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엔스2 공략>(군사-2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5.24 14:43:59
조회 1627 추천 12 댓글 5
														

1-2. 함대전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f0c9a3583b57d2dc9dbfa61b0118cdad1699352993f0c6e0

함대설계 및 모듈을 먼저 설명하지 않고 함대전을 설명하는지 궁금할 것이다.

그 이유는 함대전에서 어떻게 전투가 벌어지는가에 대해 잘아야 그에 맞게 설계방향과 효율적인 함대설계를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함대전은 총 3개의 전투경로(라인)로 구성되어 있으며함대전카드함대사거리함대진행방향각 라인의 함대 비율함대무기 및 방어모듈에 따라 변수를 주거나 승리가 좌우된다.


1. 함대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함대사거리다.

함대사거리에 따라서 딜량이 막강해지거나 반토막나기도 하며 아예 딜이 들어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함대사거리에 맞춰서 함대설계 및 모듈을 구성하고 함대배치를 해야 된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9da7aa573f51d7dd9bbb401488faf4560edf86f5eb384bb674

일제 포화 전략카드로 예시를 들겠다일제포화는 --중거리로 구성되어 있다.

(T는 탱커, M은 미사일, L은 레이저, R은 레일건, K는 키네틱, B는 빔이다.)

보면 미사일 레이저 전함 반반 또는

      레이저 레일건 전함 반반 으로 구성되어있다.

딜을 담당하는 전함이 완전히 사거리가 맞지 않고, 물리 및 에너지무기 중 한쪽으로 올인하지 않는 이유를 궁금해 할 것이다.

그 이유는 함대사거리무기/방어 모듈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f0c9a3583b57d2dc9dbfa61b051f90aa44cb662d93f0c6e0

1. 힘이 빠지지 않기 위해서다

보통 한 페이즈만에 전투가 끝나는 경우는 전력차가 압도적이거나 미사일에 올인한 경우다.(물론 미사일은 상대가 대공에 대한 방비를 안했을 때 이야기다.)

보통 전투를 하면 전력차가 압도적이지 않는 이상 한 페이즈만에 끝나는 일은 잘 없다.

그렇기 때문에 힘이 빠지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피해를 주어야 된다.

그래서 일제포화 예시에서 장거리에서 강한 미사일이 먼저 타격한 후 중거리에서 강한 레이저가 타격해서 계속해서 힘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통 이렇게 해서 2페이즈에 도달한다면 상대AI를 완파 및 반파를 낼 수 있게 된다.


전투가 장거리에서 시작할 경우,


1페이즈 장거리 미사일이 100%효율을 낸다레이저는 50% 효율을 발휘한다.

2페이즈 중거리 미사일이 50%효율을 낸다레이저는 100% 효율을 발휘한다.

 

(무기효율은 50%정도면 나쁘게 말하면 반토막좋게 말하면 평균정도의 딜을 내는 거라 이해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전투가 중거리에서 시작할 경우,

 

중거리에 강한 레이저근거리에 강한 레일건 및 키네틱을 같이 조합해서 운용하면 된다.

 

1페이즈 중거리 레이저는 100%효율을 낸다레일건키네틱은 50% 효율을 발휘한다.

2페이즈 근거리 레이저는 50%효율을 낸다레일건키네틱은 100% 효율을 발휘한다.


2. 방어모듈 때문이다

방어모듈은 선체장갑 모듈과 에너지방어막 모듈이 있는데,


선체장갑 모듈은 물리방어력과 내구도에 보너스를 준다

에너지방어막 모듈은 에너지방어력과 일정수치의 방어막을 준다.

 

그런데 장갑모듈은 물리계열에 상당히 높은 방어력을 지니고 있어 %로 딜량을 깍아버린다.

상대가 작정하고 장갑으로 도배한다면 사실상 딜이 최소한 반토막 난다고 가정하면 된다.


하지만 에너지무기는 선체 장갑 상대로 기본 80~90% 이상의 관통력을 지니고 있어 에너지무기에 상당히 취약하다게다가 높은 치명타 확률과 반물질 레이저(선체관통 +20%)때문에 에너지무기 상대로는 방어력이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다.

