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전세, 월세 구할 때 꼭 알아두어야 할 17계명

ㅇㅇ(39.113) 2014.05.12 22:30:57
조회 15493 추천 10 댓글 6
														


viewimage.php?id=3fb2df2b&no=29bcc427b18b77a16fb3dab004c86b6fb2a09527f01c968084b5501df392a80a1f55ffaeb9f903ab75219b34edd1944f5c099c03d8



http://cafe.daum.net/buchononeroom 카페에서 퍼왔습니다.

아래 글을 보니 어떤 분이 집주인의 횡포때문에 부당하게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했다는 글을 보고 마음이 아파  

다른 햏자들도 주의하시 라고 글을 올려 드립니다.

아래 펀글에서는 "원룸"으로 국한했지만, 꼭 굳이 원룸이 아니더라도 객지사는 햏자들이 월,전세 구할때 참조할 만한 글이니,

대학가 근처에서 새로 집을 얻은 유학생이나, 객지에서 첫 사회 생활을 하는 분들 은 참조하시고

집문제로 집주인에게 횡포를 당하지 않기를 기원합니다.  

 -------------------------------

----------------------------------------------------

원룸 17계명


 1. 월세이든 전세이든 보기보다 많이 싼 원룸은 피해라 보기보다 싼 원룸은 분명 문제가 있는 원룸이다.

급한 마음에 싸다고 덜컥 계약해버리면 나중에 골탕을 먹는다.

문제가 있는 방은 계약기간 중에 다른 세입자를 구해서 빠져 나가기도 힘들다.


 2. 반지하, 옥탑, 1층은 더욱 꼼꼼하게 살피고 가급적 피해라 반지하(약간 반지하도 포함)는 가급적 피해야한다.

반지하의 불편함을 살아 본 분들은 안다. 나중에 방 빼기도 어렵다.

1층도 불편하다. 오래된 주택가의 1층은 방범창이 있더라도 좀도둑들의 표적이다.

여성분은 특히 2층 이상을 구해라. 옥탑은 피해라. 옥탑은 상당수가 불법 건축물이라 도시가스가 아니다.

기름보일러는 겨울에 불편한 것은 둘째 치고 기름값이 엄청나다. 사방이 열려 있으니 여름엔 열라 덥다 겨울엔 졸라 춥다.


 3. 월세 계약은 1년으로 해라 전세가 아닌 이상 2년으로 계약해 놓으면 나중에 여러모로 불편하다.

중개업자나 집주인이 2년을 말하더라도 필히 1년으로 계약해야 한다.


 4. 도배와 장판은 꼭 집고 넘어가라 특히 제 값 다주고 들어가는 월세방은 꼭 도배를 요구해라.

집주인이 도배를 해주거나 약간의 가격조정을 해줄 수 있다.

전세와 달리 월세는 도배가 기본이다.


 5. 각종 잡비에 관한 사항을 꼼꼼히 확인해라 전기세, 수도세, 관리비, 유선 수신료, 난방 방식 등을 꼭 확인하고

그 내용을 계약서에 넣어 작성해라.

입주를 하기 전에 각종 잡비의 계산방법과 수금방식, 전세입자와의 요금 정산, 난방 방식등을

제대로 확인해야 차후 언짢은 일을 피할 수 있다.


 6. 임대차 보호법의 자동갱신은 세입자에게 유리하다

 계약만료전 최소 1개월전에 집주인에게 해지 통보를 안하면 자동갱신이다.

계약연장을 하기 싫다면 내용증명을 보내 확실하게 본인의 의사를 문서화해라.

의사표현을 아니하면 동일한 조건으로 자동갱신이지만 그 기간은 정하지 않는 갱신이다.

자동갱신 후에라도 세입자는 해지를 바로 통보할 수 있으며 집주인은 통보를 받은 3개월 후부터는 보증금 반환 의무를 져야한다.

계약 중간 해지와 달리 세입자가 중개수수료를 지급하는 관행도 없다.


 7. 확실하게 집주인과 이야기를 해라 자동갱신이 집주인에게 법적으론 불리하지만 현실에선 그렇지않다.

