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칼럼] 돌림힘 문제에서 회전축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가?

Olf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12.18 17:09:57
조회 12323 추천 42 댓글 10
														

※초보자용, 고인물들한텐 도움안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수능 돌림힘 문제는 주어진 상황이 힘의 평형과 돌림힘의 평형을 모두 만족하고 있다는 점만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τ=r×F, ∑F=0, τ=0. 돌림힘은 힘과 거리의 곱, 힘이 평형을 이룬다, 돌림힘이 평형을 이룬다. 문제에 사용되는 개념은 이게 끝입니다.


그러나 돌림힘 문제를 처음 풀 때에는 범람하는 변수의 바다에서 허우적대다가 시간을 낭비하는 상황이 잦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필요하지 않은 장력, 수직항력 등을 직접 구하거나, 그런 물리량을 식에 넣고 계산하는 등이 대표적입니다.


필요없는 물리량을 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직진하면 될 길을 굳이 빙 돌아 가는 것과 같습니다.


이런 일은 대부분 회전축을 잘 잡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회전축을 잘 잡으면 계산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문제를 빨리 해결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회전축을 잘 잡는다는 것은 돌림힘 문제를 잘 푼다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특히 '어떻게 하면 계산을 덜 하고 이 문제를 풀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의식적으로 하는 것은,


물리적 직관을 키워 주어, 비단 돌림힘뿐만 아니라 물리학II 전반의 실력을 키우는 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먼저 돌림힘 문제를 볼 때면 그림을 단순화시켜 그리는 작업부터 해 주세요.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aeff2ca1bab4ab1a27cd2ba

예를 들어 이런 그림이 있다고 한다면(막대의 무게와 물체의 크기를 무시합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fe9f69c1af91ee629ca110b

이렇게 생긴 그림으로 대략 단순화를 시켜 주십사, 하는 것입니다.


직접 그림에 화살표를 그리든, 머릿속으로 저런 그림을 떠올리든 괜찮습니다.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어디에 잡아야 하는가?


회전축은 위에서 말했듯이, '계산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잡는 것이 기본입니다.


대부분은 힘의 작용점에 잡게 됩니다. τ=r×F에서 r=0일 때 τ=0이 되어 그 지점에서 작용하는 힘은 계산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기출문제와 함께 설명해 보겠습니다. 140918입니다. 이 글의 기출문제는 물리학II의 기출문제라는 말이 없다면 물리I의 기출문제입니다.


막대와 줄이 대여섯 개씩 나오는 후기 물리I의 기출문제에 비교하면 초라하기 짝이 없지만, 올해 물리학II의 기출문제도 다 이 꼴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fe2ad9e41aa1ab6dd480603

물체의 무게를 W, 손이 줄을 당기는 힘의 크기를 T라고 합시다. 우리가 구해야 하는 물리량은 T입니다.


일단 힘의 평형을 이용한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T = 5 + 10 + W에서 W = T-15입니다. (단위는 편의상 생략합니다)


이제 어디든(정말 어디든) 회전축으로 잡고 돌림힘의 평형을 이용한 식을 세워 봅시다. 저는 막대의 왼쪽 끝을 회전축으로 잡겠습니다.


추와 막대, 물체의 무게는 시계 방향의 돌림힘을, 손이 줄을 당기는 힘은 반시계 방향의 돌림힘을 각각 막대에 작용합니다.


돌림힘이 평형을 이루므로 3×5 + 4×10 + 6×W = 5×T입니다. W = T-15를 대입하고 정리하면 T = 35입니다.


답은 나왔습니다. 그러나 비효율적인 풀이입니다.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풀 수 있을까요?




회전축을 막대의 중심 또는 추의 무게의 작용점에 잡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막대나 추의 무게를 식에 넣어 계산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물체의 무게의 작용점을 회전축으로 잡는 것입니다.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물리량은 손이 줄을 당기는 힘, 즉 T입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물리량은 T와 W입니다.


