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DDR5 램 오버클럭 실전편: 램 타이밍 (ns, T, 계산 방법)

7950X3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0.31 23:19:01
조회 4370 추천 7 댓글 30
														


viewimage.php?id=29b8c32df1dd28a561b2c6a002d43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e20ab38daa53a72388d25110fa309ee8f9012402ce07ee05557f40711cc14bf5bb2c4a2f6a5da17e53c3cd9d200d439


어제 이야기한 대로 오늘 싸지르는 글은

크게는 클럭, 전압에 따른 램 타이밍 계산하는 방법이고

자세하게는 ns 단위와 T 단위, 그리고 기본 단위인 클럭 (Clock, clk) 을 활용한 계산방법임


추가적으로 젠4 라이젠 7000 번대 시스템에서 16GB 1R 하이닉스 A 다이 램을 사용한

대략적인 전체 램 타이밍 프리셋으로 쓸만한 타이밍들을 소개해보려고 함


전체 램 타이밍 값에 대해서는 이전에 6000 30-40-40-30 1.35 V 정보글을 통해서 대충 설명하고 넘어갔는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esktopcomputer&no=296&search_head=10&page=1

 


이번 글에서는 UCLK mode 에 따른 1:1 (6000-6400), 1:2 (7200-7800) 두 가지 세팅에서

각각 안정화를 시작해볼만한 세부램타 값을 소개할 예정임


내가 실제로 안정화 봤었던 하이닉스 램이라고 해봐야

크게 팀그룹 흑금치, 에센코어 흑금치, 하이닉스 시금치, 팀그룹 7200 튜닝램 4가지인데


위 4가지 램으로 6400 CL28 안정화를 봤던 값을 이용해서

하이닉스 A 다이로 들어갈 수 있는 세부 램타 값을 대략적으로 잡아놓고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음

그러니 하이닉스 A 다이라면 거의 범용적으로 쓸만할거임 ㅇㅇ




그럼 본격적으로 시작해보자

우선 시작하기 앞서서 인텔 시스템 쓰는 게이들, 미안하다


인텔 시스템을 써본 적이 없어서

인텔쪽 전압 설정 (SA 전압 등)이나 세부 램타 (턴어라운드 타이밍 등) 는 내가 도와줄 수가 없다


대신에 이 글에서 소개하는 램 타이밍 계산방법은 아마 비슷한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거임





목차

1. 램 타이밍이 뭐야?

2. 다른 타이밍은 어떻게 계산할까?

3. 하이닉스 A 다이 램 타이밍 따라하기





* 나도 전문적으로 배운 지식이 아니기 때문에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아니다 싶은 내용은 적당히 걸러들으면 됨



1. 램 타이밍이 뭐야?


어려울거 없음, 우리가 흔히 말하는 30-36-36-30, 28-38-38-30 이런 값이 램 타이밍임

그걸 누가 모르냐고? 모를 수도 있지


위에서 말한 28, 30, 36, 38 이런 값들은 더 정확하게 말하면 28T, 30T, 36T, 38T 임

예전 딸4 시절에 타이푼버너라고 램 속살까지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써본 게이라면

아마 T 단위랑 ns 단위에 대해서 대충은 알고있을거임


램 타이밍을 표현하는 방법이 두 가지가 있는데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램 타이밍 값은 T 단위임


그럼 ns 단위는 뭐냐?

ns 단위의 램 타이밍은 뭐랄까, 메모리 수율과 더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타이밍이라고 생각함


다시 말해서 내 램의 수율 한계를 넘어가지 않는 ns 단위 타이밍 값을 알고 있으면

다른 클럭, 다른 전압의 조건에서도 비슷한 값의 ns 단위 타이밍 값을 적용할 수 있다는 말임


물론 후술할 계산을 통해 수율 한계를 넘어가지 않는 값을 알고 있다 해도

일부 고클럭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자


viewimage.php?id=29b8c32df1dd28a561b2c6a002d43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e20ab38daa53a72388d25110fa309ee8f9012402ce07ee0383af70312c810be5dbbcecf91a91036de094ee6df5f8b0a38


