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전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okpponghansabal&no=76457&exception_mode=recommend&page=1
독일전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okpponghansabal&no=76543&exception_mode=recommend&page=1
독일전략_산업편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okpponghansabal&no=76636&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head=20&page=1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okpponghansabal&no=77362&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head=20&page=1
프랑스 전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okpponghansabal&no=80430&search_head=20&page=1
기갑 운영전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okpponghansabal&no=80546&search_head=20&page=1
해상 상륙전략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okpponghansabal&no=80867&search_head=20&page=1
오늘은 사람들이 누가 잡아도 아주 쉽다고 생각하지만, 생각보다는 어려운 미국에 대해서 소개해 보고자 함.
1. 미국 초기상황 - 대공황 및 평온한 고립주의 디버프로 힘을 못쓰는 거인
1) 대공황 : 정치력 -1 , 소비재 비율 30%가량 디버프
2) 평온한 고립주의 : 소비재 공장 50%, 첩보 및 건설에 불이익.
디버프를 풀기 위해서는 중립법 중점 밑의 경제법/제한적 개입 중점/전쟁지지도 50%을 달성해야함
다만 평온한 고립주의는 기반시설 건설에는 어떠한 불이익도 주지 않아서 초반에는 기반시설 건설에 올인 하는게 좋음
-> 도합 소비재 비율이76(80-3)%에 달하며 민간공장 129개중 105개 가량을 쓸 수 없음.


2. 건설 배치는 다음과 같이 진행. 총 건설슬롯을 고려하여, 건설슬롯이 많은 곳 위주로 기반시설을 먼저 지어줌.
다만 노스캐롤라이나에는 군수공장을 하나 지어주고 4월 4일(완료) 직전에 제일 아래로 우선순위를 낮춰줌.
그 이유는 군수/민간 건설을 댓가로 상원 혹은 하원의 지지율이 올라가는 이벤트가 있는데, 제일 먼저 나오는게 노스캐롤라이나이기 때문

3. 게임 시작부터 소규모 로비 활동 디시전을 계속해서 눌러줌. 이래야 4번째 중점에서 노조대표법 찍을 수 있음

4. 육군은 총합 36개 사단이 주어짐.
본토 아무데나 위치해두고 훈련 K(shift k아님)를 눌러줌.
약 4월이 넘어가는 시점에 육군경험치 5가 모이는데, 아래와 같이 1보 보병(스팸용)편제를 창설해줌.
이를 바탕으로 132개 사단을 추가로 찍어냄. 이중 120개 사단은(1개군) 프랑스에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만약 룰에 의해 2차대전 이전 프랑스 군대배치가 불가하다면 영국에 배치하여 추후 상륙을 도모하는데 사용함
36 +12개 사단은 미국 본토방어, 동남아(말레이 + 필리핀)방어, 일부 인도방어에 사용하도록 함


5. 미국 초기 해군은 항모 3척, 전함 15척, 중순 15척, 경순 12척, 구축함 113척, 잠수함 71척으로 구성됨.
일본에 비하면 항모가 다소 적고 전함 구축함이 많음

해군을 반으로 나누어 이탈리아, 일본에 모두 투입하여야 할 경우가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항모 효율은 4척에서 최대이기 때문에
항모 5척을 추가로 건조하며 2개 함대를 운영하고 초계 순양함, 구축함, 잠수함 위주로 뽑는 것을 목표로 함

유럽전선에서 영국이 공군 싸움이 밀릴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에,
경비행기보다는 태평양에서 쓸모 있는 중전투기와 전술폭격기를 중심으로 운용해준다
함재기는 전투기 20, 뇌격기 40정도로 배치함
함재 뇌격기는 일반 뇌격기보다 훨씬 효율이 좋으며 중전투기만 충분히 유지된다고 하면 뇌격기 비율을 더 높여도 됨.
추가로 미국은 기름이 부족할리가 없기 때문에 전체 해군에 K를 눌러주어 훈련을 진행시킴.
해당 훈련을 통해 얻은 해군 경험치는 치명타율 감소와 교리, 어뢰연구 등에 사용한다

6. 함장 배치는 아래와 같이 진행함.
본대 함장은 킹제독, 잠수함 함장은 스타크 제독, 구축함은 알레이 버크 제독을 임명함


스타크 제독의 장점은 밀항선을 달고 있다는 점인데, 여기에 은폐전문가와 위장 특기병을 찍어주면
전술폭격기 + 초계 경순함 + 레이더 아닌 이상은 해군가시성이 극단적으로 줄어들어 잘 안잡힌다.

