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은 각 기체에 따라서 역할이 달라진다 .
전투기 : 공중 우세 ( 제공권 장악 ) , 요격
다른 항공기에 비해 값싸고 주력 항공기로 쓰인다. 제공우세를 해주는 것만으로도 적에게 공방이속 페널티를 부여하며 아군 공격력버프를 준다. 또한 상대의 근접지원항공, 해상타격, 전략폭격 항공기들을 격추시키고 임무를 방해한다. 다만 고티어 전략폭격기는 대공방어가 미친듯이 높기에 전투기로 잡긴 어렵다.
전투기는 최대한 많이 나눌수록 효율이 좋아진다 , 하지만 많이 나눴을때의 단점도 존재한다 .
에이스라는 개념이 있는데 , 100대 이하로 감소하면 에이스가 적에게 격추 될 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 . 즉 편대 당 100대로 하는 것이 가장좋다.
중 전투기 : 공중 우세 ( 제공권 장악 ) , 요격
전투기와 기능은 같으며 더 좋은 스펙을 지니고있다.
적 폭격기를 제압하기도 하고 , 우월한 무장으로 적 경전투기를 압살한다 .
경전투기와의 단독 전투에서는 기동력이 부족하여 경전투기와의 교환비가 낮지만 ,
아군 경전투기와의 합동전투를 개시한다면 , 교전비율이 올라간다 .
특히 전투기로는 상대하기 어려운 전략폭격기를 잡을때 좋다.
하지만 가성비, 효율, 생산라인 등의 이유로 전투기 파생형을 만드는 것이 더 좋으며 역사적멀티, 룰멀티에서는 전략폭격기가 금지되기에 전투기에 밀려 잘 쓰이지않는다.
근접항공 지원기 ( CAS ) : 공중 지원 , 해상 타격 , 항구 타격
공중 지원 : 공중에서 말 그대로 해당 지역 ( 공세 받는 지역 ) 에 근접 항공 지원기가 배치 되어 있다면 , 적 사단의 내구도와 조직력을 감소시킨다 . 제공이 잡혀있고 수백대의 캐스를 넣어주면 상대 사단은 기갑이든 보병이든 최후의방어를 키든 조직력이 갈려나간다.
해상 타격 : 해당 해역에서 활동중인 함선을 타격한다 . 제해권 장악만 한 함선은 타격받지 않는다 . 해상타격임무는 후술할 뇌격기나 전술폭격기보다 효율이 좋지않으니 급할 때만 근접항공지원기로 해상 타격을 하자.
항구 타격 : 항구에서 정박중인 함선을 타격한다 . 수리중이거나 , 대기중인 함선을 타격한다 . 마찬가지로 뇌격기, 전술폭격기보다 효율이 좋지않다.
전술 폭격기 : 공중 지원 , 해상 타격 , 항구 타격 , 전략 폭격
다용도의 항공기다. 지상지원능력은 캐스에, 전략폭격능력은 전략폭격기에 밀리지만 대서양 간극, 카보베르데, 이베리아 서안 등의 넓은 해역에서는 항속거리가 좋아 뇌격기보다 우월한 해상타격능력을 갖췄다. 넓은 해역에서 잠수함 잡을때 쓰자.
추가로 전술폭격기가 해상타격, 항구타격임무를 할때는 편대당 25대씩 배치하는게 좋다.
전략 폭격 : 해당 지역의 건물을 폭격한다 .
전략폭격기에 비해 전략폭격 능력이 떨어지지만 역사적멀티, 룰멀티에선 전략폭격기가 거의 금지되므로 상대의 산업,기반,군사시설을 폭격할 수 있는 유일한 항공기다. 산업시설을 폭격하여 적의 산업력을 낮출수도있고, 공항을 폭격하여 상대의 공군컨트롤을 방해할 수도있다.
뇌격기 : 해상 타격 , 항구 타격
오로지 함선을 잡기 위해서 뽑는 항공기다. 지중해, 말라카해협, 영국해협 등의 면적이 좁은 해역에서 강한 해상타격능력을 보여주고 항구타격에서도 캐스, 전술폭격기보다 효율이 좋다. 특히 함대결전이 벌어지거나 다른 임무를 수행중인 함대를 타격한다.(제해권 장악만 한 함선은 타격받지 않는다 ) 좁은 해역에서는 고티어 뇌격기 수백대에 함대가 갈려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전략 폭격기 : 전략 폭격
오직 폭격을 위해서만 뽑는 항공기로 생산코스트가 비싸지만 그만큼 개사기인 항공기다. 2티어 이상의 전략폭격기가 수백, 수천대씩 폭격을 해대면 순식간에 산업이 붕괴되며 건설창이 전부 수리로 바뀐다..
심지어 대공방어가 ㅈ사기라 전투기론 요격도 잘안되는데 작전범위는 더럽게 넓어서 미국에서 독일본토를 때려버린다.
이러한 사기성으로 대부분의 역사적멀티, 룰멀티에서는 핵투하를 위한 전략폭격기 이외에는 룰로 전략폭격기 생산 및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수송기 : 공중 보급
공중 보급 : 지휘력을 소모하여 수송선이 해당 지역에 보급을 시킨다 . 올라가는 양이 매우 적다 .
또, 공수부대가 출발할 공항을 지정할때, 그 공항에 수송기가 있어야만 출발할 수 있다.
많이 안뽑아도되고 비싼 항공기니 공수부대를 사용할때만 몇대씩만 뽑아두자.
정찰기: 해당공역에 있는 적의 사단정보를 볼 수있다.
마무리 팁
공군은 겨우 닿는 지역과 전 지역을 커버하는 거리 차이가 있습니다 . 그 지역에 공군이 들어갈수 있는 범위가 적다면 , 효율이 바닥이 되어 공군기 교전 시 손해를 봅니다 .
전술 폭격기의 경우 , 넓은 작전반경을 통해 , 먼 대양까지 활동하는 잠수함을 견제할수 있고 , 뇌격기의 경우 잠수함이 나오는 길목에 배치하거나 ,
잠수함이 활동하는 해역에 뿌려두면 적 잠수함을 격침하기 쉽습니다 .
작전범위는 전략폭격기>전술폭격기>중전투기>전투기>근접기>뇌격기 순서대로 넓습니다.
공군 임무는 두개이상 배정하면 효율이 떨어집니다. 하나만 키셔야합니다. 예를 들어, 전투기로 제공을 잡고자할 때 제공우세와 요격중 제공우세만 켜야 제공 효율이 올라갑니다. 요격안켜도 제공잡으면서 알아서 적 항공기를 격추시킵니다. 반대로 제공을 잡기 어려운 상황에서 적의 근접지원항공을 막아야한다면 ‘요격’ 임무만 켜서 적의 근접지원항공기를
방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이때 적의 전투기가 많이 활동한다면 전투기와 교전이 조금이라도 일어나 전투기 손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예전에 유동으로 올렸던거 수정, 몇가지 추가해서 재업함. 공군 잘모르는 뉴비가 많던데 좀만 알면 해군보다 쉽고 재밌는게 공군임.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