그런데 W의 값은 알 필요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W가 작용하는 위치를 회전축으로 잡아도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다시 강조하겠습니다. τ=r×F에서 r=0일 때 τ=0이 되어 그 지점에서 작용하는 힘은 계산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W가 작용하는 위치를 회전축으로 잡아 봅시다. 추와 막대의 무게는 반시계 방향의, 손이 줄을 당기는 힘은 시계 방향의 돌림힘을 각각 막대에 작용합니다.


3×5 + 2×10 = 1×T이므로 바로 T=35임을 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문제에서 구해야 하는 물리량이 물체의 무게였다면? 손이 줄을 당기는 힘의 작용점을 회전축으로 잡으면 되었겠지요.


이렇게 '구할 필요가 없는 힘' 이 작용하는 위치를 회전축으로 잡는다면 계산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제인 181115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be2a1ca14a449b0a34cffc2

그림을 간단하게 표시한다면 무엇이 구할 필요 없는 힘인지, 어디를 회전축으로 잡아야 계산을 줄일 수 있을지 보입니다.


축바퀴가 헷갈릴 때에는 축바퀴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놓고 돌림힘의 평형을 적용한다고 생각해도 괜찮습니다.



160920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eeaa7ce12aa1bb7026a1c9f

이번에는 무게나 질량이 아닌 거리를 물어보고 있습니다. 별 다를 바는 없습니다. 그러나 꽤 어려운 문제입니다. 지문을 잘 읽어 주세요.


무엇이 구할 필요 없는 힘인지 보인다면, 그 작용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돌림힘의 평형을 이용한 식을 세우고, 차근차근 물리량을 구해나가면 됩니다.


그 과정에서 돌림힘 문제를 푸는 데 사용되는 기본은 돌림힘의 평형도 있지만, 힘의 평형도 있음을 꼭 잊지 말아 주세요.


그리고 마지막에 회전축을 잡을 때 하나만 생각해 주세요. (3L-x)를 식에 넣고 계산하는 것이 편할지, x를 식에 넣고 계산하는 것이 편할지 말입니다.



200919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abdaccb10ff16b5bd8ec175

160920와 유사한 문제이지만 약간 더 쉽습니다. 역시 힘의 평형을 잊지 말아 주시길 바랍니다.


이 문제도 마찬가지로 (2L+x)나 (6L-x)를 식에 넣고 계산하는 것이 편할지, x를 식에 넣고 계산하는 것이 편할지 생각해 주세요.




이 문제는 어떨까요?


210615입니다. 물리학II 기출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cedf6cb1bff4bb4c1cfc8dc

문제에서 T와 F의 비율을 물어보고 있네요. 아까와 같은 방법으로 T의 값도 F의 값도 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T의 작용점을 회전축으로 하면 F의 값을, F의 작용점을 회전축으로 하면 T의 값을 구할 수 있네요. 문제가 풀렸습니다.


혹시 다른 곳을 회전축으로 잡아 보는 것은 어떨까요?


막대의 가장 왼쪽, 물체가 매달린 위치를 회전축으로 잡거나 막대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잡고 돌림힘의 평형을 이용한 식을 세워 봅시다.


각각 8mgL + 8FL = 5TL, 4mgL + TL = 4FL라는 식이 나옵니다.(g는 중력가속도)


둘 중 어느 것이든 힘의 평형을 이용한 식 T = F + mg + 2mg와 연립방정식을 풀어야 하겠습니다. 아까보다 계산이 귀찮아졌습니다.


더 계산을 줄일 수는 없는 걸까요?




이번에는 막대 제일 왼쪽에서부터 거리가 8/3L인 지점에 회전축을 잡아 보겠습니다. 뭔가 이상한 숫자지만, 일단 해 보겠습니다.


물체의 무게와 T는 반시계 방향의, 막대의 무게와 F는 시계 방향의 돌림힘을 각각 막대에 작용합니다.


8/3mgL + 7/3TL = 8/3mgL + 16/3FL이라는 식이 나옵니다. m이 들어간 항이 사라지네요? 7T = 16F만 남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왜 막대 제일 왼쪽에서 거리가 8/3L이 되는 지점을 회전축으로 설정했더니 m이 들어간 항이 사라지는 걸까요?


