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서브시스턴스 Subsistence /한글화/얼리억세스 -완

그냥사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05.10 06:21:29
조회 21013 추천 29 댓글 47
														

I 소개


생존게임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많이 알려진 게임 말고 아직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B급 생존게임을 소개한다.

Subsistence 스팀에서 15000원에 판매하고 있고 2020년 3월 패치 때 한글화가 진행되었다.

게임은 1인칭으로 진행되며 진행방식은 총기류가 허용된 생존 게임으로 생각하면 된다.

생존게임 장르로서는 먹고사는 문제가 가장 큰 컨텐츠 중 하나인 교과서적인게임중 하나이다. 물론 성장시스템과 건축시스템도 있다.

적으로는 야생동물과 헌터들이 나오고 이중 헌터들의 집은 털어서 자원을 노략가능하고 터트려서 당분간 리젠율을 줄일 수 있다.

4계절이 나오는데 이 중 겨울은 강이 전부 얼어붙고 눈이 내리는 추위시스템까지 갖추었다.

전부 최근 업데이트로 추가되었고 특정장비를 갖춰야만 진입이 가능한 수중동굴컨텐츠도 있어서 컨텐츠면에서도 이제 왠만한 A급생존겜들

못지 않은 컨텐츠량을 지녔다.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잘 된다는 점에서 얼리억세스게임 치고는 미래가 밝은 편이다.

참고로 반복적인 노가다가 게임의 주 컨텐츠이므로 노가다를 싫어하는 유저라면 쳐다도 안보는걸 권한다.

게임하면 하루에도 수십개의 상자를 까게 되므로 상자깡 좋아하면 권한다. 물론 대부분이 꽝이다.


기타 - 문제점

대부분의 아이템 획득이 필드에 널려진 상자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보인다.

아이템 획득방식을 좀더 다듬을 필요가 있다. 밤에 헌터가 찾아올때 나는 안보이는데 상대는 보이는 신박한 시스템도 있다.

게임특징이 밤이되면 조명없이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도구와 무기를 동시에 들 수 없어서 밤에 쳐들어오면 무기를 겨냥하는 것조차 곤욕인데

정작 상대는 야밤에 한치앞도 안보이는 상황에 헬맷까지쓰고 플레이어를 정확히 찾아내 사격하는 비현실적인 점도 문제이다.








II 시스템


쉬움/보통/어려움 시작 시 90/80/65의 체력과 스테미나 수치를 가지고 시작.

요리를 해먹으면 총체력과 스테미나 증가.

최대체력과 스테미나는 125.

사망 시 최대체력과 스테미너가 쉬움/보통/어려움 난이도에 따라 2/4/6 감소.

상태이상 - 병/추위/출혈/타격 등의 이유로 체력이 깍일때마다 최대 체력/스테미나가 조금씩 감소.

병 - 야생동물에게 피격, 피를 뒤집어쓴 상태로 게임시간 12시간경과[치료제로 치료]


추위는 옷이 가진 보온효과와 현재 온도를 계산해서 나온 수치가-일때 차츰 체력이 깍이고 이 수치가 크면 클수록

더빨리 체력이 깍인다. 2단계 상의바지는 재료가 얼마 들지 않으므로 최대한 빠르게 2단계상의와 바지를 갖추기를 권한다.



배고픔수치는 허기/수분/고기/채소 로 나뉜다.

허기수치는 고기와 채소를 먹을때 함께차므로 실제로는 고기/채소/물 세가지만 채워주면 된다.

허기수치는 동물을 기를때 외에는 크게 신경쓸 필요없다.

또한 추우면 허기/고기/채소 수치가 급격하게 빨리 떨어지고 더우면 수분수치가 급격하게 떨어진다.


아이템 및 동물 리젠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오브젝트가 재접할때마다 새로 배치된다.

특정 아이템만을 다량으로 획득하고 싶다면 채집 저장 후 불러오기를 반복하여 자원을 다량 획득할 수 있다.

재접해도 그대로 유지되는 것은 헌터가 떨어트린 가방, 무스, 수정동굴의 총 오브젝트량 정도이다.

수정동굴의 총오브젝트량은, 만약 동굴안에 수정과 석탄이 20개가 리젠되어 있고, 이중 10개의 석탄 수정을 캐고 재접했다면

새로 리젠되는 수정/석탄의 양은 10개로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동굴내의 모든 수정/석탄을 캤다면 아무리 재접을 해도

수정/석탄은 리젠되지 않는다, 오로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다시 오브젝트가 늘어나는 시스템이다.

또한 특이점으로 겨울에는 모든 노략품의 획득량이 감소한다.


대부분의 자원은 1회용이지만 회수가 가능하다.

화살 낚시도구는 적에 맞으면 바로 사라지지지만 화살은 적에게 빗맞았을때 낮은확률로 회수가능.

낚시도구도 물고기를 낚으면 사라지지만 아직 물고기가 캐스팅 되기전이라면 오른버튼으로 릴을 감아 회수가능

통발 덫의 경우 5일간유지하지만 중간에 회수하여 자원을 일부 회수가능.






III 무기 및 방어구


무기종류는 근접무기 원거리 무기로 나눌 수 있고

근접무기로는 도끼 곡괭이

원거리무기로는 활과 총종류가 있다.

근접무기는데미지가 17이므로 원거리무기가 주로 쓰인다.

다만 근접무기로 1:1상황에서는 자원소모없이 헌터를 쉽게 죽일 수 있다.

헌터는 활 권총 샷건 리볼버등을 번갈아가면서 사격하는데 한대 맞을때마다 무기를 바꾸고

무기를 바꾸는 텀이 있어서 붙어서 계속 때리면 무기만 바꾸다 맞아죽는 상대를 볼수 있다.



원거리무기는 권총 리볼버 샷건 더블배럴샷건 라이플 활 곡궁 정도가 있다.

권총은 보통이하 난이도시작시 1정씩을 주고 나머지 무기는 전부 직접 만들어서 써야한다.

