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심할때마다 수갤에서 달린거 모음
총 136문제
2020/02/10
1. 중력장 내에서 공을 사선방향으로 세게 던지면 그 궤도는 타원이다.
2. 단진자의 장력은 sin함수에 비례한다.
3. 일반적으로 직류회로에서 전류는 소비전력을 최소화 시키도록 흐른다.
답
1. o (포물선 궤도는 타원 궤도의 근사이다.)
2. x (sin함수에 비례한다면 어느 지점에선 장력이 0이 되어야 하는데 그런곳이 없다.)
3. o
2020/02/14
1. 이상적인 전압계의 저항은 0이다.
2. 이상적인(무한히 길고 촘촘한) 솔레노이드의 내부 자기장은 일정하다.
3. 트랜지스터는 이미터 베이스 컬랙터로 이루어져있다.
4. 컬랙터에서 흐르는 전류/이미터에서 흐르는 전류를 전류 증폭률이라 한다.
5. 자기장이 생기는 이유는 전자의 이동과 spin 때문이다.
6. 페러데이 법칙에서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시간에 따른 자속의변화와 단위길이당 감은 수에 비례한다.
7. 솔레노이드가 만드는 내부 자기장의 크기는 k"nI이다.
여기서
k" = 4π × 10^(-7)
n은 감은 수
I는 흐르는 전류이다.
8. 페러데이 법칙은 관성과 관련이 있다.
9. 이중 슬릿에서 빛의 경로차 Δ는 d×(x/L)이다.
여기서
d는 스크린 까지 거리
x는 축에서 부터 빛이 도달하는 곳 까지의 거리
L은 슬릿의 폭이다.
답
1. x (오차를 줄이기 위해선 전압계의 저항이 매우 커야한다.)
2. o
3. o
4. x
5. o
6. x (단위길이당 감은 수가아닌 감은수에 비례한다.)
7. x (n은 단위길이당 감은 수 이다.)
8. o
9. x (d와 L의 설명이 반대이다.)
2020/02/15
1. pnp형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에서는 주로 양공에 의해서 전류가 흐른다.
2. 케플러 제3법칙에 의해 T²은 a³에 비례한다.
여기서
T는 행성의 공전주기
a는 타원궤도의 단반경이다.
3. 가속좌표계에서는 뉴턴의 3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4. 이상적인 솔레노이드의 외부 자기장은 0이다.
5. 저항은 물질의 특성이다.
6. 위로 가속되는 엘레베이터에서 단진자의 주기는 지면보다 길다.
7. 연직면에서 원운동할 최하점에서의 최소속도는 sqrt(5gR)이다.
8. 토로이드를 둥글게 말아놓은 것을 솔레노이드라고 한다.
답
1. o
2. x
3. o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힘이 관성력이다.)
4. o
5. x (비저항이 물질의 특성이다.)
6. x
7. o
8. x (반대이다.)
2020/02/16
1. 관성력은 관성좌표계의 사람이 느끼는 가상의 힘이다.
2. 계가 정적평형 상태일때 어느곳을 회전축으로 잡아도 알짜토크는 0이다.
3. 등속원운동은 등가속도 운동이다.
4. 진자운동의 각 점에서의 가속도의 방향은 속도의 방향과 같다.
5. 열의 일당량의 값은 약 1cal = 4.2J로 물을 15.5°C에서 16.5°C로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이다.
6. 강체용기에 이상기체를 넣고 용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면 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증가한다.
7. 동일한 점전하를 진공에 놓은 경우의 전기장의 세기가 유전체로 가득 찬 공간에 넣었을 때의 세기보다 약하다.
(단, 전기장은 두경우 다 점전하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측정한다.)
8. 이상적인 솔레노이드에 강자성체(ex.철)를 넣는 경우가 넣지않은 경우보다 자기장의 세기가 더 강하다.
답
1. x
2. o
3. x (가속도의 방향이 변한다.)
4. x
5. x (원래의 정의는 14.5°C에서 15.5°C이다.)
6. x (내부에너지는 질량중심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다.)
7. x (유전분극에 의해 생기는 전기장은 반대방향이다.)
8. o
2020/02/17
1. 이중슬릿 간섭 실험에서 간섭무늬의 간격이 커질 조건은 슬릿이 좁을수록, 파장이 길수록, 슬릿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길수록 커진다.
2. 영의 이중슬릿 실험은 빛이 파동임을 최초로 밝힌 실험이다.