알레이버크는 구축함 지휘관 - 탐지격침가를 가주자

7. 중점순서가 어려울 수 있는데
뉴딜 -> 공공사업 진흥국 -> 농업법 -> 박해중단 -> 노조대표법 으로 가주면 된다.
박해중단이 끝나자마자 공산주의 정치가를 고용해야 하므로 그전에 정치력 150은 아껴둔다.
중립법을 통해 경제법을 바꾸는것보다 대공황을 푸는게 더 중요한 이유는
미국은 전쟁지지도 50%만 되면 경제법을 풀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초기 전쟁지지도는 7%에서 시작하며 긴장도 100%시 전쟁지지도가 30% 오르기 때문에,
7% + 주재무관(10%) + 전시선전(12%) = 29%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세계 긴장도가 70%이상(21%)이면
중립법 안찍고도 평온한 고립주의를 뗄 수 있다
특히 공산 중점의 경우 빠르게 대공황을 뗄 수 있고, 소비재 -5%를 추가적으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일 효율성이 좋음
참고로 노조대표법까지는 소규모 지원을 계속 눌러줘야 함

연구개발실보다 노조 대표법을 먼저 가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해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선거가 36년 11월에 있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이 5번째 중점을 돌리고 있을 때 발생하며
노조 대표법 중점이 완료되었을때 그전에 국회에서 표가 부족한 것도 해결이 된다.
만약 연구개발실을 먼저 찍고 노조대표법을 찍으면 36년 11월 선거에서는 패배하며 하원 의석 50석 가까이 날아간다.

참고로 은색군단 시위가 발생하면 기본안정도 -10% 선택지를 눌러줘야한다.
해당 선택지를 찍으면 안정도를 손해보는 대신 내전은 안일어나고, 이거말고 아래 선택지를 찍으면 내전이 일어난다
노조 대표법 다음으로 누적부유세법 -> 국군 인종차별을 찍어주자 -> 그리고 공정근로기준법을 찍어주면 37년 5~6월경 대공황을 완전히 뗄 수 있다.
(아니면 누적부유세법 20일 후에 공정근로기준법을 찍어주는 방법도 있다.)
인종차별까지 마무리 해주면 징병률 2%가 추가로 증가하기 때문에 인력을 써도 써도 줄지 않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와 관련해서는 공산주의 지지가를 해임할 시기를 고심해야 하는데 헨리 스팀슨(군수), 헨리 모겐슨 주니어(소비재-5%)으로 바꿔주면 됨.
6번째 연구 슬롯을 위해서는 중립법 중점을 찍어야 하고
선행조건은 공산주의 지지가가 없으며, 공산주의 지지율이 5%이하여야 하는데.

공산주의자 타도는, 지지율 10%이상에서 중점완료시 공산지지율 6% 감소(매일 -0.05, 120일)이므로
10% ~ 11% 혹은 16 ~ 17% 맞춰 주거나, 공산주의 금지를 찍어줘야 한다.
박해중단 완료후 하루도 실수없이 공산주의 정치가를 임명하였다고 가정하였을때
160일 ~170일 후 사이에는
160 * 0.1 = 16% + 1%(기본) +5%(누적부유세법)로 22~23%을 달성하기 때문에
누적부유세법 찍고 20일이 지나고 30일이 지나기 전에 공산주의 지지가를 바꿔주면 된다.
기존공략을 참고하다보니 공산주의 금지를 때리는 경우도 있는데, 굳이 공산주의자 타도를 찍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공산주의자 타도는 기본적으로 최종 안정도를 2~3%정도 올려주는데 반해 공산주의 금지는 안정도를 상당수준으로 깎는다.
기본적으로 안정도 10%를 올리기 위해서는 거의 2년마다 한번 나오는 노동환경개선을 찍어야하며 이때 정치력이 100 든다는점을 감안하면
공산주의 금지를 찍기보다는 정확하게 타이밍을 계산해서 공산주의자 타도를 찍어주는게 좋다.

8. 해군 연구
대부분 크게 신경은 안쓰겠지만 미국 해군의 역할은 2가지이다.
첫번째는 대잠병력을 충분히 양성하여 대서양과 태평양에서 잠수함을 몰아내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일본을 상대하여 필리핀, 말레이 반도와 인도를 지키면서 잠수함으로 힘을 빼주는 것이다.
특히나 일본이 초중전함이 나오는 경우 함대싸움에서 질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잠수함과 전폭기로 힘을 빼주는데 더 주력하자.
대잠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음파탐지기 및 2단계 폭뢰 연구는 필수로 해주면 좋다.

왜냐면 폭뢰 하나의 데미지가 12이며, 2개 폭뢰를 달아줄 경우 36년 잠수함(내구도 20)을 한방에 보내기 때문이다.
만약 40년 잠수함(내구도 30)을 한방에 보내기 위해서는 3티어 폭뢰(16)이 2개 필요하다.

다만 미국이 갖고 있는 초기 구축함은
클렘슨은 총 105대

페러것은 총 21대인데 위의 경우 모두 대잠이 완전하지 않으며, 대잠탐지 또한 없으므로

36년선체나 가격이 싼 초기형 대잠을 건조하여 사용해준다
보통 60~80척 정도 만들어주면 게임 끝날때까지 충분하다.


