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연재] 컴플리트 에디션 빌드 가이드 5편: 신대륙 인프라 구축하기(전편)

ㅇㄴ(211.177) 2023.03.29 00:26:00
조회 15033 추천 23 댓글 22
														

0편: 개요·쇼케이스·둘러보기

1편: 통계 기능 활용하기

2편: 기초 인프라 구축하기(전편·후편)

3편: 부둣가 전략 수립 및 운영하기(전편·중편·후편)

4편: 구대륙 인프라 구축하기(전편·후편)

5편: 신대륙 인프라 구축하기(전편·후편)

6편: 북극 개발 및 활용하기

7편: 엔베사 개발 및 활용하기




들어가기


지난 편에서는 구대륙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사실 기본적으로 인프라에 투자할 부지를 최소화하여 최대한 많은 투자가 마천루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게임 플레이가 이루어지는 구대륙에서는 비교적 기술할 내용이 적은 편이다. 반면, 다른 세션을 부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신대륙에 관해서는 다뤄야 할 내용이 방대하다. 이번 편에서는 신대륙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신대륙의 중요성은 구대륙이 얼마나 신대륙에 의존하는지에 따라 변화해왔다. 부둣가의 등장으로 인해 상당히 줄어들었던 신대륙의 영향력은 하늘의 제국을 거치면서 종전보다 더 늘어났으며, 마지막 시즌 콘텐츠인 떠오르는 신대륙까지 적용된 현재 게임 버전에서는 그 위상이 정점에 다다르게 되었다.




신대륙 구조


현시점에서 신대륙은 아노 1800에서 가장 크기가 큰 세션이다. 떠오르는 신대륙을 거치면서 신대륙 세션이 북방으로 약 30% 정도 확장됨에 따라 마놀라에 더하여 다양한 크기의 섬까지 총 여덟 곳의 섬을 추가로 확보하게 되었다(단, 이는 플레이어의 초기 프로필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신대륙 섬들 가운데 서너 곳은 구대륙에 지역 외 우편을 공급하기 위한 아티스타와 생산 시설을 운영할 식민지 직공 및 식민지 노동자를 유치할 주거지를 조성하는 데 쓰이며, 나머지 섬들은 대부분 구대륙으로 보낼 상품을 마련하는 데 투자한다.


7dec90ac301eb467be8087fb06df231d5e7fbe2d6d6d9f73df65d212


마놀라


마놀라는 트릴로니 곶의 크라운 폴스에 대응되는 섬으로서, 신대륙 수도로서 기능함과 더불어 물류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마놀라에서는 거리와 무관하게 섬 전역에 무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수력 발전 댐을 건설할 수 있다. 발전소나 철도와 같은 유류 인프라를 갖추지 않고서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건 설계 측면에서 뛰어난 장점이다. 주거지와 달리 크기가 제각각인 생산 건물 사이로 철도를 부설할 공간을 마련하는 건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다. 특히 전동기 조립 공장이나 화학 공장과 같이 크기가 큰 생산 건물은 발전소의 영향 범위를 온전히 활용하기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혜택을 온전히 누리고자 한다면 컨셉 플레이나 미관상의 이유가 아닌 이상 마놀라에는 주거 단지와 생산 단지를 동시에 갖추는 게 좋다. 신대륙 주민 가운데 오로지 대농장 숙소에 거주하는 아티스타만이 전기를 요구하므로 주거 단지는 오로지 아티스타 대농장 숙소만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공간은 모조리 생산 시설을 유치하는 데 투자하는 게 바람직하다. 일반 주택이 늘어날수록 무상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혜택을 누리는 생산 시설이 줄어드는 셈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우편 공급 측면에서도 아티스타를 한 섬에 집중적으로 유치하는 건 그다지 좋은 선택이 아니다. 엄청난 우편 물량을 비행선 승강장 한 채가 단독으로 소화하기는 어렵다.


7dec90ac301eb467be8084fb06df231d5865439a506d48f39877d91d


물류 허브


구대륙에 가장 인접해 있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마놀라를 비롯한 북동 방면의 섬들 가운데 일부는 세션 간 무역을 뒷받침하기 위한 메인 허브로 삼는다. 마놀라는 신대륙의 물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데 최적의 입지를 지니고 있다. 신대륙 가장 북쪽에 위치해 있어 구대륙과의 접근성이 뛰어나고, 드넓은 해안을 바탕으로 고급 부두나 저장고와 같은 여러 항만 시설을 대규모로 갖출 수 있다.


7dec90ac301eb467be8085fb06df231dd2fcdb9dfe099e4a452875a4


마놀라 혼자서 모든 물류를 소화하기 버겁다면 마놀라와 인접한 대규모 섬 하나를 서브 허브로 삼아 조금이나마 짐을 덜어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서브 허브로 지정된 섬은 구대륙과 가깝다는 점을 십분 활용하여 에탄올과 같이 투입 자원을 수입으로 조달해야 하는 중간재의 생산을 담당한다. 아울러, 소규모 섬에서 생산된 커피와 에탄올의 집결지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부족분은 현지에서 직접 생산하여 구대륙으로 운송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7dec90ac301eb467be8082fb06df231d0ac6970da87dc06965e0f805




신대륙 주거


신대륙 주거는 역할에 따라 크게 아티스타와 식민지 노동자 및 식민지 직공 두 그룹으로 나누어 구성한다. 주로 전자는 지역 외 우편의 공급에 관여하며, 후자는 대부분의 신대륙 상품 생산을 전담한다. 최대한 많은 수의 아티스타를 우편 생산 시설의 영향 범위 내에 유치함과 동시에 식민지 직공 및 식민지 노동자의 수는 모든 신대륙 생산 시설의 규모에 맞게 최소화하는 것이 기본적인 신대륙 인구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신대륙의 전반적인 생산성이 크게 개선된 데다가 일부 생산 시설에는 아티스타를 투입할 수 있게 되면서 하위 노동력을 수급할 필요성이 과거에 비해 많이 줄어든 점이 꽤나 고무적이다.