3. 하나의 축전기의 사이에 유전체를 가득 채워 넣으면 전기용량이 커진다.
4. 코일사이에 강자성체를 넣으면 자체 인덕턴스가 작아진다.
5. 전기장은 항상 개곡선이다.
6. 키가 매우 큰 사람이 공을 던졌더니 공이 포물선운동 하였다. 이때 수평도달거리가 최대가 되는 발사각은 45°보다 작다.
7. 거시세계에서 물질의 이중성을 느낄 수 없는 이유는 드브로이 물질파의 파장이 매우 작기 때문이다.
8. 그림과 같이 광전 효과 실험장치가 있다.

(백열등 A 조리개 B 볼록렌즈 C 프리즘 D 볼록렌즈 E 조리개 F 광전효과 장비 G 금속판 H 전원 M 전류계 I 전압계 J)
광전 효과에 의한 전류가 측정되지 않았을 때,
A를 보라색 램프로 바꾸면 광전 효과에 의한 전류가 측정된다.
9. 힘의 평형과 돌림힘의 평형을 동시에 이루고 있으면 항상 정적평형이다.
10. 전위는 퍼텐셜의 한 종류이다.
11. 폐회로에서 루프의 전압강하의 합은 항상 0이다.
이는 전하량 보존 법칙으로 설명가능하다.
12. 거리 - 전기장 그래프는 연속이다.
(발산하는곳 제외)
13. 거리 - 전위 그래프는 연속이다.
(발산하는곳 제외)
답
1. o
2. o
3. o
4. x
5. x (페러데이 법칙에서의 유도 전기장은 폐곡선이다.)
6. o
7. o
8. x (백열등에는 보라색 빛이 포함되어있다.)
9. x (등속도 운동, 등각속도 운동, 그 둘의 조합이 가능하다.)
10. o
11. x (에너지 보존 법칙과 관련이 있다.)
12. x (ex. 도체판을 지나면 바뀐다)
13. o
2020/02/18
1. 안정 평형은 복원력이 작용하여 다시 평형상태로 돌아온다.
2. 자속의 변화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이유는 유도 전기장이 생기기 때문이다.
3. 정적 평형상태에서 물체를 아주 약간 기울였더니
무게중심이 위로 올라가면 불안정 평형이고,
무게중심이 아래로 내려가면 안정 평형이다.
4. 상호유도로 2차 코일에 생기는 유도 기전력은 다음과 같다.
V = - M (dI/dt)
이때
V는 유도 기전력
M은 자체 인덕턴스
dI는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
dt는 시간이다.
5. 변압기는 자체유도를 이용한 것이다.
6. 문턱진동수 아래의 진동수에서는 빛의 세기를 아무리 세게해도 광전효과가 일어나지 않는다.
7. 축전기의 리액턴스는 전기용량에 비례한다.
8. 코일의 리액턴스는 자체 인덕턴스에 비례한다.
9. 전기장만을 이용해서 전하를 안정평형 상태로 만들수있다.
10. 렌즈공식 1/a + 1/b = 1/f에서
물체가 렌즈 앞에 있으면 a>0
실상이면 b<0이다.
11. 트랜지스터에서 I_E = I_B + I_C가 항상 성립한다. 이는 전하량 보존 법칙과 관련이 있다.
12. 축전기 사이에 유전체를 넣으면 계의 에너지는 감소한다.
단, 축전기는 완전충전 상태이며 전지와의 연결이 되어있다.
13. 축전기 사이에 유전체를 넣으면 계의 에너지는 감소한다.
단, 축전기는 완전충전 상태이며 전지와의 연결이 끊어져있다.
14. 고정된 항성의 영향을 받는 행성의 궤도는 포물선과 쌍곡선도 가능하다.
15. 도플러 효과에 의해 파원과 관찰자가 가까워지면 진동수가 높아진다.
16. 볼록렌즈가 있고 그로부터 매우 멀리 물체가 있다. 이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은 초점과 같다.
답
1. o
2. o
3. x (반대이다.)
4. x (M은 자체 인덕턴스가 아닌, 상호 인덕턴스이다.)
5. x (상호유도를 이용한 것이다.)
6. o
7. x
8. o
9. x
10. x (b>0)
11. o
12. x
13. o
14. o
15. x
16. o
2020/02/21
1. 에너지는 벡터이다.
2. 전류는 벡터이다.
3. 토크는 벡터이다.
4. 각속도는 벡터이다.
