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칼럼] 파동함수와 슈뢰딩거 방정식.hard앱에서 작성

스프링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7.05 07:52:59
조회 4963 추천 56 댓글 25
														

이 글에선 과거 물리2에 포함된 적이 있으나 현재 2015 교육과정에선 제외된 슈뢰딩거 방정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더 나아가 물리 전공자나 배울 법한 심화적인 내용 또한 일부 포함되어 있으니 위주로 봐주었으면 좋겠다


========================


빛은 파동인가, 입자인가? 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여 아인슈타인의
광양자설, 플랑크의 흑체 복사, 보어의 수소모형을 거쳐 현대 물리학의 대들보라 할 수 있는 양자역학이 탄생하였다

양자란 더이상 쪼갤 수 없는 물리량을 의미한다.

즉 길이, 에너지, 운동량 등과 같이 고전 물리에서는 연속적이리라 믿었던 것들이 사실은 이산적이었다는 진리로부터 도출된 학문이 양자역학이다


뉴턴으로 대표되는 고전역학을 지배하는 방정식은 그 유명한 뉴턴의 운동 방정식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f9b847c5283a6f923e92f75565cd1d83238c480609113bbe012b

이다.

좌변 F가 주어진다면 이 미분방정식을 풂으로써 우리는 물체의 과거와 미래의 모든 운동 상태, 즉 위치와 속도, 가속도 등을 모조리 구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양자역학에는 다음과 같은 슈뢰딩거 방정식이 존재한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fb91493283d65c5e3b16cb9188fa32ceb52cb18d3e4591a8882

무척이나 괴랄한 생김새를 자랑하지만 고전역학에서의 뉴턴방정식과 같은 위상을 갖는 아주 fundamental한 방정식이다

고전역학에서 시간에 따른 위치 즉,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f8ec42c42f69629008a7bebe7c44caef53913c050a88d81fdb91

를 알면 이를 미분하여 속도와 가속도 등을 구할 수 있었던 것처럼 양자역학에서는 파동함수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ee846c5283462c1251573660a284a1f788f04e272eadc2ad6d7

(Ψ, Psi, 프사이)를 알면 입자의 모든 상태를 구할 있다

파동함수는 위의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어서 구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경우에 이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 즉 퍼텐셜 V가 매우 단순할 경우엔 해를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그 중 한 예가 고등 물리시간에 배우는 수소의 원자 모형과 오비탈이다


그렇다면 파동함수는 무엇을 의미하고 어떻게 활용되는가?

파동함수는 말 그대로 파동의 형태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음파처럼 공간에서 퍼져나가거나 혹은 정상파와 같이 제자리에서 진동하는 파동을 올리면 된다

그러나 실제로 물리적인 의미(소리의 크기 등)를 갖는 음파와는 달리, 파동함수는 그것 자체로는 어떠한 물리적인 값, 즉 위치나 속도 등을 의미하지 않는다

입자가 파동과 같이 좌우로 흔들리면서 진행한다는 의미가 결코 아니다!


파동함수의 본질은 "확률"이다

파동의 위상이 큰 곳은 더 높은 확률을 의미하고, 작은 곳은 낮은 확률을 의미한다

정확히는 파동함수의 "절대값 제곱"에 비례하는 확률을 갖게 된다

파동함수는 음수나 허수의 값도 가질 수 있는데 절대값 제곱을 하는 과정에서 모조리 측정 가능한 실수로 바뀌게 된다


이때 우리는 확률만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나 운동량 등에 대해서도 모조리 확률적인 해석만 가능하다

즉 물체가 어느 범위존재할 확률, 물체가 가장 있음직 법한 위치(기댓값) 등만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불확정성의 원리가 연결되는데 이는 물리학2 교과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파동함수 Ψ를 갖는 입자의 위치의 기댓값 <x>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bbf4bc2246a33917e061ab723c0f5cb57e4f928609b4e3a3e241035b996a1b6456ca5576d82c6

여기서 *은 복소수의 켤레를 의미한다

만약 운동량의 기대값을 구하고 싶다면 단지 x 자리에 p의 연산자를 넣어서 적분하기만 하면 된다


그럼 가장 단순한 예인 무한 사각 우물에서 입자의 파동함수를 구해보자

다음 그림과 같이 길이가 L인 1차원 우물이 있다고 생각하자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f8bf16c1793f61c133f8f48654fd10caf239a422f72e279f981d1b6a2eebd73e8a4e23afe1ab17f0113c5b231e32a9f1b70640b7eeba4ee4b919df54364f8ffeffaf78bd33