데미지는 권총 18 활 20 라이플 49 샷건/더블배럴샷건 120 정도인데 무기업그레이드를 진행하거나 특수탄환 특수화살을 사용하면 데미지가 증폭된다.

무기 업그레이드는 최대 4레벨까지 가능하며 업그레이드당 20%의 추가가 된다.

공격력 탄창 재장전속도모두 4레벨까지 가능하나 더블배럴은 공격력 재장전속도만, 곡궁은 공격력만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샷건과 더블배럴샷건의 차이점에 대해서 적자면 샷건은 연사가 안되는대신 탄창크기가 커서 업그레이드가 되기전엔 더블배럴샷건보다 좋고

더블배럴샷건은 2연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재장전업그레이드가 된다면 샷건보다 좋다.


즉 성장가능성이 체력과 스테미나뿐 아니라 무기의 업그레이드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총 4단계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필요한 자원은 대부분이 희귀한 고급재료이므로 장기목표중 하나가 된다.

초반 추천무기는 활이고 게임이 끝날때까지 쓰이므로 미리하나 장만해놓자.

참고로 도끼 곡괭이 같은 도구류는 수리가 안되나 모든무기류는 수리가 되므로 2개씩 만들필요없이 수리해서 사용하자.


무기중에 수류탄이 있는데 이 수류탄은 제작에 필요한 자원에 비해 성능이 매우 떨어져 문에 약 230의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그냥 곡괭이를 이용해 헌터문을 파괴하는 것을 권하고 기왕 쓸거면 수류탄 화살로 만들어 업그레이드된 곡궁으로 사용하도록 하자.

수류탄화살의 데미지는 곡궁의 데미지업그레이드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데미지가 최대 80%까지 뻥튀기되서 들어가게된다.


viewimage.php?id=3eabd727e8d7&no=24b0d769e1d32ca73ded81fa11d02831ecb95a6124af73c1834c571bfbe36ae36950ceeac49351cb6ad3d7212ecfccad0edb9481e726d1357b93189a6ce9ded33d14

-티어별로 나눈 옷들- 밀리터리상의와 파란헬멧은 헌터기지를 털었을때만 얻을 수 있는 최고등급의 희귀템이다.


이 게임은 헤드샷을 지원하기 때문에 풀피에도 헤드샷으로 한방에 죽을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헤드샷을 방지해주는 헬맷은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대부분의 방어구들은 목화를 대량으로 필요로 한다. 목화는 대부분 의료품상자에서 목화씨를 획득해서 재배해서 획득하는 양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방어구를 만들기가 쉽지 않고 수리할때도 목화가 또 들기 때문에 나중에는 체력보다 방어구의 내구도를 더 신경쓰게 된다.

온도시스템에 따라 추울때는 열심히 올려놓은 총체력/스테미나가 깍이므로 밤에 나무라도 패려면 옷을 최대한 빨리 맞추는걸 권한다.

온도는 기본적으로 3도까지 견딜 수 있으며 옷들을 추가하며 견딜 수 있는 온도를 점점 올려주면 된다.


방어구를 업그레이드 할떄는 상의보다는 바지를 먼저 업그레이드하도록 하자. 상의는 겨울에 스웨터와 겨울코트로 갈아입어야하지만

바지는 눈바지같은 딱히 갈아입을 것이 없고 상의에 비해 재료도 적게 드는반면 올라가는 수치는 오히려 높다.

추천하는 방어구빌드는 2단계 바지 상의를 갖춘 후 나오는 섬유로 헬멧 이후 방탄조끼를 만든 후 겨울에 대비해 스웨터를 만들자

겨울코트는 있으면 좋지만 방탄조끼의 방어력이 탁월하고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첫겨울까지 겨울코트를 만든다는건 매우 힘들다.

이 후 바지를 먼저 업그레이드하고 재료가 모여 두번째 겨울이 가깝다면 겨울코트를 완성하면 되고

매우 낮은 확률이지만 헌터기지의 상자에서 밀리터리상의가 나오는데 이 상의가 3단계 상의의 상위호환이기 때문에

이걸 찾기만 한다면 상의를 굳이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없어진다.






VI 자원시스템


자원 시스템은 노가다의 결정판이다. 플레이타임 1시간이든 400시간이든 획득하는 자원량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스타듀밸리로 예를 들자면 무기류는 계속 업그레이드 되는데 곡괭이 도끼 물뿌리개 전부 업그레이드가 안된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도구류의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여 대부분의 파밍은 직접 이루어져야 하는 불합리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즉 자원수집의 대량/자동화 시스템은 아직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그나마 자동화가 이뤄진 부분은 광석정도이다.


이 게임은 파밍수단이 세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1. 도구류 채집

2. 시체노획

3. 상자


1. 도구류 채집

도구류 채집은 간단하게 도끼로 나무를 패서 3회당 1개의 나무를 얻거나 광석을 곡괭이로 5회 내리쳐서 3~4개의 광석을 얻는 방법이다.

수중아이템인 진주의 경우에만 곡괭이2회 도끼 4회로 채집가능하다.

참고로 이 게임은 나무로 시작해서 나무로 끝난다. 게임플레이시간이 10시간이면 그중 5시간은 나무를 할 것이고

100시간이면 30시간은 나무를 하는데 쓰게 된다. 건축이 끝나가는 후반시점이 되서야 그래도 그나마 나무의 쓰임새가 줄어든다.


도끼는 정상적인 이용방법인 나무패기나 적을 내리칠때는 시체도축할때에는 내구도가 깍이지 않으나

이외의 사용법으로 사용하게되면 내구도가 깍이게 된다. 참고로 곡괭이보다 휘두르는속도는 빠르지만 효과는 1/2밖에 되지 않는다.

곡괭이의 경우에는 정상적인 이용방법인 광석채취시에도 내구도가 깍이므로 여러자루를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특이점으로 건축물을 내리쳐서 파괴할 수 있는데

건축물 파괴 데미지가 도끼의 2배이기 때문에 헌터기지를 노략할때 문을 파괴하는 용도로도 많이 쓰인다.


