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레인보우식스★☆★ 패드 감도 설정 연구

패붕이(221.149) 2023.09.23 19:24:58
조회 2956 추천 13 댓글 10
														

1. 서론

패드 세팅 도움도 많이 받았고 그동안 기본적인 레식 감도 세팅 방법을 연구해서 공유한다.

나는 세부적인 감도 세팅에서 조절해야 하는 옵션값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 옵션들의 의미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어떻게 세팅하면 좋을지 추천하는 방식으로 글을 쓸 것이다. 다만, 아직 내 패드 경험이 일천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에임 영상은 첨부하지 않을 것이다.



2. 본론

2.1 예비사항들.

고급 컨트롤러 옵션을 활성화하면 다음과 같은 세팅항목이 활성화된다.


a14505aa002ab355aaee98a518d60403efda47560da11ed950dd


총 10개의 항목이 있다. 이는 크게 세 유형으로 나뉜다.


(1) 보기 가속: 이는 특정 범위 이상의 입력값이 들어올 경우 정해진 퍼센테이지만큼 감도를 가속하는 옵션들이다.


레인보우 식스 시즈는 크게 두가지 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첫번째는 힙파이어 감도다. 이것은 조준을 하지 않았을 때의 스틱 감도다. 두번째는 ADS 감도다. 이것은 조준을 했을 때의 스틱 감도다. 이 두 감도는 스틱을 기울였을 때 수직/수평 방향으로 얼마만큼 민감하게 카메라가 움직일지를 결정한다. 이것은 아주 기본적인 사항이다.


이 외에도 감도에 대한 또다른 축이 있다. 바로 가속이다. 가속을 통해 사용자는 2단계의 감도를 사용할 수 있다. 첫번째 단계의 감도는 기본 감도이고, 두번째 단계의 감도는 기본 감도에서 특정 값만큼 더 커진 감도다.

보기 가속 옵션들은 모두 특정한 상황일 때(힙파이어 또는 조준시), 두번째 감도가 첫번째 감도보다 얼마만큼 큰 감도인지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다. 레식에서는 이것이 기본 감도의 특정 비율만큼 가산되는 것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내가 기본 감도를 100으로 설정하고, 가속 비율을 100%로 설정하면, 가속시 감도는 200이 된다는 말이다. 또는, 기본 감도가 50이고, 가속 비율이 50%라면, 가속시 감도는 75가 된다. 다만, 가속된 감도의 감도 가산량은 원래의 감도보다 클 수 없다. 즉, 50에서 가속해봐야 100을 못넘긴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이 가속을 왜 써야 하는가? 특수한 상황에서 가속이 유용하기 때문이다. 마우스의 경우, 시점 전환 속도는 순전히 팔 또는 손목이 얼마나 빠르게 움직이느냐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스틱은 그렇지 않다. 얼마나 빠르게 스틱을 움직이던 간에, 카메라는 설정된 감도만큼의 속도로 움직인다. 따라서, 게임 컨트롤러 사용자들은 긴박한 상황에서의 시점 전환을 위해 가속을 사용해야 하는 편이다.


(2)가속 시간: 이는 스틱을 움직여서 가속된 감도로 카메라를 움직이고자 할 때, 그 움직임에 얼마나 민감하게 카메라가 움직이는지를 결정하는 항목들이다. 대표적으로 보기 가속 지연과 시선 가속 강화 시간은 인게임 내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viewimage.php?id=2abcdd23f5d33c&no=24b0d769e1d32ca73cea8ffa11d0283124baf493e1034742aa8d3df38e0ef61b2135ea9d82d251ef66982209c9f56983ce734fb4ae28096e2e3b75ce705f1b1ec3803e

보기 가속 지연은, 스틱을 최대한으로 밀었을 때, 몇초 후에 카메라 움직임에 가속된 감도가 적용될지를 결정하는 항목이다. 이를테면, 나는 0.10으로 설정했는데, 이는 스틱을 최대한으로 밀고 0.1초 후에 카메라가 가속된 감도로 움직인다는 말이다.

시선 가속 강화 시간은, 스틱을 최대한으로 밀었을 때 기본 감도가 가속된 감도로 도달하기까지 몇초가 걸릴 것인지를 결정하는 항목이다. 예컨대, 나는 0.25로 설정했는데, 이 말은 기본 감도(35)에서 가속된 감도(52.5)로 도달하기까지 0.25초가 걸린다는 말이다.

두 값은 모두 0에서 1초로 설정할 수 있으며, 0으로 설정하면 스틱의 최대값이 입력되었을 때 오직 바로 그 때에 바로 가속된 감도로 변환된다는 말이다. 반대로 이 값을 높이면, 보다 느리게, 또는 부드럽게 가속이 적용된다는 말이다.


앞서 설명했던 세팅값은 인게임 내에서 그래프로 표현된다:


a76a08ad1b2ab5528af1c6bb11f11a398597c489bf9a5ca5ab


가로축은 시간(초) 세로축은 감도 가속 비율(%) H는 수평, V는 수직 감도.