왜 우물이라 표현했는가 하면

0<x<L에서는 퍼텐셜E가 0이라 입자가 자유롭게 존재할 수 있지만, 그 밖에서는 퍼텐셜이 무한대이기 때문에 입자가 결코 존재할 수 없는, 마치 우물 속에 빠진 것과 같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자가 우물 밖에서 존재할 확률, 즉 파동함수의 절대값 제곱은 확실하게 0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물 밖에서 파동함수는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8e942c47f356293542c0cf20c601282f5fa83f089698efbb217

이다


문제는 우물 속이다

우물 속에서 입자의 파동함수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만족하면서 연속이어야 하므로(파동함수는 언제나 연속이어야 한다) 그 가장자리에서 0이 되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1차원만 고려되므로 슈뢰딩거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라플라시안 대신 x에 대한 미분을 이용해 나타낼 수 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ee847c37f6a6f927aa978b90975e80076e67b7a8900e5733c95

이 방정식을 풀기 위해서는 어떤 트릭이 필요하다

시간과 공간에 동시에 의존하는 파동함수를 시간과 공간 각각에 의존하는 두 함수의 곱으로 표현하는 변수분리를 통해 해결하는 것인데 고등과정을 벗어나므로 여기서 소개하지는 않겠다

중간과정을 생략하면 슈뢰딩거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시간에 의존하는 항이 제거되어 다음의 시간 비의존 슈뢰딩거 방정식이 된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ee8139629383390c1f77db58422632411a70a70d2a2518957ab

이때 소문자 프사이 ψ는 x에만 의존하는 파동함수이고 E는 허용된 에너지이다

무한 사각 우물 내부에선 V=0이므로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fab944957f3b35c6885f441da6499425c475150719f44f8e493f

미분 앞의 계수를 이항하여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ffef44932c6f60c1232eb54026f1b745ab401d04f58e0e4956e6

라 정의하면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fde8419e29686491c2bbb672e6d518908948de98ab083957a938

이 미분방정식을 푸는 것은 간단하다

두 번 미분하였더니 앞에 -를 포함하는 계수가 붙는 함수는 sin과 cos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ψ의 형태를 다음과 같이 유추할 수 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fed42c22c6e6299521efea75c3e0806748421d0a782bbf331f2

그러나 앞서 우리는 우물의 두 가장자리에서 Ψ=0이라는 경계조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cbf17c1783966c61fbfb9085745be6bbd09314e73b232660e0f

라는 결론을 얻는다 또한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db913c12b3c34944804db6ac73f767f802ab4fc6101b7188276

이므로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5e54a972b3e62911d6abfd27c9e00111ffb5a3db5242a677e76

이어야 한다

따라서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be54b937c3f3595a2eb2ef0f80e9844405f595d7dcbf01de310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4e94bc2296860c62ff0e6167129e0093b7261f41a2e54b4177c

이다

여기서 모든 확률의 합, 즉 파동함수의 제곱의 모든 범위에서의 정적분이 1이어야 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A를 결정할 수 있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feba17912d6e6391b52938398a2800138ab0cdb00ad35da916b9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4b916c62f6e36919c344e9556bb4e6449571b8d5a5f481504dc

따라서 최종적으로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fee51194246f6293bfa9ea6f8933c3fcd460e26f1ae72e3e9882

이라는 해를 얻을 수 있다

n은 양의 정수이며 이 값이 클수록 큰 에너지를 갖게 된다

이 해 중 일부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음과 그림의 좌측과 같다

viewimage.php?id=3db5c935ecd12bf4&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867abc9fd7c18cd239223cd8183e9a7ab902cd5a75f4e772dd9caaebd4a952d393696a4b65026855851069778962b2070883a3033655319fe5fb3dce23f17d438a90e6b624b05aff44e148c4bfc248ee141a1379b78064b930a3a35482d4054

에너지가 가장 낮은 해(n=1)의 경우엔 입자가 존재할 확률(우측 그림)이 중앙에서 가장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n이 커짐에 따라 존재할 확률이 높은 곳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무한 사각 우물에서 입자의 파동함수를 구하고 이를 해석하는 방법이다


===========================


이상으로 슈뢰딩거 방정식과 무한 사각 우물에서의 활용에 대한 소개를 마치겠다

평소에 물리에 조예가 깊은 학생이라면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진 못하더라도 파동함수라는 발상과 그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이해하는데에 큰 어려움이 없으리라 생각한다

부디 물리학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키워 물리학과를 희망하는 학생이 늘어났으면 하는 바이다

