 쇼기였는데 이제는 샹치임. 이유는 간단한데 중국에서 돈을 왕창 뿌리기 때문.


우리는 그나마 바둑만 인기가 좋다보니 중국 바둑에만 신경을 쓰는데, 세계에서 수위를 다투는 체스 강국이 러시아와 중국임. 중국이 체스에 상당한 투자를 하면서 샹치도 같이 어필을 했고, 그 성과로 이제와서는 프로 체스 대회에서 이벤트 무대로 샹치를 둔다던지, 프로 체스 기사가 프로 샹치 기사를 겸한다던지 하는 일도 색다른 일이 아니게 되었다고 하더라. 긱 투표수와 코멘트도 샹치 > 쇼기 >>>>>>>>>>>>>>>>>>>> 장기임.


체스와 샹치를 모두 겸하는 프로기사 말로는 초반 전략은 체스가 더 다채롭고(아무래도 폰의 수가 압도적이니 오프닝이 다양하잖음), 샹치는 후반으로 갈수록 수가 다양해진대.


중국의 샹치 / 체스에 대한 투자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이번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임. 체스, 바둑, 샹치가 신설됐거든. 개최국 특전을 체스 바둑 샹치에 쓴다는 거니 열정이 느껴지시는지.


viewimage.php?id=2fa8dc23e8d32aa462ba&no=24b0d769e1d32ca73feb86fa11d02831b7cca0f2855e21730c7240ebbc0a6d510ca1c9f1ab713443df3a36998fcac18b7feb16b2542fb9ee49faa9b48f998fa96e50f9ec4011


다만 걱정되는 건.. 우리나라 장기협회는 이번 대만 ICOC배 국제대회 샹치 국가대표를 뽑으면서, 선발전을 한국 장기로 하겠다고 해 또 다른 말을 생성하고 있는데.... 항저우 아시안게임에는 이런 일 없도록 다들 장기에 관심 많이 가져주자.




총평


한국장기 : 잔룰이 적은 편. 포 운용이 매우 중요. 초반이 속도감 있고 공격적인데 반해 후반으로 갈수록 급격히 쳐짐


중국장기 : 한국장기보다 조금 더 복잡. 초반에는 조금 처지는데 반해 후반으로 갈수록 속도감이 빨라짐.


일본장기 : 아예 다르다고 할 정도로 가장 특이한 장기. 세 장기 중 행마가 가장 복잡하다고도 하고, 그만큼 입문장벽도 있지만 특이한 맛이 있어서 해보고 맘에 들면 깊게 트라이 해보셈.



TMI. 장기와 체스는 모두 인도의 '차투랑가'라는 추상전략 게임에서 유래한 거임. 동양에는 대충 불교랑 손잡고 전래되었다고 쳐도, 서양에는 어떻게 전래되었을까가 묘한데 그에 대한 일화임


사산조 페르시아 시절 한 왕에게 인도에서 사절이 왔는데, 보석으로 조각된 '차투랑가'가 금은보화로 가득찬 수레에 실어 오면서


그 쪽 왕국에 현자가 많다던데, 이 보드게임의 규칙을 알아낼 수 있으면 수레를 가지고, 모르겠으면 수레를 반납하되 똑같은 수레를 하나 더 바치라고 이니시를 걸음.


그러자 사산조 페르시아의 한 현인이 하룻밤을 꼬박 새며 차투랑가의 규칙을 (기물만 보고!) 알아내고, 똑같은 조건으로 새로 보드게임을 슉 만들어 인도에 딜을 거니 그게 바로 '백개먼'이라는 것. 인도 사람들은 규칙을 알아내지 못했고 사산조 페르시아는 돈복사 버그에 걸린 듯 수레 하나를 꽁으로 더 받았다는 이야기임. 그렇게 페르시아로 간 차투랑가는 서양의 체스가 되었고, 인도로 온 백개먼은 조선의 쌍륙이 되었제.


물론 그냥 썰임. 학자들에 따르면 그 이전부터 백개먼이나 차투랑가의 흔적이 나온다고들 하니까. 재미로만 보시고, 님들도 간단한 추상전략 게임보면 보드게임 기물만 보고 룰 맞추기 트라이 해보셈.


사진은 긱 펌.



