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임수일간 월별 시간별 사주특징 feat 팔자제요

ㅇㅇ(211.234) 2022.07.11 20:36:38
조회 13565 추천 52 댓글 25

자기 사주에 해당하는 월이랑 시만 읽어보면 됨

【八字提要】
壬日 寅月 庚子時壬日 寅月은 木旺 火相이다. 庚은 인성이고 子는 양인이므로 얼음이 녹아 큰물이 된다. 水를 寅木이 설기하지만 힘이 약하므로 寅中에 戊土가 투출하여야 貴格이 된다. 혹시 丙火가 또 다시 있으면 원래부터 富하고 또 貴하다.

辛丑時寅月에 病地가 되지만 辛金이 生하여 壬이 强하고 丑土는 약한 관성인데다 북방 습토에 한기가 있으므로 화학작용이 어렵다. 가장 좋은 것은 寅中에 丙, 戊가 투출하여야 우월한 命이다.

壬寅時寅月 寅時로 식신의 설기가 심하므로 비견이 좋은데 壬水는 원래 寅에 病이니 壬, 壬보다 寅, 寅이 더 강하므로 비겁이 있어야 균형을 이룬다. 만약 寅이 용신이면 庚金은 꺼리지만 辛金은 무방하다.

癸卯時壬日 寅月인데다 卯가 또 설기하므로 癸水가 있지만 寅에 衰病인 壬, 癸는 寅, 卯를 감당하지 못하므로 큰 보약이 없으면 안되므로 陽水(壬水)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甲辰時寅中 甲木이 투출하여 寅에 祿인 식신(甲木)이 설기하여 水가 약하므로 金이 투출해야 土를 설기하고 木을 제하고 아울러 壬水를 生한다. 庚, 申은 甲木을 상하기 때문에 辛, 酉가 더 낫다.

乙巳時寅月은 木旺 火相인데 乙木은 寅에 旺이고 巳는 寅에 장생이므로 壬水가 설기되어서 財를 감당할 수 없다. 연월에서 金이 生해야 기세가 균등하고 木, 火, 土가 있으면 안된다. 비겁(水)의 힘은 인성(金)과 비등하다.

丙午時丙은 午에 旺이고 寅에 장생인데다 寅午 火局이므로 壬은 생기가 전혀 없다. 관살(土), 인수(金), 비겁(水)이 없고 木, 火만 있으면 從財로 큰 부자다. 從財가 아니면 金, 水가 있어야 하고 木, 火, 土는 기신이 된다.

丁未時丁 壬이 合하고 寅月에 生하였는데 未는 木의 庫가 되므로 金, 土가 없으면 丁壬化木格이다. 신강신약으로 보면 壬水가 무력하므로 연월에 金, 水가 있어야 한다.

戊申時임수가 寅에 病이고 申에 장생이므로 투출한 殺(무토)을 쓰지만 절기상 金이 水를 생해야 한다. 木은 殺을 제하지만 약한 水를 설기하므로 안되고 火, 土를 피해야 한다.

己酉時酉가 壬水를 生하지만 힘이 약하므로 金이 투출해야 약한 水의 근원이 된다. 己土는 결국은 壬水를 극하므로 金이 투출하지 않으면 己土는 水를 극하기만 하고 金(酉)에 설기되지는 않는다.

庚戌時 寅戌 火局으로 財旺에 신약한데 庚金(인성)이 壬水를 생한다. 그러나 여전히 金, 水보다 木, 火가 강하므로 金, 水가 있어야 하고 木, 火, 土는 좋지 않다.

辛亥時壬水는 辛金과 亥水가 있으므로 寅 亥 合木이 설기해도 꺼리지 않는데 土, 木이 있으면 金이 있어야 한다. 혹시 火가 있으면 水가 있어야 중화된다.













【八字提要】
壬日 卯月


庚子時壬水는 卯月에 死가 되고 설기되어 弱한 水이므로 生해야 하는데 庚金이 근원이 있고 子水로 원원유장(源遠流長)이 되어 壬水는 强으로 변했다. 木이 설기하고 火가 있으면 부자가 된다. 戊土는 殺과 刃을 合으로 다스리지만 己土는 좋지 않다.

辛丑時卯月의 壬水는 休囚가 되는데 辛은 정인이고 丑 관성은 金의 庫가 북방이므로 관인이 용신이고 辛金이 傷하기 때문에 丙, 丁의 투출을 일체 꺼린다. 木은 꺼리지 않지만 적어야 하고 金, 水는 힘이 弱하므로 많아도 좋다. 土는 적으면 방해가 안 되고 辛金을 生한다.

壬寅時壬水는 寅에 病이고 卯에 死로 심하게 傷하여 비견(壬水)이 투출해도 동병상련일 뿐이다. 金이 있어야 하고 申, 酉는 沖이 되어도 꺼리지 않는다. 壬水는 현상태도 감당하지 못하므로 火, 土가 있으면 안된다.

癸卯時卯月 卯時 두 개의 死를 만나 壬水의 역량이 끊어졌다. 癸水 겁재가 있지만 이것도 卯에 설기되고 이름만 있다. 金이 있으면 상관패인(傷官佩印)이 되고 火가 있으면 인성(金)을 극하여 근원을 사라지게 하므로 크게 꺼린다. 土, 木 역시 꺼린다.

甲辰時壬日은 卯月에 설기 당하는데 卯辰 東方에다 甲은 卯에 旺이므로 전반이 木이다. 金과 火, 土가 없으면 從兒格이므로 혹시 火, 土 하나가 섞이고 格이 깨지면 양금(庚, 申)으로 木을 잘라내고 水를 生해야 有病 有藥의 貴命이 된다.

乙巳時壬水가 卯月에 生하고 乙木이 투출하여 상관이 祿을 두었다. 巳火 貴人을 일주가 감당을 못하므로 巳中에 庚金이 투출하면 壬水는 절처봉생이 되고 또 乙庚 合으로 壬水의 설기를 막아준다. 木은 마땅치 않다.

丙午時卯月은 木旺 火相이므로 壬水는 失令했고 丙 편재가 午에 旺이고 壬水의 뿌리가 없으므로 從財가 된다. 연월이 모두 火가 있고 土(火를 설기하여 어둡다)가 하나도 없어야 진짜 從財다. 從財가 안되면 대량의 金, 水가 있어야 부호(富豪)의 命이 된다.

丁未時卯未 木局에 丁이 투출하여 丁 壬 合으로 化木格인데 木만 있어야 眞化格이 된다. 그렇지 못하면 金이 生하고 水가 있어야 傷官生財格을 감당한다. 종화격이건 상관생재이건 관살(土)을 꺼린다.

戊申時卯月 壬水는 장생인 申金을 戊土가 生하여 편관편인격이다. 卯가 칠살(戊)을 제하여 편관이 된 것이다. 木, 火가 있으면 金, 水가 있어야 한다.