아티스타


아티스타를 유치하는 주된 목적은 동일 면적 대비 주민 수용률을 제고하여 구대륙에 공급할 지역 외 우편의 생산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데 있다. 아티스타의 등장으로 신대륙 주민 수가 몇 배나 늘어남에 따라 비로소 프로필 전체를 통틀어 주민 계층을 불문하고 곰의 모피를 제외한 모든 수요의 완전한 충족이 실현되었다. 아티스타 한 명은 어림잡아 투자가 40명 분량의 지역 외 우편을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아티스타는 핵심 전문가인 충성스러운 살바도르를 통해 커피 제조소·화학 공장·선풍기 공장과 같은 주요 생산 시설을 운영하는 데 쓰인다. 이에 필요한 아티스타 노동력은 우편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확보할 수 있기에 따로 노동력 확보에 신경을 기울이지 않아도 무방하다.


7def90aa0e12b34a8e34134c565de7e1c759be98417911d4aa8dce294c45a88ef6767a4a51


1. 아이템


아티스타 주거 단지에는 노동력 향상 아이템을 활용할 필요가 없기에 보너스 주민 제공 아이템 3종을 배치하여 우편 생산에 필요한 신대륙 부지를 절약한다. 모든 생필품 및 일용품 수요가 충족된 대농장 아티스타 숙소와 일반 아티스타 주택은 각각 165명과 85명의 아티스타를 수용할 수 있다. 아래의 시청 아이템 효과를 더하면 각각 +23명과 +22명의 아티스타를 추가로 유치할 수 있다. 여기서 +1명의 차이는 대농장 숙소의 일용품 수요인 안경에서 비롯된 것이다.


7def90aa0e12b34a8e34134c565de7e1c759be98427911d4aa8dce294c45a888ce6df1be13


1) 예방접종의 선구자 루이스 P. 헤카테


보너스 주민을 +1명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 전설 아이템은 세 가지가 있다. 관대한 은행가 제이콥 소코우는 수입을 늘려주나, 신대륙이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기에 차라리 행복도를 챙기는 게 낫다. 소방 영웅 조지 도티 소방서장은 이상하게도 보너스 주민을 제공하는 상품 가운데 선풍기를 취급하지 않아 주민 수에서 손해를 본다. 따라서 예방접종의 선구자 루이스 P. 헤카테를 활용하는 편이 가장 좋다.


2) 신대륙 과학 기자


우편의 생산량은 우편 시설의 영향 범위 내 거주하는 주민의 수를 따르므로 신대륙 보고서는 아티스타 주거 단지에서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자의 신대륙 보고서 수요에 맞춰 예방접종의 선구자 루이스 P. 헤카테를 대체하여 배치한다. 신대륙 과학 기자의 효과는 우편 생산 시설에만 영향을 미치며, 시청의 영향 범위 내 주택에 직접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2. 주거 형태


일반 주택과 대농장 숙소는 대부분의 수요를 공유한다. 그렇다면 일반 주택과 대농장 숙소 가운데 어떤 주거 형태가 인구수 창출에 유리할까? 사실 이 둘을 비교하는 건 그다지 큰 의미가 없다. 대농장 한 채가 수용할 수 있는 대농장 숙소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주거와 생산의 완전한 분리를 위해 한 섬에 아티스타를 가득 채우고자 한다면 두 가지 주거 형태 모두 활용할 수밖에 없다.


1) 일반 아티스타 주택


  • 최대 주민 수용량: 107명
  • 주거에 필요한 면적: 9타일
  • 면적 대비 주민 수용량: 11.889명


2) 대농장 아티스타 숙소


  • 최대 주민 수용량: 188명
  • 주거에 필요한 면적: 16타일
  • 면적 대비 주민 수용량: 11.75명


3) 일반 주택 v. 대농장 숙소


상기한 결과로부터 일반 아티스타 주택이 대농장 숙소에 비해 동일 면적 대비 인구수 창출 측면에서 근소한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대농장 아티스타 숙소에 전기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기반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을 생각하면 그러한 격차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사실 엄밀히 따지자면 전기가 무상으로 제공되는 마놀라에서도 대농장 숙소가 아닌 일반 주택을 쓰는 게 더 효율적이다.


식민지 직공 & 식민지 노동자


아티스타가 우편 생산을 전담하는 가운데 식민지 직공과 식민지 노동자는 신대륙 산업 전반을 지탱한다. 충성스러운 살바도르 덕분에 아티스타가 식민지 직공을 대체하여 커피 제조소와 화학 공장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으나, 여전히 전동기 조립 공장을 비롯한 중공업 시설을 운영하는 데 상당한 규모의 식민지 직공 노동력이 필요하다. 시트러스와 같은 주요 농산물을 재배하는 데 투입되는 식민지 노동자는 말할 것도 없다.