실제로 HWiNFO64 를 실행해서 메모리 정보를 보면

어떤 값은 ns 단위가 붙어있고, 어떤 값은 그냥 숫자만 표기가 되어있음

그냥 숫자만 표기된 값은 T 단위 타이밍이라고 생각하면 됨


이 단위들을 이해하려면 우선 JEDEC 규격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

JEDEC 규격은 시금치 램, 레퍼런스가 되는 램을 만들 때 기준이 되는 스펙이라고 이해하면 편함


viewimage.php?id=29b8c32df1dd28a561b2c6a002d43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e20ab38daa53a72388d25110fa309ee8f9012402ce07ee0383af70312c810be5dbbcecf91ace4325b9564f57771eda7b9


기본 스펙이 5600 인 램은 JEDEC 규격에 따라 46-45-45-90 의 램 타이밍을 따르고

대부분 판매되는 5600 시금치, 흑금치는 46-46-46-90 램 타이밍을 가지고 있음


그래서 램 정보를 보여주는 모니터링 툴에서 표기되는 "최소 ~ 타이밍 (ns)" 값이

보통 전부 auto 값으로 들어가는 순정 상태의 램 타이밍 값 (T) 으로 적용됨


이 때 ns 값과 T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본 단위 클럭을 알아야 함

그럼 기본 단위라고 말한 클럭 (clock, 이하 clk) 을 알아보자


우리가 램 오버할 때 말하는 5600, 6000, 6400, 8000 같은 클럭을 시스템 클럭이라고 치면

예전에 언급했던 memclk (MCLK) 값은 위 시스템 클럭의 절반 값


5600 시금치 램을 예로 들어보자


viewimage.php?id=29b8c32df1dd28a561b2c6a002d436&no=24b0d769e1d32ca73fe986fa11d02831d7ef7aa16a284260328f0e20ab38daa53a72388d25110fa309ee8f9012402ce07ee0383af70312c810be5dbbcecf91f91e954b5c6e310e668dbc7f


5600 시금치 램의 memclk (MCLK) 는 절반 값인 2800 (MHz) 인데

위 짤의 제일 윗 줄에있는 "최소 SDRAM 주기 시간" 이 바로 기본 단위 클럭임


계산하는 방법은


기본 단위 클럭 (clk) = 1000 ns / MCLK


이고, 5600을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1000 ns / 2800 = 0.35714... 가 나옴

위 짤의 "최소 SDRAM 주기 시간" 0.35700 ns 값이 나오지?


이 값이 바로 기본 단위가 되는 클럭 (clk) 값이고

이 clk 값을 이용해서 T 단위 타이밍과 ns 단위 타이밍을 계산하면


타이밍 (T) * 기본 단위 클럭 (clk) = 타이밍 (ns)

타이밍 (ns) / 기본 단위 클럭 (clk) = 타이밍 (T)


와 같이 타이밍을 각각 계산할 수 있음

타이밍 (T) 값은 무조건 정수 값


위 5600 시금치의 정보에 있는 JEDEC 기준 최소 타이밍인 5600 46-45-45-90 을 기준으로


기본 단위 클럭 (clk) = 0.357 ns


tRCD 16 ns

tRP 16 ns

tRAS 32 ns


를 계산해보면


tRCD 16 ns / 0.357 ns = 44.817 T

tRP 16 ns / 0.357 ns = 44.817 T

tRAS 32 ns / 0.357 ns = 89.635 T


가 나오고, 램 타이밍 (T) 값은 정수 단위니까


tRCD 16 ns / 0.357 ns = 44.817 T > 45 T

tRP 16 ns / 0.357 ns = 44.817 T > 45 T

tRAS 32 ns / 0.357 ns = 89.635 T > 90 T


가 나와서, JEDEC 스펙인 46-45-45-90 값이 나오는거임 ㅇㅇ


이렇게 T 단위랑 ns 단위를 알아봤으니 본격적으로 응용해보자



2. 다른 타이밍은 어떻게 계산할까?