추천 비추천

56

고정닉 13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 설문 영포티룩도 멋지게 소화할 것 같은 40대 스타는? 운영자 25/10/27 - -
728507 공지 질문은 질문탭에 올려주세요 [2] 라플라시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20 1921 23
751271 공지 신문고 [6] 라플라시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9.17 504 13
643937 공지 [2024.7.1 업데이트] 물리학2 갤러리 칼럼 정리 [10] 붕옥아이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01 43467 66
745960 공지 2026 물리학II & 화학II 마이너 갤러리 100일의 전사 [40] 라플라시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8.05 2429 50
755880 일반 전국서바 16회 수학 물물러(210.182) 16:14 15 0
755879 오실모 ㅅㅁ 수탐을건지고국영을버리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4 17 0
755878 일반 9모 20 질문 [1] ㅇㅇ(1.232) 15:29 72 0
755877 일반 독서연계가 문학연계보다 중요하다 생각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2 35 0
755876 일반 독서연계유기한죄 [4] 감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3 56 0
755874 일반 걍 올해 존나 물수능이었으면 좋겠음 [4] ㅇㅇ(211.53) 14:34 68 0
755873 일반 축전기 질문 [2] ㅇㅇ(118.235) 14:30 50 0
755872 일반 오메가 풀어본 사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44 0
755871 일반 내년 마지막인데 해야겠지? ㅇㅇ(112.72) 11:49 41 0
755870 일반 고2 내신 문제 한번만 봐주세요 간절합니다 [4] 수지구 모 고등학교(106.101) 11:31 193 5
755869 일반 수탐전사로 설대 쟁취하자 [8] 물화벌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6 140 0
755866 일반 고2 물2화1러인데 걍 화끈허게 투투할까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7 121 0
755865 질문 선배님들 개씹허순데 도와주세요 [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0 305 0
755864 일반 지욱 vs 자욱 [2] 산가츠노환타지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94 0
755863 일반 와 10모 30 어렵네 [2] 강한적을벨땐한걸음앞으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9 148 0
755862 일반 전기장 자기장 잘푸는 팁 [4] 히파수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8 143 0
755861 일반 서프 현장신청 또까먹었네 감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54 0
755860 일반 지옥에서 몸부림치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88 0
755859 일반 얼마 전에 깨달은것 [8] 가속하는전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55 0
755857 일반 대전은 성심당이 걍 디폴트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48 0
755856 일반 2000년대 중후반의 인간극장을 보다 취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34 0
755855 일반 내년 수능. 카덴차 미리 사도 될까요? [3] 물붕이(1.242) 10.27 106 0
755854 일반 국어 예시문항 신박하네 [1] 물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17 0
755853 오실모 공부 드랍하기엔 시기가 시기인지라 [1] 210.9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98 0
755852 일반 어이가없네 ㅋㅋ nav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53 0
755851 일반 마지막서프현장응시 레쓰고 [6] 히루알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66 0
755849 일반 쌍사 모고 돈 ㅈㄴ 아깝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94 0
755848 일반 올해목표 nav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36 0
755847 일반 과탐실모는 큰종이에다 풀어야하는디 [12] 푸갤라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61 0
755846 오실모 ㅇㅅㅁ [11] 노말벡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06 0
755845 일반 이것이 모릐고사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78 0
755844 오실모 저녁 수탐을건지고국영을버리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35 0
755842 일반 얼버취 그만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29 0
755841 일반 브릭스 31 미적 꼭 풀어보시긔 [6] 푸갤라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92 0
755839 자작 자기장(현학적임, 계산이 많음, 사설스러움, 시간이 오래 걸림) [4] LLSR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54 0
755837 일반 올해 목표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36 0
755836 일반 올해목표 [4] 그만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89 0
755832 일반 작녕에 투과목 하다가 입시 황당하게 폭망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87 1
755831 일반 시대 지2러 잇냐 [1] 산가츠노환타지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58 0
755830 일반 투투가진짜사기긴해 [12] 그만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206 0
755829 일반 님들아 2027수능개념에 물2 없는 거 아나요?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35 0
755828 일반 설대는 투가 난이도만큼 리턴이 확실하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27 0
755827 일반 X된 물2러입니다...한번만 살려주세요 제발 [7] ㅇㅇ(119.207) 10.27 143 0
755826 일반 물2 더프 [1] ㅇㅇ(211.44) 10.27 106 1
755825 일반 와퍼3개먹음 [5] nav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11 0
755824 일반 3주 남으니 너무 초연해 집니다. [1] 물리학2(119.66) 10.27 81 0
755823 일반 속벡꿀팁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89 0
755820 오실모 조기마감,, [2] 210.9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70 0
755819 일반 나만 축돌리기 초심자 이후로 안씀? [3] nav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26 0
755818 일반 서울대식 2-2 점수로 398점이면 공대나 자연계 가능한가요? [13] 물리학2(119.66) 10.27 17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