2. 시체노획

시체노획은 야생동물을 죽이고 도끼를 들고 F버튼을 누르면 시체도축을 해서 고기 특수부위 가죽 지방을 얻을 수 있다.

고기는 그냥먹어도 무방하나 구워서 먹어야 회복량도 증가하고 총체력/스테미나도 증가하기 때문에 구워먹도록 하자.

고기는 먹을 수 있고 가죽은 회복아이템인 붕대 체력키트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지방은 기름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이 기름은 치료키트에도 쓰이고 전력을 생산해내는데 주로 사용된다.

특수부위는 대형동물 공통으로 확률적으로 간이 획득이 가능하고

무스에게서 갈비 사슴뿔 힘줄, 퓨마에게서 힘줄, 사슴에게서 사슴뿔이 획득가능하다. 모두 희귀재료이므로 얻으면 잘 보관하도록 하자.


시체노획은 헌터에게서도 이루어지는데 헌터는 죽으면 죽은자리에 작은 가방하나를 떨구고 죽는다. 이안에서 게임진행에

중요한 기어 무기부품 등을 얻을 수 있다. 따로 시작설정을 건든것이 아니라면 지속적으로 플레이어를 괴롭히러 오기 때문에

나중에는 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노략품은 점점 쌓이게 된다.


3. 상자


viewimage.php?id=3eabd727e8d7&no=24b0d769e1d32ca73ded81fa11d02831ecb95a6124af73c1834c571bfbe36ae36950ceeac49351cb6ad3d7212ecfccad0edb9481e726843826c6199b3eb8ded34b47


-탄환상자/의료품상자/건축물상자/희귀상자/헌터기지파괴 시 등장하는 희귀상자/헌터가방-


야외획득 : 탄환/의료품/건축물/희귀상자[키필요]

BCU 크래커로 헌터기지 파괴 시 : 얼룩덜룩한 희귀상자[키필요X]

헌터를 죽일 시 : 헌터가방

설치가능한 : 상자/대형상자

이중 의료품/희귀/헌터희귀상자 에서 나오는 목화씨는 게임플레이상 가장 중요한 핵심 아이템이다.

목화가 있어야 옷도 만들고 수중탐험도 할수있고 건축물도 업그레이드 할수있다.

희귀상자는 열쇠로 잠겨있어서 열쇠하나를 소모해서 열어야한다. 온갖 고급자원을 준다.



각종 자원 획득처


무기부품 - 헌터, 헌터기지, 희귀상자

고급무기부품 - 헌터기지파괴 후 나오는 희귀상자-키 없이도 노획가능-

수정 - 수중동굴에서 곡괭이로 채집

기어 - 무기부품과 동일

목화 - 헌터기지, 희귀상자, 필드의 목화나무, 의료품상자

힘줄 - 퓨마[Puma/Cougar], 무스시체 채집, 헌턱기지, 희귀상자 - 참고로 퓨마는 설산근처에서만 나온다.

깃털 - 닭 도축, 상자

고급깃털 - 레벨 3이상의 닭 도축

사슴뿔 - 사슴, 무스시체 채집, 헌터기지, 희귀상자

감자 - Only 필드에서만 채집가능

토마토/양파/당근 - 의료품상자, 필드, 헌터기지, 희귀상자

애벌레 - 6개의 나무를 주는 큰 나무를 다패면 획득

진주 - 수중 속 조개를 곡괭이/도끼로 채집

다시다 - 수중

생선기름 - 생선에 오른버튼 클릭 생선기름획득




V 건축물


이 게임은 건축이 하나의 핵심 컨텐츠이다. 특이하게 전력과 매스라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전력은 말그대로 전기파워를 말하는 것이고, 매스는 또다른 전력정도로 생각하면 편하다.

전력과 매스는 일단 BCU-Base Command Unit-을 건설하게 되면 그때부터 사용가능하고 기본최대 충전단위인 전력500/매스100 까지는 자동으로

충전이 된다. 500/100이상의 수치를 가진 건축물 및 업그레이드는 총 전력/매스 량을 늘리는 건축물을 지어서 진행해야 한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농사도 지을 수 있고 요리도 해먹을 수 있으며 무기및 특수탄환 제조도 가능하며 무기의 업그레이드 및 지하광물채굴도

가능하다. 거기에 클린에너지생산시스템인 태양광/풍력 발전기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 모든 제품의 효율은 형편없고

모두 플레이어의 노가다를 기반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이다. 진정한 의미의 가내수공업이 무엇인지 알게 해준다.


매스는 최대 100까지밖에 자동충전이 안되기때문에 100이상이 소모되는 물건이나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려면 매스를 만들어줘야 한다.

매스는 두가지로 만들 수 있는데 전력 2.5당 0.2를 생성하는 매스 패브리케이터와 물건과 전력x2를 소모하여 매스를 만들어내는 리사이클러가 있다.

매스패브리케이터는 일단 전력당 매스생산량의 불호는 둘째치고 매스를 켜놓고 장시간 기다려야 한다는 단점때문에 잘 쓰이지 않는다.

그때그때 필요한 매스는 리사이클러를 이용해 뽑아내는 것이 간편하여 리사이클러가 잘 사용된다.

문제는 이 게임이 노가다가 매우 심한게임이고, 그에 반해 게임에 존재하는 거의 대부분이 아이템들이 전부 사용처와 사용량이 채집량에 비해

많다는 것이다. 리사이클러는 남아도는 아이템을 희생해서 매스를 얻어야 하는데 남아도는 아이템이 생각보다 별로 없다는게 문제이다.

그러면 그나마 희생할만한 자원 중 가장 효율적인 것 몇가지만 적어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현재 게임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아이템, 심지어 건축물조차 리사이클러로 변환가능하다.


리사이클러에 넣을 추천 재료

탄 고기 4.5

나무 1

대부분의 식량 3 - 고기의 경우에도 3인반면 태우면 4.5로 1.5배가 증가하므로 허기수치를 적게 올려주는 토끼고기 닭고기와 스테이크정도는

미리미리태워서 매스생산에 사용하도록하자. 탄고기는 냉장고에 넣지 않아도 썩지 않기 때문에 냉장고가 없을때는 일단 고기를 태워서

매스생산용으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냉장고 용량이 꽉차도 마찬가지.