그 지점은 아무렇게나 잡은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어떻게 잡아야 하는가?


회전축을 저 위치에 잡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개가 있습니다. 사실 제가 두 개만 압니다.


첫 번째는 무게중심이고, 두 번째는 힘의 분배와 합성입니다.




1) 무게중심


질량중심은 어떤 물체의 질량이 하나의 점에 모여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점입니다.


2차원의 경우에는 원이나 정다각형, 3차원의 경우에는 구나 정다면체처럼 균일한 도형에는 직관적인 '중심' 이 질량중심의 위치입니다.


무게중심의 정의는 이와는 다릅니다. 그러나 수능 돌림힘 문제에서는 질량중심의 위치가 무게중심의 위치와 같습니다.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물체의 경우에도 그 무게중심이 어딘가에 존재합니다. 문제를 풀 때는 이 점을 이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dbdf6ce12ab4be500b01854

무게중심의 위치를 알고 있고, 저 무게들의 합이 무게중심에 작용한다고 합시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4e9f5c81afd4ee50a22cdec

윗 상황과 아랫 상황은 돌림힘 문제를 풀 때(=힘의 평형식과 돌림힘의 평형식을 세울 때) 완전히 동일한 상황입니다.


이를 이용해서 여러 개의 힘을 마치 하나의 힘처럼 취급하여 돌림힘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W를 무게, r이 막대 맨 왼쪽에서부터 무게가 작용하는 점까지의 거리라고 합시다.


무게중심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fbda6ca1ba41cb6a01b97ef

즉, 무게중심의 위치는 무게와 거리의 곱들의 합을 무게의 합으로 나눈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막대의 무게는 무시합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8b9a2981aac1fe22b309cf3

이런 상황에서, 무게중심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beaf5cd12a517b62795b02a

따라서 무게중심은 막대 맨 왼쪽에서 15/4m만큼 떨어진 곳에 존재합니다.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무게의 합들과 같습니다.


따라서 저 상황은,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27a12467da76538c3c8fea81d968679077ec3fc7ca42c64c70e2ffee8cd9e6a60770c679731a8

이 상황과 같습니다.


돌아가 봅시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abfa39847f94ae40305661c

물체와 막대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구해 봅시다. 물체의 무게는 mg, 막대의 무게는 2mg입니다.


막대 맨 왼쪽에서부터 물체의 무게의 작용점까지 거리는 0이고, 막대의 무게의 작용점까지의 거리는 4L입니다.


따라서 무게중심의 위치는 막대 맨 왼쪽에서부터 (0×mg + 4L×2mg)/mg + 2mg = 8/3L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4bda59f16a519b121349137

이 상황이,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8e8f1ce1bad4ab23290073c

이 상황과 같습니다.


이제 막대에 작용하는 힘은 세 가지입니다. 왼쪽에서부터 8/3L 지점의 3mg, 5L 지점의 T, 8L 지점의 F.


우리가 구해야 하는 값은 T와 F의 비입니다. mg는 필요없습니다.


다시 떠올려 봅시다.


"τ=r×F에서 r=0일 때 τ=0이 되어 그 지점에서 작용하는 힘은 계산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왼쪽에서 8/3L만큼 떨어진 지점을 회전축으로 잡게 되면 mg가 포함되지 않은 식을 얻게 됩니다. 바로 T와 F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사용한 방법과 별 다를 바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T와 F를 각각 회전축으로 잡아 계산할 때에는 식을 2개 얻었습니다. 식 하나에서 F의 값을 얻고, 다른 하나에서 T의 값을 얻었습니다.


무게중심을 사용한 방법도 마찬가지로 식을 2개 얻었습니다.


막대와 물체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구하는 식과, 8/3L 지점을 회전축으로 잡고 돌림힘의 평형을 이용한 식이었습니다.


그러나 무게중심의 위치를 구하는 식은 상대적으로 계산이 편리합니다.


