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법쟁이 노인들의 회개

운영자 2019.05.24 17:53:58
조회 204 추천 1 댓글 0
화요일 점심시간 무렵 전화가 왔다. 선배 박 변호사한테서 전화가 왔다.

“보고 싶어서 전화했는데 빨리 오 선배 사무실로 오시요.”

그의 조용하고 차분한 목소리가 들려온다. 그는 변호사라기보다는 시인이다. 변호사로 목에 풀칠을 하고 문학의 제단에 시를 모셔놓고 있다. 이웃의 선배변호사 사무실에서 몇 명이 모여 간단한 티타임을 가지곤 한다. 잠시 후 선배 오 변호사의 사무실에 네 명의 변호사가 모였다. 실장이라는 이름으로 오 변호사를 돕는 부인까지 다섯 명인 셈이다. 평생 그늘에서 남편을 내조해 훌륭한 판사로 만들고 남편이 변호사 개업을 한 이후에는 함께 노년까지 기부와 봉사를 그치지 않는 분이었다.

머리가 하얗게 세고 등이 굽은 시인 박 변호사는 신선 같은 인상을 줄 때가 있다. 광주사태 때 회사원으로 있으면서 시위현장의 맨 앞에 섰던 분이다. 헝클어진 세상에 대한 분노로 뒤늦게 사법고시를 보고 인권변호사가 됐다. 그 길로 일생을 걸어왔다. 정치를 기웃거리거나 정권이 바뀌었을 때 어떤 자리를 탐내지도 않았다. 그런 사람도 이제 병이 들고 늙었다. 그가 이런 말을 했다.

“얼마 전 성지순례를 갔다 왔는데 호텔 방에 지팡이를 두고 왔어. 그런데 이 지팡이가 주인을 찾아 왔단 말이야. 나이를 먹으니까 자꾸만 잃어버리고 이상해져. 엊그제 경주에 갔다 왔는데 커피를 시켜 손에 들고 가는데 그게 옆으로 흐르는 것도 모르고 있었어. 옆의 다른 사람이 알려 줬어.”

“이제 우리는 봉사하는 나이가 아니라 봉사 받아야 할 나이로 바뀌었죠. 나도 어제 주민센터에 갔더니 간호사가 어르신 대하듯 이것저것 검사하고 도와주려고 애를 쓰더라구. 복지를 보면 이제 우리나라는 정말 좋은 나라라는 생각이 들어. 감사해.”

내가 말했다. 삶에서 감사할 줄 알면 또 다른 싱싱한 색깔의 인생이 보석같이 빛난다고 믿는다. 모인 우리들은 모두 나이가 육칠십대로 모두 세상이라는 숲에서 떨어져 나와 자신이 있던 그 숲을 보는 입장이 됐다. 숲속에 있을 때는 나무와 돌멩이 밖에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그 숲 전체의 윤곽이 보이는 것 같다. 옆에 침묵하며 있던 선배 오 변호사의 부인이 겸손한 태도로 한마디 했다.

“전부 귀중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분인데 이제는 그것들을 써서 법조 후배나 세상에 더러 알려 주셔야 할 것 같은데요.”

그 말에 판사 생활을 하다가 중간에 법원을 나온 방 변호사가 입을 열었다.

“내가 처음에 판사를 할 때 말이예요. 변호사들이 와서 왜 그렇게 벌벌 기고 저자세로 나오는지 도대체 이해할 수 없었어요. 판사실로 찾아오는 분 중에는 선배 법관들이 많았는데 해도 너무 한 거예요. 비굴할 정도였으니까. 처음에는 내 태도를 조심하면서 저 분이 왜 저렇게 당당하지 못할까 했는데 시간이 흐르니까 변호사들의 그런 태도가 당연한 것처럼 나도 세뇌가 되더라구. 그리고 거꾸로 법정에서 자기주장을 당당하게 하는 변호사를 보면 판사한테 반항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더라구요. 존경받지 않으면 무시당한다고 착각을 하는 거죠.”