7def90aa0e12b34a8e34134c565de7e1c759be98437911d4aa8dce294c45a88e7edcc836d9


1. 아이템 활용


식민지 직공 및 식민지 노동자 주거 단지에는 노동력을 극대화하는 아이템 조합을 활용한다. 일용품 수요의 등장으로 노동력 향상 아이템의 가치가 더욱 높아지면서 주거 유형을 불문하고 더는 태아 보호에 관한 교황 서한을 활용하지 않는다.


7def90aa0e12b34a8e34134c565de7e1c759be98447911d4aa8dce294c45a8899c8b96eb48


2. 일반 주택 v. 대농장 숙소


앞서와 달리 동일 면적 대비 노동력 창출 측면에서는 대농장 숙소가 일반 주택을 작은 차이로 앞선다. 신대륙 산업을 뒷받침하는 데 식민지 노동자보다는 식민지 직공이 훨씬 더 많이 필요하므로, 대농장 영향 범위는 식민지 직공 숙소에 우선 투자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 일반 직공 주택의 면적 대비 창출 노동력: 126명/9타일=14명
  • 대농장 직공 숙소의 면적 대비 창출 노동력: 241명/16타일=16.0625명




대형 경기장


대형 경기장에서 축구 챔피언십을 개최하면서 얻은 영향력은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영향력이 고달픈 초중반에는 유용하나, 후반으로 갈수록 방치하게 되는 기념물이다. 챔피언십을 마무리한 이후에 다음 시즌을 준비하는 동안 섬 전역에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기도 하나, 원하는 효과를 입맛대로 고르기는 어렵고 매번 수작업으로 대회를 개최하는 과정도 번거롭다. 여러모로 게임 후반 만국 박람회나 탐험 콘텐츠에서 볼 수 있는 모습과 유사하다.




대농장


대농장은 신대륙의 주거와 생산 모두에 관여하여 효율성을 제고하는 핵심 기반 시설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일반 주택에 비해 노동력 창출 효율이 높은 대농장 숙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대농장의 원형 영향 범위와 도로 영향 범위는 구분된다는 것이다. 대농장 숙소가 대농장의 원형 영향 범위에 속해 있더라도 도로의 사정에 따라서 주민의 대농장 수요가 완전히 충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 대농장 수요가 없는 아티스타에는 해당 사항이 없다. 후자의 경우에는 생산성은 동일하되 경작지는 훨씬 줄어든 부속 농장과 더불어 농업 전반의 생산성을 매우 큰 폭으로 개선하는 분변 및 비료를 제공한다.


1. 대농장 요건


모든 대농장 부속 건물은 대농장의 영향 범위 안에서만 제대로 기능한다. 따라서 대농장의 영향 범위를 최대치(75타일)까지 확대하여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섬에 적어도 1,200명 이상의 주민을 유치해야 한다. 생산 시설에 관여하는 대농장이라면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주거 단지의 규모를 최소화해야 한다. 첨언하자면, 생산 단지에 소재한 각 주거 형태의 최대 주민 수용량은 기존에 비해 떨어진다. 할레아 다음의 요구사항인 해변이 아티스타 1,800명을 유치하고 나서야 잠금 해제되기 때문이다.


1) 일반 아티스타 주택


  • 최대 주민 수용량(1,200명 기준): 93명
  • 주민 수 요건 충족에 필요한 주택: 13채
  • 주민 수 요건 충족에 필요한 면적: 117타일


2) 대농장 아티스타 숙소


  • 최대 주민 수용량(1,200명 기준): 174명
  • 주민 수 요건 충족에 필요한 주택: 7채
  • 주민 수 요건 충족에 필요한 면적: 112타일


3) 일반 주택 v. 대농장 숙소


단순 계산으로는 주민 수 요건을 충족하는 데 있어 두 주거 형태 간에 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농장 숙소는 대농장 생산 시설을 유치할 수 있는 공간을 일부 점유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 일반 주택을 활용하는 편이 조금이나마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7dee90ad0932b3408333287029806a2d6a3674c759cf71eb9e6f74bb9eb0d3


2. 대농장 정책


신대륙의 대농장에서는 다섯 가지 정책을 도입할 수 있다. 구대륙의 궁전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게임의 양상을 뒤바꿀 만큼 뛰어난 성능을 지닌 정책은 찾아보기 어렵다. 신대륙에 전기까지 도입된 현시점에서도 구대륙과 신대륙 간의 격차가 좁혀지지 않는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반드시 도입해야 할 정책이 있는 건 아니므로 아이템을 통해 매력도를 제공하는 과수원이나 커피 제조소가 소재한 일부 섬에서나 활용해도 무방하다.


7dee90ad0932b3408333287029836a3709d74b37f827a23f2ba5443d907b


1) 영양 교육 계획


매력도 요건이 없어 대농장을 건설하기만 해도 바로 도입할 수 있는 정책이다. 기본 정책답게 딱히 매력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건 아니지만 굳이 쓰지 않을 이유도 없다.