깃털 1

9mm 탄환 1 - 9mm를 이용하지 않으면 권한다. 쌓여가는 9mm탄환 아까워서 권총쓰다가 한대 더 맞으면 옷도 수선해야하고 오히려 더 손해인 경우가 많다.

참고로 완성품이나 중간재료의 경우에는 들어간 제작시간만큼 매스생산량이 늘어날 것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탄고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완성품이 원재료보다 매스생산량이 오히려 줄어든다. ex- 나무3개로 만드는 판자의 매스생산량은 2에 불과하다.

무언가 리사이클러로 돌릴만한게 적당하지 않은 것 같다면 나가서 나무를 캐오자 노동시간대비 가장 많은양의 매스를 얻을 수 있다.


전력은 초반에 소형발전기를 돌려서 얻고 중반에도 소형발전기 후반에도 소형발전기에 대부분 의지하게 된다.

풍력/태양열 발전기의 생산량은 각각 최대 0.1/0.08밖에 되지 않으므로 자원이 정말 남아도는 극후반에나 짓기를 권한다.

업그레이드까지 전부 돌려야 0.15/0.12의 생산량이 되는 극혐의 자원낭비이다.


무언가를 제작할 수 있는 생산건축물은 오븐, 제작대,lathe 정도이다.

오븐은 말그대로 음식하는 조리건축물인데 함정이 있는게 이 오븐만으로는 요리를 못하고 따로 프라이팬 냄비 베이킹팬을

제작대에서 만들어 장착해줘야 한다. 최종티어음식은 베이킹팬을 이용해 만들 수 있으며

이 최종티어음식은 무려 최대체력과 스테미나를 약+1시켜준다. 구운고기의 거의 20배에 가까운 효과를 보장하므로

하루에 두번씩만 섭취해도 열흘이면 총체력과 스테미나 수치가 100을 넘어서는 성장가능성을 보여준다. 다만 첫 조리도달까지가 매우 힘들다.


제작대는 일단 제작자가 생각해서 추가한 대부분의 아이템을 여기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탄환제작에 필요한 화약 탄약상자부터 고급건축물에 들어가는

고급재료들을 대부분 만들 수 있다. 참고로 최종티어활의 최종티어화살인 고급화살도 여기서 제작이 가능하다.

주로 만드는건 고급건축재료이자 업그레이드재료인 합금시트 회로판정도이다. 제작대가 있어야 건축가능한 건축물이 많기 때문에

기본적인 벽난로 소형발전기 침대정도가 갖춰졌다면 가장 우선해서 만들어야 하는 건축물이다.


Lathe는 최근 패치때 새로 등장한 건축물인데 원래 제작대에서 만들 수 있었던 최종티어 제작품들을 여기서 제작이 가능하게 옮겨놓았다.

향후 제작가능한 품목이 더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후반 건축에 쓰이는 엘리베이터와 BCU cracker를 만들 수 있다.

BCU 크래커는 헌터기지의 BCU를 파괴함으로서 해당 기지의 헌터리젠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졌다.

또한 헌터기지의 BCU를 파괴하면 4단계 무기업그레이드 재료인 고급부품을 주므로 무기업그레이드 진행시 필수로 제작해야할 물건이다.


다만 헌터기지를 파괴한다고 헌터가 리젠되지 않는 것은 아니고 바로 다음날 새로운 헌터무리가 다른장소에 이주해온다.








VI 야생식물


viewimage.php?id=3eabd727e8d7&no=24b0d769e1d32ca73ded81fa11d02831ecb95a6124af73c1834c571bfbe26ae351f38f76f2d240799315e077540c600e50633f57a2bef09597770edfb3749c1d69

-감자/당근/양파- 필드에서 구할 수 있는데 주변그래픽과 색깔이 비슷해 그냥지나치기 쉽다. 감자는 현재 필드에서만 구할 수 있다.


viewimage.php?id=3eabd727e8d7&no=24b0d769e1d32ca73ded81fa11d02831ecb95a6124af73c1834c571bfbe06ae31570eb1d278ca1c18fc257f223f6f8be54b4ddb84af9b2dd99680d1c32811a2a84

-물에 걸쳐서 지은 집- 이렇게 지으면 물을 따로 뜨러갈필요가 없어서 물을 줄때 엄청나게 편하다. 다만 겨울에 진입로문제가 있다.


텃밭은 조명이 있어야 식물이 자라는데 시간에따라 일조량이 다르고 특히 밤에는 일조량이 0가 되어 자라지 않으므로

전력이 들더라도 조명업그레이드를 최대한 빨리 진행하는 것이 좋다. 전력효율업그레이드시 0.05의 전력밖에 들지 않으므로

매우 권장되는 업그레이드이다.

야생식물은 온갖 재료들에 들어가는 섬유와 약초 먹을 수 있는 채소과일종류, 드물게 목화정도가 있다.

가장 난이도가 높은 식물은 감자 목화정도가 있지만 감자의 경우 단 하나만 발견하면 농사를지어 3배씩 불릴 수 있는반면

목화는 씨앗으로 변경이 불가능해서 무조건 상자에서 파밍하거나 필드에서 찾아내는 방법외에는 얻을 수 가 없다.

감자는 매우 희귀하여 산악지형에서만 발견된다고 잘못알려져 있으나 지형에 상관없이 발견된다. 강가에서 획득한바 있음.

채소는 농사가 불가능한 다시마/블루베리/사과와 농사가 가능한 당근/양파/감자/토마토 정도가 있다.

이외에 약초도 농사는 지을 수 있지만 목화처럼 씨앗변경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필드에 흔하게 피어있기때문에 문제가 되진 않는다.