己酉時卯는 설기하고 酉는 生하므로 비록 沖하지만 무게의 차이가 없고 己土 관성은 투출하였지만 卯木의 위협을 받으므로 관성으로 쓰지 않는다. 火, 土가 있으면 인수(金)로 인하여 좋은 命이 된다.

庚戌時卯月이 木旺 火相이므로 火庫 戌은 卯 戌 合이 된다. 庚金은 火에 시달리고 水를 生하는 힘이 弱하므로 木, 火가 마땅치 않다. 戊는 壬을 制하므로 무섭고 己는 庚을 生하므로 좋다는 것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辛亥時卯月은 壬水의 死地인데 辛과 亥의 도움으로 강세가 되었지만 다시 亥卯 木이 되고 辛金은 卯에 絶地가 되므로 다시 약세로 돌아섰으므로 金, 水가 있어야 辛金이 살아나고 木, 火와 土는 적을수록 좋다.


【八字提要】
壬日 辰月


庚子時辰土가 壬水를 막아 弱하다. 바닷물(壬水)은 신약이 없다고 하지만 돌도 문드러지고 바닷물도 마른다는 것을 알아야 하고 庚은 水의 근원이고 子는 흐름이므로 곤륜산에서 江河를 거쳐 바다에 모여 강세로 되었으니 戊土 제방이 있어야 한다. 七殺 用神이므로 七殺, 陽刃을 다스리면 좋은 명조가 된다.

辛丑時辰月 土旺절에 壬水가 休囚되어 弱하므로 丑, 辰이 습토지만 壬水를 극한다. 다행이 辛金 인수가 生하여 壬水에 힘이 있다. 연월에서 木이 소토하면 좋고 木이 없으면 庚, 申으로 旺한 土를 설기하는데 이것은 부득이 쓰는 二次 방법이다.

壬寅時旺한 土에 막힌 辰月 壬水를 寅이 소토하여 비견(壬水)이 모여서 같이 흐른다. 또 다시 金이 있으면 水를 생하고 土를 설기하므로 더 좋다. 戊, 己를 꺼리고 木, 火는 꺼리지 않는다.

癸卯時卯에 死地인 壬水는 辰에 庫가 되고 겁재(癸水)가 弱하므로 金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죽은 물이다. 만약 寅이 있고 甲이 투출하면 東方 秀氣가 집결하므로 土, 金이 없으면 從兒格을 취한다.

甲辰時辰 辰의 旺한 土가 극하므로 살중신약(殺重身弱)이다. 甲木이 투출하여 旺한 土를 극하지만 일주(壬)를 설기하므로 金이 있어야 弱한 일주(壬)를 生하고 土를 설기한다. 金이 甲木을 극해도 봄철 木은 다시 자라므로 다 베어내지는 못한다.

乙巳時壬水가 막혀있는 辰월에 乙木이 물길을 뚫지만 乙木의 生을 받은 巳火가 辰土를 生하여 土는 더 强한 殺이 되었다. 年日 支에 申金이 있고 金이 투출하면 旺한 土를 설기하며, 巳 申 이 合한데다 金이 乙木을 극하므로 巳火는 본성이 없어지고 土가 旺하지 못하다.

丙午時壬水는 말라가는 土가 旺한 辰月인데다 丙午가 旺한 土를 生하므로 年月에 土가 있고 金, 水, 木이 없으면 從殺이다. 從殺이면 오히려 火, 土가 좋고 水, 木은 꺼린다. 從殺이 아니고 대량의 金, 水가 없으면 부자같지만 가난한 사람이다.

丁未時辰中에 乙木이 있지만 丁壬 合은 辰月 土가 旺하기 때문에 合化가 안되고 또 未土 역시 旺하므로 丙午 時와 같은 이론이다. 金, 水가 같이 있어야 水가 살아나고 土를 制하는데 木보다 우선 먼저 水가 많아야 身弱을 면한다.

戊申時辰中에 戊土가 투출하여 殺이 旺하지만 壬水의 장생인 申이 辰과 合하여 身 殺이 비등한데다 甲이 투출하여 직접 殺(戊)을 극하면 완전한 格이다. 甲을 庚으로 바뀌어도 되는데 한 단계 내려간 格이다.

己酉時辰 酉 六合은 土가 金을 따르므로 休囚된 壬水는 생기가 있고 관성(기토)은 혹처럼 귀찮은 존재이므로 金으로 설기하거나 乙木으로 극하면 중화가 완전하지만 火는 土를 生하고 甲은 己와 合하여 土가 되므로 있으면 안된다.

庚戌時辰月 壬水는 少年에 발복을 못하는 象인데 戌이 沖하므로 발복한다. 庚金은 壬水의 자원이 되고 殺印相生格이지만 土가 旺하고 殺이 많으므로 火, 土를 꺼리고 金, 水가 희신이다. 木이 하나 있으면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辛亥時辛金이 투출하여 弱한 壬水를 生하고 旺한 土를 설기하며 亥는 壬水의 건록이다. 弱이 强으로 일대반전이 되어 가살위권(假殺爲權)이 되므로 金, 水는 다시 볼 필요가 없고 木, 火는 적어야 하고 土는 戊土 하나로 충분하다.








【八字提要】
壬日 巳月


庚子時巳月 壬水는 火旺 土相이고 巳에 絶이다. 庚이 巳에 장생이므로 壬水는 힘이 있고 壬의 旺인 子水가 있으므로 弱이 强으로 되었다. 巳中의 丙, 戊를 꺼리지 않지만 火, 土가 많으면 안되고 戊土가 투출하면 木(제살)이 적으면 안된다.

辛丑時巳月은 壬의 絶地인데, 丑中에 辛金이 투출하여 절처봉생이고 酉丑 合이 壬을 生한다. 戊土는 金을 生하므로 꺼리지 않고 특히 丙火가 투출하면 丙 辛 合이 되어 믿었던 놈을 잃게 되고 丁은 壬에 合되기 때문에 辛을 극하지 않는다.

壬寅時壬水는 寅에 病이고 巳에 絶이므로 壬水 비견은 힘이 없으므로 巳中에 庚金이 투출하지 않으면 年月에 비겁이 많아도 노약한 패잔병에 지나지 않는다. 이 사주의 관건은 오직 庚金의 有無에 있고 土, 木을 가장 꺼린다.

癸卯時巳月 壬水는 火, 土가 旺相하고 卯木이 旺한 火를 生하여 재다신약(財多身弱)이므로 金, 水가 좋지만 겁재(癸水)는 木에 설기되고 말라버린다. 壬寅時와 같으므로 金이 있어야 貴格이 된다. 庚이 투출하면 丙을 꺼리고 辛이 있으면 丁을 두려워한다.

甲辰時火旺 土相인 巳月에 甲은 소토는 하지만 壬水를 설기하고 旺한 火를 生하므로 火, 土가 있고 金, 水가 없으면 가난하거나 단명한다. 辰이 水의 庫이기 때문에 從殺이 안되므로 대량의 金, 水가 있어야 한다.