  • 필요 매력도: 0


2) 벌목꾼 특화 훈련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과수원의 생산성을 개선하여 신대륙 부지를 절약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정책이다. 특히나 수요가 많은 시트러스와 장뇌 왁스를 취급하는 섬에서는 꼭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책 도입에 필요한 매력도 요건은 과수원에 쓰이는 아이템인 빠르게 부자 되는 비결 제1권: 역병 수익을 통해 쉽게 달성할 수 있다.


  • 필요 매력도: 100


3) 도량형 통일


신대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정책이다. 저장고 하나의 보관 수용량을 50에서 125로 늘려준다. 효율이 높은 부둣가 모듈을 활용할 수 없는 신대륙에서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해안이 좁아 저장고를 건설할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운 섬에서 특히 유용하다. 그나마 별다른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도 필요한 매력도를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은 여기까지이다.


  • 필요 매력도: 450


4) 주민 집회


영향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초중반에는 유용하나, 투자가를 대규모로 유치하게 되는 후반에는 도입할 이유가 없는 정책이다.


  • 필요 매력도: 700


5) 하적 허가증


선적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수단이 한정되어 있는 환경을 고려하자면 상당히 가치가 높은 효과를 제공하는 정책이다. 그러나 막상 신대륙에서는 1,000이나 되는 적지 않은 매력도를 확보하기 위해 문화 건물까지 유치해야 할 정도로 선적 속도 향상이 절실한 것은 아니다. 해안선이 길어 고급 부두를 다수 갖추기 어렵지 않은 데다가 구대륙-신대륙 간 무역로의 운송 거리가 길어 선적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혹여 선적 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면 하적 허가증 정책으로 화물 선적 속도를 올리기보다는 도량형 통일 정책으로 기존의 저장고 수를 줄이고 남은 공간에 고급 부두를 증설하는 편이 더 효율적이다.


  • 필요 매력도: 1,000




전기 공급


아티스타 단계에 도달하면 마침내 신대륙에서도 전기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신대륙의 전반적인 생산성이 대폭 향상됨에 따라 전기를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생산 시설의 규모를 적정 수준까지 감축하여 신대륙 부지를 더욱 절약할 수 있다. 구대륙에서는 세션 내에서 자체적으로 석유를 조달해 온 바, 신대륙에서 산출되는 석유는 그간 엔베사의 정유소 외에는 딱히 쓰임새가 없었다. 지금에서야 비로소 제 역할을 찾게 된 셈이다. 신대륙에서는 거의 모든 섬에 유정이 있고 매장량도 풍부하기에 전기 공급에 그다지 어려움이 없다.


7de990aa2536b27ebe8087fb1cc1231dd3cef329220c0d27e5bc20


물론, 전기 제공 효과를 지닌 아이템 또한 신대륙에서 활용할 수 있다. 만능 해결사 안젤라 멕 아이버와 정력적인 연구자 램 데비 교수가 대표적이다. 전자는 특히 이름에 걸맞게 범용성이 매우 높다. 발전소의 영향 범위가 미치지 못하는 구석진 곳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무인 운영으로 인해 떨어지는 생산성을 보완하는 식으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비행선 승강장에 영향을 미치는 아이템은 비행선 보급관이 유일하기에 무역 연합의 나머지 영향 범위와 슬롯이 낭비되는 상황에 마주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서 보통 비행선 승강장과 점토 채취장을 구석으로 한데 모아 무역 연합을 알뜰히 활용하는 방안을 채택한다. 여기서 만능 해결사 안젤라 멕 아이버를 배치하면 굳이 유류 인프라를 갖추지 않고서도 보크사이트 조달에 필수적인 점토 채취장의 생산성을 간편하게 향상할 수 있다. 한편, 후자는 투자가의 일용품 수요인 필름 릴과 선풍기를 생산하는 시설에 영향을 미친다. 건물 크기가 커서 발전소의 영향 범위를 온전히 활용하기 까다로운 해당 시설들의 대규모 생산 단지 설계에 도움이 된다.


7de990aa2536b27ebe8084fb06df231db99b7e0e978f9be260763f9c




신대륙 생산


소비재(부둣가 이전)


1. 커피


1) 아이템 조합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1242cfba1bd0e753b8849111523a31ea


가. 콩 분쇄자 마르코 델 라 모차


콩 분쇄자 마르코 델 라 모차는 커피를 2회 생산할 때마다 커피콩 1톤을 환급해준다. 이는 커피콩을 재배하는 데 필요한 섬의 개수를 두세 곳에서 한 곳으로 압축할 수 있게 해 주는 파격적인 효과이다. 그 덕분에 커피 농장의 전체 규모를 절반 수준으로 감축하여 신대륙 부지를 절약할 수 있다. 아울러, 각 생산 시설마다 매력도를 부여하기에 커피 제조소만으로도 대농장 정책 도입에 필요한 매력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나. 충성스러운 살바도르


충성스러운 살바도르는 신대륙에서 가장 높은 잠재력을 지닌 전문가이다. 이러한 그가 제공하는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몇 안 되는 생산 체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커피 제조소이다.