막무가내로 우기는 집주인에게 법이란 종이에 인쇄된 글자이다.

계약기간이 다 되어가면 재계약여부에 관해 확실하게 매듭을 지어라.

나갈거면 이야기해라 바로 보증금 돌려준다, 라고 만료시점에서 말하는 집주인중 실제로 그리 행하는 집주인은 정말 드물다.

자동갱신 되었으니 네가 빼라, 중개수수료 놓고 나가라, 지금은 돈이 없으니 다른 세입자가 올 때까지 좀 기다려 달라!

집주인은 대체적으로 능수능란하다. 8. 전철을 주로 이용한다면 월세를 더 주더라도 역세권에 입주해라.

 월세 싸다고 역세권과 멀거나 도보로 애매한 지역에 방을 얻으면 버스비나 택시비가 더 든다.


 9. 많이 살펴보고 구하고 월세를 너무 아끼지는 말아라 많이 살펴보면 가격대비 더 좋은 방을 구한다.

동일한 가격대에서도 더 좋은 방이 분명히 있다. 그리고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비싼 방을 잡아라.

주택은 생활의 기본이다. 제대로 된 방에 들어가야 문제도 없고 나중에 빼기도 쉽다.


 10. 주거용으론 오피스텔은 원룸보다 가격대비 성능이 떨어진다.

 사무실 겸용으로 쓸거라면 모를까 오피스텔은 가격대비 성능이 원룸보다 쳐진다.

요새 부쩍 많이 나오는 복층형도 사실 다락방 수준이다. 월세도 비싸지만 관리비도 원룸의 몇배이다.

(집주인이나 부동산 사무실에서 말하던 금액보다 훨씬 많이 나온다) 물론 돈이 된다면 오피스텔을 마다할 이유는 없다.


 11. 현재 살고 있는 집부터 해결해야 한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의 보증금 문제를 임대인과 완결하고 원룸을 구하러 다녀야 한다.

계약만료와 동시에 나올 거면 먼저 최소 한달 전에는 재계약 거부를 통보해야한다.

이때 이사 날짜는 정확히 계약기간 만료일로 해야 한다.

임대인을 생각해서 두어달 미리 재계약거부 의사를 통보해 주는 것은 좋지만

그때 분명하게 이사는 계약 기간 만료 시점이라고 강조해야 한다.

덜컥 사람 데리고 와서는 계약 한다고 하면 골치다.

게다가 거부해버리면 나중에 이사 날짜를 아니 맞추어 다른 세입자를 제때 구하지 못했다고

나갈 때 불평을 늘어놓으며 꼬투리를 잡는다.

월세여도 계약만료가 되었다고 바로 보증금을 반환하는 임대인은 많지 않다.

재계약 안하고 나가겠다고 하면 대부분의 집주인은 알았다고 한다.

이때 보증금 반환에 대해서 정확하게 해야 한다. 임대인의 정확한 답변을 들어야한다.


 12. 계약금은 현재 집주인에게서 받아라.

 집주인이 알았다고 하면, 다른 계약을 위한 계약금으로 써야 하니 보증금의 10%를 미리 달라고 해야 한다.

받으면서 임대인에게 말해야 한다.

만료시점에서 나머지 보증금을 못 주면 이 돈은 계약 해지에 따른 해약금이 되어 없어지니

나머지 보증금을 꼭 주어야 하고 못줄 경우 집주인의 과실이니 그 금액은 집주인이 손해를 보아야 한다고 분명히 말해야 한다.

그래야 임대인은 책임감을 가지고 보증금을 준비한다.

10%는 미리 안주면서 걱정하지 말라고 하는 경우에도 다른 계약서를 쓰기 전에는

집주인과 통화를 해서 꼭 보증금 반환에 대해 주지시켜야한다.


 13. 계약하기 전 꼼꼼한 확인은 필수다. 원룸은 낮에 봐야 한다. 유흥가 주변인 경우엔 밤에도 봐야한다.

