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곰치국

운영자 2022.08.22 10:19:40
조회 143 추천 1 댓글 0

새벽에 화장실에 가서 오줌을 누고 다시 누웠는데 잠이 오지 않았다. 벽에 걸린 시계가 새벽 네 시를 알리고 있다. 자리에서 일어나 창문을 열었다. 싱그러운 공기가 닭 우는 소리를 싣고 들어온다. 아직 어둠이 짙은 창밖을 내다 본다. 서로 마주 보며 골짜기로 흘러내리는 야트막한 산자락 사이의 빈 공간을 바다와 하늘이 수평선으로 나누어 가지고 있다. 그 아래 평화로운 동해 바닷가 마을이 아직 잠에서 깨지 않은 것 같다. 검은 바다 저쪽 수평선 쪽에서 붉은 기운이 퍼져 나오고 있다. 포구로 돌아가는 고깃배들의 하얀 불빛들이 넓은 바다에 점점이 박혀있다. 고깃배들을 보면서 갑자기 어제 들었던 한 어부의 말이 떠올랐다.​

“저는 바다가 주는 만큼만 곰치를 잡아 옵니다. 그걸 경매시장에 내놓지 않고 직접 곰치국을 끓이는 집에 가져다 주죠.”​

바다가 주는 만큼만 곰치를 잡는다는 어부의 말은 살아있는 철학이었다. 그렇다면 나는 하늘이 주는 재능만큼 그리고 하늘이 주는 돈만큼 받고 감사하며 만족했던가. 그렇지 못했다. 젊은 시절 능력이 미치지 못하는 높은 기준을 잡아놓고 늘 불행에 빠져있었다. 나중에야 피라미가 상어가 되겠다는 꿈이었고 토끼가 자신을 늑대라고 스스로를 세뇌 시킨 것 비슷하다는 걸 깨달았다. ​

어제저녁 바닷가 허름한 식당에서 곰치국을 사 먹었다. 묵은지로 끓인 김치국에 섞인 토막 낸 곰치의 부드러운 흰 살이 보였다. 칼칼한 국물과 함께 식도로 넘어가는 곰치의 부드러움이 속에서 조화를 이루는 느낌이었다. 주인이 먹는 내 옆으로 다가와 설명했다. ​

“곰치란 놈은 깊은 바닷속에 있는 홍게를 먹고 삽니다. 잡기가 쉽지 않죠. 홍게를 잡지 못하게 하는 기간은 곰치를 구할 수 없어요. 저는 후포항까지 가서 직접 곰치를 사 옵니다. 수족관에서 묵은 곰치로 국을 끓이는 다른 집은 고기가 순두부 같이 뭉개져요. 그런데 제가 끓인 곰치국의 고기는 몽글몽글 살아있어요. 사십년 동안 곰치국을 끓여왔는데 이제 그 일을 졸업할 때가 됐어요.”​

나이 칠십이 넘어 보이는 주인의 얼굴에 일류라는 자부심이 대단했다. 벽에는 곰치국의 달인이라고 방송에서 소개했던 화면이 프린트되어 붙어 있었다. 곰치국을 먹고 그 식당을 나와 바다 옆을 걸으면서 나는 생각했다. 사십년 곰치국을 끓였다는 그 주인은 먹고 살라고 하늘이 그 환경과 재주를 주었다고 생각할까. 바다가 주는 만큼만 곰치를 잡는다는 어부가 있으면 그 철학이 비슷해야 하지 않을까. ​

어부가 툭 내뱉은 한마디는 정말 대단하다. 만선인 다른 배와 비교하지 않고 고기를 돈으로 보지도 않고 바다가 주는 만큼만 받는다고 했다. 쉽지 않다. 욕심 많은 농부는 재배하는 야채가 돈으로 보이고 나무에 달린 사과가 과일이 아니라 돈이 달린 것으로 생각한다. 어부들도 욕심의 눈 껍질을 하고 있으면 바다에서 돈을 낚아 올릴 것이다. 그런데 바다가 주는 만큼만 곰치를 받는다는 말은 정말 귀한 말이었다. 나는 하늘이 주는 작은 재능에 만족했던가. 하늘이 준 낮은 자리에 감사했던가. 하늘이 준 작은 돈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마음속으로 이건 내가 있을 자리 할 역할이 아니야 하고 부인하며 살아온 적이 많았다. 내가 갈 자리는 따로 있다고 착각했었다. 욕심에 눈이 가려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내남없이 인간은 불만에 차 있고 차츰 모자라는 자신을 받아들이는 과정인 것 같다.​

문단의 최고 원로인 소설가가 내게 와서 이런 속내를 털어놓은 적이 있었다. ​

“톨스토이나 토스토엡스키의 소설을 보면 나는 삼류가 아니라 사류 오류에도 미치지 못해요. 일본의 작가들을 보면 시골에 칩거하면서 문장 하나에 목숨을 걸죠. 그런데 비하면 나는 정말 허깨비 같아요.”​

그 정도면 위인줄 알았는데 그 위에 또 뭐가 있었다. 그는 말을 하면서 스스로 이렇게 결론을 지었다.​

“그렇지만 어떻게 합니까. 삼류가 아니라 사류 오류라고 해도 그걸 받아들이고 살아가야죠.”​

변호사라는 직업은 만나는 사람에게서 배울 때가 많았다. 국내 최고의 자리에 오른 가수의 사건을 한 적이 있었다. 그는 비가오는 날이면 축축한 감상에 젖은 노랫말을 써서 내게 봐달라고 보내오기도 했다. 어느 날 그가 내게 이런 말을 했었다.​