채소는 주로 먹거나, 요리에 쓰이거나, 동물을 키우는데 쓰이는데, 특히 이 동물을 키우는데 엄청난 양의 채소가 필요하므로

동물을 기르려면 농사가 필수이다. 서로 윈윈하는 관계도 있어서 나중에는 동물이 싼 대변을 비료로 농작물을 키우고 그 농작물을 동물에게먹여

순환할 수 있긴하다. 참고로 동물을 키울때는 채소를 먹지만 막상 필요한 수치는 허기수치라서 허기수치가 압도적으로 높은 토마토농사를

대량으로 짓기를 권한다. 토마토는 1씨앗에 2개씩밖에 생산해내지 않지만 개당 17의 높은 허기회복수치를 지니고 있어

동물을 기름에 있어서만큼은 압도적인 효율을 자랑한다. 참고로 토마토수프-42%-를 요리해서 먹이면 조금 더 효율좋게 동물을 기를 수 있다.

원래 고기는 받지 않지만 이상하게 요리는 대부분 받아서 고기가 충분하다면 요리를 해서 먹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조명량과 물만 있으면 충분하다.

하지만 초반에는 채소가 압도적으로 모자라므로 비료를 뿌려주도록하자.

비료는 처음에는 아래와 같이 벽난로나 모닥불을 피울때 자연적으로 생겨나는 재를 이용하면된다.

비료는 재 이외에도 동물의배변, 칼륨가루도 사용가능하며, 칼륨 > 배변 > 재 순으로 많은양의 비료게이지를 채워준다.

중반이 넘어서 텃밭에서 기르는 식물의 공급이 안정적으로 바뀌면 그때부터는 배변만을 이용해 비료게이지를 채워주고

업그레이드 하지 않은 텃밭을 다수 만들어서 물만으로 농사짓는 것이 가장 효율이 좋다.

첫 투자비용만 있으면 그 다음부터는 하루에 한번씩 약간의 노동력만으로 텃밭을 운영하면 된다.


viewimage.php?id=3eabd727e8d7&no=24b0d769e1d32ca73ded81fa11d02831ecb95a6124af73c1834c571bfbe06ae31570eb1d278ca1c18fc257f223f6f8be54b4ddb84afee5dbcd3c0b4938811a2af8

-벽난로를 24시간 가동하여 재를 끊임없이 생산하도록하자, 재는 이곳저곳 가장 많이 쓰이는 재료 중 하나이다.-








VII 야생동물과 생선, 헌터


적으로는 야생동물과 헌터가 있다.

야생동물은 회색곰 검은곰 늑대 흰색늑대 사슴 무스 퓨마 토끼 닭 이 있다.

이중에 선공하는 몹은 회색곰 검은곰 늑대 흰색늑대 퓨마가 있고 발정기시즌인 가을에만 무스도 선공몹이 된다.


토끼와 닭은 키울 수 있는 동물이며 길렀을때 주는 아이템이 다르다.

잡게되면 레벨에 따라 주는 아이템이 다르다 아이템은 아래의 표를 참고.


레벨

토끼

1

저급고기1

천1


저급고기1

깃털2


2

고급고기1

고급고기1

깃털2

지방1

3

천2

지방2

깃털3

지방2

고급깃털1

4

지방3

5

고급깃털2

6

지방4

고급깃털3

7

천3

지방3

깃털5

고급깃털4

8

지방5

고급깃털5

9

10

고급고기2

통닭1

깃털7

지방6

고급깃털7


모든 동물은 키우면 배변업그레이드 시 반드시 배변을 주기적으로 생산한다. 배변은 비료로 사용된다.

닭장은 방목업그레이드가 필수이다. 방목업그레이드를 해야 4레벨이상 레벨이 오른다. 방목이니 당연히 소모되는 허기수치도 눈에띄게 감소한다.

즉 닭장은 방목과 배변 업그레이드를 하고 난 이후에 동물을 기르는것이 강력추천된다.

또한 닭의 경우에는 레벨이 오를때마다 닭장에 계란을 한개씩 낳는다. 레벨10에 도달하면 더이상 계란생산도 되지 않고

배변만을 생산하므로 레벨10에 도달할때마다 도축하기를 권한다.

또한 토끼는 닭에 비해 장점이 단 1도 없으므로 닭만을 키우기를 권한다.

먹이로는 야생식물을 주면되는데 필요한 수치가 '허기'수치 라는걸 기억하도록 하자. 대부분의 식물이 허기수치가 형편없는 반면

토마토 하나만은 허기수치가 높으므로 동물먹이는 토마토를 재배해 주는걸 추천한다.

먹이로는 요리도 받는데 요리 중에 가장 효율성있는 요리는 토마토수프+42 스테이크앤 에그+45 두가지이다.

스테이크앤 에그는 스테이크1 + 에그2 + 전력100으로 만들 수 있고, 토마토수프는 토마토2 + 허브2 + 수통물1 + 전력50 으로 만들 수 있다.


야생동물은 이번에 새로 추가된 덫으로도 잡을 수 있는데 먹이는 허브3개당 블루베리2개당 당근/양파/감자/토마토1개당 야생동물 1마리를 잡을 수 있다.

블루베리는 물에 타먹으면 회복량이 늘어나고 재배가 불가능하므로 허브3개나 작물1개를 먹이로 주는걸 추천한다.

추가로 덫은 지속시간이 있다. 무한정사용가능한건 아니고 약 5일의 시간동안만 유지된 후 파괴된다. 이때 안에 든 물품들도 전부 같이 파괴된다.

4일쯤 사용하다가 회수해서 자원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하자.

플레이어가 주변에 있으면 덫에 동물이 걸릴 확률이 감소하므로 집에서 멀리 설치하도록 하자.


통발로는 작은 물고기만 획득가능하고 이 물고기는 구워먹거나 생선기름1개로 변환이 가능하다.

낚시대로는 작은물고기와 중형 대형물고기가 획득가능하며, 중형물고기는 연어살2개와 생선기름2, 대형물고기는 연어살4개와 생선기름2를 준다.

낚시도구는 1회용이지만 아직 물고기를 낚지 않았다면 오른버튼 클릭해서 릴을 눈앞까지 끌고오면 회수가 가능하다.