乙巳時壬水는 巳 , 巳에 두 번 絶이 되고 乙은 火를 生하므로 壬水는 從財格이다. 철저한 從財가 아니면 年月에 庚이 투출하고 申, 亥가 있으면 財가 힘이 있으므로 부자가 된다.

丙午時火氣 日進(火旺 土相)인 壬水를 겨우 巳中에 庚金이 生하고 있다. 丙午로 火가 극히 旺하므로 壬, 庚과 申子가 없으면 안된다. 金, 水가 전혀 없고 木, 火만 있으면 從財格이 되므로 간단하게 해결된다.

丁未時丁壬 合은 재래취아(財來就我)는 되지만 火가 旺한 때이므로 化木이 안된다. 未는 土質이지만 南方이고 巳未가 午를 안고 있어서 財가 旺하므로 비겁(水)이 있고 뿌리(金)가 있어야 貴하게 된다.

戊申時임수가 巳에 絶이지만 申에 장생이므로 진짜 절처봉생인데 戊土 殺이 巳에 건록이므로 巳 申이 合이지만 土의 압력이 줄어들기는 어렵다. 庚年에 生하면 辛月이 되므로 신왕하고 壬子日이면 세상을 지배하는 권력을 쥔다.

己酉時酉 正印에다 巳酉 合으로 金局이다. 己土는 壬을 극하지만 金을 生하기 때문에 이른바 탐생망극(貪生忘剋)이 되고 신왕이므로 재관(火 土)을 쓴다. 木은 火를 生하여 金을 극할 뿐만 아니라 관성이 傷하므로 일체 꺼린다.

庚戌時巳月은 壬水의 絶地가 되지만 巳中에 장생인 庚金이 투출하여 壬水는 끊어 졌다가 다시 이어졌는데 戌은 水를 制하는 火庫이므로 旺한 火, 土가 壬, 庚을 얕보고 짓밟는다. 재살(火, 土)이 旺하므로 年月日의 支에 金, 水가 있어야 균형을 이룬다.

辛亥時壬水는 亥에 건록이지만 亥水가 旺한 火力을 이겨내지 못하는데 다행이 辛金이 生하고 있으므로 年月에 재관(火 土)이 있어도 무섭지 않다. 만약 丙申年 癸巳月 壬寅日 辛亥時 라면 절대적인 부류로서 일반 무리와 다른 사람이다.






【八字提要】
壬日 午月

庚子時午月 壬水는 火가 旺하여 힘이 弱한데 子水가 있고 庚金이 生하여 弱이 强으로 변하는 반전이 일어난다. 나머지가 모두 火, 土가 아닌 이상 壬水는 힘이 있고 財官을 감당하므로 戊土가 투출하여도 木이 없으면 문제가 없다.

辛丑時壬日 午月은 火旺 土相인데 丑이 壬을 극하지만 투출한 인수(辛)를 生하므로 五行이 잘 배합되어 중화되었다. 辛金이 안전해야 하므로 丙, 丁이 없어야 한다. 金, 水는 좋고 土, 木을 반드시 꺼리는 것은 아니다.

壬寅時비견(壬)이 있고 설기하는 寅이 寅午 火局으로 수화기제(水火旣濟)인데 金이 희신이므로 干支에 木, 火가 있으면 金, 水가 있어야 균형이 된다. 관살 土는 없어야 좋고 있으면 인수가 통관하여야 한다.

癸卯時午月 壬水에 癸가 있지만 卯木에 설기되고 旺한 火를 生하므로 오히려 木, 火는 남아돌고 壬, 癸는 부족하므로 庚, 申, 辛, 酉가 있어야 壬, 癸가 살아나고 木, 火의 勢를 눌러 균형이 된다. 火, 土, 木을 아주 꺼린다.

甲辰時午月은 火가 치열한데 甲은 火를 生하고 午는 辰土를 生한다. 水의 근원이 없으므로 年月에 金, 水가 있어야 한다. 또 다시 木, 火, 土가 있으면 신약이 되므로 결코 발전이 없다.

乙巳時午月 巳時에다 乙木이 旺한 火를 生하므로 壬水가 극히 쇠약하다. 巳中에 庚金에 의지하는데 庚金이 투출이 안되면 그림의 떡이므로 투출하거나 혹은 壬申日이면 식상(木)을 극하고 壬을 生한다.

丙午時午月 午時는 丙火가 없어도 財를 감당하지 못하는데 丙이 있으니 從財로 갈 뿐이므로 木, 火가 있으면 좋고 金, 水는 꺼린다. 만약 土가 있으면 從財가 아니고 從殺이다. 財를 감당하려면 그것은 庚年 壬月에다 子와 申이 있어야 한다.

丁未時丁壬이 合해도 火旺 土相인 午月에는 化木이 안된다. 丁은 午에 건록이고 午未合은 南方이고 壬은 뿌리가 없으므로 金, 水가 전혀 없거나 혹은 丙火가 많고 寅戌이면 從財格이다. 그렇지 못하면 金, 水가 많아야 病에 藥이 된다.

戊申時壬日 戊申은 살인상생(殺印相生)이지만 午月은 戊土가 旺하다. 申金은 壬水의 장생이지만 午火가 극하여 水를 생하는 힘이 감소되므로 庚金이 투출해야 申의 건록이 되고 戊土를 설기하여 중화된다.

己酉時午에 건록인 己土가 酉金을 生하므로 財, 官, 印을 이루는데 午火가 酉金을 노리고 있으니 인수(辛金)가 투출하면 힘이 있게 되므로 地支에 뿌리가 있는 水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庚戌時庚金은 壬水를 生하지만 戌午 火局이 庚金을 극한다. 申이 있으면 庚金의 뿌리가 되며 癸水가 있으면 火勢를 저지하여 열 가지를 만족한다. 木, 火, 土가 있으면 괴롭다.

辛亥時亥를 辛金이 生하므로 午月에 火가 왕성해도 壬水가 强하여 財(午)를 감당한다. 土가 투출해도 辛金을 生하기 때문에 문제없고 木, 火를 꺼리지 않는다.


【八字提要】
壬日 未月

庚子時燥한 未월에 경금과 자수로 金과 水가 왕성하여 土가 왕해도 일주는 약하지 않지만 병화의 강한 열과 무토의 압력을 꺼리므로 年에 甲이 있으면 소토하고 辛月은 임수를 생하므로 巳, 午가 있어야 좋은 팔자다.

辛丑時辛金은 임수를 생하고 丑未 沖으로 土가 막히지 않는다. 水勢가 왕성하지 않지만 막힘이 없고 물길을 고칠 일이 없다. 土가 辛金을 생하므로 튼튼하지만 아직 삼복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정화가 辛金을 傷하는 것을 꺼리고 오화도 꺼린다. 土가 왕하고 많으므로 또 다시 있으면 좋지 않다. 金, 土, 木이 균등하면 좋은 팔자다.