 간판 불빛이 방안에서 번쩍거리는 경우가 있다.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일일이 확인하면 더욱 좋다.

하자가 있는 부분은 꼭 임대인과 확인하고 그 내용을 계약서에 넣어야한다.

그래야 나중에 변상하라는 요구를 못한다.


 14. 임대인 즉 집주인과 이야기를 나누어봐라.

 계약하고 싶은 원룸이 있으면 집주인과 이야기를 몇 분이라도 나누어 보는 것이 좋다. 못된 집주인 만나면 사는 내내 짜증난다.

막무가내로 자기 이익 중심으로 자기 생각 중심으로 판단하고 행동 하는 인간이 의의로 많다.


 15. 융자가 많은 집은 월세라도 피하는 것이 좋다.

 융자가 많아도 임대차보호법에 따른 대항력만 갖추고 있다면 사실 월세 보증금을 날릴 확률은 극히 적다.

하지만 융자가 많다는 것은 집주인이 돈이 없다는 말이다.

계약기간이 끝난 시점에 다른 세입자로 대체가 아니 되면 보증금 반환을 제때 못할 확률이 높다.

여유자금이 없다보니 보증금과 월세를 탄력적으로 조정도 못해서 다른 세입자 구하기도 조금은 어렵게 된다.

집주인이 바뀔 확률도 높다.


 16. 전부 전세로 꽌 찬 원룸은 피해라. 전부 전세로 꽉차 있는 원룸은 피해야한다.

집주인이 돈이 없다는 증거이다. 게다가 융자까지 일부 있다면 이미 그 원룸의 주인은 건물시세 이상의 돈을 챙긴 상태이다.

집주인이 포기를 할 가능성이 높다. 설령 집주인은 버틴다 해도 나중에 방빼기 어렵다.

이런 집의 전세금은 시세보다 싸기 때문에 유혹 당하기 쉽다.


 17. 부동산 초보이면 꼭 고수랑 동행을 해라. 부동산 기초 지식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얼마든지 습득한다.

하지만 실전 경험이 없다면 그 지식을 온전히 적용시키기는 어렵다.

방을 최종 선택한 후 계약서 작성시에는 꼭 고수랑 동행을 하여 자문을 구하면서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

물론 부동산중개사무소를 통한다면 위험부담이 줄기는 하지만

수수료 챙기는 것을 최고의 목적으로 삼는 엉터리 부동산들이 분명 있다.