막대 가장 왼쪽을 기준으로 잡고, 단순히 무게와 거리를 곱한 것을 모두 더한 것을 무게의 합으로 나눠 주기만 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둘이지만, 물체가 서넛 이상이 되면 무게중심의 위치를 구하는 계산이 돌림힘의 평형을 이용한 식의 계산보다 빠릅니다.




몇 가지 예제를 봅시다.


예전에는 무게중심만을 이용하여도 풀 수 있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었습니다.


요즘은 그런 문제가 출제되지 않지만, 여전히 무게중심의 개념을 알고 있다면 문제를 유연하게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51120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8bfa49912a41ae3a489d5af

생각해 볼 만한 요소가 많습니다.


'평형이 깨지기 직전의 상황' 은 기출에서 수도 없이 다루어졌습니다. 이번 수능 19번도 그런 상황을 가정한 문제였습니다.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x의 최댓값이라는 것은 x의 값이 커지다 보면 물체의 평형이 깨진다는 소리입니다.


평형이 깨질 때 어떻게 될 것인가. 평형이 깨지기 직전의 상태는 어떨 것인가. 그 때에 회전축을 어떻게 잡아야 할 것인가.


그런 문제들을 마주쳤을 때에는 먼저 위의 질문들의 답을 고민해 보고 풀어 보시길 권합니다.


이 문제는 무게중심을 이용한 풀이도 한 번 해 보시길 바랍니다.


무게중심이 x에 대한 종속 변수로 표현되네요. 무게중심이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요. 어느 선을 넘으면 평형이 깨지게 될까요.



161120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9eaf19c12a417e3e1daa219

유명한 문제입니다. 151120과 비슷한데, 이제 최솟값까지 물어보네요. 마찬가지로 생각해 봅시다.


x가 최솟값보다 작아지면 빔이 어떻게 될 것인가. 최소일 때는 어떤 상태일 것인가. 그 때에 회전축을 어떻게 잡아야 할 것인가. 최대일 때도요.


무게중심을 이용한 풀이를 하려고 하는데, 빔 위에 놓인 물체의 생김새가 신경쓰이네요. 저렇게 생긴 물체의 무게중심은 어디에 있는 걸까요.


이 문제들은 하나의 막대의 평형이 깨지는 상황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물체의 평형이 깨질 때의 상황에 대한 감을 잡는 연습을 하기 좋습니다.


상황이 변하면, 회전축을 잡아야 하는 위치가 달라집니다. 중요합니다.




2) 힘의 분배와 합성


무게중심을 이용한 풀이에서 여러 개의 힘을 하나의 힘으로 취급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fe8f6c417ab4ee49b35afee


이런 상황과,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dbaa49e40ff1db0cbb4a402

이런 상황이 같습니다.


같다고요?


그렇다면,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9b8f29c12f81abeb2f390f0


이런 상황과,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ee9a5cc16af4ce6efc68936

이런 상황이 같을까요?


같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힘을 여럿의 힘으로 쪼개어 계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몇 개로 쪼개든 원래 상황과 같다면 상관없습니다. 그러나 수능 문제를 푸는 데는 두 개로만 쪼갤 수 있다면 충분합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abdf1ca44aa1db620d81b8e

이런 상황을,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eeca1c841aa4db541a49988

이런 상황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무게중심을 구해 보면 막대 맨 왼쪽에서 a만큼 떨어진 곳에 크기가 F인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화해서 쓰니 복잡해 보이지만, 가까운 곳에 더 많은 무게가 실린다는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사실만 기억하고 있으면 충분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막대의 무게는 무시합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9edf6ca15a54cb62003c7cd

이런 상황과,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aeea3cb43ad49e5fa6dbb2a

이런 상황이 같습니다.




다시 한 번 생각해 봅시다. 힘 하나를 둘으로 쪼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힘 둘을 하나로 합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ebef6ce17aa1eb0fc14a10d


각각 양 끝에 작용하는 힘의 비율이 얼마인가요? b:a입니다. 여기서 F만큼의 힘이 작용할 지점은 막대를 a:b로 '내분' 하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지점에 작용하는 힘 크기의 비율이 x:y라면,


그 두 지점을 y:x로 '내분' 하는 지점에 두 힘의 크기를 합한 만큼의 힘이 작용한다고 생각하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n개의 힘을 합성하는 일반적인 경우인 무게중심법과 비교해, 이것은 힘을 두 개만 합성하는 특수한 경우입니다.


