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울트라리스크 아종 및 크기,설정 요약앱에서 작성

드라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4.20 23:12:35
조회 2168 추천 15 댓글 8
														

설정이 허구한날 갈아엎어지는 블리자드라서 크기에 대해서는 딱히 뭐라 할수가 없음. 게다가 저그가 생명체이다 보니 대충 크기차이는 개체간 차이라고 밖에 볼수 없을듯

7be48624e0d13df16cb9d2b112d37539f44ef4b27fbb727986942513e50c374cda90683f271cb0e20520a48b7b92f0c421cbbb9cc2cc5ee1cc5cf7081e81c1c6ab4cb9febf6aa4

스1 울트라. 괜히 울레기 아니랄까봐 스플뎀도 없다. 인게임에서는 울레기지만 설정상 저글링과 함께 고속으로 돌진하여 적으로부터 저글링,히드라 같은 맷집이 약한 유닛들 대신 처맞아주고 마린만으로는 어떻게 못하는 유닛임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66d1d1663bef70a0c582cdf9379536342f313166ad00da86ca9f4f5a94a1a57d59b3a38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인트로에서 나온 스1 울트라. 그냥 덩치가 조금더 큰 코끼리 수준으로 나오는데 이때 울트라는 그냥 크기를 거대하게 키우고 맷집이 좋은 저글링정도 취급을 받았던지라 스2에 비해 크기가 작고 상당히 약했음.

적의 공성병기, 특히 리버와 시즈탱크 같은 유닛한테 매우 취약한데 다리 4짝중 한짝이라도 뜯기면 제대로 뛰지도 못하고 꼬꾸라지기 일수였음 그래서 초월체(오버마인드가) 이런 값비싼 울트라가 죽어나가니까 만든 아종이 있는데

74bbd27eb2826cff3cebd2e1428071658fc625d897292a598162a00de1eac840238a63ec6728b3bdfc1813c6d48f0280ea75f624d88a9fdcbe34b52033b2aef8cc47a65d14fbf525

그게 바로 토라스크임. 토라스크는 초월체의 신비로운 공허를 다루는 능력을 통해(젤나가 시체에서 정수 빼 먹고나서 공허에너지를 다루는 방법을 알아낸듯)비싼 토라스크가 죽어도 근처 정신체나 군락에서 부활해서 덤비고 맷집과 공격능력 또한 기존 울트라보다 크기 향상된 종임. 지능도 꽤 높아서 상대의 약점을 파고 들어가서 전장 상황을 뒤집어 엎는 역할도함. 그래서 테란쪽에서는 이 토라스크를 보고 공격하는 정신체로 분석하기도함

다만 이 토라스크는 공허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초월체가 죽고 저그 내전에서 케리건이 승리한후 모든 정신체가 팽당하면서 더이상 부활할 에너지를 공급할 공급처도 부활할 정신체도 없어지면서 점점 세퇴함. 여기서 노현자 토라스크라는 개체가 있는데. 첫번째 초월체가 찢겨나간후 지배를 받지 않다가 자의식이 생김. 이후 자치령 밑으로 들어가 케리건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대가로 용병을 제공하나 현제는 행방 불명.


7fbc8424e48b3ba46aecd3b010d3273b2f9b18224a470bf001d0b060762ff53bf689b4d8bcc4313dc3f7ed5d63d5318b

스타크래프트2에 "버프"먹은 울레기는 덩치가 커지고 한쌍이었던 카이저블레이드(카이저칼날)가 두쌍으로 늘어남. 위에 사진보면 커다란 카이저블레이드 밑에 쪼고만한게 하나 더 달려있음. 덩치가 커지다 보니 맺집도 어마어마하게 단단해져서.

설정상 마린 29명이 갱도에서 갑툭튀한 울트라리스크를 잡으려고 가우스소총(61mm짜리 관통력을 가진 대못발사기가 분당 1500발을 쏜다)을 쏴도 너무 단단하고 커서 아무 데미지가 없었고. 열댓명의 희생으로 폭약쪽으로 유인후 폭약을 터트려서 울트라리스크를 바윗덩어리에 깔아뭉개는데 성공했으나 여전히 죽지 않았다고함.