“뉴욕에 간 적이 있어요. 거기서 뮤지션들이 연주하는 걸 보니까 나는 뉴욕의 삼류들보다도 훨씬 못한 걸 알았어요. 국내에서 남들은 나를 최고의 가수라고 하지만 솔직히 말하면 악보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엉터리라구요.”​

그 소설가나 가수는 일류가 틀림없었다. 나는 그들에게서 일류가 가지는 장점을 발견했다. 그들은 자신을 빨리 발견했다. 있는 그대로의 삶을 받아들였다. 그게 상황이 주는 배움을 얻는 가장 빠르고 강력한 방법이었다. 받아들임이라는 강의 건너편에 도달해야 평화가 올 것 같다. 최악의 시나리오를 받아들이면 편해진다. 삶은 하나의 기회고 아름다움이고 놀이다. 나는 하늘이 주는 만큼 놀고 싶다. 짙은 어둠의 수평선 저쪽에서 안개처럼 피어나는 붉음, 바위에 부딪쳐 하얀 포말을 만들어내는 파도 그리고 흰 눈에 덮인 몽상의 세계인 겨울을 보며 즐기고 싶다. 그걸 누리는 것은 우리 자신에게 달린 게 아닐까. 삶은 우리에게 사랑하고 일하고 별들을 바라볼 기회를 주었으니까.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3380 공시생과 과거준비생 운영자 24.06.10 38 0
3379 조선 선비의 문학일기 운영자 24.06.10 35 1
3378 조선의 프로테스탄트 운영자 24.06.10 53 0
3377 백정출신 최초의 서양의사 박서양 운영자 24.06.10 32 0
3376 바닷가의 행복한 ‘맥가이버’ 운영자 24.06.10 29 0
3375 한국 자본주의 시조 삼양사와 두산그룹 운영자 24.06.10 29 0
3374 우리 시대에 왔다 간 예언자 운영자 24.06.10 33 1
3373 변호사 사무실 창을 통해 본 ‘역사바로잡기’ 운영자 24.06.03 57 1
3372 황금빛 노을 운영자 24.06.03 41 1
3371 종교 지도자에게 붙인 친일 딱지 운영자 24.06.03 44 0
3370 내 아버지가 친일파라구요? 운영자 24.06.03 35 0
3369 신현확 총리의 친일 논쟁 운영자 24.06.03 43 1
3368 북평 오일장의 풀빵과 낡은 일본 가옥 운영자 24.06.03 39 1
3367 하나님 이의있습니다. 운영자 24.06.03 46 0
3366 도둑중독 운영자 24.06.03 42 0
3365 국민 앞에 사과하셔야죠 운영자 24.05.27 84 1
3364 절망감이 들었다 운영자 24.05.27 62 1
3363 능숙한 연기와 거짓말 운영자 24.05.27 72 1
3362 방송이 만든 가면들 운영자 24.05.27 60 1
3361 나는 세상을 속인 사기범 운영자 24.05.27 61 0
3360 귀신을 본다는 빨간 치마의 여자 운영자 24.05.27 71 1
3359 얼떨결에 성자가 된 도둑 운영자 24.05.27 50 0
3358 종교 장사꾼 운영자 24.05.20 106 2
3357 주병진 방송을 망친 나는 나쁜 놈 운영자 24.05.20 103 1
3356 대도를 오염시키는 언론 운영자 24.05.20 64 1
3355 세상이 감옥보다 날 게 없네 운영자 24.05.20 74 1
3354 악인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운영자 24.05.20 79 1
3353 서민의 분노와 권력의 분노 운영자 24.05.20 69 0
3352 쥐 같은 인생 운영자 24.05.20 92 2
3351 좋은 사람의 기준을 깨달았다 [1] 운영자 24.05.13 178 2
3350 너도 도둑이지만 윗놈들이 더 도둑이야 운영자 24.05.13 88 0
3349 국무총리와 도둑 누가 거짓말을 했을까. 운영자 24.05.13 117 0
3348 도둑계의 전설 운영자 24.05.13 83 1
3347 바꿔 먹읍시다 운영자 24.05.13 75 1
3346 반갑지 않은 소명 운영자 24.05.13 82 1
3345 대도 사건을 통해 말하고 싶었던 것 운영자 24.05.13 75 0
3344 재판을 흥미성 보도자료로 만듭니다. 운영자 24.05.06 103 1
3343 부자들의 비밀금고 운영자 24.05.06 120 3
3342 죄 값 이상을 강요할 권리가 있나? 운영자 24.05.06 90 0
3341 입을 틀어막히는 분노 운영자 24.05.06 99 1
3340 변호사로 정상이라고 생각합니까 운영자 24.05.06 108 1
3339 도둑 일기 운영자 24.05.06 122 1
3338 숯불 나르는 청년의 외침 운영자 24.05.06 113 1
3337 당신은 꽂히면 바로 내 지르는 사람이야 운영자 24.04.29 137 1
3336 아들의 좋은 친구가 되어 주세요 운영자 24.04.29 109 2
3335 도대체 저의가 뭡니까? 운영자 24.04.29 118 2
3334 기억 사진첩 속 어떤 재판광경 운영자 24.04.29 104 2
3333 내가 체험한 언론의 색깔 운영자 24.04.29 109 1
3332 변호사란 직업의 숨은 고뇌 운영자 24.04.29 117 1
3331 저세상으로 가는 법 운영자 24.04.29 127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