壬寅時土가 왕한 未월에 생하였지만 비견(壬)이 있으므로 많은 곤란을 받지는 않는다. 寅木이 소토는 하지만 丙, 戊는 寅에 장생이므로 첫째 조건은 丙, 戊가 투출하면 안된다. 연월에 金이 있고 소량의 을목, 정화가 있으면 크게 되는 命이다.

癸卯時壬日 未月은 土가 왕하여 水의 힘이 강하지 못한데 卯未합으로 土의 힘이 줄어들고 계수가 살아나지만 여름 水는 쉽게 마르므로 金이 있어야 한다. 金이 있으면 반드시 貴하고 金이 없으면 보통사람이다. 맞는 말이므로 의심하지 마라.

甲辰時未월 甲辰 時는 土가 많고 왕한데 갑목은 소토의 힘이 부족하고 일주는 극과 설기로 되었다. 연월에 金이 있어야 왕한 土를 설기하고 약한 水를 생하므로 木이 따로 있으면 뛰어난 命이다. 火, 土를 꺼린다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

乙巳時未월이 일주를 극하므로 을목이 희신인데 을목이 巳를 생하고 巳 는 土를 생하여 을목은 土를 돕는데 까지 이르렀다. 土를 극하는 방법보다 좋은 것은 巳中에 경금이 투출하고 壬申 日에 辛亥 년의 팔자라면 중상의 命이다.

丙午時未월에 丙午로 火, 土가 많고 임수를 위협하므로 庚, 壬이 투출하고 申, 亥가 있으면 균등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일주가 약하여 재관(火,土)의 왕지를 만나면 뒤집어진다. 子로 午를 충하는 것은 상격이 아닐 때 쓰는 방법이다.

丁未時丁 壬 合이 化하면 木이 되지만 未월이므로 乙이 用事해야 化가 된다. 未, 未가 있고 未中에 정화가 투출하여 土를 생하고 재관(火 土)이 病이므로 藥(水 木)이 투출해도 壬의 뿌리인 金이 간지에 있어야 한다.

戊申時土가 왕한데다 무토가 심하게 극하지만 다행히 壬의 장생인 申金이 있으므로 殺을 해결하면 된다. 殺을 제하려면 木이 있고 또 水가 따로 있어야 약한 일주가 설기를 당하지 않는다. 金(申)은 맹자와 어미와 같고 火는 殺을 생하므로 桀玉(흉포할 걸, 옥)처럼 사납게 된다.

己酉時未中에 기토가 투출하여 土가 강하지만 유금이 임수를 생하여 관인상생격인데 金이 적으므로 辛金이 투출하면 酉에 건록이 되고 水가 마르지 않는다. 丁, 午를 일체 꺼리는데 印(金)을 상하기 때문이고 병화도 안 되고 사화는 巳酉 合으로 金이 되므로 장애가 없다.

庚戌時未, 戌 燥土가 심하게 극하지만 경금이 투출하여 土를 설기하고 水를 생하므로 庚이 용신인데 木이 없으면 土가 두터워 꺼린다. 木이 있더라도 水가 없으면 뿌리가 없는 木이므로 경금이 치면 죽는다. 水, 木이 함께 있고 火가 庚을 극하지 않느면 된다.

辛亥時임수는 亥에 록이 되고 辛金이 생하여 土가 왕한 未월에 임수를 강한 것 같지만 亥未 木局이 다시 임수를 설기한다. 辛金이 壬을 생해야 하는데 申, 酉가 있으면 火, 土가 투출해도 害가 안된다.


【八字提要】
壬日 申月

庚子時임수가 申월에 장생인데 子辰 合으로 극히 신강하므로 무토 제방이 있고 火가 생하여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한 평생 권력이 없다. 기토는 무용지물이고 木은 좋지 않다. 만약 金, 水만 있으면 從旺格이다.

辛丑時壬의 申월에 장생이고 축토가 생하는 辛金은 申에 왕하다. 신왕하고 의지할 데가 없으므로 火, 土가 나란히 있어야 하는데, 丙은 辛을 合하기 때문에 丁이 더 좋고 己는 水를 막을 수 없기 때문에 戊가 더 낫다. 土가 많고 木이 있으면 格을 초탈한다.

壬寅時申월에 임수가 장생인데다 또 비견(임수)이 있어서 水가 범람하여도 寅木이 水를 설기하여 문제가 없는 것 같지만 寅 申 沖으로 썩은 寅木은 도움이 안 되므로 연월에 갑목이 투출하면 식신(甲)이 록을 얻게 되고 寅中에 丙, 戊가 투출하여도 역시 좋다.

癸卯時申월은 金旺 水相이고 金이 壬, 癸를 생하므로 상관(묘목)이 설기해도 염려 없고 오히려 가을 木은 약하므로 을목이 투출해야 한다. 상관(乙)이 투출하지 않고 火(재)가 있으면 왕한 金을 녹이므로 약한 묘목이 존재할 수 있다. 원래 상관을 쓰므로 金을 크게 꺼린다.

甲辰時임수는 申에 장생이고 辰에 庫가 된다. 그러나 갑목이 진토를 극하고 왕한 金에 설기되고 申辰이 合하여 제방이 무너진다. 연월에 무토가 투출하여야 식신제살이 되고 丙, 丁, 巳, 午중 하나가 있으면 영화로운 命이다.

乙巳時申월 임수는 母(申)가 아주 튼튼하다. 乙巳는 상관이 재성을 생하나 상관의 힘이 박하고 또 巳申合으로 財가 묶여서 乙巳를 용신으로 쓰지 못하므로 木, 火, 土가 많아야 하고 巳中에 丙, 火가 모두 투출하면 위대한 命이다.

丙午時申월은 金旺 水相이므로 임수가 아주 유력한데 왕한 丙午 재성이 있으므로 타고난 부자다. 만약 연월에 木이 있으면 金이 있어야 하고, 火가 있으면 水가 있어야 신왕이 되므로 굉장한 財가 된다. 혹시 土가 투출하면 制하지 말고 金, 水가 생하고 도와야 한다.丁未時申月 임수는 旺相하므로 이치로 봐도 재관이 좋고 재(丁)가 관(未)을 생하므로 안성맞춤이다. 丁은 재래취아는 되지만 化格은 아니다. 金, 水가 火, 土보다 더 盛하므로 午가 있고 식상이 투출하면 재성의 뿌리가 되므로 크게 부귀한다.

戊申時임수가 申, 申에 장생이므로 金이 왕할수록 水가 넘치므로 무토가 진압하지만 申中에 戊, 壬, 庚으로 金, 水가 더 많으므로 무토를 생하는 火가 있어야 하고 갑목은 절대로 안된다. 甲은 무토를 극하면 졸졸 흐르는 물도 막지 못한다.

己酉時申, 酉가 너무 많고 왕한 金에 설기된 허약한 정관(기토)을 유력한 火가 생하면 財, 官, 印의 상생으로 평생 유복한 命이다. 그러나 모든 일이 다 잘 되는 것은 아니고 木이 있으면 실패만 있고 성공은 없다.