다른 타이밍도 앞선 계산 방법과 동일하게 계산이 가능하고

이 계산 방법을 응용하면 램오버로 안정화가 진행된 타이밍을 가지고

다른 램오버 목표 클럭과 전압을 계산할 수 있음 ㅇㅇ


우선 5600 하이닉스 시금치를 이용해서 6000 클럭, 1.35 V 램오버 값을 구해보자

다른 세부 램 타이밍까지 이야기하면 너무 길어지니까

tCL - tRCD - tRP - tRAS 값만 계산해보자


우리가 최종적으로 계산해야 하는 정보는

- 목표 타이밍 (T)


이미 알고 있는 정보는

- 목표 MCLK

- 목표 VDD 전압 (V)


- 현재 MCLK

- 현재 타이밍 (T)

- 현재 VDD 전압 (V)


이 때, 알고 있는 정보로 계산할 수 있는 값은

현재 타이밍 (ns) = 현재 타이밍 (T) * 현재 기본 클럭 (clk)

= 현재 타이밍 (T) * (1000 ns / 현재 MCLK)


목표 기본 클럭 (clk) = 1000 ns / 목표 MCLK


까지임, 최종 목표 타이밍 (T) 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현재 타이밍 (ns) 을 이용해서 목표 타이밍 (ns) 을 계산해야하는데

이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음


목표 타이밍 (ns) * 목표 VDD 전압 (V) = 현재 타이밍 (ns) * 현재 VDD 전압 (V)


목표 타이밍 (ns) = 현재 타이밍 (ns) * 현재 VDD 전압 (V) / 목표 VDD 전압 (V)


ㅅㅂ 무슨소리인지 하나도 모르겠는데?


맞아, 나도 뭔소리인지 모름, 구글 시트에 계산식 넣어서 한 번에 계산하는게 더 편함

실제로 그렇게 사용하고 있고 ㅇㅇ


목표 타이밍 (ns) * 목표 VDD 전압 (V) = 현재 타이밍 (ns) * 현재 VDD 전압 (V)


이게 계산 방법의 제일 중요한 핵심이야


목표 전압을 잔뜩 퍼먹이면 램 타이밍이 더 조여지잖아?

반대로 전압이 부족하면 램 타이밍을 풀어줘야하고


이걸 수식화 해놓은거라고 생각하면 돼



그냥 실전으로 바로 계산해보자

우선 5600 하금치의 스펙은 46-46-46-90 인데

내 시스템에서는 순정 상태에서 5200 42-42-42-84 로 잡힘


7ceb8074a5e113f33cef86f532d4223cf362fb212e1fefe2104a38ce0233541b56579e


이 값을 기준으로 계산을 해보자

램 타이밍 중 tCL - tRCD - tRP 값이 동일하게 42 T 니까 tCL 과 tRAS 만 계산해보자


현재 MCLK = 2600

현재 VDD 전압 = 1.1 V

현재 tCL = 42 T

현재 tRAS = 84 T


이제 계산을 해보자


5200 에서의 기본 단위 클럭 (clk) = 1000 ns / 2600 = 0.385 ns


현재 tCL (ns) = 42 T * 0.385 ns = 16.154 ns

현재 tRAS (ns) = 84 T * 0.385 ns = 32.308 ns


현재 VDD 전압은 1.1 V 이고, 우리는 6000 클럭에 1.35 V 가 목표야


목표 MCLK = 3000

목표 VDD 전압 = 1.35 V

6000 에서의 기본 단위 클럭 (clk) = 1000 ns / 3000 = 0.333 ns


이제 위 정보들을 종합해서


목표 타이밍 (ns) * 목표 VDD 전압 (V) = 현재 타이밍 (ns) * 현재 VDD 전압 (V)