체력키트 1개에 생선기름4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중반이후로 밤낚시를 즐기게 된다. 낚시의 경우 굳이 멀리던지지 않아도 물고기는 잘 잡힌다.

이 게임에서 가장 지루한 노가다중 하나. 낚시시스템은 개선이 필요해보인다.

낚시의 경우에는 찌를 멀리던질수록 찌를 더 빨리물도록 패치되었으므로 회수하는데 시간이 걸리더라도 찌를 최대한 멀리 던지도록 하자.

마찬가지로 통발도 약 5일의 시간이후에는 파괴되므로 4일쯤 사용하다가 회수하여 자원의 낭비를 막자.

플레이어가 주변에 있으면 통발에 물고기가 걸릴 확률이 감소하므로 집에서 멀리 설치하도록 하자.


모닥불만 건설하는 헌터의 경우에는 주로 상의를 입지 않고 드랍아이템으로 기어를 자주 떨어뜨린다.

기어가 필요하다면 이 유형의 헌터들을 찾아 돌아다니자 맵상에 생각보다 많이 펼쳐져 있다.


헌터는 처음에는 플레이어의 맵상에 존재하지 않지만 BCU를 지어서 기지를 확보하게 되면 익일부터 맵상에 속속 자리잡게 된다.

자리잡는 위치는 주로 플레이어의 주변 근처이며 등장하는 헌터의 종류는 세가지이다.

모닥불만 짓고 3~4인씩 모여서 야생생활을 하는 헌터.

기지를 건축하는 헌터.

밀리터리기지를 짓는 군인으로 추정되는헌터.

아마 스토리라인이 생긴다면 이 군인으로 추정되는 헌터들을 위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기지를 건축하는 헌터의 경우에는

처음에는 1인이 등장하여 모닥불앞에서 플레이어처럼 건축을 하며 3층건물까지 발전한다. 발전은 플레이어와 동일한데, 초보의 경우에는

헌터들의 발전속도가 더 빠르다. 리젠이 24시간에 한번씩은 이루어지므로 리젠시기마다 족족 잡아주면 그만큼 헌터의 발전이 느리긴하다.

헌터가 떨구는 개인가방말고 기지에서 노략질을 하려면 최소한 건물의 1층외관이 완성되고 문까지 달아줘야 노략질이 가능하다.

이때 나오는 아이템 중에 희귀템인 목화와 초중반까지 부족한 무기부품이 있어서 일부러 기지가 1층까지 완성될때까지 내비두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필자의 경우에는 그냥 최대한 발전 안되게 때려잡는다. 어차피 시체에서 나오는 가방에서만 모아도 무기부품은 충분하고

기지를 털려면 문을 파괴해야 하는데 이게 또 엄청난 노가다라 큰 이득이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냅두면 3일에 한번씩 공격오는 것도 문제이다.

시작설정에서 복수만, 혹은 공격없음을 선택하면 공격이 오지 않는데 그러면 이게임의 긴장감은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헌터공격설정은 왠만해서는 건들지 않고 플레이하기를 권한다.


밀리터리기지를 짓는 헌터의 경우에는 짓는 기지의 크기와 내구도부터가 다르다.

일반기지는 강화재료가 아닌 목재를 써서 문의 내구도도 500에 불과해 곡괭이를 이용해 파괴할만 했다면

밀리터지기지의 외부문은 강화재료를 써서 1100이라는 엄청난 내구도를 자랑해서 뚫고들어가기가 매우 힘들다.

외관부터가 밀리터리 느낌이 나는 초록색 얼룩덜룩한 무늬를 띄고 있는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이 게임 최고등급의 상의인 밀리터리상의는 헌터기지에서만 얻을 수 있으므로 기지가 헌터기지가 3층이상 지어졌다면

자주습격해서 자원을 획득하는 것을 권한다.








VIII 진행 팁


이 게임은 수중동굴이라는 대형컨텐츠가 있고 이 동굴에서만 구할 수 있는 수정이라는 자원이 있어서 여러번 자주 가게 되는데

이 위치가 특정 물안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이 물가근처에 집을 짓는것이 나중을 위해서라도 편하다. 어차피 식수확보문제로 물가에 지어야 한다.

개발자가 나중에 다른 대형호수에도 지하로 연결되게끔 만든다고 하지만 아직까지는 해당 호수외에는 진입불가이다.


viewimage.php?id=3eabd727e8d7&no=24b0d769e1d32ca73ded81fa11d02831ecb95a6124af73c1834c571bfbe06ae31570eb1d278ca1c18fc257f223f6f8be54b4ddb84afab5d99b600d1a3a811a2a41

-수중동굴 근처에 지은 집-


해당 수중동굴이 있는 호수근처에 이렇게 집을 지으면 된다. 굳이 저자리를 고집할필요없이 근처 어디에나 지으면된다.

본인은 동물기르고 농사지을때 물을 따로 뜨러가기 귀찮아서 물가에 짓기위해 저기에 지었다.




viewimage.php?id=3eabd727e8d7&no=24b0d769e1d32ca73ded81fa11d02831ecb95a6124af73c1834c571bfbe16ae3b4f4dc03b09736017ece70ec74bd7fc713841eb9987b31ce4e3f0b4b4bb766a319

- 전체맵 상 수중동굴 위치-

*Alpha53 업데이트로 버치우드에도 수중동굴이 생겼다. 향후 두 동굴이 연결된다고 한다. 지도업데이트는 나중으로



첫 시작시에는 도끼로 나무를 패면서 이동하면서 판자를 10개 이상 만드는걸 목표로 삼는게 좋다.

viewimage.php?id=3eabd727e8d7&no=24b0d769e1d32ca73ded81fa11d02831ecb95a6124af73c1834c571bfbe16ae3b4f4dc03b09736017ece70ec74bd7fc713841eb9987d61941e385c1b4cb766a3fc

-블루베리 사진- 채취가능한 대부분의 식물이 이렇게 주변색과 비슷한 색으로 표시되어서 무심코 지나치기 쉽다.