2b8ae216d7e860e864afd19528d527035c32bd7fc1021f

일단 울트라리스크가 코프룰루구역에서 테란의 시즈탱크나 리버같은 프로토스의 어마어마한 공격에서 버티기 위해 갑피를 거의 2배 가까이 늘리고 내부 장기도 손상될것에 대비해 미리 여러개를 복제해두고 대기해두고 있으며 다리 하나가 뜯겨나가도 멀쩡히 걸어다니고 재생력도 종족전쟁 시절과 비교가 안될정도로 빨라졌으니 꼴랑 마린 29마리로 울트라리스크를 잡는건 말이 안되는거임.

하지만 안타깝게도 인게임에서는 해불이 허리돌리기 투두둑 투두둑 하면 터져뒤지는 안습한 유닛. 프로토스에게 공대공 가능한 가디언(폭풍함)이 있다면 저그에게는 지대지 스카웃이 울트라라고 할정도로 답이 없는 유닛임 아무튼 울트라리스크도 여러가지 아종이 있는데 스타1 아종부터 알아보자면

79e8d474e0d63aa26deb80b446857238f84d5383aebed125940512e4c2ee2cd8d59439adc9612b1bb80d07f3b8fa4bbaaa77fd8e03eb572f495bc278336ed0b717420341383536b0

울트라-종족전쟁 이전부터 저그의 고속 중형기갑병으로서 활동. 스2 시점 울트라보다 작고 갑피가 얇지만 훨씬 빠른속도로 돌진이 가능함. 하지만 다리가 날아가면 무게중심을 못잡고 꼬꾸라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음

18b1c434e4de31b56580e59644ee0733539e8f1f452f22802e73aac371d073e91441928c61d1eb

토라스크, 그런 울트라리스크를 초월체가 직접 개조하여 만든 영웅 울트라. 기존 울트라보다 좀더 커지고 사나워졌지만 지능적이고 죽어도 주변 군락이나 정신체 옆에서 계속해서 부활해서 상대의 약점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공격하는 정신체" 현제는 초월체 사후 대부분의 토라스크가 죽었다는게 정설

38b1c434e4de31b56580d4ac29cb2b2dd6b9d80c2427a59b3a293669fef60b0d7bfefe84d66783f5cb

스2 울트라. 기존 울트라의 약점을 거의다 보완했다고 할정도로 강력해짐. 마린만으로는 사실상 죽이는게 불가능하며 장기가 손상되면 예비로 만들어둔 장기로 대체하면 되고 다리가 뜯겨나가도 스1과 다르게 걸어다니는게 가능함 사실상 신체기관이 모두 망가져서 정지하기 전까지는 죽이는게 불가능하다고 할정도. 프로토스도 다른 저그종은 몰라도 울트라리스크만은 크게 경계하는 이유가 이거임

7cea8971b18561a268ec84e045d0753ee56caf0c6b79d1d15715cf5f4b68d2eb4b

여담으로 무려 땅속에 파고들어가는 잠복이 가능함ㅋㅋ 그 커다란 울트라리스크가 땅을 파고들어갈수 있는 이유는 다리쪽에 분비되는 액체로 지면을 연하게 만들어 파고들어갈수 있는 모양. 사실 내가봐도 얘가 아무리 파고 들어도 대가리부분은 어떻게든 나올텐데 왜 못발견하는지 의문임

02b0d521e4de31b56580e59644ee0733382d72f54e11a42c3227cae5a2f557e6a51b57

22b0d521e4de31b565f2c5a117c3272f045a64d61a61fec0cea01cd25c1f2d16ae75bd71650d097b24de3051c74cba110b2e3a753c68b22145

오메가리스크-초기컨셉 당시에는 차행성에서 변이를 거쳐서 안그래도 커진 울트라리스크가 더 커지고 온몸에 가시촉수가 돋아서 공중이고 지상이고 촉수로 모두 찢어갈기는 컨셉이었으나....

3ea9d132ecd175a77dacd3a1059c312d022c6bd0c2b70e5921a8abeb27fabe64fd44ee851c8f2041a261cf1d2a5094f5cf911063cde43c

켐페인 벨런스,모델링하기 귀찮음,뇌절인것 같음 3가지 이유로 그냥 차행성 저그 땅굴에서 오랜시간 숙성되서 덩치가 어마어마하게 커진 울트라리스크로 설정이 바뀜ㅋㅋㅋ 다만 그 크기가 얼마나 큰지에 대해서는 말이 없는걸 보면 거신보다는 작고 오딘정도 크기인듯

a0490cac353ab360a2333c719b30e8738d716e43391cec7f973fe523a900

피갈리스크-자치령 실험실에서 발견되는 작은 울트라리스크, 울트라리스크의 재생력을 시험해보기 위해 테란의 유전자 조작 기술로 덩치를 소정도로 줄이는데 성공했으나 포악함은 여전하다고 함