출처: 부루마불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35

고정닉 65

2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3170/2] 운영자 21.11.18 11967681 542
327972
썸네일
[싱갤] 베트남 망고 7배 사기쳐먹는 베트남 백종원 근황
[80]
무지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0 16972 93
327970
썸네일
[식갤] 생선튀김맛이 난다는 그 식물, 드디어 먹어봤어
[53]
치즈케이크사주세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5801 64
327969
썸네일
[중갤] 이재명 사건기록 6만쪽 ‘속독’ 논란…2만명 우르르 몰려왔다
[28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5457 25
327967
썸네일
[이갤] ‘먹는 위고비 시대’ 온다…비만치료제 시장 요동
[14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0 6287 26
32796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오늘 역대급 거품 소리듣는 UFC 미국 스타
[9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18577 85
327964
썸네일
[중갤] 김문수 "여기가 한덕수 당이냐"…단일화파 이양수 잘랐다
[243]
미화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7120 49
327962
썸네일
[8갤] 5월 5일 월요일 신문스크랩뉴스
[7]
자료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2068 11
32796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고 거래 10만원 사기당한 변호사촌
[198]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9086 104
327959
썸네일
[이갤] 'SKT 위약금 면제' 공방 확산
[27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0 10332 46
327957
썸네일
[싱갤] 네이버 평점 0점대로 떨어진 세계 라면 축제
[54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29768 275
327954
썸네일
[중갤] 오이지 측 : 한동훈 집을 찾아가겠다는 등 만남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14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10040 120
327952
썸네일
[정갤] 500년동안 도깨비한테 제사를 지내는 마을
[164]
대한민국인디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8727 43
327950
썸네일
[잡갤] 차갑차갑… 감동 파괴하는 백수갤.jpg
[339]
갈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14578 161
327949
썸네일
[야갤] 충남 태안군 먼 해역에서 규모 3.7 지진
[105]
깐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0 5923 15
32794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지금 반응 난리라는 '부산에도 올리브영이 있네?'
[750]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0 19263 94
327945
썸네일
[유갤] 하루 양치질 권장 횟수
[319]
ㅇㅇ(175.119) 09:30 21929 78
327944
썸네일
[자갤] 스압) 러시아 중고차 사이트 아이쇼핑
[64]
아쿠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10336 95
32794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개인투자자들 빚내서 SKT 투자하기 시작함
[234]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8816 75
327940
썸네일
[도갤] 김영철의 동네한바퀴에 나오는 서울전경 (스압)
[117]
ㅇㅇ(1.216) 09:00 8699 43
32793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총검vs검
[126]
SPINJITZU_MAST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0 13880 45
327935
썸네일
[이갤] 삼성에서 일하는 외국인이 느낀 한국 직장문화
[356]
ㅇㅇ(93.118) 08:30 19949 196
327934
썸네일
[유갤] 싯가로 받는 미국 보험.jpg
[149]
ㅇㅇ(175.119) 08:20 14724 105
32793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00년 역사를 뒤엎은 책.jpg
[1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17449 68
327930
썸네일
[중갤] 이재명, '험지' 표밭 공략…"내란 다시 시작, 못하게 막아야"
[28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0 10702 38
327929
썸네일
[디갤] Z8+600,800PF 검은머리물뗴새 (당근부리새)
[19]
Spike9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3410 18
327927
썸네일
[싱갤] 남북통일에 반드시 찬성해야하는 이유
[748]
기쁜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29524 225
327925
썸네일
[이갤] 별이 느낀 결혼의 힘든 점
[168]
ㅇㅇ(93.152) 07:30 18331 35
327924
썸네일
[더갤] "이재명은 경제를 몸으로 아는 사람... TK 민심 변하고 있다"
[393]
고닉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0 16633 73
327922
썸네일
[백갤] 딘딘이 백종원한테 당하는 취급..jpg
[256]
백갤러(153.243) 07:10 22875 481
327920
썸네일
[잡갤] 의문의문 티니핑에 성별이 있는 이유.jpg
[174]
갈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0 16311 167
327917
썸네일
[싱갤] 하루 일당 50만원인 아줌마의 직업....jpg
[433]
ㅇㅇ(218.232) 01:40 45873 302
327915
썸네일
[도갤] 동해 무릉별유천지
[54]
N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15457 59
327913
썸네일
[정갤] 김영 1타강사 정병권의 편입영어 어휘 관련 조언….tip
[180]
진인사대천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20616 52
327912
썸네일
[미갤] 현직 화이트해커가 말하는 SKT 사건 이상한 점
[420]
생일에태어난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45197 558
327910
썸네일
[국갤] 15년 전 감사했다…김문수 '눈물', 한센인 마을서 어떤 인연?
[418]
빋갤러(110.15) 01:00 21764 207
327908
썸네일
[싱갤] 의외의외 서양 인종차별주의자들이 일본에 가지는 로망
[469]
rt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0 52975 327
327906
썸네일
[이갤] 싱글벙글 요즘 사기 메타 (가짜 봉사단체).jpg
[131]
갈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0 28762 69
327904
썸네일
[주갤] 스페인 누나의 친절함.....jpg
[260]
ㅇㅇ(211.235) 00:30 51649 368
327902
썸네일
[한갤] 명예를 회복한 아이돌, 좋은 변호사. 그리고.
[100]
유동닉愛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0 24460 86
32790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공포영화 속 뻔한 클리셰를 알아보자.jpg
[142]
싱그루벙그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0 38561 160
327896
썸네일
[이갤] 시각장애인이아닌데 식당에 출입 거부당한 청각장애인 보조견
[333]
덕후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26331 86
327894
썸네일
[싱갤] 미녀와 야수의 모티브가 된 실제 인물과 이야기
[7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30567 153
327892
썸네일
[유갤] 남해~고성 여행기 下편(초스압주의)
[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7303 15
327890
썸네일
[카연] 안드로이드(*후방(?)주의)
[55]
만화가좋아♡시즌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9839 12
32788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일 피크닉.manhwa
[1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27953 179
327886
썸네일
[박갤] 한국에 뒤지지 않는 일본사람들의 명품 사랑
[2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27854 53
32788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커피잘알들의 스타벅스 메뉴
[221]
글쓰기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31280 215
327882
썸네일
[잡갤] 싱글벙글 헬조센식 일처리 방법.jpg
[361]
갈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31133 464
327880
썸네일
[디갤] 도쿄 여행은 끝나지 않는다
[32]
팹시제로라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8816 38
뉴스 김성령, 10년째 ‘이곳’에 보톡스…“소리를 못 질러” 디시트렌드 05.0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