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제5장: 러스트의 설계, 혁신인가 결함인가?

루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7.03 17:18:58
조회 69 추천 0 댓글 0

님들 이런 생각 못해봤지?

사방팔방에서 다들 러스트 찬양하니까.


이번에 추가할 내용이다.

아직 초안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다음을 것이다.


제5장: 러스트의 설계, 혁신인가 결함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러스트의 ‘안전성’, ‘개발 경험’, ‘소유권’을 둘러싼 여러 신화와 그 이면의 문제들을 살펴보았습니다. 하지만 학습 곡선, 생태계, 컴파일 시간과 같은 비판들은 어쩌면 현상에 대한 지적에 머무를 뿐일지 모릅니다. 저는 이 책을 집필하며 그 모든 문제의 근원을 파고들었고, 마침내 하나의 본질적인 질문과 마주했습니다. ‘러스트의 설계 철학 그 자체는 과연 올바른가?’


이 장은 그 기나긴 비판적 연구의 종착역입니다. 그리고 제가 도달한 최종적인 결론, 즉 러스트의 방식은 위대한 혁신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공학의 보편적 원칙을 비껴간 근본적인 ‘설계 결함’으로 귀결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Ada/SPARK와의 비교를 통해, 러스트의 방식이 과연 혁신인지 아니면 결함인지 그 문제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5.1. 발단: 비대한 바이너리라는 ‘치명적 결함’

논의는 “러스트로 만든 프로그램은 바이너리 크기가 비대해져 C/C++를 대체할 수 없으며, 이는 치명적인 설계 결함이다”라는 날카로운 비판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 원인으로 모든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정적 링킹과 제네릭 코드마다 복사본을 만드는 모노모피제이션(Monomorphization)이 지목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러스트의 설계는 성능과 배포 편의성을 위한 ‘의도된 트레이드오프’이며, 커널이나 임베디드 환경에서는 표준 라이브러리를 제외하는 no_std 방식을 사용한다는 표준적인 반론이 제시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반론은 더 깊은 철학적 질문의 서막에 불과했습니다.


5.2. 역사적 대안: 개발자의 보편적 사고방식과 TDD

논의의 핵심적인 전환점은 에이다(Ada)의 등장과 함께였습니다. Ada는 제네릭을 구현할 때 코드 공유를 통해 바이너리 크기 증가를 억제하며, 이는 러스트와 다른 접근법이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여기서부터 논의는 단순한 기술 비교를 넘어, 소프트웨어의 ‘올바름’을 추구하는 두 가지 다른 철학의 대립으로 발전합니다.


모든 프로그래밍의 근간에는 ‘함수에 입력 x를 넣으면, 결과 y가 나올 것이다’(f(x)→y)라는 지극히 단순하고 상식적인 기대가 있습니다. 이것은 개발자가 함수를 설계하고, 의도하고, 증명하려는 모든 사고의 출발점입니다.


현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이 기대를 체계화한 방법론이 바로 테스트 주도 개발(Test-Driven Development, TDD)입니다. 개발자는 실제 코드를 작성하기에 앞서, $f(x)$가 y를 반환할 것을 기대하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합니다. 이는 ‘기대하는 결과(가설)’를 먼저 정의하고, 그 기대를 만족시키는 코드를 나중에 구현하는 과학적 사고방식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바로 이 사고방식을 언어 차원으로 끌어올린 것이 Ada/SPARK가 사용하는 ‘계약 기반 설계(Design by Contract)’ 패러다임입니다. ‘입력값은 이러해야 한다(사전 조건)’는 $f(x)$의 x에 대한 가설이며, ‘결괏값은 이러할 것이다(사후 조건)’는 y에 대한 검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이 TDD에 익숙하거나 체계적인 설계를 중시하는 개발자에게 오히려 더 직관적이고 편안하게 느껴질 수 있는 것입니다.


5.3. 핵심 쟁점: 개발자의 ‘의도’ vs. 컴파일러의 ‘규칙’

결국 논쟁은 “무엇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되었습니다.