(난이도 심각한 이상부터는 상대 AI가 제대로 된 에너지함대를 운용하는데방비를 전혀 안하고 장갑만 둘렀다가 아이스크림처럼 순식간에 녹는 아군 함대를 볼 수 있다.)(본인도 뼈저리게 당했다.)

그리고 에너지방어막 모듈도 그 반대로 이해하면 쉽다(다만 에너지 방어막이 모두 소진될 경우 그 이후부터는 순수하게 딜이 함체에 들어온다.)


물리무기는 방어막 상대로 관통률이 50~60%대신 선체장갑 관통력이 낮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9da7aa573f51d7dd9bbb401488fea95358ddddf2bf384bb674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9da7aa573f51d7dd9bbb401488fdff050fd5d6a4b5384bb674


에너지무기는 장갑 상대로 관통률이 80~90%다. 대신 에너지방어막 관통력이 낮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9da7aa573f51d7dd9bbb401488acff065a8fd7f5b4384bb674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9da7aa573f51d7dd9bbb401488fafc000a89d6f5b8384bb674

쉽게 말하자면 장갑 모듈은 물리무기에는 강하지만, 에너지무기에 상당히 취약하고

                 방어막 모듈은 에너지무기에는 강하지만물리무기에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장갑 모듈로 무장한 상대로 물리무기로만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이며

방어막 모듈로 무장한 상대로 에너지무기로만 사용하는 것도 비효율적이라는 말이다.

(다만방어모듈을 무시하는 레일건은 예외다.)


※ 보통 에너지물리무기 중 한쪽으로만 설계 시 상대AI는 그것에 대응하여 방어모듈을 극단적으로 구성 한다(서로 에너지물리계열 무기를 모두 섞어서 써도 AI는 방어모듈은 한쪽으로만 올인하는 경향을 많이 보인다.)

 

그래서 에너지 및 물리무기 중 한쪽으로만 설계하는 것은 상대 AI가 대응하기 쉽고 방어모듈에 의해 DPS가 많이 감소하여 상당히 비효율적인 전투를 띄게 된다.

결론은 적절히 섞어서 대응하는 것이 제일 무난하고 적절한 방법이다.


2. 각 라인의 함대 비율이다.  

함대전에서 전투경로(라인)는 총 3개를 가지며, 전투경로에 함대가 없을 경우에는 함대가 없는 라인 하나당 상대는 10%의 피해량과 10%사기보너스를 받게 된다

그렇다고 상대에게 버프를 주기 싫어 3개 라인 모두 함대를 편성할 필요는 없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함대 비율이기 때문이다.


상대 전력이 플레이어보다 강해서 패배할 가능성이 높거나 각개격파 및 일점돌파를 당할 가능성이 높을 경우, 각 라인의 함대 비율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따라서 패배할 전투에서 무승부나 역전승을 거두거나 상대의 각개격파 및 일점돌파를 막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f0c9a3583b57d2dc9dbfa61b061f95fd46cb352993f0c6e0

- 라인 모두에 분산시키면 각개격파 당하거나 일점돌파를 당할 가능성이 커진다위의 사진같이 첫 번째 라인 전력을 중앙에 배치해서 전력을 집중한다면 해당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실제로 게임 내에서 중형함 무리로 구성된 배치는 저렇게 중앙에 집중하여 배치한다대형함은 함체체력도 많고 모듈배수가 x4인 방어모듈 때문에 각 라인에 배치해도 괜찮다. (물론 그것도 상대가 4대형함으로 한 라인에 올인하지 않는다면...)

 

- 전력 차가 상대보다 불리해서 패배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최소 1지휘 포인트때문에 2번라인에 소형함 하나만 배치해주고 3번라인으로 올인하면 된다그러면 역전승무승부아니면 원래라면 더 크게 입을 손실에서 보다 더 적은 손실을 입게 된다.

 

- 다만 라인을 한 곳에 몰아서 배치할 때 주의할 점은 함대의 사각지대가 없어야 한다는 점이다만약 그렇지 않다면 함대 진행방향에서 사각지대가 생겨 상대를 요격을 못하는 라인이 생기고 그 상대는 계속해서 프리딜을 넣고 손해를 입게 된다그렇기 때문에 사각지대가 없는 라인으로 함대를 몰아서 배치하거나 일반적인 전투에서는 최소한 두 개 라인 이상은 배치해야 된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f0c9a3583b57d2dc9dbfa61b034cc3aa199c337993f0c6e0

3. 함대전 전략카드다.