A. 생산성


아노 1800에서 생산성 +100% 효과를 제공하는 수단은 찾아보기가 매우 드물다.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전기는 관련 인프라를 갖춰야 공급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충성스러운 살바도르는 무역 연합에 배치하기만 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생산성이 향상될수록 더욱 큰 시너지를 발휘하는 추가 물품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이제는 신대륙 생산 시설에도 전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B. 노동력 대체​


식민지 직공 노동력을 아티스타 노동력으로 대체하는 효과 또한 훌륭하다. 투자가에게 지역 외 우편을 공급하기 위해서 유치하는 아티스타의 규모는 수십만 단위에 이른다. 그러나 아티스타 노동력이 필요한 생산 시설만으로는 이처럼 남아도는 아티스타 노동력을 소진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여기서 충성스러운 살바도르를 활용하면 하위 노동력인 식민지 직공이 가장 많이 투입되는 생산 시설에 상위 노동력인 아티스타를 대신 투입할 수 있다. 이로써 온존하게 된 식민지 직공 노동력은 전동기 공장과 같은 중공업 시설을 운영하는 데 쓰인다. 한편, 필요한 노동력이 25% 늘어나는 페널티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애초에 예술가 노동력은 남으면 남았지 모자랄 일이 없기 때문이다.


다. 빠르게 부자 되는 비결 제4권: 황무지


앞서 충성스러운 살바도르를 활용하게 됨에 따라 커피 감정가 세실리아 또는 빠르게 부자 되는 비결 제4권: 황무지 중에서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대한 답은 명확하다. 셀룰로이드가 핵심 중간재로 떠오르게 된 현시점에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인 초콜릿보다는 수입할 수 없는 에탄올을 추가 물품으로 얻는 편이 훨씬 더 가치가 높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d12272a5b849e2644900e07e7afd76c64


2) 생산 단지 구성


커피 생산 체인은 소규모 섬을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우선 커피 제조소는 대규모로 확보할 필요가 있는 신대륙 생산 시설 가운데 가장 크기가 작아서 소규모 섬에도 유치하기 수월하다. 또한, 커피 생산에는 오로지 커피콩 하나만 필요하므로 물류를 대폭 단순화할 수 있다. 섬에서 오고 가는 상품은 커피콩, 커피 및 에탄올 3종 밖에 없다. 이는 항만 시설을 다수 갖추기 어려운 소규모 섬에서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c12c8cada639d3b658a2d4cf76330a0959d


한편, 섬이 너무 작아서 보관 수용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대농장의 도량형 통일 정책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저장고로부터 +75의 보관 수용량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정책을 도입하는 데 필요한 매력도(450)는 커피 제조소에 필수로 쓰이는 전문가인 콩 분쇄자 마르코 델 라 모차를 통해 자연스럽게 달성할 수 있다.


2. 판초


1) 생산 단지 구성


신대륙의 의류 산업은 무역 연합을 활용하기에도 그렇지 않기에도 애매한 규모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판초 제작소와 의상 상점을 한데 묶어 무역 연합 하나로 모든 의류 생산을 단번에 해결하는 편이 좋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b1211dd222e46c2bd993b738ff77f0d9c31


2) 아이템 조합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a12877bffeabb3cdebcca388d41f584aa


가. 오트 쿠튀르의 여왕 제인 스미디 부인


오로지 의상 상점에만 영향을 미친다. 판초와 중산모를 추가 물품으로 얻을 수 있다.


나. 유행의 선도자 크리스토발 타페타


위와 달리 의상 상점과 판초 제작소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작업복과 모피 코트를 추가 물품으로 얻을 수 있다. 이것만으로도 신대륙의 작업복 수요와 구대륙의 모피 코트 수요를 맞출 수 있다.


다. 설득의 달인 페라스 알사라미


최적화된 자동식 베틀 대신 설득의 달인 페라스 알사라미를 활용하는 이유는 남은 공간에 다른 생산 시설을 유치하기 위해서이다. 아이스크림처럼 수요가 적은 상품은 약간의 생산성 향상 효과만 뒷받침되어도 공급에 무리가 없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91227df90f65da1ba978b87228daacd68


소비재(부둣가 이후)


1. 껌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8123924da5fb74b7955cf1fe993aa9cf5


1) 두 번 중복


세션을 가리지 않고 모든 화학 공장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아이템이다. 안타깝게도 이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을 정도로 화학 공장의 아이템 풀은 빈약하다. 다행히도 충성스러운 살바도르를 통해 아티스타를 화학 공장에 투입함으로써 필요한 노동력이 늘어나는 페널티로 인한 부담은 덜 수 있게 되었다.


2) 충성스러운 살바도르


신대륙 생산 - 소비재(부둣가 이전) - 1. 커피 - 1) 아이템 조합 - 나. 충성스러운 살바도르 항목 참고.


3) 빠르게 부자 되는 비결 제4권: 황무지


화학 공장을 담당하는 무역 연합의 마지막 빈자리를 채울 수 있는 아이템은 이것뿐이다. 생산성을 약소하게나마 개선하며, 에탄올을 소량 무상으로 제공한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71231fea1df21a7de1d5e8108083aa154


2. 핫소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6121d5c5927ecdab1931ba2cc8dd2de65


음료 생산 시설에 활용하는 일반적인 아이템 조합을 활용한다. 핫소스는 대농장 양조장에서 생산하는 상품으로서 아톨레와 함께 음료로 취급된다. 아노 기념일 업데이트(2023년 4월 4일) 이후 대농장 부속 양조장도 전기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0cb33134ee92f827218d20353ee92d43f2


3. 아톨레


신대륙 생산 - 소비재(부둣가 이후) - 2. 핫소스 참고. 동일한 아이템 조합을 활용한다.