7cef8777b3866ae864afd3b236ef203e2adce8693af87b

브루탈리스크, 아바투르왈 저그 진화의 정점이라고 불릴정도로 영웅 제외 단일개체로는 저그종 최강임. 생긴게 마치 사마귀에 전갈하고 지네를 적당히 섞어둔 모습임. 울트라리스크의 또다른 변이종이라고도 하는데

엄밀히 따지면 울트라리스크의 기원종인 브론톨리스의 유전자가 재구성되어 만들어진 울트라리스크의 사촌격 저그라고 보면됌. 지상은 당랑권 쓰듯이 양옆에 달린 부속지로 할퀴고 공중에서 나오는 적은 분비액으로 장거리에서 공격 가능함. 현제 야생,군단에서 브루탈리스크가 얼마나 남아있는지는 확인 불가능할정도로 개체수가 적은편

29e98672e1d768f33cbbd5ec148870692b13edb5d9d7abd40cbcbbb07a503f3b384ae57510d91afec37d1dbd0438cbe6dbe37c2c25065b517f605694e7ca8f9f7891dc8b63eded89

울트라-독성 변이종
아바투르가 테란 과학시설에서 만들던 독소와 울트라리스크를 결합하여 만든 종, 갑피에 뚤린 구멍에서 지속적으로 독소가 흘러나와 카이저 블레이드의 물리적 공격력 외에 독소의 화학적 공격력까지 스플뎀으로 들어옴. 공식 설정상 케리건의 저그는 독성 변이종을 선택했을꺼임. 그외에 특별한 점은 없으나 이 독소방출 유전자를 히드라리스크에 접목하여 가시침에 발라진 독을 강화하고 역시 갑피에서 흘러나오는 독소를 이용해 상대를 공격하는것도 가능.

09bbff76f5863a905f9ef39c22f5007313581a24d64cc32d619574ad09f3d5ef

스2 토라스크 - 엄밀히 따지면 스1 토라스크랑은 다른종이나 비슷한 능력을 가져 토라스크라는 이름이 명명됨. 자치령 구역에서 시험용 핵미사일에 맞고 방사능에 피폭된 울트라리스크를 변이시켜 만든종. 과거 초월체가 토라스크에게 공급했던 공허에너지를 핵분열시 발생하는 핵에너지로 대체하고 근처 군락에서 부활하는것이 아닌 사후 시체에서 새로운 토라스크 고치가 만들어져 수분후 다시 부활함. 다만 그 시간내에 고치를 터트리면 부활하지 못함

잠복돌진은 위에 언급한 분비액을 더많이 분비해 지면을 녹여버린후 카이저 블레이드와 발톱을 이용해 땅을 순식간에 파해친후 적에게 달려들어가 땅을 뚫고나와서 상대 진영 전열을 무너트리는 역할을함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15

