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KOL 인터뷰 Vol.3] 코인이지, 트렌드를 쫓기보다 본질을 이해하라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11.18 15:00:00
조회 619 추천 3 댓글 1
														


 

한국·아시아 시장에서 Web3 프로젝트와 유저를 연결하며 교육·커뮤니티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가고 있는 코인이지.

단순한 투자 정보 채널이 아니라, 글로벌 프로젝트의 한국 진출을 돕고, 한국 투자자와 빌더가 더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오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다.

 

“이해하지 못한 프로젝트에는 투자하지 않는다.” 코인이지 운영자의 철학처럼, 코인이지는 빠르게 지나가는 가격 변동보다 프로젝트의 구조·팀·철학을 깊이 읽어내는 ‘본질 중심’의 인사이트를 전달해 왔다.

 

이번 코박 인터뷰에서는 코인이지가 바라보는 2025년 Web3 시장의 전환점, 그리고 급변하는 시장 속에서 투자자가 지켜야 할 원칙에 대해보다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눠봤다.

 

 
  1. 간단히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코인이지(CoinEasy)를 운영하고 있는 이승현입니다.
    CoinEasy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 Web3 프로젝트와 유저를 연결하는 교육·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쉽고 재미있게 배우며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글로벌 프로젝트의 한국 시장 진출을 돕고, 한국 투자자와 빌더들이 보다 건강하게 Web3를 이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2. 언제부터 가상자산 투자를 시작하셨나요?
    2019년부터입니다. 당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보였고, 단순한 투자가 아닌 금융과 기술이 결합된 미래 산업으로 느껴졌습니다.
     

  3. 투자 초기에 어떤 계기로 크립토 시장에 진입하셨나요?
    기존 금융 시스템이 가진 한계를 직접 느끼면서, 탈중앙화와 투명성이라는 개념에 강하게 끌렸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호기심이었지만, 점차 블록체인이 가진 사회적·경제적 의미에 깊이 빠지게 되었습니다.


     

  4. 본인만의 투자 철학이나 원칙이 있다면?
    “이해하지 못한 프로젝트에는 투자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기적인 가격보다 프로젝트의 구조와 팀의 진정성을 더 중요하게 봅니다.
    결국 시장의 사이클이 바뀌어도 살아남는 것은 ‘철학이 있는 프로젝트’라고 믿습니다.


     

  5. 장기 투자 vs 단타, 어떤 스타일인가요?
    장기 중심의 투자자입니다.
    한 번 진입하면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실행력을 최소 6개월 이상 지켜보는 편입니다.


     

  6. 최근 주목하고 있는 코인이나 섹터는 무엇인가요?
    AI와 RWA(실물자산 토큰화) 두 섹터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AI는 효율성, RWA는 신뢰성을 재정의하고 있으며, 두 영역이 결합될 때 Web3의 실사용 가치가 폭발적으로 커질 것으로 봅니다.


     

  7. 2025년 연말 시장에 대한 전망은 어떠신가요?
    ETF와 글로벌 정책 정비로 인해 자금 유입이 본격화되는 시기라고 봅니다.
    단기 조정은 있겠지만, 2025년 말에는 BTC 중심으로 강세장이 재확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8. 한국 시장의 트렌드와 해외 시장의 차이는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한국은 여전히 커뮤니티 중심의 빠른 정보 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해외는 기술 중심의 장기 빌드 문화가 뿌리 깊습니다.
    코인이지는 이 둘을 연결하여, 한국 유저가 단순 투자자를 넘어 글로벌 빌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9. 앞으로 주목해야 할 차세대 트렌드(예: RWA, AI 코인, GameFi 등)는 무엇인가요?
    AI와 RWA의 결합, 그리고 SocialFi의 실사용화를 꼽습니다.
    이 세 가지가 함께 발전하면 ‘참여-보상-데이터 소유’의 선순환 구조가 현실화될 것입니다.


     

  10. 개인 미디어(유튜브, 트위터 등) 운영 노하우가 있다면?
    ‘전문성보다 진정성’이 핵심입니다.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게 아니라, 실제 경험과 시장의 온도를 솔직히 나누면 자연스럽게 신뢰가 쌓입니다.


     

  11. 초보 투자자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은 무엇인가요?
    “빨리 부자가 되려 하지 말고, 오래 살아남는 투자자가 되라.”
    공식 채널, 신뢰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통해 기본기를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2. 코박 같은 투자 커뮤니티를 참고해야 하는 이유를 추천한다면?
    코박은 단순한 정보 플랫폼이 아니라, 투자자 간의 학습과 검증이 이루어지는 열린 생태계라고 생각합니다.
    올바른 커뮤니티를 통해 ‘투기’가 아닌 ‘투자’를 배울 수 있습니다.


     

  13. 향후 개인적으로 준비 중이거나 도전해보고 싶은 분야는 무엇인가요?
    Web3 교육과 AI를 결합한 “Learn & Earn” 플랫폼 확장입니다.
    유저가 배우는 즉시 보상받고, 스스로 경제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14. 마지막으로 코박 유저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트렌드를 쫓기보다, 트렌드를 이해하세요.”
    지속 가능한 투자는 깊은 이해에서 시작됩니다.
    앞으로도 코박과 같은 좋은 커뮤니티에서 서로 배우며 함께 성장하길 바랍니다.