4. 할레아


1) 생산 단지 구성


메즈칼·할레아·안료는 쓰임새가 한정되어 있어 각 상품의 생산에 무역 연합을 별도로 투자하는 건 효율적이지 못하다. 해당 상품의 공통점으로는 생산 과정에서 엔베사 사절이 제공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엔베사 사절을 구심점으로 삼아 상기한 생산 체인 모두 무역 연합 하나의 영향 범위 내에 유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베사 사절을 배치하고 남은 나머지 아이템 슬롯은 수요가 가장 많은 메즈칼의 생산에 관여하는 아이템이 차지한다. 참고로 엔베사 사절이 쓰이는 생산 체인을 원활히 운영하려면 운송 차량이 매우 많이 필요하므로 평소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창고를 갖추는 게 좋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0d9b9db6f710daeaeb09781fce333df4f981


2) 아이템 조합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0e7fa08bad0ce0a7a909f88e536cf3e1e4


가. 엔베사 사절


A. 투입 자원 대체


엔베사 사절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신대륙과 엔베사를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이다. 신대륙 상품인 약초·광물·코코넛 기름을 엔베사 상품인 히비스커스 꽃잎·인디고 염료·밀랍으로 대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엔베사 부지를 소모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규모의 신대륙 부지를 절약할 수 있다. 히비스커스 꽃잎과 인디고 염료는 엔베사에서 직접 생산해야 하는 상품이다. 밀랍은 저렴한 값에 대량으로 수입할 수 있다.


B. 추가 물품


생산이 2회 이루어질 때마다 목표 상품 1톤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상기한 투입 자원 대체 효과를 차치하더라도 준수한 추가 물품 효과만으로도 엔베사 사절의 활용 가치는 충분하다. 신대륙에 전기가 도입된 현시점에서는 오히려 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엔베사 상품을 억지로라도 가져다 써야 할 정도로 생산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


C. 영향 범위


엔베사 사절의 또 다른 장점 가운데 하나는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높은 상품들의 생산에 관여한다는 것이다. 메즈칼과 향수는 아티스타가 가장 많이 소비하는 상품 1순위와 2순위를 나란히 차지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향수는 투자가의 일용품으로 쓰이기에 그 중요성을 이루 말할 수 없다. 나아가, 엔베사 사절은 비단 신대륙의 생산 시설뿐만 아니라 엔베사의 양봉장·인디고 농장·히비스커스 농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경작지로 인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인디고 농장과 히비스커스 농장의 생산성 또한 개선할 수 있다. 이로써 엔베사 사절이 관여하는 생산 체인은 총 7종에 달한다.


나. 화학자 루이스 브린들리 경


메즈칼은 아티스타가 가장 많이 소비하는 상품으로서 아이템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 화학자 루이스 브린들리 경으로 생산성을 큰 폭으로 끌어올려 엔베사 사절과 빠르게 부자 되는 비결 제4권이 제공하는 추가 물품 효과를 극대화한다. 무상으로 얻는 럼주는 여러 세션을 넘나들며 다양한 계층의 수요를 맞추는 데 쓰인다.


다. 빠르게 부자 되는 비결 제4권: 황무지


메즈칼 술집은 신대륙의 대표적인 음료 생산 시설로서 셀룰로이드 생산에 쓰이는 에탄올의 수급에 조금이나마 기여한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0fa57f615082d977e150c755844a62512b


5. 아이스크림


신대륙 생산 - 소비재(부둣가 이전) - 2. 판초 - 3) 설득의 달인 페라스 알사라미 항목 참고.


6. 선풍기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08c1bd7c8de72af3c02313f50b60a149b3


1) 공학의 거장 브루노 아이언브라이트


신대륙의 선풍기 생산 체인은 구대륙의 자전거 생산 체인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공학의 거장 브루노 아이언브라이트는 선풍기 생산량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수준의 고급 무기와 증기 모터를 무상으로 제공한다. 그에 따라 이제 신대륙 또한 유의미한 수준으로 부둣가의 대외 무역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선풍기 생산 체인이 창출하는 가치만으로도 신대륙 전체를 부양할 수 있다. 이는 곧 구대륙에서 더 많은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말과 같다.


2) 정력적인 연구자 램 데비 교수


정력적인 연구자 램 데비 교수는 생산성을 향상함과 더불어 다양한 상품을 무상으로 제공한다. 특히 식민지 직공과 아티스타의 재봉틀 수요 전부를 신대륙 세션 내에서 충족할 수 있다. 나아가, 더는 전기 공급을 발전소에만 기댈 필요가 없어 더욱 자유로운 생산 단지 설계에 도움이 된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09fb6bb71fc0261abfc94093cfe4333734


7. 향수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0a7e0c6164554f057b00fd2e438f64550d


1) 네이트 지게차 Mk.3 - 진품 네이트 지게차


남아도는 아티스타 노동력으로 운영되는 향수 배합소에는 노동력을 절감하는 아이템을 활용할 필요가 없다. 별달리 쓸만한 전용 아이템도 없기에 설득의 달인 페라스 알사라미나 네이트 지게차 Mk.3 - 진품 네이트 지게차와 같은 범용 아이템이 그나마 최선이다.