庚戌時庚이 申에 건록이므로 金이 태과하다. 戌 火庫는 土에 속하지만 申戌이 酉를 안고 있으므로 金多 水濁이다. 연월에 丙이나 丁이 있고 지지에 木, 火가 있으면 좋다. 그렇지 않으면 무토가 있어야 된다.

辛亥時임수가 申에 장생이고 害에 귀록인데다 申에 왕한 辛金이 또 水를 생하여 온통 金, 水의 기세가 되므로 火, 土가 없으면 從旺이다. 그렇지 않으면 火, 土 재관이 유력해야 한다. 만약 火, 土가 약한데 寅, 巳가 있으면 旺(申 亥)이 衰(寅 巳)를 충하여 衰가 뽑히므로 집안이 망하고 사람도 죽는다.

【八字提要】
壬日 酉月

庚子時임은 자에 왕하고 경은 유에 왕하므로 금백수청하고 생왕하므로 재관(화,토)이나 식상(목,화)이 좋고 금, 수가 있으면 안된다. 그렇지 않고 금이 많고 수가 탁하면 신왕하고 의지할 곳이 없으니 홀아비나 과부가 된다.(신왕에 無依는 고독)

辛丑時유월 임수는 금왕수상(金旺水相)인데 辛은 酉에 건록이고 유축 금국으로 생기가 지나치므로 토,금이 病이고 목,화가 藥인데 丙이 辛에 묶이므로 정화만 못하고 목이 정화를 생하고 오화가 있으면 큰 부자다.

壬寅時유월 임수는 신약이 아닌데 또 비견(壬)이 투출하여 태과하다. 인목이 수를 설하기지만 가을 목은 쇠하여 큰 水를 흡수하지 못하므로 寅中에 甲, 丙, 戊 中에서 하나가 투출해야 한다. 그러나 병화가 투출하면 壬, 壬이 협공하므로 午, 戌이 있어야 한다.

癸卯時유월에 생하고 겁재(계수)가 있는 강한 壬을 卯가 설기하지만 酉에 충을 당한 약한 목이 수를 설기하기 어려우므로 연월에 을목이 투출하고 亥未가 있으면 목이 용신이 되지만 火運이 없으면 외롭고 춥다.

甲辰時임수는 辰酉가 합하여 생기가 완전한데 식신(갑목)의 설기가 때를 잃어 약하므로 寅, 亥가 있고 丙, 丁이 투출하여야 뛰어난다. 庚, 申은 크게 꺼린다.

乙巳時유월 임수는 생왕한데 경금이 巳에 장생이고 사유 금국이다. 을목이 절(絶)이므로 목, 화가 허술한데 묘목만 있고 병화가 투출하지 않으면 평범한 사람이고 丙, 卯중에 하나만 있으면 뜻을 이루어도 크게 위대하지는 못한다.

丙午時임이 유월에 생하여 금, 수가 통하고 병오 편재가 왕하므로 부자이면 존경받는다. 토가 있으면 화를 어둡게 하고 수를 제하므로 안된다. 금, 수가 같이 투출하면 좋고 혹 간지에 금, 목이 교차하면 석승, 왕의 같은 재벌이 된다.

丁未時유월은 목이 휴수(休囚)이므로 丁 壬은 화목(化木)이 안된다. 丁未 재관이 유금과 합세하여 財, 官, 印 상생이므로 특별한 것은 없지만 복이 많다. 연월 기토 하나가 있으면 문제가 없으나 무토는 두렵다. 금, 목은 꺼리지 않으나 너무 많으면 안된다.

戊申時八月 임수는 申이 장생으로 水가 범람한다. 무토는 제방인데 신강에 살(殺)이 약하여 가살위권(假殺爲權)이므로 식상(木)으로 제살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고 木이 殺을 制하면 반드시 火로 殺을 생해야 한다.

己酉時酉酉가 임수를 생하므로 금, 수가 많다. 기토 하나로는 버틸 수 없으므로 오, 미와 병, 정이 있어야 관(기토)이 보존되는데, 만약 화가 없으면 격류에 휩쓸려 전혀 쓸모가 없다. 싸가지가 하나도 없는 범법자로서 해충 같은 존재다.

庚戌時경이 생하고 있는 유월 임수는 급한 여울이므로 戌 화고(火庫)는 힘이 약하므로 화, 토가 모두 투출하고 寅, 午가 있으면 권력과 돈이 대단하다. 더 이상 금, 수가 필요 없고 을목은 갑목만 못하고 목이 있으면 화가 있어야 한다.

辛亥時해는 임의 록(祿)이고 유는 辛의 록(祿)이므로 생왕이 태과하다. 亥中에 갑목이 투출해야 하고 금이 있으면 안된다. 목이 수기(秀氣)가 되면 뛰어난 공무원이 되지만 적으면 과학의 권위지다. 만약 화, 토가 적게 있으면 섞이고 잡되므로 꺼린다.



【八字提要】
壬日 戌月

庚子時술월은 토가 왕하지만 효인(庚)과 양인(子)으로 임수가 강하므로 술중에 화, 토가 투출하면 좋은데 丁, 己보다는 丙, 戊가 더 유력하고 살인(殺印)에 양인을 차고 있으니 생살대권을 쥔다. 木을 꺼리지 않는다.

辛丑時술중 신금이 투출하여 생하므로 임수가 유력하지만 축, 술 관살이 탁하므로 갑목이 왕한 토를 극해야 하는데 가을 목은 약하므로 수가 있으면 좋다. 금이 있으면 화로 녹여도 되지만 화가 너무 많으면 토가 조(燥)하므로 수를 막으니 두렵다.

壬寅時술은 병, 무의 庫가 되고 인은 병, 무의 장생인데다 인술 합으로 화, 토가 너무 왕하다. 임수가 있지만 술중에 辛이 직접 생하지 못하므로 辛金이 투출하고 酉가 있으면 좋다. 화는 좋지 않고 토 역시 두렵다.

癸卯時술월에 임수가 빈약한데 겁재(계수)가 있다. 殺을 制하는 卯는 戌과 합하여 없는 것과 같으므로 酉가 卯를 충해야 한다. 혹 辛이 지쳤거나 없으면 庚, 申으로 대신한다. 금이 전혀 없으면 평생을 소인(小人)들에게 당하고 육친이 떠나고 사람마다 나를 배반한다.

甲辰時술월 辰時는 신약하고 살이 많으므로 갑목이 좋지만 약하므로 비겁이 갑목을 생하여야 하고 식상(목)이나 亥卯가 있으면 정원의 소나무처럼 시들지 않는다. 금을 크게 꺼리고 경금은 더 무섭다.

乙巳時술월 임수는 생은 적고 극이 많은데 을목은 사화를 생하기만 하고 소토를 하지 않으므로 임수가 심히 쇠약하므로 금, 수가 있어야 한다.

丙午時오술합 화국이 되어 임수가 고립되었다. 그릇의 물로 수레의 불길을 잡지 못하므로 비견(임수)이 있고 금이 수를 생하면 재성을 감당한다. 토는 화를 설기하지만 壬을 制하고 목은 수를 설기하여 財를 생하므로 모두 마땅치 않다.