이 식에 대입해보면


먼저 tCL

목표 타이밍 (ns) * 1.35 V = 16.154 ns * 1.1 V

목표 타이밍 (ns) = 16.154 ns * 1.1 V / 1.35 V

= 13.163 ns


목표 타이밍 (T) = 목표 타이밍 (ns) / (6000 에서의 기본 클럭)

= 13.163 ns / 0.333 ns

= 39.488 T > 40 T


그 다음 tRAS

목표 타이밍 (ns) * 1.35 V = 32.308 ns * 1.1 V

목표 타이밍 (ns) = 32.308 ns * 1.1 V / 1.35 V

= 35.539 ns


목표 타이밍 (T) = 목표 타이밍 (ns) / (6000 에서의 기본 클럭)

= 35.539 ns / 0.333 ns

= 106.616 T > 107 T


우리가 최초로 출발한 5200 42-42-42-84 1.1 V 값을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최종적으로 6000 40-40-40-107 1.35 V 라는 값을 얻어낼 수 있게 된거야

램 오버한 클럭과 전압에 비해 타이밍이 굉장히 많이 풀어져있지?



그럼 아주 간단하게 실제 램오버 되는 값으로 tCL 만 계산해보자


6000 CL30 1.35 V 로 안정화를 마친 램이 있다고 하자

이 램을 6400 클럭, 1.43 V 을 목표로 tCL 을 계산할게


6000 에서의 기본 단위 클럭 (clk) = 1000 ns / 3000 = 0.333 ns


현재 tCL (ns) = 30 T * 0.333 ns = 9.999 ns



목표 타이밍 (ns) * 1.43 V = 9.999 ns * 1.35 V

목표 타이밍 (ns) = 9.999 ns * 1.35 V / 1.43 V

= 9.441 ns


목표 타이밍 (T) = 목표 타이밍 (ns) / (6400 에서의 기본 클럭)

= 9.441 ns / 0.3125 ns

= 30.211 T > 30-32 T


계산 결과, 6000 CL30 1.35 V 로 안정화 본 램을 6400, 1.43 V 로 계산하면 CL30 또는 CL32 값을 적용해볼 수 있음


지금까지의 계산을 통해서 계산된 T 단위 타이밍값은 올림 처리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만약 소숫점이 30.211 같이 아주 적을 땐 30 T 로 안정화를 시도해볼 수 있음

램 수율이 좋으면 CL30 이 안정화 될거고, 램 수율이 모자르면 CL32로 풀어주거나 전압을 더 주거나 하면 됨


그래서 보통은 하이닉스 a 다이 기반의 튜닝램을 가지고 계산을 시작하면

그나마 우리가 통상적으로 이야기하는 전압과 타이밍을 계산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



그리고 또 한 가지 팁

한 자릿수 램 타이밍을 제외한 나머지 타이밍은 짝수 값을 사용하자


가끔 다른 동네들 램오버 빡세게 조이는 아재들 보면

tRCD 이런 값이 막 37, 45 이렇게 홀수로 설정하는데

램 수율을 극한까지 국물 한 방울 남기지 않고 쥐어짜겠다 하는 세팅들이야

우리같은 일반 사용자들은 그냥 적당하게 짝수 값을 사용하자

홀수 값 안정화 보다가 멘탈 터뜨리지 말고



그래서 이번 결론은 목표 타이밍 (ns) * 목표 VDD 전압 (V) = 현재 타이밍 (ns) * 현재 VDD 전압 (V)

이 계산식을 이용하면 현재 클럭과 전압 값으로 손 쉽게 목표 타이밍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처음 안정화를 시도할 만한 값을 찾는 수고를 조금이나마 덜 수 있다가 되시겠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고수율 램을 판별하는 방법은

- 같은 양의 전압에서 더 적은 램 타이밍 (ns) 이 가능한 램

- 같은 램 타이밍 (ns) 에서 더 적은 전압이 들어가는 램


인 경우니 참고하자



3. 하이닉스 A 다이 램 타이밍 따라하기


아니 그래서 저 많은 램 타이밍들을 언제 하나하나 다 계산하고 앉아있음?