접근법 A (Ada/SPARK 등): 개발자의 ‘의도’를 검증하는 도구 이 방식은 개발자의 사고방식을 중심에 둡니다. 개발자는 먼저 “함수에 X를 입력하면 Y가 나온다”는 자신의 의도(계약)를 명확히 합니다. 그 후 자유롭게 코드를 구현하면, 도구는 작성된 코드가 처음에 정의한 의도와 일치하는지 검증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계약 기반 설계’는 Ada/SPARK만의 독점적인 방식이 아닙니다. C/C++를 위한 Frama-C나 VCC 같은 다른 여러 정적 분석 및 형식 검증 도구들 역시 동일한 철학을 공유합니다. 이는 개발자의 생각을 보조하고 검증하는, 매우 정석적인 접근법입니다.


접근법 B (러스트): 도구의 ‘규칙’에 의도를 맞추는 언어 컴파일러가 먼저 “메모리는 이러이러한 규칙으로만 다뤄야 한다”는 양보 없는 규칙을 제시합니다. 개발자는 자신의 의도를 이 규칙의 틀 안에서 표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도구의 규칙이 주도권을 가집니다.


5.4. 최종 결론: 혁신인가, 철학적 결함인가?

이 근본적인 철학의 차이에서 두 가지 상반된 평가가 나옵니다.


러스트 비판론 (사용자의 최종 관점)


개발자의 정상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방식을 따르지 않고, 오히려 그 사고방식을 언어의 독특한 규칙에 억지로 끼워 맞추게 하는 것은 ‘설계 결함’입니다. 이는 문제를 정면으로 해결하기보다 교묘하게 우회하려는 시도이자, 소프트웨어 공학의 보편적 원칙에서 벗어난 ‘비정석적’인 방식입니다. 숙련된 개발자에게는 불필요한 제약이며, 초심자에게는 과도한 장벽으로 작용할 뿐입니다.


러스트 옹호론 (일반론)


현실의 개발 환경에서는 모든 개발자가 이상적인 설계를 따르지 않습니다. 러스트의 강제적인 규칙은 개발자의 역량이나 훈련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코드에 ‘최소한의 안전선’을 제공하여, 메모리 오류와 같은 최악의 버그를 시스템적으로 막아주는 실용적인 ‘혁신’입니다.


결론적으로, 어떤 시각을 가질지는 개발자의 경험과 철학에 달려있습니다. 명시적인 논리와 증명을 중시하는 이에게 러스트의 방식은 부자연스러운 제약일 것이며, 현실적인 안전장치를 중시하는 이에게는 실용적인 해결책일 것입니다.


이처럼 러스트의 핵심 설계 철학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전통적인 원칙에 비추어볼 때 충분히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설계 결함’이라는 날카로운 비판에 직면할 수 있는 정당한 이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합리적이고 철학적인 비판에 대해, 러스트 커뮤니티의 일부는 왜 기술적 토론이 아닌, 개인에 대한 비난과 비이성적인 방어기제로 반응하는 것일까요?