그 말을 듣고 있던 선배 오변호사가 말했다. 그는 오랫동안 부장판사와 법대교수로 있었다.

“그게 다 돈 때문이예요. 의뢰인에게 많은 돈을 받고 거기에 코가 꿰었으니 무슨 짓을 못하겠어? 나도 부장판사를 하다가 변호사가 되어 내가 데리고 있던 배석판사가 있는 방으로 간 적이 있지. 부장과 배석은 법원에서는 절대적인 상관과 부하 관계 아니야? 그런데 이 배석판사의 눈빛이나 말 중에 흘러나오는 게 당신이 예전에는 상관이었지만 이제는 내 앞에서 사정을 하고 비는 사람이지 하는 그런 메시지더라구. 내가 부장일 때에는 틈만 나면 부장님 존경합니다. 부장님은 저의 멘토이십니다.라고 하던 사람이 말이야. 마음이 먹먹해 지더라구.”

다시 방변호사가 말을 받았다.

“부장이 저에게 총무를 시키더라구요. 그 당시 총무가 뭐를 하느냐 하면 관내 변호사들한테서 실비라는 명목으로 돈을 걷는 일이예요. 그 돈으로 판사들이 밥을 먹고 술을 먹는 비용이죠. 그런데 매일 점심이나 저녁이 되면 변호사들의 차가 순번을 정해 법원 문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거예요. 판사들을 태우고 고급호텔 레스트랑에 가거나 요정에 가서 매일 밥 먹고 술 먹고 대접을 하는 거죠. 내가 거둔 돈을 부장에게 주면 슬쩍 자기 주머니로 들어가는 것 같더라구. 도대체 이건 아니라고 생각했어. 법원이 썩은 거지. 뇌물 봉투나 받고 말이야. 그래서 판사들이 구내식당에서 밥 먹자고 주장했었지. 그랬더니 나만 왕따를 만들더라구. 그 다음부터는 회식이 있어도 나만 소외시키는 거야. 내가 법원에 있을 때는 어떻게 저런 인간이 판사가 됐나 하는 경우도 참 많이 봤어. 어떤 부장판사들을 보면 아예 관내 변호사들을 양치는 개처럼 휘몰아 버리는 걸 보기도 했지.”

“지금은 그래도 법원이 많이 좋아졌잖아?”

선배변호사가 두둔했다.

“시대가 디지털로 발전했는데 예전 같이 판사실로 들어갈 필요가 뭐 있겠어요 스마트 폰으로 영상통화를 하고 회원제 룸쌀롱으로 가면 은밀히 모든 걸 얘기할 수 있는 시대인데 제도가 아니라 사람들의 영혼이 바뀌어야 하는 거지.”