그래서 준비한 내용, 하이닉스 A 다이 램 타이밍 무작정 따라하기


위에서 소개한 방법대로 클럭, 전압, 램 타이밍을 계산했고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8e6aee3bd


VDD/VDDQ 전압은 램 수율에 따라서 다르게 들어갈 수 있다는 점 참고하자


램 타이밍은 크게 1차 타이밍, 나머지 타이밍으로 구분할거고

1차 타이밍은 tCL, tRCD, tRP, tRAS 만 해당됨


아래 모든 램 타이밍은 GDM, PDM, MCR Disable 세팅 기준이고

하이닉스 A 다이 5600 16GB 단면 램 기준이다

그 외의 다른 램은 일부 세부 타이밍 값이 다르니 무작정 따라하지 말자


그리고 UCLK = MEMCLK (1:1), UCLK = MEMCLK/2 (1:2) 에 따른 구분도 해놓을테니 참고하자


고수율 램과 고수율 멤컨 장비를 필요로 하는 1:1 6600 과 1:2 8000 세팅은 제외했음


1f9cfd66c4d63caf7ab6d9bb17dd640944779a3167b982a0154397c74a447b0f7115c67aa907221f0cfe


1f9cfd66c4d63caf7ab6d9bb17dd640944779a3167b982b7154399f0606e152120e762350393004d4d1e9c4f036b




1) 1차 램 타이밍

1f9cfd66d5c031ab6fadcff522d829347f8599e1d1f55b12434c6796ed538dbbe2ca80


위에서 이야기 한 tCL, tRCD, tRP, tRAS 값임

tRAS는 정석대로 계산하면 tRCD + tRTP = tRAS 임

하이닉스 A 다이는 특이하게 정석으로 계산한 값이랑 다르게 많이 조여지는 타이밍들이 있음


또 하나, tCWL = tCL - 2 인데 이건 자동으로 적용됨

만약 이 값이 수동으로 적용 가능한데 다르게 적용되는 보드는 tCL - 2 값을 적용해주자


아래 값은 전압에 따른 1차 타이밍 시도해볼만한 값들임

VDD/VDDQ 전압 1.4 V 이상 세팅은 램 방열판 + 램 스팟쿨링 환경을 권장


1.56 V 이상의 높은 전압은 시도 해볼만 하나 추천하지는 않음

(램 방열판 + 스팟쿨링 환경에서도 램 온도가 48도 이상 올라감)


VDD/VDDQ 전압은 램 수율에 따라서 다르게 들어갈 수 있다는 점 참고하자


VDD 1.35 - 1.4 V

1:1 6000-6200 30-40-40-30

1:1 6000-6200 30-36-36-30

1:1 6400 32-38-38-32



VDD 1.43 - 1.435 V

1:1 6000 28-36-36-30

1:1 6200 30-36-36-30

1:1 6400 30-38-38-30


1:2 7200 34-44-44-36

1:2 7200 34-42-42-36

1:2 7600 36-46-46-38

1:2 7800 38-48-48-40



VDD 1.44 - 1.48 V (전압 언락)

1:1 6200 28-36-36-30


1:2 7600 34-46-46-36

1:2 7800 36-48-48-38



VDD 1.5 - 1.54 V (전압 언락)

1:1 6000 26-36-36-28 (일부 보드는 tRAS 최솟값이 30임)