     

     


뉴스 홈 | 코박 - 가상자산 투자정보 플랫폼(cobak.co)



▶ 진짜 겨울 시작.. 넘 춥네요.▶ ETH가 3,000달러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Fundstrat의 Tom Lee는 최악의 상황은 거의 끝났다고 말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편한밤요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2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대박 날 것 같아서 내 꿈에 나와줬으면 하는 스타는? 운영자 25/11/17 - -
654 제로 해시 설문조사(25/11/20)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5 6 0
653 코인 투자도, 결국 '투자'입니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8 6 0
652 [KOL 인터뷰 Vol.4] 개인적인 DYOR, 무리하지 않는 투자자가 끝까지 살아남는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34 12 1
651 최근 비트코인 조정,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2 26 0
650 파이코인 근황, 5천만 노드를 활용한 ‘탈중앙 AI’ 실험 ··· 성공할 수 있을까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19 0
649 비트코인 채굴 95% 완료. 채굴 업체 AI에 관심 중 [1]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215 1
648 은행이 코인 담는 걸 막았던 1250% 족쇄, 미국과 영국이 판을 엎으려는 이유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8 627 1
647 암호화폐 시장에 충격파: BlackRock의 비트코인 ETF에서 5억 2,300만 달러의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 이탈 발생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8 38 0
646 2025.11.19 금일의 코인 주요 이슈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0 21 0
645 네이버 두나무 합병 임박?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3 26 0
644 2025.11.19 나스닥 이슈 및 지수 분석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21 0
643 비트코인, 8만 달러 이하 바닥 형성을 피하기 위해 이 수준을 회복해야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9 0
642 하락장일수록 주목해야 하는 프로젝트는 존재합니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29 0
641 '매도하지 않고 매수 중' 세일러가 BTC 매도 소문 부정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60 1
640 요즘 '정부 코인'이 심상치 않다: 필리핀 월급부터 마셜제도 UBI까지, 얘네 지금 뭐하는 걸까? [3]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730 3
639 신중한 반등: 주식 폭락 속 비트코인 반등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42 0
638 밈코인의 시대는 다시 온다? DEX 트레이딩 패러다임의 전환기.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1 0
637 Circle, 사용자가 USDC 지원 스테이블코인을 배포할 수 있도록 xReserve 출시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43 0
636 지금 반등, 진짜인가? — 구조로 판단한 BTC의 현재 위치 [8]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1109 2
635 비트코인 폭락으로 주요 비트코인 ETF 보유자들 손실 급증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68 0
634 2028년의 스테이블 코인 시장, 2조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50 0
633 사이클이 끝난 줄 알았던 그 하락, 온체인은 전혀 다른 말을 하고 있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75 0
632 개인 매도세 VS 고래 매수세(25/11/18)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44 0
631 일본, 암호화폐를 금융상품으로 분류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31 0
630 암호화폐의 획기적인 주: Solana와 Dogecoin ETF 출시 예정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46 0
629 이 3개 토큰은 이번 주에 상당한 청산 위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49 0
[KOL 인터뷰 Vol.3] 코인이지, 트렌드를 쫓기보다 본질을 이해하라 [1]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619 3
627 이번 연말... '산타 랠리' 올 수 있을까?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42 0
626 지금 하락은 ‘끝’이 아니라 상승 직전 마지막 압축이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59 0
625 트럼프 일가, 몰디브 초호화 호텔 개발… 세계 최초로 ‘건설 단계부터’ 토큰화 판매 나선다 [1]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59 1
624 지금 같은 장에서는… 잡알트는 줄이고 BTC는 지켜야 한다 [2]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598 0
623 헛반등 5번… 왜 자꾸 미끄러질까?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30 0
622 체코가 비트 코인을 받았습니다. 비유로 지역에서 진행되는 BTC 전략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20 0
621 “이러니 가격이 안 오르지!” 비탈릭이 직접 등판해 지적한 이더리움의 치명적인 문제점 [1]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50 0
620 ETH가 3,000달러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Fundstrat의 Tom Lee는 최악의 상황은 거의 끝났다고 말했습니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35 0
619 BTC/USDT 1D 차트복기 입니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30 0
618 이번 주 매크로 일정 확인하세요!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45 0
617 사실상 '시즌 종료'....? 향후 방향성은?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48 0
616 2025.11.17 금일의 코인 주요 이슈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8 450 0
615 이 수준에서 돌파하면 Zcash(ZEC)가 1,0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52 0
614 일본 가상자산 금융상품으로 지정, 세율 ↓(25/11/17)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29 0
613 11월 17일 월요일 비트코인: '이 자리'에서는 현물을 매수할 계획입니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42 0
612 비트코인, 금리 인하 기대감 사라지며 9만5천달러로 폭락, 6억1천700만달러 청산 사태 촉발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42 0
611 마이클 세일러의 비트코인 매입 모델은 ‘사기’?… 12월 두바이에서 공개 토론 열리나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76 1
610 5600만명 유저 결제 앱 「Cash App」, USDC 지원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33 0
609 “선 넘네?” 햄버거 가게의 이더리움 설문조사에 비트코인 커뮤니티가 폭발한 웃픈 사건 [13]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3402 3
608 5년 만에 몰락: 카르다노 고래, 원클릭 실패로 600만 달러 손실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77 0
607 2025.11.16 금일의 코인 주요 이슈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122 0
606 돼지 도살 암호화폐 사기, 국가 안보에 중대한 우려로 부상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69 0
605 2027년 가상자산 과세, 미리 알아보기. 코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5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