2) 엔베사 사절


신대륙 생산 - 소비재(부둣가 이후) - 4. 할레아 - 2) 아이템 조합 - 가. 엔베사 사절 항목 참고.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0b10ad3744715f8110df36287f42d90f86


8. 메즈칼


신대륙 생산 - 소비재(부둣가 이후) - 4. 할레아 - 2) 아이템 조합 항목 참고. 동일한 아이템 조합을 활용한다.


7de890aa0e12b34a8e34134c565dc7c0061fa0eca59e3dd818e5d68200876e043e8036b2d8161c30d6124f5fb7ecc887


9. 스쿠터


스쿠터는 모든 세션을 통틀어도 수요가 낮아 굳이 무역 연합을 활용할 필요가 없다. 스쿠터 공장은 화학 공장과 크기가 비슷하므로 화학 공장 사이 무역 연합의 영향 범위에서 벗어난 공간에 배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10. 축구공


축구공의 수요는 아주 적은 편은 아니지만, 무역 연합을 투자해야 할 만큼 많지도 않다. 공 제작소는 건물 크기가 작고 기본 생산성이 높아서 전기가 공급되는 남은 자투리 공간에 배치하기에 적합하다.


건설재


1. 알루미늄 프로파일


7deb90aa0e12b34a8e34134c565dc7c0056e615ef5a8fbb7cb9f734d2f819b0e9d3a9d49a298f2d8d4c2d27cf019a1


구대륙의 제강소와 정유 공장에 쓰이는 아이템 조합과 동일하다.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우체통 건설 및 비행선 건조 외에도 투자가의 일용품 수요 가운데 하나인 선풍기의 생산에 쓰이므로 아이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알루미늄 제련소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7deb90aa0e12b34a8e34134c565dc7c0056e615ef5a8fbb7cb9f734d2f81980e98cf45003b8ebc553d7ab8b9f9c8f8


2. 헬륨


헬륨은 오로지 비행선 건조에만 쓰인다. 따라서 굳이 아이템까지 활용할 필요는 없다. 보크사이트 광산에 인접해 있다면 일부 아이템 효과를 공유할 수 있다.


원자재


1. 점토


7dea90aa0e12b34a8e34134c565dc7c088fad8c9f3561d4d0261cb0a5926a9e77dd2333bc9f9caeb01988fc38c8ac3


1) 광물학자


수입할 수 있는 원자재인 점토를 직접 생산하는 이유는 보크사이트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보크사이트 광산 이외에 보크사이트를 획득할 수 있는 경로는 광물학자뿐이다. 신대륙에서 채취한 점토는 그 자리에서 폐기하거나 엔베사로 운송하여 도자기 또는 점토 파이프 생산에 활용한다.


2) 설득의 달인 페라스 알사라미


보크사이트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아이템 조합은 위와 같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비행선 보급관이나 만능 해결사 안젤라 멕 아이버가 설득의 달인 페라스 알사라미를 대체하기도 한다. 전자는 비행선 승강장과 점토 채취장이 무역 연합 하나를 공유하는 경우, 후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하기 어려운 경우에 활용한다.


7dea90aa0e12b34a8e34134c565dc7c088fad8c9f3561d4d0261cb0a5926aae7cfd9eb308c03cf8cdb16787ecec165


2. 초석


신대륙 생산 - 농산물 - 4. 알파카 양모 - 4) 생산 단지 구성 - 바. 발전소 및 철로 항목 참고. 초석은 알파카 농장의 동력식 목초지에 전기를 공급하여 생산한다.


3. 보크사이트


7dea90aa0e12b34a8e34134c565dc7c088fad8c9f3561d4d0261cb0a5926abe75e6f94a786400ef522717092da01f7


1) 금의 선구자 외르크 폰 말칭


보크사이트 매장지의 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보크사이트 광산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산의 생산성을 가장 큰 폭으로 개선하는 다이너마이트 애호가 미친 메리는 정작 수입할 수 있는 광물이 산출되는 구대륙 광산에만 관여하기에 범용성이 높은 금의 선구자 외르크 폰 말칭이 차선책이라 할 수 있다.


2) 지질 조사관 스티븐 매클라우드


지질 조사관 스티븐 매클라우드는 보통 일반적인 광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특이하게도 보크사이트 광산은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점토 채취장과 구대륙 광산에 더하여 신대륙의 보크사이트 광산에서까지 처치하기 곤란할 정도로 수많은 금광석을 무상으로 얻을 수 있다.


3) 일류 공병


보크사이트 광산의 운영에는 무려 220명의 식민지 노동자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일류 공병을 활용하여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하는 것이 좋다. 다만, 형편에 따라서는 설득의 달인 페라스 알사라미나 만능 해결사 안젤라 멕 아이버로 대체해도 무방하다.