丁未時투출한 丁壬合은 재래취아(財來就我-재물이 와서 온전히 내가 취하게 됨)일 뿐이고, 술월 未時는 재관이 태과하고 일주가 약하다. 목으로 토를 극하면 화를 생하기 때문에 금으로 토를 설기하고 수를 생하는 것이 맞다. 아궁이 속의 나무를 빼내는 법으로 화력을 줄이는 것이다.

戊申時壬日은 申이 장생이고 술월의 무토가 투출하여 금을 생하지만 토가 왕하기 때문에 결국 수를 극한다. 금, 목이 같이 있어야 수가 생을 받고 토를 제한다. 화는 금을 녹이고 토를 생하므로 손해만 있을 뿐이다.

己酉時술월 酉時는 살인상생이다. 기토가 인성(금)을 생하지만 무신시와 같은 살의 작용을 하고 토가 왕하므로 금으로 설기하고 목으로 극해야 한다. 화는 금을 녹이고 토를 생하므로 안된다.

庚戌時술 술이므로 살중신약인데 경금이 살(戌)의 작용을 완충하여도 갑목과 계수가 있어야 하는데 庚이 甲을 극하므로 갑목이 소토를 잘 하려면 수가 있어야 완충이 되고 갑목이 능력을 발휘한다.

辛亥時술월은 임수의 관대(冠帶)이지만 토가 왕하므로 오히려 살에 가깝지만 임수는 인수(辛)가 있고 亥에 통근되어서 선천이 강하므로 후천(財,官)이 있어야 고통을 면하므로 무토가 투출하여도 꺼리지 않는데 목, 화를 걱정할 리 없다.


【八字提要】
壬日 亥月


庚子時일간은 건록(亥)과 왕(子)을 만나 경금이 없어도 도도하다. 연월에 무토나 병화가 있어야 하고 일지에 寅이나 戌土가 있으면 고통을 극복한다. 만약 간지에 화, 토가 모두 없고 금, 수가 많으면 종왕(從旺)으로 논한다.

辛丑時해월 임수는 건록격이므로 재관(화,토)이 좋고 금, 수를 꺼리는데 辛이 또 있다. 丑은 정관이지만 亥丑이 子를 안고 있으므로 천간에 화, 토가 있어야 한다. 이를테면 丙年 己月에 지지가 寅午戌이면 오행의 배치가 중화된다. 목은 소용없고 있으면 금의 극을 당하고 찬 목은 원래 피어나지도 못한다.

壬寅時寅 亥는 합이지만 寅月 亥時처럼 化木이 안 되고 비견(壬)이 록(亥)을 두므로 꺼린다. 寅中에 丙, 戊가 투출하고 戌日이면 재관의 뿌리가 있게 된다. 화, 토가 없고 甲年에 乙月이면 수기(秀氣)가 되므로 문필(文筆)로 이름이 난다.

癸卯時해월 임수는 극설은 좋지만 인비(印,比)를 꺼리므로 겁재(계수)를 꺼리고 상관(卯)은 좋다. 亥卯 합으로 목이 강하지만 추워서 목이 피어나지 못하므로 연월에 화가 있으면 번영이 찾아온다. 상관이 용신이면 빼어난 사람인데 금을 아주 꺼리고 또 다시 수가 있으면 뿌리가 썩으므로 목, 화가 제일이다. 토는 쓸 일이 없다.

甲辰時해월 임수는 수왕목상(水旺木相)인데 亥中 갑목이 투출하였다. 식신이 힘이 있으면 재관보다 낫다고 했는데 時에 辰이 칠살이지만 너무 약하므로 갑목이 식신 역할을 제대로 하려면(食殺兩强) 무토가 투출해야 식신제살격이 된다. 인수(金)는 식신(木)을 상하고 水를 더 강하게 하므로 일체 꺼리고 혹시 火가 있으면 형체가 더욱 완전하다.

乙巳時巳亥冲이지만 왕한 수가 을목을 생하여 사화에 이르러 아주 좋은데 연월에 庚, 辛이 없어야 을목이 상하지 않고 金이 있으면 명리(名利)가 모두 공허하다. 토를 꺼리지 않는다.

丙午時해월 임수이므로 財官이 좋다. 병오 편재가 왕하므로 양명지원(養命之源)으로 충분하고 수화기제(水火旣濟)를 이루었다. 목이 있으면 財는 더 튼튼하게 된다. 戊, 己가 투출하면 재관으로 논하므로 금, 수를 꺼린다.

丁未時해월은 목의 장생이므로 丁壬合에 해미 목국을 이루어 목으로 化할 것 같지만 봄과 비교가 안 되므로 재관(火 土)을 쓴다. 혹시 목은 있는데 토가 없으면 재성을 쓰므로 오화가 있으면 눈 오는 날 석탄처럼 貴하게 된다.

戊申時申은 장생이고 亥는 건록이므로 임수가 아주 생왕하다. 무토 칠살이 수를 극하지만 申金에 설기되어 신강하고 殺이 약하므로 火가 있어야 한다. 갑목을 크게 꺼리고 토는 殺에 속하므로 저촉이 안된다.

己酉時壬日 亥月은 財官이 좋다. 기토 관성이 투출했으나 뿌리가 없고 유금이 身(일간)을 생하므로 丙, 丁이 있어야 하고 혹 오화가 있으면 관성에 힘이 난다. 화가 없는데 을목이 투출하면 상관견관(傷官見官)으로 화(禍)가 백가지로 일어난다.

庚戌時해월은 건록이고 생왕하므로 경금은 좋지 않고 술토가 좋다. 戌中에 丁, 戊가 투출하면 왕기를 억제하는데 만약 오화가 있고 甲寅이 재(火)를 생하면 殺은 생을 만나게 되므로 왕하다.(寅午戌)

辛亥時임수가 亥, 亥에 통근되고 辛이 있으므로 火, 土가 없으면 종왕(從旺)이다. 혹 亥中에 甲이 투출하고 寅이 있으면 식신득록(食神得祿)이므로 뛰어난 사람이다. 이것은 양금(庚申)을 꺼리고 수는 꺼리지 않는다. 火, 土 재관은 좋다.



【八字提要】
壬日 子月


庚子時자월 자시로 앙기가 중첩되고 경금까지 있다. 이렇게 旺한데 무토가 투출하지 않고 火가 없으면 재산을 없애고 망한다. 병화가 투출하여도 무토가 지지에 암장되어 있으면 富는 있어도 貴는 없다. 그런데 이 사주는 구조상 丙, 戊가 함께 투출할 수 없으므로 대부분 크게 성공하는 사람이 없다.

辛丑時임수가 자월에 생하여 亥가 있으면 북방일기(北方一氣)이므로 현무당권격(玄武當權格)이다. 현무격이 못되면 축토를 용신으로 쓰지 못하므로 戊 戌이 있어야 소용돌이치는 물을 막을 수 있다. 丙은 아주 좋지만 辛金이 합하여 묶이므로 무토가 있고 寅, 戌이 있어도 큰일을 하는 인물은 아니다.