막대 맨 끝을 기준점으로 할 필요도 없고, 힘과 거리의 곱을 모두 더한 것을 힘을 모두 더한 것으로 나누는 계산보다 빠릅니다.


특수한 경우는 계산이 편리해지는 일이 많습니다. 힘을 두 개만 합성할 때는 이렇게 계산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다시 돌아가 봅시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ce3f6cc10a94de5d5e65f35

이제 더 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물체의 무게와 막대의 무게의 비율이 1:2입니다.


그렇다면 물체의 무게가 작용하는 지점과 막대의 무게가 작용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 4L을 2:1로 내분한 지점에 3mg가 작용한다고 보아도 같은 상황입니다.


그 지점은 막대 맨 왼쪽에서부터 8/3L 떨어진 지점이고, 그 지점을 회전축으로 잡는다면 m이 포함되지 않은 T와 F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풀 때엔 언제나 '무엇을 구해야 하는가' 를 머릿속에 떠올리고 문제를 풀어 주시길 바랍니다.


이 문제에서 답으로 요구하는 물리량이 T-F였다면? 이 둘의 관계식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수능 물리에는 답으로 두 물리량 사이의 비율을 요구하는 문제가 더 많습니다.


처음에 언급했던 바와 같이, 기출을 풀다 보면 '어떻게 하면 계산을 덜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볼 기회가 많이 찾아옵니다.




예제인 201119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9beba39e41f84abf03a110c9

막막한 상황입니다. 막대가 세 종류 있습니다. 질량이 전부 다릅니다. 심지어 세 층으로 쌓여 있습니다. 가장 위층부터 시작합시다.


수직항력이 작용하는 위치를 회전축으로 잡고 돌림힘의 평형을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힘을 분배해 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210919입니다. 물리학II 기출입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5fa11d02831f032f3b7b65aa670697c5ec326237a125d03fe11504f3824e2e075cae5142f6a5264e8ce0529c563cfe3a19946fd1ab53f0574ce

힘의 평형과 힘의 분배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t=0일 때 받침대 A와 물체가 같은 연직선상에 존재한다는 조건을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까요.




※함께 보면 좋은 돌림힘 칼럼


정역학 문제에서 변화량 풀이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hysics2&no=10143


이제 170620(삐에로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지2갤 주딱이 쓴 물2 칼럼. ???



2차원 돌림힘 - 기하 문제로 바꿔 풀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hysics2&no=5312