고정닉 1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공지 스타2 무료화 표로 정리해봄.yoyak [29] dd(121.176) 17.11.06 49473 117
공지 스타크래프트 II 갤러리 이용 안내 [71] 운영자 13.02.15 94038 46
1406005 짐레이너와 케리건 [1] ㅇㅇ(211.252) 11:50 14 0
1406004 달펭이가 개지랄하는이유 스갤러(118.235) 11:24 29 1
1406002 어제 세랄vs김도욱 마지막경기가 진짜 기동전의 진수더라. 스갤러(211.214) 11:16 23 0
1405997 좋은아침. [3] ㅇㅇ(114.108) 07:14 64 1
1405994 근데 참 달팽이라는새끼도 불쌍하지 않냐? [4] 침팬치 (122.35) 04:28 121 13
1405991 요즘 저그상대로 테란은 공중전감?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3 113 0
1405990 세랄이 하면 왤케 쉬워보이냐 침팬치 (122.35) 01:24 47 0
1405989 병신새끼들아 달팽이(223.39) 01:17 61 0
1405988 김도욱 정도면 잘하는 선수인데 [2] 스갤러(118.235) 05.02 77 0
1405987 김도욱 상대로 저정도면 저그는 답 없네 메지로도베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63 0
1405986 박령우가 세랄 7전제 이겼네 [2] ㅇㅇ(119.70) 05.02 143 7
1405985 Ewc세랄빼고는 저그 썰릴것 같은데;; ㄹ4(222.236) 05.02 68 1
1405984 크랭크도 먹고 살려고 틀타하는구나 [1] 스갤러(118.235) 05.02 108 0
1405983 스타크래프트 성대모사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67 0
1405981 스타1캠페인도 나름명작임. [3] ㅇㅇ(114.108) 05.02 103 1
1405979 / 시른데 배 SC3 연승전 / 스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41 0
1405978 pc방와서 스타2 키는데 이 버그 뭐냐? [5] 스갤러(123.140) 05.02 139 0
1405977 스타1에서 하는 스타2【스타2크래프트】 v1.95.1v 업데이트 [3] 스갤러(211.36) 05.02 166 6
1405975 아 개병신겜 [2] 스갤러(121.178) 05.02 135 0
1405972 프로게이머 치터3 1대7으로이기기가능함? [4] ㅇㅇ(106.102) 05.02 123 0
1405971 걍 저그 여왕 너프 롤백하고 염충 진균 너프하면 황밸각일듯 [5] ㅇㅇ(211.234) 05.02 131 0
1405970 인공지능이랑 2ㄷ2 하는데 재미없네 [1] ㅎ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93 0
1405969 세랄 클렘 마루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59 0
1405961 내가 생각하는 재능이란 이런듯 [5] 스갤러(122.35) 05.02 163 0
1405958 발로그가 유명한건 그냥 발로그닉을 써서임 [1] 스갤러(123.215) 05.02 82 0
1405957 달펭아 아이피는 바꿔와라 [1] 스갤러(39.127) 05.02 97 5
1405956 아니면 박령우식 일벌레100마리 ㄱㄱ ㅇㅇ(114.108) 05.02 64 0
1405955 여기애들 문제가 기본 5000점은 깔고 말하는듯 [13] 스갤러(1.242) 05.02 217 0
1405954 발로그맵핵러 마3미만이면 안하는게좋음 스갤러(1.242) 05.02 77 0
1405952 근데 발로그는 테테로 관광하려고해도 맛이 안 날것 같음 [6] ㅇㅇ(1.253) 05.02 84 0
1405951 블자 맵핵정지 안하는거랑 완장없어서 밑에 패드리퍼 못거르는거랑 [9] ㅇㅇ(114.108) 05.02 111 0
1405950 요즘맵핵들은 안숨기고대놓고함 [4] ㅇㅇ(112.164) 05.02 106 0
1405949 맵핵이든뭐든 기갑전차바이킹 ㅈㄴ모아서 10분에들이박으면 됨 [6] ㅇㅇ(114.108) 05.02 98 0
1405948 맵핵유저 발로그의 닉네임의 의미 [4] ㅇㅇ(114.108) 05.02 97 0
1405946 그마50자리로줄여야지 달팽이(114.108) 05.02 54 1
1405945 맥팩이 항상 순수실력도르 딸치는 놈들 많은데 이해가 안되네 [2] 스갤러(210.123) 05.02 100 2
1405944 푸딩연합 들어오실분? [3] ㅇㅇ(223.38) 05.02 69 2
1405943 니들이 말하는 발로그 애 맞음? [24] 스갤러(175.115) 05.02 204 3
1405942 동족전은 맥스팩스가 김준호보다 낫지 달팽이(114.108) 05.01 42 0
1405941 난 맥스팩스가 김준호보다 잘하는거 맞는거같은데 ㅇㅇ [9] 스갤러(211.214) 05.01 140 0
1405940 완장뭐함 밴안하고 ㅇㅇ(211.234) 05.01 51 0
1405939 정신병자 한마리 갱차 못하는게 한이구나 [1] ㅇㅇ(39.7) 05.01 69 0
1405938 진짜 갤 개쳐망했네 [2] ㅇㅇ(172.226) 05.01 130 7
1405933 아니 스2 왜 자꾸 실행안됨? ㅇㅇ(118.36) 05.01 45 0
1405932 복귀유저 스갤러(211.119) 05.01 42 0
1405931 와 세랄 소름돋게 잘하네ㄷㄷㄷㄷㄷㄷㄷ;;;;;;; ㅇㅇ(39.120) 05.01 90 0
1405930 저그들 토스전 왤케 징징거리냐?? 지금 할만한거아님??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99 0
1405929 차관 자동전환 없애고 감염충도 기본공격 만들어라 [1] 스갤러(222.109) 05.01 58 0
뉴스 김성령, 5년 만에 ‘전참시’ 복귀…새 집 최초 공개→발성장애 고백 후 근황까지 디시트렌드 05.0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