壬寅時壬이 투출하고 양인이 있으므로 왕이 극(極)에 달했다. 寅은 丙, 戊의 장생이고 甲의 건록이므로 甲, 丙, 戊 중에 하나가 투출하면 寅에 통근이 되어 좋은 격인데 丙은 壬의 극을 받으므로 무토만 못하고 土는 하나뿐이고 水가 많으면 갑목으로 설기하는 것이 낫다.

癸卯時임수는 자월에 겁재(계수)가 투출하여 왕한데 상관(卯)이 혼자서 壬, 癸를 설기하므로 목이 약해서 흘러 내려간다. 목, 화가 있으면 왕한 水를 흡수하여 꽃과 나무가 양지를 향하고 토, 목이 같이 있으면 목이 착근하기 위하여 토가 수를 억제하므로 상명(上命)이다.

甲辰時자월은 子辰 合이 되고 申이 있으면 수국으로 윤하격(潤下格)이 되지만 갑목의 설기가 강하기 때문에 건전하지는 못하다. 寅이 일지에 있고 卯年이면 寅卯辰 一氣로 갑목을 울창하게 한다. 丙, 戊가 많은 것보다 더 낫고 경금을 크게 꺼린다.

乙巳時子月에 실명(失命,목숨을 잃음)한 巳火 편재를 을목이 생하지만 힘이 약하다. 巳中에 丙이 월간에 투출하면 년간은 甲이나 己가 되므로 아주 좋다. 혹 乙年이면 戊子月이므로 財殺이 祿이 되므로 부귀하다.

丙午時壬 丙과 子 午가 대치상태이지만 신왕에 財가 좋기 때문에 신왕재왕이다. 壬은 子에 旺이고 丙은 午에 旺이지만 火월이 아니기 때문에 목, 화가 있어야 하고, 비겁을 일체 꺼리는데, 만약 壬年이면 자연히 壬月이 되므로 일지에 寅午戌이 없으면 파락호가 된다.

丁未時未中에 정화가 나와 합하고 양인 子를 未가 극하므로 정화는 상하지 않고 겁재가 무섭지 않다. 정임합은 化木이 아니므로 木, 土가 투출하면 木으로 약한 火를 생하고 토는 왕한 水를 극하여 火가 보호되는 좋은 명이다. 혹 지지에 寅午戌이 있으면 역시 좋다.

戊申時원래 꿋꿋한 무토 殺이지만 申金에 설기되고 자월 임수는 申에 장생이고 申子 合이 되어 신왕한데 殺이 약하므로 金, 水를 크게 꺼린다. 갑목이 투출하면 되는 일이 하나도 없고 乙年 丙月에 支에 戌이 있으면 재목(材木)이 된다.

己酉時유금으로 생왕한 임수는 흘러 소용돌이 치고 기토는 씻겨나가 진흙과 모래 섞인 흙탕물이다. 대량의 火, 土가 없으면 쓸모없는 사람이다. 甲, 寅은 좋지만 乙, 卯는 전혀 도움이 안된다.

庚戌時자월 임수를 경금이 생하여 왕하다. 술토 火庫가 투출한 경금을 녹여 주고 水를 막는다. 술토 하나뿐이므로 무토가 투출하고 支에 오화가 있으면 살인격(殺印格)이다.

辛亥時자월은 춥고 수가 왕한데 辛亥로 金이 水에 가라앉고 한랭이 극히 심하고 水도 극히 왕하다. 木, 火나 혹은 土를 있는 대로 써야 한다. 純 木이나 純 火,土면 더 좋지만 金, 水는 있는 만큼 福이 줄어든다.



【八字提要】
壬日 丑月

庚子時축월 임수는 약하지만 인수, 겁재(庚 子)로 생왕하다. 子丑이 合하고 土가 旺하지만 한습한 토는 무용지물이다. 그래서 관살이 있어도 재성(火)만 못하고 또 관살(土)은 金을 생하는 폐단이 있다. 火는 土를 생하고 한기를 쫒아내므로 甲, 寅은 있어도 된다.

辛丑時축월 축시는 토가 많고 왕하지만 축중에 辛金이 투출하여 임수를 생하므로 토가 많아도 문제는 없고 한습(寒濕)이 문제이므로 木, 火가 있으면 木은 火를 생하고 소토하여 火, 水를 구제하고, 또 土, 金을 따뜻하게 한다. 丙이나 丁만 있으면 모두 합으로 묶여 버리므로 지지에 寅, 巳나 午火가 있어야 한다.

壬寅時축월에 생한 임수가 衰하지만 비견(壬)으로 신약은 아니다. 寅은 임수의 병지이지만 오히려 火의 장생이고 土가 있다. 水, 土가 얼어있는 엄동에 火를 생하고 소토하고 水를 설기하는 인목을 써야 하고 甲, 丙이 투출하면 더 좋다.

癸卯時壬日에 축월은 토가 왕한데 겁재(계수)가 있고 묘목이 토를 제하지만 엄동에 화가 전혀 없어서 생기가 없으므로 丙, 丁이 투출해야 하는데 丙年은 辛月이 되고 丁年은 癸月이 되어 버리니 안 되고 甲年에 丁月이나 지지에 寅, 午나 戌이 있어야 최상이다.

甲辰時축월은 토기 왕한데 辰이 申이나 子와 合하면 水가 왕하고, 토가 모이면 토가 왕하다. 지금은 축월이므로 관살(土)이 더 강하다. 갑목이 투출하여 소토하려면 寅日이 가장 좋다. 다음으로 火가 土, 木을 완충하면 貴하다.

乙巳時축월의 찬 土가 임수를 극하지 못하는데 乙이 巳를 생하고 巳는 관성(丑)을 생하므로 임수가 약하게 변했지만 財官 사이에서 인수(巳丑金)가 생하므로 묘하게 중화되었다. 이것을 극하면 절대 안 되고 오행이 치우치지 않으면 좋은 命이다.

丙午時축월은 水, 土가 다 얼어붙은 상(象)인데 병화는 오화에 왕하므로 사방은 구름 한 점 없이 빛이 나고 천지사방의 오행이 생기가 확 일어난다. 水를 항상 꺼리고 土가 있으면 火를 어둡게 하므로 무섭고 金, 水가 조화되면 재벌이 된다.

丁未時丑 未로 官이 많아 殺이 되므로 土를 꺼리는데 丁은 비록 壬과 합하지만 土를 생하는 폐단이 있으므로 卯가 있고 乙이 투출해야 土를 제하고 정화의 뿌리가 된다. 거기다 金이 하나 있으면 약한 임수를 생하여 기세를 떨치므로 맥락이 관통한다.

戊申時축월은 토가 왕하지만 辛, 癸가 있으므로 임수가 약해도 끊어지진 않는다. 申은 임수에 장생이므로 무토가 申을 생하여 살인상생격(殺印相生格)인데 찬 土가 생하는 힘이 약하므로 火가 있고 木이 있어야 한다. 金과 水, 土는 한두 개는 좋지만 많으면 취하지 않는다.