1:1 6200 28-36-36-30

1:1 6400 28-38-38-30


1:2 7200 32-44-44-34

1:2 7600 34-46-46-36

1:2 7800 34-46-46-36




2) 세부 램 타이밍

1f9cfd66d6d73ba960bbd7a70f9110347e80d9ca895ffe21671d0ffc331c60d3f9d136d79bcde120


tRC

정석대로 계산하면 tRC = tRCD + tRAS 임

하이닉스 A 다이 램들이 이상하게 이 값이 많이 조여지고

어중간한 값이 들어가면 오히려 에러가 나오는 경우도 있는 이상한 타이밍임


아예 타이트하게 조이거나 정석대로 조여주자


1:1 6000-6400

램 수율에 따라 38 정도 조여짐

조여지지 않을 경우 tRCD + tRAS 또는 tRCD + tRAS + 2 값으로 안정화 시도하자


1:2 7200+

램 수율에 따라 44 정도 조여짐

조여지지 않을 경우 tRCD + tRAS 또는 tRCD + tRAS + 2 값으로 안정화 시도하자



tWR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다르겠지만 최솟값이 48 이다

48 로 안정화를 시도하고, 수율 한계에 걸려서 에러가 날 경우 54 를 시도하자

특이하게 48 다음으로 입력되는 값이 54 이다



tREFI

램 오버 안정화 시 제일 마지막에 안정화 보는 것을 권장

온도에 민감한 램 타이밍이고, 특이하게 이 타이밍은 다른 타이밍들과는 달리 값이 클 수록 좋다

65535 가 최댓값이고, 램 안정화 툴로 1시간 - 3시간 안정화를 권장하며

램 온도가 높게 올라가는 TM5 또는 HCI MEMTESTPRO 사용을 권장함



tRFC, tRFC2, tRFCsb

이 램 타이밍 역시 온도에 민감한 타이밍이다

5600 램 기준 순정 타이밍이 각각 295 ns, 160 ns, 130 ns 이다

다른 동네 아재들이 매우 타이트하게 조일 경우 12x ns 로 조이지만

나는 보통 130 ns 를 선호하는데, 대부분은 130 ns, 130 ns, 100 ns 타이밍으로 조임

안정화는 tRFC, tRFC2 를 같이 보고 tRFCsb 를 따로 봄


시도 해볼만한 타이밍은

130 ns - 130 ns - 100 ns

130 ns - 130 ns - 120 ns

150 ns - 150 ns - 120 ns

160 ns - 160 ns - 130 ns (이 값이 제일 만만함)


그 외 24GB 램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170 ns - 170 ns - 130 ns 이상으로 안정화 시도하자