5. 자속은 벡터이다.
6. 관성력과 중력은 근본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
7. 자기장은 항상 폐곡선이다.
8. 거리 - 퍼텐셜 그래프는 연속이다.
(발산하는곳 제외)
9. 전기장만으론 입자를 가둘 수 없다.
10. 자기장만으론 입자를 가둘 수 없다.
11. 소한 매질 → 밀한 매질에서 반사된 빛은 위상변화가 없다.
답
1. x
2. x
3. o
4. o
5. x
6. o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
7. o (자기홀극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8. o
9. o
10. x (ex. 자기 병, 이는 핵융합 발전소에서 쓰인다.)
11. x (고정단 반사이므로 π만큼의 위상변화가 생긴다.)
2020/02/23
1. 솔레노이드와 토로이드는 인덕터이다.
2. 축전기는 전기장의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한다.
3. 중력장내 포물선 운동에서 운동에너지의 최솟값은 0이다.
4. 변압기에 철을 쓰는 이유는 철의 투자율이 높기 때문이다.
5. 단진자는 단진동으로 근사할 수 있다.
6. 진자에서 속도는 항상 접선방향이다.
(단, 속도가 0인 부분은 제외한다.)
7. 진자에서 가속도는 항상 원의 중심방향이다.
8. 충전중인 두 축전기의 극판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9. 충전중인 두 축전기의 극판사이에는 자기장이 생기지 않는다.
10. 빗면에서 운동하는 물체의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은 열에너지로 전환된다.
11. 등속도 운동하는 엘레베이터 내부에 진자가 있다. 이 진자를 이용하여 내부 관찰자가 엘레베이터의 속도를 측정 할 수 있다.
12. 등가속도 운동하는 엘레베이터 내부에 진자가 있다. 이 진자가 최하점에 도달 했을 때 엘레베이터가 추락한다면, 이 물체는 정지한다.
13. 등가속도 운동하는 엘레베이터 내부에 진자가 있다. 이 진자가 최고점에 도달 했을 때 엘레베이터가 추락한다면, 이 물체는 정지한다.
답
1. o
2. o
3. x
4. o (철의 투자율이 높기 때문에 외부로 자기장이 많이 나가지 않는다. 실제로도 자속의 95%정도를 공유한다.)
5. o
6. o
7. x
8. o
9. x (전기장의 변화는 자기장을 만든다.)
10. o
11. x
12. x (등속원운동한다.)
13. o
2020/03/05
1. 파동 함수 ψ의 제곱은 확률 밀도 함수이다.
2. 운동하고 있는 어느 물체를 두 관측자가 보고있다.
한 관측자는 다른 한 관측자에 대해 속도 v로 움직인다.
이때, 두 관측자가 관측하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같다.
3. 파장이 λ인 광자의 운동량은 p = h/λ이다.
4. 압력은 벡터이다.
5. 진자를 연직면에 수직하게 매달아놓고 손을 놓았다.

가속도 벡터의 시점을 한 점으로 맞출 때, 가속도 벡터의 종점이 그리는 자취는 원이다.
6. 전자기파에서 전기장의 진동방향과 자기장의 진동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7. 중력상수를 정확하게 측정한 최초의 실험은 캐번디시 실험이다.
8. 무지개는 빛의 굴절에 의한 현상이다.
9. 프리즘을 이용한 빛의 분리는 분산에 의한 현상이다.
10. 렌즈를 이용하여 물체를 봤을 때 약간 흐리게 보이는 현상은 빛의 분산에 의한 현상이다.
11. 트랜지스터의 증폭 작용이란 이미터의 작은 전류로 컬렉터에 큰 전류를 흐르게 하는 효과를 말한다.
12. 완전 충전된 축전기와 리액터를 직렬연결 하였다. 이때,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리액터에 저장된 에너지는 항상 일정하다.
13. 완전 충전된 축전기를 충전되지 않은 다른 축전기와 전선으로 연결하였다.
회로가 정상상태를 이루었을 때,
원래 충전되어있던 축전기의 전기에너지 = 정상상태의 두 축전기의 전기에너지의 합이다.
(단, 정상상태란 충분히 긴 시간이 흐른뒤 더이상 알짜전하의 이동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답
1. o
2. x
3. o
4. x
6. o
7. o
8. x (분산에 의해 생기는 현상이다.)
9. o
10. x (이를 구면수차라고 하는데, 높이에 따른 렌즈의 폭이 달라서 생기는 현상이다.)