추천 비추천

1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공지 ROOM 갤러리 이용 안내 [115] 운영자 05.03.29 68368 13
368263 테이프 끈적거리는거 제거 뭘로해? [2] ㅇㅇ(39.7) 10:35 8 0
368262 여기 어때보임?? [2] 나룬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51 45 0
368261 침대 사니까 이제 프레임이 고민이네요 ㅋㅋㅋ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5 24 0
368260 침대 이런 책장있는 프레임 어떰? [1] R갤러(211.219) 04.25 95 0
368258 매트리스 이거 사도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12 0
368257 옷보관 어떻게해? ㅇㅇ(39.7) 04.25 27 0
368255 이거 어떡하지 [1] R갤러(118.235) 04.25 75 0
368254 하수구 역류문제 집주인이랑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3] R갤러(14.36) 04.25 75 0
368253 선반 전문가 있냐 [1] R갤러(210.97) 04.25 54 0
368252 북향 원룸 꼭대기에서 살게 되었다. ㅇㅇ(124.56) 04.25 37 0
368251 책상이랑 서랍장 사이에 20cm정도 공간 생기는데 [1] ㅇㅇ(211.234) 04.25 48 0
368249 청년주택 23형으로 가는데 [8] ㅇㅇ(118.235) 04.24 243 0
368248 가구 배치 질문 [1] ㅇㅇ(210.126) 04.24 89 0
368247 침대헤드부분 벽에 안붙혀두될까요 [2] R갤러(124.60) 04.24 80 0
368246 방에 차(미니카) 두대 넣었다! [3] 겜귀찮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79 6
368245 7평형 벽걸이 에어컨 설치하려는데 [1] 111(118.235) 04.24 59 0
368244 대학생 프레임,매트릭스,책상,의자 사고싶은데 100예산 추천좀.. [4] R갤러(106.101) 04.24 62 0
368243 원룸 방충망 틈새 벌레유입 질문있어요 [2] R갤러(211.213) 04.24 99 0
368242 플리커프리 찾다가 걍 카메라 조명으로 바꿨다 [1] B0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11 1
368241 작은방 책상 위치 머가나음?? [7] R갤러(211.223) 04.24 152 0
368240 고양이 때문에 괜찮을려나 [3] R갤러(175.199) 04.24 130 2
368239 26만 미닉스 건조기 vs 30 중반 lg 제습기 [1] R갤러(14.52) 04.24 109 0
368238 원룸 침대 위치 조언 부탁드립니다 [6] SCHD80년분할매수투자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28 0
368237 (데스크 셋업) 필립스 휴 플리커 상관없으니까 그냥 써라 [4] R갤러(112.161) 04.24 143 2
368236 3평방 프레임 추천좀 [1] R갤러(112.166) 04.24 47 0
368235 원룸을 구했는데 현관 중문이 없는데 방음 어떻게 해야할까요? [2] 옆집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74 0
368234 방 이런식으로 구성해보려는데 어떰? [6] ㅇㅇ(58.233) 04.24 172 0
368233 최악의 조건을 가진 원룸, 답도 없는 가구배치 이거 살리면 당신은 "신" [5] R갤러(118.41) 04.24 211 0
368232 원룸 입주하는데, 배치 추천좀 해줄사람?? [3] ㅇㅇ(121.152) 04.24 119 0
368231 일본 워홀러 내일 이케아 가보려는데 침대 프레임 매트릭스 추천좀 [1] ㅇㅇ(223.39) 04.24 64 0
368230 작은방만 확장하는건 보통 얼마함? R갤러(211.235) 04.24 32 0
368229 투룸 침대방에 옷놓기vs컴퓨터책상놓기 [2] ㅇㅇ(119.194) 04.24 76 0
368228 이런 느낌으로 방 꾸미고 싶은데 원룸 잘 고른거 같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20 0
368227 선정리 어케해야할지 막막함 도와주셈 [3] ynn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38 2
368226 다이소 은색유광스프레이는 신이다 R갤러(117.111) 04.24 66 0
368225 붙박이신발장 손잡이 추천좀 [1] R갤러(59.6) 04.23 65 0
368224 붙박이장 손잡이 한쪽vs양쪽 [1] ㅇㅇ(118.32) 04.23 76 0
368223 이케아 밋손 책상 사려는데 이거 많이 흔들림?? [4] ㅇㅇ(211.235) 04.23 131 0
368222 슈퍼싱글로 산거 조금 후회됨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56 0
368221 ㅆㅂ ㅋㅋㅋㅋ 지누스 철제프레임에 q4 올리니까 ㅈㄴ높아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94 2
368219 집 담배냄새때문에 현타온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49 2
368218 10만원대 저가형 매트리스도 쇼룸에 있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74 0
368217 이사 하면서 가전여러개 주문하려는데 R갤러(211.235) 04.23 38 0
368216 데스크 배치 바꿨다 [3] R갤러(218.39) 04.23 158 3
368215 휴지걸이가 떨어져버렸는데 이거 집주인한데 말해도되나?..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01 0
368214 이케아 알랭 사고싶은데 왜 이케아에검색해도안뜨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35 0
368213 야 메모리폼 매트리스 10cm면 단독사용 불가냐?? [2] ㅇㅇ(223.39) 04.23 106 0
368212 바퀴벌레 나왔을때 어케해요 [3] R갤러(39.7) 04.22 135 0
368211 토퍼좀 골라줘어어어ㅓㅓㅓㅓ R갤러(116.36) 04.22 58 0
뉴스 [TVis] 안유진, 도수 높은 안경 쓴 초등시절 사진 파묘 ‘부글부글’ (‘지락실3’)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