계산 방법은 (ns 단위 타이밍) * (MCLK/1000 ns) = (T 단위 타이밍) 이고

만약 6000 램오버일 경우 130 ns * (3000/1000 ns) = 390 T 가 된다




1f9cfd66d6d73ba960bbd7a70f9110347e80d9ca895ffe22671d0ffc331c60d38f683a78591d969f


tRTP

가장 만만한 타이밍은 20이고, 찔러볼만한 타이밍은 16이다

보통은 16에서 스타트 하는걸 추천하고

램 수율에 따라서 +- 2 씩 조절하면서 안정화를 시도하자



tRRDL, tRRDS

1:1 6000-6400

제일 만만한 값은 8, 4 이다

램 수율에 따라서 8, 6이 들어가기도 하고 더 조여지기도 하니 하나씩 안정화 보는걸 추천한다


1:2 7200+

제일 만만한 값은 8, 6 이다

램 수율에 따라서 10, 6이 들어가기도 하니 하나씩 안정화 보는걸 추천한다



tFAW

가장 만만한 타이밍은 20이고, 찔러볼만한 타이밍은 16이다

보통은 16에서 스타트 하는걸 추천하고

램 수율에 따라서 +- 2 씩 조절하면서 안정화를 시도하자



tWTRL, tWTRS

제일 만만한 값은 16, 4 이다

램 수율에 따라서 16, 6이 들어가기도 하니 하나씩 안정화 보는걸 추천한다




1f9cfd66d6d73ba960bbd7a70f9110347e80d9ca895ffe23671d0ffc331c60d31b4c67c478953229


tRDRDSCL

tRDRDSC

tRDRDSD

tRDRDDD

tWRWRSCL

tWRWRSC

tWRWRSD

tWRWRDD

몇 안되는 홀수값을 적용하는 타이밍들이다

에러 검출도 빠른 편이다


램 수율에 따라 다르며 +- 1 씩 조절하면서 안정화를 보는데

가능하다면 타이밍들을 하나씩 안정화 보는 것을 추천한다


그 이유는 팀그룹 7200 튜닝램으로 안정화 볼 때 tRDRDDD, tWRWRDD 값이 전혀 조여지지 않았다

일부 램에서는 값이 조여지지 않는 모양이다


1:1 6000-6400

6-1-1-1-6-1-1-1 값을 시도해볼만 하다

램 수율에 따라 다르며 +- 1 씩 조절하면서 안정화를 시도하자


1:2 7200+

8-1-1-1-8-1-1-1 값을 시도해볼만 하다

램 수율에 따라 다르며 +- 1 씩 조절하면서 안정화를 시도하자



tWRRD

몇 안되는 홀수값을 적용하는 타이밍이다

팀그룹 7200 튜닝램 안정화 할때 전혀 조여지지 않았던 타이밍 중 하나이다


1:1 6000-6400

1 값을 시도해볼만 하다

램 수율에 따라 다르며 에러 검출 시 + 1 씩 조절하면서 안정화를 시도하자


1:2 7200+

4 값을 시도해볼만 하다

램 수율에 따라 다르며 에러 검출 시 + 1 씩 조절하면서 안정화를 시도하자



tRDWR

16 값을 시도해볼만 하다

램 수율에 따라 다르며 +- 2 씩 조절하면서 안정화를 시도하자





지금까지 램오버 할 때 대충 안정화를 시도해볼만한 값들을 알아봤다

자주 하다보면 그냥 순서를 줄줄 외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도 있다


그럼 모두들 신나는 램오버를 즐겨보자


에헷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2643 공지 데스크탑 마이너 갤러리 운영 규정 (2025.04.17) [3] 라이젠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14 2034 2
23764 공지 데갤 신문고 + 건의 사항 [32] 라이젠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22 323 0
2462 공지 데갤 정보글 모음 (~2024.09.22) [8] 라이젠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31 7380 7
21558 공지 데갤 램 타이밍 프리셋 공유 [45] 라이젠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07 2286 19
4945 공지 데갤 램 타이밍 계산기 (24.08.13 수정) [57] 라이젠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8.11 9856 22
7401 공지 유동 갤럼들 질문들 삭제하지마 [31] 라이젠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13 1302 9
419 공지 컴 견적 물어보는 유동들 읽어라 (견적 문의 양식) [14] 7950X3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0 4395 23
1889 공지 당근 살만한가요? 중고 얼마? 글 쓰기 전에 검색 좀 해라 [24] 7950X3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6 2199 9
28840 일반 전기요금 이게맞냐? 데갤러(223.38) 14:20 1 0
28839 일반 이륙해도 되겠습니까? [1] 박스초콜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3 12 0
28838 📋정보 궁금해서 만들어본 Frametime 계산 그래프 라이젠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 12 0
28837 일반 HAGS 끄고 돌려본거 데갤러(112.145) 14:05 12 0
28836 일반 먼지필터 만들어서 달아줬다 카눌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2 13 0