굳이 기본 잠수함을 안쓰고 신규 설계 잠수함을 쓰는 이유와 관련해서는
초계 및 수송함대 호위에 있어 대잠탐지의 중요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36년 잠수함의 대잠가시성은 19이며,
기본구축함의 대잠탐지는 0,
2티어 소나 장비한 대잠구축함의 대잠탐지는 8,
2티어 소나와 수상정찰기를 탑재한 순양함의 대잠탐지는 21.2이다.
1대당 20시간동안 탐지될 가능성은 아래의 식을 따르므로

기본 구축함 : (19/100)*11 = 2.09 = 9.12 = 0.009%(20시간이니까 * 20)해주면 20시간에 0.18%(대충 2년 돌리면 잠수함 탐지함)
대잠 구축함 : (19/100 + 8/100)*11 = 2.97 => 26.19 = 0.026%(20시간이니까 *20)해주면 20시간에 0.4%(대충 8달정도 돌리면 잠수함 탐지함)
초계 순양함 : (19/100 + 21.2/100)*11 = 4.422 => 86.4681 = 0.08%(20시간이니까 *20해주면) 20시간에1.6%(대충 2달정도 돌리면 잠수함 탐지함)
위의 식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기본 구축함으로 대잠하는 것은 효율이 극히 떨어진다는 것이다.
기본 구축함으로 대잠임무를 부여하면 2년 수색해야 잠수함을 찾는데 그러면 수송선 다 터지고 그냥 망한다.
대잠탐지의 효율성은 3제곱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조그마한 대잠탐지 능력치의 향상도 어마어마한 효율증가를 가져온다.
추가로 중요한 점은 잠수함 길목마다 레이더를 깔아줘야 한다.
알다시피 레이더는 대잠탐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근데 왜 레이더가 중요할까?
아래의 글에 따르면 레이더는 intel efficiency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https://forum.paradoxplaza.com/forum/threads/naval-detection-guide.1157358/
뭔소리냐면 아래의 글에 따르면, 레이더는 탐지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며(위의 대잠탐지 * 첩보 효율성 => 실제 적용 대잠수치)
사실 이부분은 호이 위키에도 정확히 설명이 되어있지 않아서 알 방법은 없으나
암호화가 시간당 +- 3%정도,
중형 전술 (소형 뇌격)비행기 100대당 2%(1%),
레이더 10%커버리지당 1%씩 해서 100%일때 10%등으로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

해군 연구 설계사는 습격함대 혹은 태평양으로 고용해주면 된다.
만약 일본이 유저고 초반부터 해군조약을 탈퇴한다면 초중전함을 간다는 소리이므로 함재기 수가 훨씬 많은 3티어 항모를 가줄 필요도 있다.

9. 선거는 기반시설 건설 효과를 추가로 누릴 수 있도록 루즈벨트 연임을 눌러주자

10. 연구 중 많은 미국 유저가 까먹는 점은 합성석유를 연구해주는 것이다.
만약 이탈리아나 독일이 제대로된 유저라면 선네덜 후 말레이 반도를 상륙하거나 일본이 말레이를 중점적으로 노릴텐데
막을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고무가 대부분 날아가는 참사가 발생한다.
따라서 합성석유를 갈수 있도록 어느정도 준비는 해놓는 것이 좋다.

해군교리에서는 아래와 같이 현존함대에서 대잠 교리를 모두 업글해주는것이 좋다
그다음에 전함쪽, 마지막으로 잠수함을 찍는다. 다만 2차대전 개전 이전에 미국은 대잠교리를 전부 찍어주는 것을 추천한다.

11. 잊기 쉬운 부분은 첩보연구의 암호 부분을 모두 업그레이드 해주는 것이다.
미국은 상대적으로 민공이 남는 국가이므로, 암호체계에서 앞서서 전투 보너스를 받을 필요가 있다.
특히 첩보에서 산업민간부를 찍으면 상대의 중점 파악에, 해군부를 연구해주면 대잠에 더욱 도움이 된다.

12. 병력배치
미국이 막아야 할 곳은 대부분 자원의 보고들이다.
브라질 북부의 알루미늄 산지, 말레이 근방과 실론의 고무 지역을 사수해준다.
특히 말레이 반도에는 영국에게 부탁하여 최소 레이더 1개를 요청한다.
(레이더의 존재 유무가 엄청난 변화를 가져옴)
싱글에서는 그럴일이 거의 없지만, 멀티에서 연합 게임이 터지는 대부분의 경우는 아래의 고무와 알루미늄을 뺏겨서
군수공장이 수백개 임에도 전투기를 못뽑아내는 경우이다.


13. 기름 지원
2차대전 시작하자마자 해야될 3가지 중요한 행동은
1) 영국과 프랑스에 기름 지원 하기
2) 주재무관 파견하기
3) 경제법 총동원령으로 올리기 이다.
프랑스도 함대를 굴러야 하기 때문에 최소 10%, 영국은 함대의 수가 더 많고 공군을 운영하므로 기름지원 20%~30% 이상을 줘야 한다.
사실 여기까지 제대로 따라왔다면, 매우 안정적으로 연합국을 서포팅 할 수 있으며 무서울 것은 전혀 없는 연합국이 탄생한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