11. x
12. o
13. x (전자가 움직이다가 정지하기 때문에 일이 필요하다.)
2020/03/06
1. 두 축전기를 직렬연결 하면 항상 원래 있던 각각의 축전기의 전기용량보다 합성 전기용량은 작다.
2. 다음과 같이 원형 도선이 만드는 자기장의 방향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다.

원형도선에서 전류가 동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흐른다면, 나침반이 가리키는 방향은 동쪽이다.
3. 신기루는 빛의 반사에 의한 현상이다.
4. 거울에 의한 상은 빛의 굴절에 의한 현상이다.
5. 렌즈를 이용하여 물체를 봤을 때 색이 겹쳐 보이는 현상은 빛의 분산에 의한 현상이다.
6. CD위의 알록달록한 무늬는 빛의 분산에 의한 현상이다.
7. 중력파 검출기 LIGO는 빛의 간섭을 이용한것이다.
8.기름위의 얼룩무늬는 빛의 파동의 성질로만 설명이 가능하다.
9. 그림과 같이 두 쌍성이 같은 원궤도에서 등속으로 공전하고 있다.
이때, 두 쌍성의 질량은 같다.
10. 그림과 같은 저항 연결 구조가 있다.
이때 cd사이의 전류는 c에서 d쪽으로 흐른다.
• 그림과 같이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도선 고리를 놓고, 외부 자기장을 걸어준 뒤 전류를 흘려주었다.
도선은 자기장의 수직인 성분에 비례한 힘을 받고, 힘의 방향은 전류와 자기장의 수직성분에 모두 수직인 방향이다.

11. 도선이 받는 알짜힘은 0보다 크다.
12. 도선이 받는 알짜 토크가 0이되는 각 θ는 π/2와 3π/2이다.
(단, θ는 0이상 2π미만이다.)
13. 도선이 가장 안정적인 각 θ는 π이다.
답
1. o
2. x (지구 자기장도 고려해 주어야 한다.)
3. x (굴절에 의한 현상이다.)
4. x (반사에 의한 현상이다.)
5. o (이를 색수차라고 한다.)
6. x (CD에는 작은 틈이 있는데, 이로인해 회절이 일어난뒤 난반사되어 위치에 따라 밝아보이는 빛이 다른것이다.)
7. o (마이컬슨 간섭계 참조)
8. o (간섭에 의한 현상이다.)
9. o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므로 맞다.)
10. x (휘트스톤 브리지)
11. x (도선이 병진운동을 하지 않고있다.)
12. x (0과 π이다.)
13. o (π일때 도선이 만드는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이 반대이므로 맞다.)
2020/03/08
1. 변압기의 두 코일이 서로 자속을 공유하는 이유는 철의 투자율이 공기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이다.
2. 서로 같은 저항 5개가 있다. 이중 몇개를 골라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합성저항은 24가지이다.
3. 만유인력의 크기는 역제곱의 법칙을 따른다.
4. 가속좌표계에서는 뉴턴의 3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의 힘을 도입하였다.
5. 어느 물체의 알짜힘과 알짜토크가 0이다. 이 물체는 등각속도 운동도 할 수 있다.
6. 수조에 물을 담고 레이저로 빨간빛을 쏘았다. 이때 물속에서의 레이저와 물밖에서의 레이저 색은 달라보인다.
7. 비저항은 물질의 특성이다.
8. 통속에 모래를 넣고 흔들었더니 모래가 뜨거워졌다. 이때 모래의 내부에너지는 감소하였다.
9. 정전기학에서 도체 내부의 전기장은 항상 0이다.
답
1. o (철의 투자율이 높기 때문에 외부로 자기장이 많이 나가지 않는다. 실제로도 자속의 95%정도를 공유한다.)
2. x (공집합은 제외해야 하므로 2⁵ - 1가지이다.)
3. o
4. o (이때 도입한 가상의 힘을 관성력이라고 한다.)
5. o (등속도 운동, 등각속도 운동, 그 둘의 조합이 가능하다.)
6. x (최종적으로는 유리체를 통과하기 때문에 색이 같아 보인다.)
7. o
8. x (운동에너지가 내부에너지로 전환된다.)
9. o (전자들은 서로 멀리 떨어지려고 하는데, 도체 내부에서는 전자의 이동이 자유로우므로 전자들은 도체 표면에만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도체 내부의 전기장은 0이다.)