28835 일반 프레임뷰 오랜만에 보이길래 찍어봤는데 [10] 데갤러(112.145) 13:47 44 0
28834 일반 실리콘나사 쓰면 드라이버 쓸일 별로 없는듯 [1] 데갤러(112.145) 13:42 12 0
28833 일반 우리동네 당근 재미있는 사람있네 [5] 닌텐도굿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6 56 2
28832 일반 윾비겜만 팅기는 이슈 해결 특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4 16 0
28831 일반 누가 찾던 6000cl26 1.4 64긱 미개봉 제품 있네 슾고갤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2 17 0
28830 일반 불칸 저거 보내주려나 [1] 데갤러(211.235) 13:04 32 0
28829 일반 몰라레후 데갤러(211.41) 13:00 20 0
28828 일반 알.리에서 신기한 cpu 찾았음 ㅇㅇ(139.162) 12:53 45 0
28827 일반 이번에 중고 사면서 느낀건데 거의 80퍼가 사기 [13] ㅇㅇ(220.122) 12:46 81 0
28826 일반 요즘 컴이 그냥 무의식의 경지에 이름 [2] ㅇㅇ(106.101) 12:40 64 0
28825 ❓질문 amd랑 라데온 듀오로 쓰면 어떰? [5] ㅇㅇ(211.105) 12:14 37 0
28824 ❓질문 선택장애 질문 [6] ㅇㅇ(223.39) 11:59 46 0
28823 일반 걍 5090용파워 슈퍼플라워 리퍼나 살까요 [3] Cyclone_Jok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3 69 0
28822 일반 다들 근데 전동 드라이버 씀? [19] -sfxt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122 0
28821 일반 쌈디마크 점수 낮은거 드라이버 버전땜인가?? 캉캉단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8 18 0
28820 일반 리퀴드프리저3 걍 공랭 조립하듯 하면 되지 않나요 [8] 하레퀴나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5 85 0
28819 일반 아틱 리퀴드 프리저 3 코어블록 결합할때 [5] 수호자님은아주깊은우물에발을내디딘겁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9 54 0
28818 일반 데붕이 스틸노마드 스트레스테스트 전력소모 [3] 캉캉단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6 35 0
28817 일반 나도 램디스크나 해볼까 모아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4 38 0
28816 📝후기 DAVEN SPIDER 블랙 [6] Kingstan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5 76 0
28815 일반 불칸 특가 진작봤는데 안산이유 [2] am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8 126 0
28814 일반 5080 전성비 지리긴 하다 90KRE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5 73 0
28813 일반 6000 cl26 ssatda 슾고갤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9 41 0
28812 일반 램오버 한동안 안했더니 추세가 좀 바꼇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4 71 0
28811 일반 긱바글카 라이저 안쓰면 상관없잖아 [4] ㅇㅇ(118.235) 09:43 45 0
28810 일반 끄아악 193짜리 불칸놓쳤어 ㅅㅂ.. [2] 데갤러(220.122) 09:31 75 0
28809 일반 6400 도전 해볼까 [9] ㅇㅇ(118.235) 09:16 59 0
28808 일반 아니 바이오스 업뎃하니까 llc특성도 달라지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4 37 0
28807 일반 9800x3d 사망전 증상 공유 [11] 꼬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5 321 9
28806 일반 불칸이 왜 인기 많은거임? [1] 데갤러(106.102) 08:15 104 0
28805 일반 알뜰살뜰히 드래곤볼 [3] ㅇㅇ(220.122) 07:25 102 2
28804 ❓질문 근데 글카 순간전력 튀면 스터터링 안생김? [2] 데갤러(210.204) 06:49 68 0
28803 일반 60~60ti 라인 판매량이 제일 많다는게 사실임? [8] ㅇㅇ(211.235) 06:20 109 0
28802 일반 완본체를 중고로 샀는데 나중에 팔거면 걍그대로쓰고파는게맞져? ㅇㅇ(58.122) 05:36 34 0
28801 일반 왜 내가 안볼때만 불칸 140 이딴거 뜨는건데? [1] ㅇㅇ(221.163) 04:33 78 1
28799 일반 PTM7950 2일차 [5] 데갤러(112.145) 02:10 124 0
28798 일반 R640 조립했는데 왜이리 안예쁘지 [1] ㅇㅇ(211.235) 01:45 53 0
뉴스 [NP포토]임채이 인플루언서, '감출 수 없는 매력' (케이스키니X마노패밀리) 디시트렌드 04.2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