사실상 함대사거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며 카드 능력을 통해 여러 가지 전략을 세울 수 있게 해준다.

함대전카드를 보면 중앙에 방패 모양번개 모양중립 모양(일시정지 모양)으로 표시된 것이 있다.


이것은 바로 항공 전력의 공/수 비율을 알려주는 표시로

번개 모양은 전투기 공격70% / 수비30%

방패 모양은 전투기 공격30% / 수비70%

중립 모양은 전투기 공격50% / 수비50% (그냥 쉽게 중립 모양으로 부르겠다.) 형태로 항공 전력의 공/수 비율을 조정한다.


번개 모양은 상대 함선 공격 및 공격하는 아군 폭격기 보호를 우선으로 비율을 조정한다.

방패 모양은 상대 폭격기로부터 아군 함선 보호를 우선으로 비율을 조정한다.

중립 모양은 반반이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9da7aa573f51d7dd9bbb401488fcfc5659d9dcf5bc384bb674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9da7aa573f51d7dd9bbb401488adf80059dedca5b4384bb674

다만 예외로는 전부 공격태세인 기총소사전부 방어태세인 함대호위가 있다.

- 기총 소사 : 전투기 공격100% / 수비0%

- 함대 호위 : 전투기 공격0% / 수비100%


함대전 카드전략을 짤 때 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은 함대 사거리다.(난이도가 높아질수록 많이 체감된다.) 그리고 함대방향도 신경을 써야 한다.

 

- 상대가 미사일 올인일 경우, 본인은 최대한 근접해서 싸우는 전략카드를 들면 되고

키네틱 및 레일건이 주력일 경우, 최대한 장거리로 상대하는 전략카드를 들면 된다

레이저가 주력이면, 중거리를 최대한 피해주는 식으로 상대하면 된다

- 다만 은 유일하게 사거리에 대한 단점이 없는 무기다. (대신 피해량은 위에 언급된 무기 중에서 제일 낮지만...) 


4. 함대 방향이다.

viewimage.php?id=28ae82&no=24b0d769e1d32ca73fec8efa11d02831835273132ddd61d36cf617d09f4ed54a71f50afdb2bbf0c9a3583b57d2dc9dbfa61b041f90aa1798337f93f0c6e0

함선 사각지대는 후방이다전방측면은 요격할 수 있으나 후방은 대응하지 못한다.

위의 사진처럼 상대 3번라인은 아군 2번라인 공격이 가능하나아군 2번라인은 초반만 공격가능하고 후반부터는 사각지대가 생겨 상대 3번라인 공격이 불가능하다.

 

라인 함대 비율에서 말했듯이 함대를 한 라인만 몰아서 배치한다면 함대 진행방향에서 사각지대가 생겨 상대를 요격을 못하는 라인이 생기고 상대는 계속해서 프리딜을 넣고 손해를 입게 된다그렇기 때문에 전력 차가 불리한 상황이 아니면 일반적인 전투에서는 최소한 두 개 라인 이상은 배치해줘야 되며 전략카드의 이동경로를 보고 함대 동선과 사각지대를 대략 유추할 수 있으니(물론 100%는 아니다.) 확인하고 전략을 짜자.