2020/03/10
1. 다음 그림과 같이 고정된 원통에 물체가 감긴다.

물체가 원통에 충돌하기 직전의 상황을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2. 정전기적 평형상태의 도체판 옆에 점전하를 두었다. 이때, 도체판에서 들어가거나 나오는 전기력선은 항상 도체판에 수직이다.
3. 수조에 물을 담아놓고 레이저로 초록색 빛을 쏘았다.
관찰자는 레이저의 속력이 바뀌고 진동수는 일정하기 때문에 파장이 바뀌어서 레이저의 색이 다르게 관측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그런데 실험결과 레이저의 색은 동일하게 관측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빛의 색이 진동수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 그림과 같이 동일한 중성 금속구 A, B를 접지한 도체판에 각각 절연실과 소금물에 젖은 절연실로 매달아 놓고 중앙에 양전하 +Q로 대전된 플라스틱 구를 놓았다.

4. A와 B가 금속구로 끌려오는 거리는 같다.
5. A와 B는 모두 음전하로 대전되며, 대전된 전하량의 크기는 B > A이다.
6. 소금물이 완전히 말랐을 때, B는 처음 끌려왔던 거리를 유지한다.
7. 소금물이 완전히 마른후 플라스틱 구를 치웠을 때, A와 B는 서로 끌어당긴다.
8. 소금물이 완전히 마른후 플라스틱 구를 치웠을 때, 두 실에 걸리는 장력의 크기는 같다.
답
1. x (속도의 방향은 연직 아래 방향이다.)
2. o (만약 전기장의 수평성분이 존재한다면, 도체 표면의 전자들이 힘을 받고 이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정전기적 평형상태에 모순이다.)
3. x (빛의 색은 파장에 의해 결정된다. 색이 같게 보이는 이유는 빛들은 최종적으로 유리체를 통과하기 때문에 뇌는 같은 파장으로 인식하게 된다.)
4. x (B는 음전하만 남지만 A는 양전하도 있기 때문이다.)
5. x (A는 대전이 아니라 분극이다.)
6. o (자유 전자들은 이미 도체 밖으로 나갔기 때문이다.)
7. o (B는 음전하를 유지하고, B에 의해 A가 분극되어 인력이 작용한다.)
8. o (중력과 전기력의 크기가 모두 같기 때문이다.)
2020/03/14
1. 선 스펙트럼은 빛의 분산에 의한 현상이다.
2. N극과 S극은 분리될 수 없다.
3. 두 입자사이의 만유인력은 작용 - 반작용 관계이다.
4. 그림과 같은 원형 기구에 점 A, B, C, D가 있다.
이때, G에 도달하는데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경로는 AG이다.
• 그림과 같이 스크린과 볼록 렌즈, 그리고 볼록 렌즈의 광축 z위에 있지않은 점광원이 있다.
스크린위의 점 P에서 상이 맺혔고 d_1 < d_2이다.
5. 점 P에서는 보강간섭이 일어난다.
6. 면 S는 파면이다.
7. 경로 2로 이동한 빛이 경로 1로 이동한 빛보다 스크린에 도달하는데 더 오랜시간이 걸린다.
8. 렌즈의 초점거리는 볼록 렌즈의 중심으로 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 그림과 같이 전기용량이 C_1 = C_2 = C_3 = C인 세 개의 축전기와 저항, 스위치 S_1, S_2 그리고 전지로 구성된 직류회로가 있다.
9. S_1만 닫으면 합성 전기 용량은 C이다.
10. R이 클수록 축전기가 완전히 충전 되는 시간이 빨라진다.
11. 스위치를 모두 닫으면 C_2의 오른쪽 판에 양전하가 충전된다.
12. 스위치를 모두 닫으면 합성 전기 용량은 3C이다.
답
1. x (다중슬릿에 의한 회절이다.)
2. o
3. x (중력장의 전파속도는 빛의 속도이기 때문에 매우 멀리 떨어진 물체와는 방향이 다를 수 있다.)
4. x (이동시간은 전부 같다.)
5. o (보강간섭이 일어나야 상이 맺힌다.)
6. x (면 s위의 빛들의 위상은 전부 다르다.)
7. x (이동 시간은 같다.)
8. x (초점거리와 같다.)
9. o
10. x (전류가 작아지므로 시간당 충전되는 전하량은 작아진다.)
11. o
12. o (모두 병렬 연결한 회로와 등가 회로이다.)
물리할래??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