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가상자산 이용자 20%가 피해 경험 “이용자 보호 규제 강화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5.07 16:46:07
조회 6469 추천 0 댓글 6
[IT동아 한만혁 기자]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이 ‘2024 가상자산 이용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이용자는 지난해 7월 시행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로 가상자산 시장 안정성이 강화됐다고 느낀다. 하지만 사기 행위와 미신고 사업자에 대한 처벌, 거래소 전산 및 보안 등에 대한 규제는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024 가상자산 이용실태 조사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이 가상자산 이용자의 현황 및 행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한 인식 및 체감 여부를 파악하고, 향후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및 규제 방안, 법 개정 연구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진행했다. 조사 대상은 서울, 경기,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69세 성인 남녀 2500명이며, 기간은 지난 2024년 12월 17일부터 31일까지다.


출처=엔바토엘리먼트


가상자산 피해자 20.3%, 유형은 거래소·리딩방·투자 사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상자산 보유자 중 피해를 경험한 응답자가 20.3%로 나타났다. 그중 60대가 25.3%로 가장 높았다.

피해 유형은 크게 거래소 관련 피해(72.8%), 리딩방 피해(44.7%), 투자 사기(35.5%)로 나뉜다. 거래소 관련 피해는 전산 장애로 매도를 제때 하지 못해 손해 본 경우가 40.6%, 거래소 폐업으로 자산을 잃은 경우가 20.7%, 해킹으로 자산 전부 또는 일부를 잃어버린 경우가 11.5%로 집계됐다.

리딩방 피해는 가입비 지불 후 정보를 받지 못하거나 부정확한 정보로 인한 피해가 23.2%, 시세조종 및 대리매매에 이용돼 금전 피해를 본 경우가 21.5%다. 투자 사기는 가상자산 사칭 또는 투자권유 업체 사기가 18.0%, 불법 또는 사칭 가상자산 거래소 사기가 10.3%, 사기범으로 인한 피해가 7.2%다.

이들 피해자는 피해 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피해 금액이 적다는 이유다. 피해 금액의 경우 100만 원 미만이 34.6%로 가장 높았으며, 피해자의 75.1%가 1000만 원 미만의 피해를 입었다.

피해 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는 67.7%였다. 그 이유는 ▲신고해도 구제받을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해서(47.8%) ▲피해 금액이 많지 않아서(36.2%)다. 반면 피해자의 32.3%는 피해 구제를 위해 SNS, 유튜브, 가상자산 커뮤니티 등에서 도움 및 정보를 요청했으며(43.3%), 금융감독원 신고(33.3%), 경찰 신고(31.6%), 주변인에게 공유(26.1%) 등의 방법으로 대응했다. 하지만 피해 발생 이후 73.9%가 피해 금액을 회수하지 못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인지도 / 출처=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가상자산 영업 행위 규제 강화 필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한 체감 여부 및 개선사항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 조사 결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인지율은 63.1%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법 시행 후 실제 체감하고 있다는 비율은 25.4%로 집계됐다.

이들은 해당 법이 ▲금융당국의 감독 및 제재 강화(17.3%) ▲거래소 이용자 자산 관리 안정성 증가(15.4%) ▲무분별한 가상자산 상장 수 감소(14.3%) ▲거래소 해킹, 전산장애 등 사고 위험성 감소(12.9%) 등 가상자산 시장 안정성 강화에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법 개선 사항으로 ▲사기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26.8%) ▲거래소 전산 설비 및 보안 안정성 강화(21.5%)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 의무화(19.2%) ▲미신고 사업자에 대한 엄격한 처벌(12.6%) 등을 꼽았다. 한국금융소비자재단은 “가상자산 이용자는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영업 행위 규제가 보다 강화되기를 원한다”라고 분석했다.


가상자산 이용자는 이용자 보호 규제 강화를 요구한다 / 출처=엔바토엘리먼트


신뢰성 확보 위해 이용자 보호 규제 강화해야


2024 가상자산 이용실태 조사는 국내 가상자산 이용자 현황과 주요 피해 사례 및 대처 행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한 인식 및 개선 사항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다.