7dea90aa0e12b34a8e34134c565dc7c088fad8c9f3561d4d0261cb0a5926ace740c889938cad37045000ac9cb3a853

추천 비추천

23

고정닉 3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29050 공지 Anno 1800 구매 안내 [2] 까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03 2056 0
28135 공지 글 및 댓글 코드 등록(시범운영) 까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29 278 1
24645 공지 갤러리 내 글삭 기준(댓글로 의견 수렴) [6] 까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6 721 1
25409 공지 건의사항 수합 [2] 까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23 759 0
25044 공지 아노갤 완장 호출 방법. [13] 까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08 1137 0
2 공지 Anno Union 마이너 갤러리입니다. [5] Anno180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3.15 8444 10
29943 일반 뉴호라이즌 대실업가는 뭐가 좋은 것? [2] A갤러(121.140) 14:47 11 0
29942 일반 이거 슬롯당 50인데 200으로 처리되는거 모드때문인가? [2] A갤러(118.32) 14:33 13 0
29941 일반 편물공장이나 슈냅스공장 몇개씩 배치했어?? [3] A갤러(58.236) 13:49 27 0
29940 일반 항구 각도는 못바꿔?? A갤러(58.236) 12:20 27 0
29939 일반 이거 화재 운빨임? [1] A갤러(1.244) 10:31 35 0
29938 일반 아노 팝 수요 다 챙겨 줘야함?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6 43 0
29937 일반 호라이즌 모드 문제있어.. [1] 어휴(125.133) 09:42 49 0
29936 일반 뉴비 무역로 궁금한점 있음 [2] A갤러(211.217) 06:51 52 0
29935 일반 20시간동안 하면서 뽑은 배들 [2] A갤러(180.228) 01:19 126 0
29934 일반 신대륙 분변 질문이요 [2] A갤러(125.191) 05.05 86 0
29933 일반 아침내내 모드안됫는디 (해결) [2] A갤러(203.175) 05.05 85 1
29932 질문 뉴호라이즌 출발 [1] A갤러(122.47) 05.05 76 0
29931 일반 뉴호라이즌을 포기하고 [2] 바든(112.171) 05.05 126 0
29930 일반 스탠다드 뉴호라이즌 모드 실행 된다 [2] A갤러(183.103) 05.05 133 0
29929 일반 2년만에 복귀 A갤러(106.242) 05.05 36 0
29928 일반 호라이즌 모드에서 무역면허가 머죠? [2] A갤러(121.175) 05.05 78 0
29927 일반 마야베케와 뉴호라이즌은 [1] dkerkm (218.146) 05.05 86 0
29926 일반 라 이슬라에서 집 지으면 조금뒤에 폐허로 변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A갤러(218.50) 05.05 67 0
29925 일반 뉴 호라이즌스 모드 1일 차 간단 후기 [3] ㅇㄴ(182.221) 05.05 131 3
29923 질문 학자주거지는 어떻게짓냐? [4] A갤러(121.182) 05.05 96 0
29922 일반 2205 이건 왜 자원흐름이랑 건설창이랑 동시에 못보는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34 0
29921 모드 테스트 바든(112.171) 05.05 37 0
29920 일반 무역로 소모시간? 어떻게 보죠? [1] A갤러(220.118) 05.05 54 0
29919 일반 뉴호라이즌 자전거 공장 팁 ㅇㅇ(125.141) 05.05 105 2
29918 일반 진짜 주옥같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0] A갤러(203.175) 05.05 236 0
29917 일반 지금 mod.io 되는사람있음 ? 그냥개먹통됫는데 A갤러(203.175) 05.05 79 0
29916 질문 도전과제 '산책로', '공인 상회' 때문에 꿈자리가 안좋다. ㅠ [1] 도전여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75 0
29915 일반 같이하는 친구가 npc 3별 고집해서 피곤하다... [3] 크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26 0
29914 일반 이제 1800 접음. 잡기술과 글리치 대방출 함. 바라쿠다90(118.221) 05.05 317 14
29913 일반 아니 난 동양만 딱 하고 싶은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08 0
29912 질문 게임패스로 입문해봤는데 튜토리얼 진행이 안되노 [2] wan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88 0
29911 일반 뉴호라이즌 부둣가 시스템이 이상함 [2] ㅇㅇ(125.141) 05.04 157 0
29910 일반 완전 현대판 나왔으면 좋겠다 A갤러(211.55) 05.04 57 0
29909 일반 호라이즌 해보고 싶은데 구독? 이거 [3] 막았다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92 0
29908 일반 뉴호라이즌 생각보다 어렵네 [6] ㅇㅇ(125.141) 05.04 213 0
29907 일반 혹시 호라이즌스 모드 적용 안되는 사람 읽어보셈 [1] dadada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43 0
29906 일반 오랜만에 게임 구매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44 0
29905 일반 유비소프트는 진짜 개병신새끼들이네 A갤러(211.208) 05.04 130 0
29904 일반 뉴호라이즌은 부둣가를 만능으로 만들어놓음 [6] ㅇㅇ(125.141) 05.04 194 0
29903 일반 맵 시드추천해죠 [1] A갤러(58.236) 05.04 79 0
29902 일반 아니 나는 왜 호라이즌스 모드 적용이 안되지 [9] dadada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77 0
29901 일반 새로 지구파기 엄두가 안나서 [6] A갤러(175.212) 05.04 97 0
29900 모드 꼭 마야베케를 [6] dkerkm (218.146) 05.04 130 0
29899 일반 스탠다드 사도 할만하지? [5] A갤러(58.236) 05.04 85 0
뉴스 “절친 아들과 캐나다 가고 싶어”...서장훈 정색 (‘물어보살’) 디시트렌드 05.0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