상대가 어떤 전략카드를 들고 오는가에 따라 전체 동선이 표시된 그대로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함대 설계 및 모듈편은 다음편으로....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딥 블루 호라이즌 사전예약 6.14-7.4 운영자 24/06/14 - -
공지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11103 ELCP [19]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3 13492 18
공지 확팩 구매 가이드 [4] ㅇㅇ(221.156) 19.10.22 6011 19
공지 종족별 팁과 느낀점. [8] ㄹㄹㄹ(122.45) 18.02.22 12599 23
공지 다들 뎰씨 빠짐없이 받고 하고있지? [22] 찬피(218.156) 18.01.31 8384 18
공지 Endless Space 2에 관련한 내용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6] 드사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5.25 2661 8
18644 3월8일자 업뎃 있길레 파파고 돌림 [5] 레폭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8 640 10
18609 뉴비 인구 과잉 문제 해결 하는 방법 알아냄 [6] ㅇㅇ(14.54) 01.05 630 14
18608 ESG 모드 게임 세팅 소개하는 글 [3] 열검듀란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470 8
18596 엔레 바닐라 한패 번역기로 추가한 거 공유함 [4] ㅇㅇ(211.104) 23.12.17 672 20
18533 [모집] 슼통피배 멀티플레이 개최 [12] 엔갤러(223.38) 23.09.17 428 10
18528 [모집] 인간이랑 하고 싶다 [6] 엔갤러(223.38) 23.08.26 468 6
18499 올 접지 한 호라시오 [7] ㅇㅇ(58.233) 23.07.23 619 8
18461 엔스2 1500시간 하다 알아낸 억지공략(뉴비 필독) [10] 박멸토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6 1267 19
18432 첫 멀티플레이 후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12 497 10
18411 (마지막에 질문ㅇ) 늒네의 두번째 팩션 - 볼터의 여정 [7] 조나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402 8
18307 엔레 제일 뭐같은 점 [4] ㅁㅁㅁ(121.67) 22.10.01 1001 7
18304 esg 1.6 로 몇판 해본 후기 황천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4 387 5
18111 엔스2 1000시간하다 이제 알아낸 개꿀공략(늅이 필독) [4] 시공의농부(220.81) 22.01.23 2627 38
17673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10730 ELCP [16]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30 5926 15
17734 레전드 행성 떳네요;; [6] 싱크빅(114.200) 21.08.20 2151 12
17478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10608 ELCP [14]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8 1470 12
17652 빌드 정리 [10]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8 2199 15
17641 엔스2 플레이 기록 결산 [7] 11(27.119) 21.07.15 860 8
17331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10510 바닐라/ELCP [28]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1150 9
17450 <엔스2 공략>(내정-4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6]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9 908 12
17449 <엔스2 공략>(내정-3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4]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9 851 7
17447 <엔스2 공략>(내정-2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5]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9 1251 9
17446 <엔스2 공략>(내정-1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9 1758 12
17416 <엔스2 공략>(군사-4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12]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2279 18
17415 <엔스2 공략>(군사-3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3]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2158 12
<엔스2 공략>(군사-2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5]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1627 12
17411 <엔스2 공략>(군사-1편) (엔드리스 난이도 기준) [1] Vanguard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24 2152 14
16199 [EL] ELCP v.2.6.0 업데이트 [9]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03 2960 9
16200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00703 ELCP [18]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03 7361 29
17330 엔스2 새 DLC 리뷰 [7] ㅇㅇ(183.107) 21.05.10 1623 9
17287 번역 하다 엎어져 자버렸네 [4]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7 552 5
17285 [EL 1.8.43] 엔레 패치노트 [1]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7 1719 8
17058 엔스1영업) 엔스1 팩션들 엔스2와의 차이 [9] ㅇㅇ(183.107) 21.02.11 1782 12
17044 엔드리스 스페이스 2 더닝 크루거 효과 [3] ㅇㅇ(183.107) 21.02.05 1024 8
16982 아트북 번역 23쪽까지 [1] ㅇㅇ(183.107) 21.01.25 648 11
16927 엔레/엔스2 신규 컨텐츠팩 발매 + 던오엔 사운드트랙 레코드판 에디션 [3]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22 914 8
16823 이거 뭐임 ㅋㅋㅋㅋ [2] 듀리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0 946 8
16657 씹덕 엔스2 - 볼터편 (1) [13] O22222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27 1809 5
16460 아니 이게 되네 ㅋㅋㅋㅋㅋ [11] V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8 1607 13
16447 [DevBlog] 엔스2 고치기: 마지막 패치 [5]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1 1713 10
16241 엔스2)첨하는 분들을 위한 초반 기술트리 Tip [9] 언폴른야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11 6879 22
15475 엔들리스 레전드 한패 업데이트 200201 ELCP [8]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2.01 2850 17
16191 [DevBlog] 엔스2 고치기: 첫 번째 패치 [2] 패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02 803 5
16159 엔스2 Tip)영향력 펌핑으로 소규모 팩션 먹방하기 [4] 언폴른야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29 1450 10
16152 엔스2)첨하는 분들을 위한 탐사관련 Tip [6] 언폴른야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28 2479 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