이번 조사를 통해 거래소 및 리딩방 관련 피해, 투자 사기로 인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피해자는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신고해도 구제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피해 발생 후 피해 금액을 회수하지 못한 피해자가 73.9%나 된다. 이에 이용자 피해에 대한 사전 예방 및 강력한 제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가상자산 이용자는 사기 행위 처벌 강화, 거래소 전산 설비 및 보안 강화 등의 규제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국회와 금융당국, 가상자산 업계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2단계 법안 등 관련 규제를 준비 중이다. 주요 화두는 가상자산 업 분류 및 관련 규제, 사업자 진입 규제 등 사업자 관련 규제다. 물론 가상자산 산업 진흥을 위해서는 필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가상자산 이용자가 요구하는 것은 기존 법의 이용자 보호 규제 개선이라는 점을 간과하면 안 된다. 사업자 규제뿐 아니라 실제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이용자 보호 규제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역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가상자산 시장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므로 이용자 규제 개선 요구사항을 반영해 안전한 거래 환경을 확립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가상자산 거래소, SKT 이용 고객에게 ‘계정 보안 강화’ 당부▶ “확장성·비용 효율성 좋은 스테이블코인, 명확한 규제 필요한 시점”▶ [크립토퀵서치] 미국 관세 정책에 가상자산 시장이 요동치는 이유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이성 보는 눈 없어서 걱정되는 스타는? 운영자 25/11/10 - -
6101 [신차공개] 볼보트럭, 스톱·스타트 기능 도입·현대차그룹,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5 0
6100 [투자를IT다] 2025년 11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315 0
6099 장성각 충남콘텐츠진흥원 실장 “타임스퀘어 울린 AI 영상, 디지털 창작자와 더 큰 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9 0
6098 누코드 “누구나 쉽게 IoT 제품/서비스 만드는 모듈기반 생태계 구현”[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5 0
6097 SBA, 서울시 출연기관 경영평가 ‘최우수 기관’ 달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6 0
6096 투디에피 “차세대 2D 소재로 반도체 기술 혁신 이끌겠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10 0
6095 네이버 단25, 양대 축 에이전트N과 소버린 AI 2.0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16 0
6094 SBA, 2025 BIXPO서 초격차 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 밋업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12 0
6093 진보하는 AI 개발자를 위한 자리, '데이원컴퍼니 젠콘 2025' 가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99 0
6092 [스타트업-ing] 마커스 “신개념 접이식 자전거 팝 사이클로 세계인 사로잡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32 0
6091 프로보틱스 "AI 기술로 K-김 글로벌 경쟁력 높일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97 0
6090 '제조 아이디어를 시제품 구현으로···' 서울과기대 시제품고도화 지원 짚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01 0
6089 디엑스알 “RoV·신스비전으로 제조 공정 자동화 돕는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06 0
6088 이노디테크 '닥터얼라인내비' CES 2026 혁신상 선정···"글로벌 진출 가속화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103 0
6087 부에노컴퍼니 “템플리, 10분 만에 전단 제작…오프라인 매장 홍보 자동화할 것” [부산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99 0
6086 "덕후가 만든 캐릭터 엔터테인먼트 목표" 네스팅, 한국의 디즈니 꿈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96 0
6085 오픈마인드 CEO “성장하는 로봇 OS 시장, 폐쇄형 아닌 개방형이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26 0
6084 830만 중소기업 책임지는 중소기업중앙회, 디지털 전환 출발점은 '두레이'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25 0
6083 콘텐츠 자산 체계적인 관리·활용 돕는 ‘텐밀리그램’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27 0
6082 AI 데이터센터 확보 경쟁, 사회적 갈등 극복이 관건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6181 1
6081 펫나우 "수출, 기술이전...반려동물 비문인식 성과 속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07 0
6080 [스케일업] 우트스킨케어·키라앤컴퍼니·퍼슬리·포플러플래닛·프론트웍스 “사업 방향을 구체화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09 0
6079 [스케일업] 넥톤·도미노이펙트·릿툰·아틀로·안심하이 “기업 맞춤형 지원이라 유용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05 0
6078 강동구 청년해냄센터·서울창업센터 관악, 연합 IR 개최 “유망 스타트업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115 0
6077 인덱스핑거 “맞춤형 직원 찾아주는 AI 기반 채용 중개 플랫폼, 지금알바”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45 0
6076 맞춤형 AI 설계로 돋보이는 기업으로 탈바꿈 돕는 '도둠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36 0
6075 [주간스타트업동향] 리빙크리에이터, 日 돈키호테 입점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28 0
6074 스튜디오팝콘 “AI로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혁신합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6183 2
6073 프랜킷 "소모품 수급에서 AI 리뷰 관리까지, 외식업자용 토털 솔루션 노린다”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27 0
6072 88후드 "AI 기반 스마트 자판기로 지역 관광지 활성화 도울 것"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23 0
6071 악어에듀 “아케오AI, 세계 선생님·학생 동반 성장 이끈다”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14 0
6070 넥스트챌린지,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항로 여는 '어라운드 X 코스믹 오디세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134 0
6069 [시승기] 제주에서 느끼는 드라이빙의 즐거움…’포르쉐 올레 드라이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59 0
6068 SK그룹, ‘AI 인프라 대표주자’ 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214 0
6067 [위클리AI] xAI, 그로키피디아 출시…가정용 로봇 네오 사전 주문 시작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313 4
6066 허슬러즈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사용 돕는다, 터닝"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28 0
6065 [자동차와 法] 경미한 교통사고, 무거운 형사처벌…뺑소니의 함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6218 3
6064 SBA "2025 서울콘, 인플루언서와 문화 모이는 K 컬처 허브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4 133 0
6063 젠슨 황이 던진 AI 주사위, '큰 숫자' 나오려면 운용과 지원 모두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35 0
6062 [신차공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출시·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고전압 시스템 기술'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60 0
6061 [칼럼] 데이터 주권 시대, '운영 유연성'이 곧 미래 경쟁력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56 0
6060 [주간투자동향] 케어닥, 3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33 0
6059 세계로 뻗는 서울콘, 2026년 몽골에서도 열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199 1
6058 SBA '연구지표 진단 프로그램'으로 공공 R&D 실효성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144 0
6057 [투자를IT다] 2025년 10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235 0
6056 모빌인텍 “사람 중심의 이동환경 만들고 싶어요”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77 0
6055 “매장에 똑똑한 파트너 등장” 넥스트페이먼츠, 온톨로지 AI 에이전트로 소상공인 혁신 가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68 0
6054 무아베모션 “콘텐츠에 생명 심는 인터랙션 기술 전파” [고려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14 0
6053 생태계 교란 식물 화장품 원료로 탈바꿈…‘우트스킨케어’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206 0
6052 [정훈구의 인터'스페이스'] 성수동 젠틀몬스터, 감각이 만든 가장 거대한 브루탈리즘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5885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