수중동굴이 있는 호수가 맵의 북서쪽에 위치하므로 항상 N, W 방향으로 움직여서 찾아가도록 하자.

필드에는 갖가지 아이템이 많은데 거의 대부분의 아이템은 윗 사진의 블루베리처럼 따로 하이라이트가 되지 않아

처음에는 그래픽과 획득가능한 아이템이 구별이 잘 되지 않는다. 몇번 획득하다보면 자연스레 구별이 가능하다.

자신이 눈썰미가 안좋다 싶으면 게임내내 특정자원이 모자람을 느낄 수 있다.


이동하면서 나오는 섬유는 계속 모아서 밧줄을 만들고 밧줄이 모이면 바로 활을 만드는걸 추천한다. 화살은 깃털이 필요한데

깃털은 상자에서 얻거나 화살자체를 탄약상자에서 획득하거나 혹은 닭을 달려가서 잡거나 권총으로 두방맞혀 잡아서 획득하면된다.

깃털하나에 화살2개가 나오고 소형동물은 화살한방에 잡을 수 있으므로 일단 화살을 하나이상 만들었다면 닭을 잡아서 화살을 불려나가면 된다.

물론 맞추는 실력은 본인의 실력인데, 이 게임의 기본활은 중력의적용을 받기에 멀수록 위를 쏘면된다.

맞추기 힘들면 앉아서 최대한 접근해 정중앙에 맞추면 맞는다.

토끼는 천을 닭은 깃털을 주는데 둘다 모아서 먼저 상의부터 하나 만들어입자. 아래티어옷은 상위티어옷의 재료이기도 하니까 아까워할 필요는 없다.

천은 벽난로에도 3개 들어가므로 천이 모자라다면 상의는 조금 나중에 만드는걸 추천한다.

밤에 체력손실이 적게 활동하려면 옷을 최대한 빨리 만드는 것이 좋다. 밤이 생각보다 긴데 춥다고 벽난로앞에만 있으면 자원낭비가 심하다.

2단계 상의와 바지까지는 재료가 얼마 들지 않으므로 최대한 빠르게 2단계상의와 바지를 갖추기를 권한다.


고기는 시간이 지나면 썩고 허기/고기/야채/수분 수치에 따라 스테미나 회복속도가 달라지기때문에 어느정도 해당 수치가 떨어졌다면

집을 만들 위치를 물색하도록 하자. 첫 기반은 일단 위 사진에 있는 수중동굴이 있는 물가 아무곳에나 지으면된다.

해당 위치에 도달해 미리 만들어두었던 판자를 이용해 기반을 하나 짓고 모닥불을 만들어 고기를 구워먹자.

생각보다 고기가 많다면 썩혀서 겨울에 사용할 히트팩을 준비해도 좋으나 겨울은 생각보다 멀다.

차라리 리사이클러에 넣을 탄고기를 만들자 탄고기는 무려 4.5의 매스를 주는 이 게임 최고의 재료중 하나이다.

참고로 물은 물가에 서서 수통에 오른버튼클릭해서 물을 담거나 수통에 마우스를 대고 F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채워진다.

이물은 오염된 물이고 바로 마시면 병에 걸려 최대회복체력과 스테미나가 55까지 떨어지므로 더블클릭해서 오염된물을 먹지 않도록 주의하자

모닥불에 끓이면 깨끗한물을 먹을 수 있다. 깨끗한 물표시는 한눈에 봐도 알 수 있다.

여유가 된다면 상자를 하나 만들어 상자를 보관하면되고, 운이 좋거나 눈썰미가 좋다면 벽과 BCU를 만들 수 있다.

BCU는 벽에 부착하는 방식이므로 일단 벽은 하나라도 있어야 부착이 가능하다.


BCU를 지었으면 가장 먼저 이어야할 건축물은 벽난로이다. 벽난로가 있어야 지방을 기름으로 바꾸어 소형발전기를 돌릴 수 있고

소형발전기가 있어야 전력을 501이상으로 올려서 중요건축물들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BCU를 처음 짓게되면 기본적으로 키를 하나 주고 이 키로는 희귀상자를 하나 열 수 있다.

희귀상자는 정말 희귀하고 중요한템들을 주고 시간이 지나면 일반상자처럼 없어지기 때문에 키하나씩은 무조건 하나씩 들고다녀야 하는데

키는 만드려면 철조각18개가 필요하고 철조각은 용광로에서 만들 수 있기때문에 처음 빌드는 대부분이 BCU 벽난로 소형발전기 용광로 순으로

고정되어 있다고 보면된다. 이후에 매스생산을 위한 리사이클러를 만들기위해 전력저장소를 짓고 리사이클러를 만들고 매스저장소를 짓고

이후에 필요한 건축물들을 하나하나 완성해나가면된다. 내가 잘 죽는 타입이다싶으면 침대를 소형발전기 다음으로 만드는 것도 좋다.

침대를 만들면 전력을 소모해 해당장소에서 부활이 가능하기때문에 본인이 게임에 숙달되지 않았다면 빨리 만드는 것을 권한다.


첫날에는 어쨋든 많은양의 나무를 하고 고기를 구워먹고 채소가 모자라다면 호수에 잠수해 다시다를 따서 먹도록 하자 생각보다 금방 많은양을

모을 수 있다. 참고로 어두워지면 아무것도 안보이기때문에 호수속에서 파밍하는건 불가능하다. 그나마 형광등을 들고 야생동물을 피해

나무를 캐는 것이 좋다. 첫날밤에 춥기때문에 체력이 조금씩 깍이긴하지만 신경쓰지말고 야생동물만 조심하면서 안보일때 나무를 열심히 캐면

둘째날 날이 밝았을때 수십개의 나무판자를 완성할 수 있을것이다. 대부분의 건축물이 나무판자가필요하기 때문에 첫날밤에 놀지말고 열심히

나무를 모으자, 날이 밝으면 더이상 나무는 그만패고 상자와 섬유파밍에 주력하도록 하자. 초반에 정말 많은양의 섬유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자에 템을 다 정리해서 놓고 BCU에서 벽난로를 만들수 있는 전력과 매스양이 될때까지만 주변에서 상자파밍을 하고 벽난로를 만들고 불을 지핀다.