이어지는 제3부에서는 바로 그 현상의 심리적 원인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역으로 군대 안 간게 의아한 스타는? 운영자 25/06/30 - -
AD 휴대폰 바꿀까? 특가 구매 찬스! 운영자 25/07/02 - -
2869498 러스트 중독 분석: 나르시시즘, 에코 챔버, 트라우마 본딩, 매몰 비용 루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42 0
2869496 이런 사람들은 지금 나이 한 50 넘게 먹었으려나 [1] 루도그담당(58.239) 07.03 68 0
2869495 낼 술마셔야좌우징좌우지징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42 0
2869494 요즘 TDD 선구자 캔트백도 바이브 코딩 연구하더라 ㅆㅇㅆ(124.216) 07.03 44 0
2869493 헤일스버그의 파스칼이나 델파이에 관한 최근 생각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30 0
2869492 러까의 유일한 구원자 llm도 맛이 가버린 모양이군 ㅋㅋ 프갤러(110.8) 07.03 31 0
2869491 델파이, 파스칼 안쓰는 이유, 메모리 안전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54 0
2869490 FreePascal 아이디 보니 드는 생각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41 0
2869489 국산 냥덩❤+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8 0
2869488 퍼프 대디 파티 참석했던 사회 저명인사 명단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52 0
2869487 러스트에 영혼을 팔은 자의 최후~~~ 루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4 3
2869486 내가 몇 년 전 휴대폰 카메라로 동공 크기까지 감시할 거란 글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29 0
2869485 [단독] "이상민 자택서 깜짝 놀랄 거액 발견"…특검, 조사 착수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46 0
2869484 Rust 언어는 예수 믿어야 천국간다고 강요하는 언어입니다 FreePasca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58 1
2869482 웹백엔드 vs 게임서버 닥전임? ㅇㅇ(211.176) 07.03 32 0
2869480 러빠가 무논리로 내 욕하는 이유~ 루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29 0
2869479 땀 닦아주실분? [2]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40 0
2869477 동일한 안전성 기준을 볼 때 Ada가 Rust보다 쉽다는... ㅎㅎ 루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45 0
2869476 루비와 류류 냥덩 [8]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60 1
2869475 러스트의 보로 체커(빌림 검사기) 규칙에 명백히 위배되기 때문에 루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3 0
2869474 냥덩이 허위사실 유포했던 이재명 성범죄 진실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62 0
2869472 공산한국 2025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9 0
2869470 나님 통찰력 ㄱㅆㅅㅌㅊ..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9 0
2869469 ㄴㅏ님 누엇어오..⭐+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0 0
2869467 소형 피씨스피커는 페블 v2, v3가 좋다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28 0
2869465 acm 인강 들으려고했는데 여기 로그인 필수네 프갤러(106.102) 07.03 28 0
2869464 ai가 뱉는 말이면 검증도 안하고 물고 빨면서 대학원 ㅇㅈㄹ ㅋㅋㅋ 프갤러(110.8) 07.03 39 0
2869463 도둑맞은 내 일기 관련해서 연쇄살인이 난 것 같은데 영화 <커미션>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59 0
2869462 둘 중 하나지. 러스트 못배우는 열등감에 그냥 정신승리이거나 프갤러(110.8) 07.03 44 0
2869461 러까의 저능함이 증명되는 순간이구나 프갤러(110.8) 07.03 43 0
2869459 인강좀 질문좀 프갤러(106.102) 07.03 25 0
2869456 프로외노자 등 일본 거주 프갤러분들 지진 대비 어떻게 하십니까 [1]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50 0
2869455 나경원 기체조하는 사람같지않냐?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63 0
2869454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41 0
2869452 난 과집중이 항상 문제임에오 [2] 조루디(110.35) 07.03 57 0
2869451 시간이 빠르다에요 조루디(110.35) 07.03 34 0
2869449 요즘은 정신과약 먹고있음 [7] 조루디(110.35) 07.03 84 2
2869448 딱국 잘사냐 조루디(110.35) 07.03 57 3
2869447 "집값 안정시켜야 한다, 어떻게 세운 이재명 정부인데..." 발명도둑잡기(118.216) 07.03 70 0
2869446 하 그놈의 대용량 조루디(110.35) 07.03 43 0
2869445 나 2년차 실화냐 [2] 조루디(110.35) 07.03 58 0
2869444 오히려 자바충들이 싸지른 똥라이브러리들을 보면 러스트는 축복이다. 프갤러(27.172) 07.03 54 0
2869443 와일드샤크 패킷/C++ 혹은 C# 잘아시는교수님있으실까요? 프갤러(183.107) 07.03 43 0
2869442 러스트 라이브러리가 부족한건 사실이다. 프갤러(27.172) 07.03 44 1
2869438 업뎃) 동일 안전성 목표 하의 코드 비교 - Rust vs. Ada/.. 루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69 0
2869437 7 ㅇㅇ(106.101) 07.03 42 0
2869435 나님 리짜이밍 덕분에 집값 폭등즁 ㅎㅅㅎ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38 0
2869431 냉정하게 23살이면 아직 기회있다고 보는게 맞는 나이임?? [2] ㅇㅇ(223.38) 07.03 59 0
2869429 미국 스타일 여성분 마주쳤다 [1]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67 0
2869427 ㅁㅌ겠네.. 러빠들 파닥파닥 날뛰면서 개난리칠거 예상된다. 루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3 43 0
뉴스 ‘피디씨’ 헨리, “바이올린 배우기 싫어 부순 적도”…음악 천재로 거듭난 터닝 포인트는? 디시트렌드 07.0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