6/9평에 2차원 돌림힘이 출제된다면 가장 먼저 읽어봐야 할 칼럼. 이걸 고1이 썼답니다. 난고1때롤했는데

추천 비추천

42

고정닉 13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 설문 우리나라를 대표해서 UN 연설자로 내보내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5/09/29 - -
728507 공지 질문은 질문탭에 올려주세요 [2] 라플라시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20 1740 22
751271 공지 신문고 [6] 라플라시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9.17 379 12
643937 공지 [2024.7.1 업데이트] 물리학2 갤러리 칼럼 정리 [10] 붕옥아이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1 41413 66
745960 공지 2026 물리학II & 화학II 마이너 갤러리 100일의 전사 [40] 라플라시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8.05 2203 48
753373 일반 수고했어 오늘도 적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0 15 0
753372 일반 저넓은 벨튀하다 차단당한거였음? 세번째는운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5 28 0
753371 일반 잠안와서 스러너꺼냄 [1] 감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0 36 0
753370 일반 요즘 정병훈 복영 스튜디오 거만 보는중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8 46 0
753369 일반 블아 포토카드 구함 삼중수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8 21 0
753368 일반 제발 붙어라 [1] 능지처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37 0
753367 일반 올해 설사학이나 국문, 상경 골인하면 순살 황올 10개 뿌린다고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0 1
753366 일반 어쩐지 갤이 클린하다 싶었더니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1 120 7
753365 일반 미처 말하지 못했어 [1] ㅇㅇ(49.161) 00:45 52 0
753364 자작 기하 카르텔 수탐을건지고국영을버리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1 39 0
753363 일반 대학 국어로 가겠다 선언 [1] 산란되는광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7 61 0
753362 일반 나 너무 억울해 능지처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7 28 0
753361 일반 인문이면 제2외 공부 해야하나 한문 선택했는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0 24 0
753360 일반 호훈 추특 문자받은거 있음? ㅇㅇ(14.138) 00:16 29 0
753359 일반 정석민 이놈 문실정 왜 교재만 따로 안파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5 36 0
753358 일반 강남 하이퍼 지금도 있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4 54 0
753355 일반 요즘 mc무현 왤케 뇌절임 [1] 나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7 94 0
753354 일반 또 저거네 삼중수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5 30 0
753353 일반 모든 외물에 대한 회피적 무관심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5 28 0
753352 일반 좆반고 슨상한테 꼽먹었는데 이거 내가 잘못한거임? ㅇㅇ(61.247) 00:05 53 0
753351 일반 아 말도안돼 말도안돼 금요일이야 삼중수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4 21 0
753350 일반 갑자기 사람이 돌변하는 현상 능지처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1 32 0
753349 일반 당장안방에가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1 74 0
753348 일반 저넓은 이번에 걸려들어간거 상황 보니 완전 단단히 ㅇㅇ(175.198) 10.02 138 12
753347 일반 신태일 이번에 걸려들어간거 상황 보니 완전 단단히 찍혔노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38 0
753345 일반 분명 벨튀하지 말라고 했는데 [8] 라플라시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93 12
753344 일반 올해 빡모 시즌1빼고 다 정품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41 0
753343 일반 완장삭인가 [4] 그만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98 0
753341 해설 열수철 해설 [8] 약산적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04 0
753339 일반 지하철에서 하루에 한시간 반씩 쳐날리는게 [5] 삼중수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61 0
753338 일반 회로 문제 질문 [2] 원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71 0
753337 일반 중2때 호훈 해강 들으면서 공부했는데 훈기견 인정이냐 [1] ㅇㅇ(121.168) 10.02 46 0
753336 일반 몇달 전에 설의 친구 봄 허수탈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49 0
753335 일반 오늘 우연히 카이로스친구봄 삼중수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44 0
753334 일반 오늘엄청난걸 깨달아버림 [5] ㅇㅇ(175.200) 10.02 87 0
753330 일반 병훈햄 올해는 지푸라기 있나 [1] ㅇㅇ(121.168) 10.02 59 0
753329 일반 해설 레전드....jpg [5] 능지처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20 3
753328 일반 후후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46 0
753327 일반 오늘서바 최저점갱신햇슴... [8] Rareliqui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93 0
753326 일반 쉬는시간마다 비문학 풀기 프로젝트 실패 삼중수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32 0
753322 일반 물2 시발년아 [4] ㅇㅇ(118.235) 10.02 139 3
753321 일반 물리 멍청한 질문 하나만 오네가이 [6] ㅇㅇ(125.142) 10.02 97 0
753320 일반 샤워하는 날이네 [1] 삼중수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37 0
753319 일반 청덕종의 북경대 개교식 연설을 읽으니 망국 황제의 씁쓸함이 느껴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8 0
753318 일반 아시발 걍 추특째고 영상받을까 ㅇㅇ(223.39) 10.02 33 0
753317 일반 딱 오늘까지만 쉰다 수탐을건지고국영을버리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3 0
753316 일반 라피스 정오사항 제보는 어디로 하는거지 [1] 드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65 0
753315 일반 이건 또 뭐여 [4] Ac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19 0
753314 일반 트랜디스터 질문 하나만 [3] ㅇㅇ(222.97) 10.02 67 0
753313 일반 실패한 6수생 물붕이... 여수 여행으로 화끈하게 시간 FLEX~ [8] 암염핥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44 6
뉴스 10주년 맞은 ‘시흥시청소년동아리축제’ 전국 최대 규모로 18일 개최 디시트렌드 10.0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