모닥불은 이때 정리하면 되고 벽난로에서 만드는 재는 정말 쓰임새가 더럽게 많기 때문에 미리미리 모아두어야 한다.

벽난로하나는 무조건 24시간 항시 켜놓는 상태여야 한다고 생각하면 좋다. 아침에 연료를 채워넣으면 저녁쯔음에 돌아왔을때도 켜져 있으므로 멀리까지

나갈 수 있다.


어쨋든 1일차 중간에 기반1개 벽1개 상자1개 BCU1개를 설치해서 전력과 매스를 모아서 1일차 밤에는 벽난로를 완성시키는 것이 좋다.

모닥불은 나무의 소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벽난로를 설치하는 것을 추천한다.

추천해주는 스킬트리는 1일낮 BCU 1일밤 벽난로를 짓고 이후 소형발전기 전력저장소 용광로 재활용기계-리사이클러- 매스저장소 제작대 텃밭

순으로 지은 이후에 유동적으로 상황에 맞춰서 냉장고-보관기한무한- 닭장 추가 벽난로 등 을 추가하면 된다.

참고로 벽난로는 2개이상 소형발전기는 3개이상 지어야 발전에 무리가 없다.

이를 위해 동물사냥을 꾸준히 해서 기름은 계속 얻고 허브4개는 기름1개로 바꿀 수 있으므로 허브가 많이 남으면 중간중간 기름으로 바꿔주자


마지막으로 생존게임에 아무리 자신있어도 이 게임이 처음이라면 쉬움을 추천한다.

난이도에 따라 야생동물의 탐지반경 숫자가 달라지고 아이템 스폰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쉬움모드로 시작해서 어느정도는 기반을 다져보고

보통이나 하드코어로 넘어가기를 권한다.

아 물론 쉬움이라도 헌터설정을 따로 건든 것이 아니라면 헌터러시를 막는 것만해도 벅찰것이다.

처음에는 쉬움을 하던지 혹은 보통난이도에 헌터설정을 공격없음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아예 헌터를 생성하지 않는 체크메뉴는 클릭하지 않는것이 좋은게 헌터만이 주는 아이템들이 있어서 헌터가 필요하긴하다.



영문위키

https://subsistence.fandom.com/wiki/Subsistence_Wiki

https://subsistence.wiki/w/


이외에 공략글 - 갤러리 당 1개씩만

마운트앤블레이드 페리스노 중요팁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andb&no=3764&exception_mode=recommend&page=23

더롱다크 침입자난이도 공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helongdark&no=51&%E3%85%81=recommend&page=4

코난엑자일 간단공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onanexiles&no=91&page=1

림월드 랜디 평지 해빙맵 공략 - 대부분의 팁들이 막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rimworld&no=4070&exception_mode=recommend&page=90

서브노티카 중요 팁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bnautica&no=234&exception_mode=recommend&page=1

미국드라마 추천1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f_drama&no=1103970

배니쉬드 어려움난이도 공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cbanished&no=33&page=3

노스가드 공략 라그나로크 극악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gardnorth&no=390&exception_mode=recommend&page=1

미디블다이너스티 간단공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dg&no=173&exception_mode=recommend&page=1

눈을떠요 야생소년 간단공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ildboy&no=1139&exception_mode=recommend&page=1

추천 비추천

29

고정닉 1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865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266 공지 생존게임 마이너갤러리는 정식갤러리 승격을 원하지 않습니다. [2]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2.08 975 17
1343 공략 카드 서바이벌 관광객 약안먹고 초반나기 [2] 트위키식스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3 989 11
1060 일반 여러 게임 해봤는데 잘 모르겠음 [4] ㅇㅇ(218.159) 22.10.30 3093 7
1015 일반 디스맨틀은 n회차가 쌓일수록 꼼수가 늘어남 [10] ㅇㅇ(180.182) 22.09.27 12265 24
954 일반 디스맨틀 DLC 완전정복했다 [3] ㅇㅇ(115.138) 22.09.07 2880 13
772 소개 Len's Island 얼리윽섹스 해봤다 [5]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1 6160 9
531 일반 서울 2033 광고글은 삭제했다 [4]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03 1941 22
438 일반 형님들 그 시절 우리의 가슴을 뜨겁게 하던 게임을 기억 하십니까? [5] 하주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17 2196 8
432 소개 ND) 간략한 개발 영상 - 지형 파괴 [1] 모노모노모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04 1050 8
424 공략 subsistence 중반이후 헌터기지 공략 팁 [7] 그냥사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5.19 7321 7
일반 서브시스턴스 Subsistence /한글화/얼리억세스 -완 [47] 그냥사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5.10 21013 29
384 일반 ND) 자연에서의 삶, 그리고 도시에서의 삶 [7] 모노모노모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4.26 1262 6
368 공지 통신사 IP 대상으로 코드를 걸었습니다. [4]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4.23 708 9
366 소개 ND) 장비 커스터마이징, 표정 커스터마이징 동영상 [3] 모노모노모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4.22 673 7
361 일반 점퍼갤새끼야 이상한거좀 그만올려라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4.21 604 5
345 공지 남들에게 불쾌함을 주는 짤은 사용하지 맙시다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4.17 656 6
302 일반 요즘 총균쇠 읽는데 거기 내용이랑 생존게임 내용이랑 비슷한게 있더라 [2] torbjornus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3.25 1069 13
299 소개 (수정)안녕하세여 중갤에 글 올렸다가 생갤 가보라길래 와봤어요 [4] 갤용아이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3.23 817 12
223 일반 ??? : 이 씨팔년 개처럼 짖어봐! [5]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18 1636 16
167 소개 카타클리즘 DDA의 매력 - 인육 요리! [14]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30 1364 6
97 소개 게임소개 : 림월드 [15]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26 1829 10
57 일반 생존게임 마이너갤러리 위임 신청합니다 [36] 모르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25 1352 17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