己酉時丑에서 투출한 기토는 임수의 정기 관성이고 酉丑 合은 정관 정인의 상생이므로 丁이나 午가 없으면 淸하지만 발복을 못 하므로 火가 있어야 높은 貴에 오를 수 있다. 을목이 기토를 制하면 안 되고 卯가 酉를 충하면 사이비 군자가 된다.

庚戌時丑 戌은 토가 왕하여 임수가 극을 받는다. 庚이 투출하여 토의 극을 막아내고 약한 수를 생하지만 금한수냉하여 살아나기 어렵다. 목, 화가 있으면 얼어서 위축된 보이지 않은 기를 소화한다.

辛亥時엄동설한의 임수가 축월에 생하였지만 亥에 건록을 얻고 또 丑中에 辛金이 투출하여 생하여 왕하지만 한냉하여 활력이 적다. 丙은 辛이 합하고 壬은 丁이 묶어버리고 巳는 亥가 충해 버리므로 寅, 午가 있어야 하고, 丙, 丁이 투출하여 합이 되어도 걱정 없다.


추천 비추천

52

고정닉 0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공지 ■ 역학 갤러리를 이용하기 위한 안내 글 ■ [178] 휴ㅅ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23 190361 405
공지 역학 갤러리 이용 안내 [217] 운영자 21.09.02 100110 461
8802786 하반기부터는 2,3학년 섞어서수업듣는데 너무설레서사망.. 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5 6 0
8802785 호감녀 남자였으면 이런 느낌이었을듯 미미(106.102) 12:15 4 0
8802784 등이 가려운데 힘이 없는 등글개 생각하면 됨 경을(220.92) 12:15 2 0
8802783 이거 인성용신이야 관성용신이야? ㅇㅇ(211.234) 12:15 3 0
8802782 후장 자위하는 남자들도 경을(220.92) 12:14 10 0
8802781 무거운거만 없으먄 좋은데 그런거 걸리먀누개짜증 ㅇㅇ(106.102) 12:14 10 0
8802779 손ㄴ나은 같은 인다녀 싫움 [2] 역갤러(125.184) 12:14 13 0
8802778 아 너넨 안만나가 아니라 못만나지? 역갤러(117.111) 12:13 3 0
8802777 쟤도 ㅇㅇ(39.123) 12:13 14 1
8802776 한녀 싫으면 만나지마 그냥 역갤러(117.111) 12:13 6 0
8802775 학원에 존나좀 마음에드는 선배있는데 나같은거모르고 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3 15 0
8802774 보통 여자들 지스팟 정도만 깨어나도 경을(220.92) 12:13 26 0
8802773 한녀들 왤캐 내로남불 심함 역갤러(182.227) 12:13 15 0
8802772 임술일주는 병신이많은일주같음 애두(117.111) 12:12 21 3
8802771 고추가 물렁해 가지고 도저히 못 만나겠더라 경을(220.92) 12:12 14 0
8802770 공장 잼있는데 [1] ㅇㅇ(106.102) 12:12 26 1
8802769 난 쟁재남 좋던데 쟁재남 성격 띠니랑잘맞긔 무비겁남이 개나댐 애두(117.111) 12:11 17 1
8802768 난 너같은 병신 틀딱새끼들이랑 달라서 한계가 없어 딩동댕(211.33) 12:11 13 0
8802767 노력해도안되는거 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1 17 0
8802766 조선의 꼴프는 노름 유흥과 반드시 연결되기에 캐디는 하지마라 ㅇㅇ(220.126) 12:11 9 0
8802765 사람이 살다보면 이런일 저런일 다하는거고 역갤러(118.235) 12:10 23 2
8802764 허세킹끝판왕 = 나 [5] 아카몽(222.119) 12:10 23 0
8802763 쟁재남이 가스라이팅 어떻게 하는지 예시 들어줘 역갤러(210.178) 12:10 13 0
8802762 그남자랑 저랑 잘 안될까요 [4] 역갤러(106.101) 12:10 21 0
8802761 신금이 정화 좋아하는 경우 많음 역갤러(211.36) 12:10 22 1
8802760 요즘 불경기라 돈많은 할배들 인기터짐 역갤러(211.234) 12:10 19 1
8802759 안이도 그대로지 싶다 경을(220.92) 12:09 14 0
8802758 꼴통 정박아새끼들이 대학타령은 왜 저렇게 뒤지게 하냐 ㅋㅋㅋ [1] 딩동댕(211.33) 12:09 13 0
8802756 근데 정화 입장에서 신금이 맛다시 이긴 할듯 역갤러(117.111) 12:09 21 0
8802755 경을은 진짜 멋있어 졌기 경을(220.92) 12:09 14 0
8802753 둘이 부부인데 여자가 존나부러움 [6] ㅇㅇ(118.235) 12:08 63 1
8802752 기축이 누나 존나 이쁘네 경을(220.92) 12:08 14 0
8802751 캐디보단 공장이.나음 ㅇㅇ(106.102) 12:08 22 0
8802750 젊은 남자가 좋다 이것보다는 걍 젊은 아빠가 좋아보여 역갤러(210.178) 12:08 10 0
8802749 확실히 쟁재남이랑 만나보면 연애고수됨 [1] ㅇㅇ(211.208) 12:08 21 1
8802748 기사일주 식다남 임상이 어때??? 역갤러(183.98) 12:08 11 0
8802747 내가 왜 호구야 이 씨발새끼야 좆까는 소리 작작하시고 딩동댕(211.33) 12:08 12 0
8802746 역갤이니까 그나마 너 사람취급 당하는 거야. 도그라미(117.111) 12:07 13 0
8802745 알@리 5월 P프로모션 코드 역갤러(118.235) 12:07 11 0
8802744 초년기신 시간지나서 좀 나아졌어도 역갤러(106.101) 12:07 20 0
8802743 가천대가 어디 있는 대학임? ㅇㅇ(211.234) 12:07 22 1
8802742 12시에 스카간다했는데 한숨자야게츰 [4] 제인(118.91) 12:07 26 0
8802741 교회에서 죤나 기쎈 언니랑 잘생긴 오빠가 내옆에와서 어깨동무하고 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7 18 0
8802740 뿍구가 컨셉이라고? [1] ㅇㅇ(106.101) 12:07 25 0
8802739 한심해. 도그라미(117.111) 12:07 14 0
8802738 얘들아 이사주 관다로 봐야함? [3] ㅇㄱ(125.191) 12:06 29 0
8802737 공장 더니면 ㅇㅇ(106.102) 12:06 27 1
8802735 난 식상녀보다 인다녀가 더 싫음 [1] 역갤러(125.184) 12:06 32 1
뉴스 김성령, 5년 만에 ‘전참시’ 복귀…새 집 최초 공개→발성장애 고백 후 근황까지 디시트렌드 05.0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