나는 그런 법원의 환경 속에서 전관이라는 자격이 없이 30년 동안 천덕꾸러기로 변호사 생활을 해 왔다. 비굴한 로비가 아닌 당당한 싸움의 길을 택했다. 어떤 판사는 법정의 의뢰인이 보는 앞에서 도대체 이따위 변론서가 뭐냐고 타박했다. 또 다른 재판장은 방청석의 의뢰인을 일어나게 해서 저 변호사를 당장 갈아치우라고 하기도 했다. 변호사는 그런 오만과 편견을 가진 사법 권력과 정면으로 싸우는 길이라고 생각을 했다. 살자니 문제가 있지 굶어 죽겠다고 각오하면 문제가 아니라고 결심을 하기도 했다. 내가 쓰는 변론서에는 한 인간의 눈물겨운 삶을 압축해 넣으려고 애썼다. 그럭저럭 청춘의 산맥을 넘고 장년의 강을 넘어 노년의 산기슭에 이르러 지고 오던 짐을 내려 놓았다. 편안하다. 부정적인 것 보다는 감사한 게 더 많이 떠오른다. 나쁜 사람보다는 정의를 위해 밤새워 기록을 읽고 코피를 흘리면서 판결문을 쓰는 좋은 판사가 훨씬 많았다. 그들 때문에 나는 가족과 굶지 않고 아이들을 키울 수 있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365 국민 앞에 사과하셔야죠 운영자 24.05.27 36 1
3364 절망감이 들었다 운영자 24.05.27 27 0
3363 능숙한 연기와 거짓말 운영자 24.05.27 26 1
3362 방송이 만든 가면들 운영자 24.05.27 26 1
3361 나는 세상을 속인 사기범 운영자 24.05.27 26 0
3360 귀신을 본다는 빨간 치마의 여자 운영자 24.05.27 27 0
3359 얼떨결에 성자가 된 도둑 운영자 24.05.27 24 0
3358 종교 장사꾼 운영자 24.05.20 66 2
3357 주병진 방송을 망친 나는 나쁜 놈 운영자 24.05.20 63 0
3356 대도를 오염시키는 언론 운영자 24.05.20 42 1
3355 세상이 감옥보다 날 게 없네 운영자 24.05.20 49 1
3354 악인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운영자 24.05.20 44 1
3353 서민의 분노와 권력의 분노 운영자 24.05.20 38 0
3352 쥐 같은 인생 운영자 24.05.20 49 2
3351 좋은 사람의 기준을 깨달았다 [1] 운영자 24.05.13 119 2
3350 너도 도둑이지만 윗놈들이 더 도둑이야 운영자 24.05.13 67 0
3349 국무총리와 도둑 누가 거짓말을 했을까. 운영자 24.05.13 90 0
3348 도둑계의 전설 운영자 24.05.13 55 1
3347 바꿔 먹읍시다 운영자 24.05.13 55 0
3346 반갑지 않은 소명 운영자 24.05.13 55 1
3345 대도 사건을 통해 말하고 싶었던 것 운영자 24.05.13 49 0
3344 재판을 흥미성 보도자료로 만듭니다. 운영자 24.05.06 81 1
3343 부자들의 비밀금고 운영자 24.05.06 90 2
3342 죄 값 이상을 강요할 권리가 있나? 운영자 24.05.06 69 0
3341 입을 틀어막히는 분노 운영자 24.05.06 72 1
3340 변호사로 정상이라고 생각합니까 운영자 24.05.06 77 1
3339 도둑 일기 운영자 24.05.06 94 1
3338 숯불 나르는 청년의 외침 운영자 24.05.06 83 1
3337 당신은 꽂히면 바로 내 지르는 사람이야 운영자 24.04.29 106 1
3336 아들의 좋은 친구가 되어 주세요 운영자 24.04.29 85 1
3335 도대체 저의가 뭡니까? 운영자 24.04.29 90 1
3334 기억 사진첩 속 어떤 재판광경 운영자 24.04.29 78 1
3333 내가 체험한 언론의 색깔 운영자 24.04.29 83 1
3332 변호사란 직업의 숨은 고뇌 운영자 24.04.29 88 1
3331 저세상으로 가는 법 운영자 24.04.29 101 1
3330 인권변호사의 첫걸음 운영자 24.04.22 111 1
3329 깨어있는 시민의 의무 운영자 24.04.22 101 1
3328 죄수가 전하는 사회정의 운영자 24.04.22 112 1
3327 이민자의 슬픔 운영자 24.04.22 114 1
3326 강도에게 성질을 냈었다. 운영자 24.04.22 109 1
3325 외국의 감옥 운영자 24.04.22 104 1
3324 벗꽃 잎 같이 진 친구 운영자 24.04.15 142 1
3323 조용한 기적 운영자 24.04.15 142 2
3322 감옥은 좋은 독서실 운영자 24.04.15 119 1
3321 앞이 안 보이는 사람들 운영자 24.04.15 121 1
3320 미녀 탈랜트의 숨겨진 사랑 운영자 24.04.15 142 1
3319 두 건달의 독백 운영자 24.04.15 125 1
3318 명품이 갑옷인가 운영자 24.04.15 113 1
3317 나는 될 것이라는 믿음 운영자 24.04.15 121 1
3316 오랜 꿈 운영자 24.04.08 132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