앞서 나는 보기 가속 지연을 0.10으로 설정했으므로, 가속은 0.10초 후에 시작된다. 그래프를 보라. 또한, 나는 가속 강화 시간을 0.25로 설정했으므로, 가속은 0.25초동안 진행된다. 따라서 내가 스틱을 끝까지 밀었을 때, 기본 감도에서 가속된 감도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0.35초가 된다.

마지막으로, 보기 약화 시간 항목이 있는데, 이것은 최초로 스틱을 움직였을 때 얼마만큼의 시간이 흐른 후에 카메라가 움직이기 시작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0에서 1까지 설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0.10으로 설정한 경우 최초 스틱을 움직였을 때 기본 감도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0.10초다.


(3) 외부 한계값:

외부 한계값은 가속이 적용되는 임계값을 말한다.

외부 한계값은 0에서 30까지 설정할 수 있다.


a14408ad3332782b9b435c66f25bf4cf680eb0d1d22d664e0679d28e59b57a93


스틱의 가동 범위를 전체 원의 면적에 해당한다고 했을 경우, B는 스틱의 물리적 가동범위다. A는 인게임 내에서 가속을 적용할지를 말 해 주는 논리적 임계범위다. 따라서, 외부 한계값을 30으로 설정했을 경우, 전체 스틱 가동범위에서 A을 넘어서는 지점까지 움직였을 경우, 감도 가속이 적용된다.


2.2. 추천하는 세팅

나의 조언은 크게 두가지로 나뉠 것이다. 첫번째는 간단한 계산을 통해 최적의 가속 비율을 찾는 방법이다. 두번째는 플레이 성향에 따른 조언이다.


두번째에 대한 조언은 너무나도 당연하고, 또 기본적인 사항이므로, 아주 간략하게만 언급하도록 하겠다.

신중한 플레이가 좋다: 가속에 걸리는 시간값들을 높여라

빠른게 좋다: 가속에 걸리는 시간값들을 낮춰라


내가 보다 하고자 하는 바는 계산을 통해 최적의 가속 비율을 찾는 방법이다.

이는 한 유튜브 채널에서 참고한 것임을 밝힌다.



가속 비율을 찾는 것에 있어서의 요점은 자신에게 최적화된 느린 감도(S)에서, 자신에게 최적화된 빠른 감도(F)로 전환할 수 있는 비율을 계산하는 것이다. 감도는 S로 설정하라. 가속이 필요하면 F로 바뀔 것이다. 계산한 대로 세팅하면 자신에게 최적화된 가속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주먹구구식으로 퍼센테이지를 설정하는 것보다 훨씬 빠를 뿐더러, 초등학교 수준의 산술적 기초만 있다면 누구나 계산할 수 있다. 그런데, 당신은 십중구구할 의무교육 이수자일 것이다. 못하면 재입학하라.


공식은 다음과 같다:



a76d30aa033fb2769e34395158c12a3aaece618d4db99e11025463



F값과 S값만 알면, 가속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이 가장 개인차가 있는 부분이다. 게임에 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는 감도와, 그보다는 빠르지만 그래도 정확성을 어느정도 보전하는 감도를 찾는 것이다. 즉, 자기에게 맞는 느린 감도 값 하나와 빠른 감도 값 하나를 찾는 것이다. S와 F 감도를 수직/수평, 힙파이어/조준감도 각각에 대해 총 8개(2x2x2)를 찾으면 된다. 그리고 각각의 경우(수평/수직일때, 힙파이어/ADS일때 각각 총 4개의 비율)에 대해 해당 값을 세팅해주면 된다. 간단한 예제와 문제를 남겨두겠다.


예제: 수평 보기에서 나의 S값은 35다. (후술할 자이로와 관련해서) 35일 때, 인게임 내에서 목숨을 보전하며 최대한 정확하게 조준을 할 수 있다. 또한 나의 F값은 50이다. 이 값일 때, 인게임 내에서 나는 최대한 정확하게 180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F=50, S=35일 때, 위의 공식대로 계산하면, 가속 비율은 대략 0.428이다. 반올림하면 0.43쯤 되고, 따라서 나는 수평 보기 가속 비율을 43%로 할당하면 최적화된 가속 비율을 정할 수 있다.


문제: 철수의 수직 보기 S값은 15이고, F값은 20이다. 이 경우 철수의 수직 가속 비율은 얼마인가? (답은 댓글로)


이상이 나의 추천 세팅 방법이었다. 다음은 자이로다.


2.3 자위로


애석하게도 시즈는 패드 입력과 키마 입력 전환 사이에 딜레이가 있다. 그래서, 시즈에서 마우스 자이로는 사용할 수 없다. 본 절에서 나는 아머엑스프로 내지는 그 외 스틱 시뮬레이팅 방식의 자이로에 관한 사항을 언급할 것이다. 이제 지치니까 짧게 쓰겠다.


아머엑스프로의 자이로 방식은 자이로 입력값을 시뮬레이팅하는 방식이라고 한다. 따라서, 레식의 인게임 세팅 내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게 존나 골때리는 부분이다. 나는 각각의 세팅 항목을 설명하고, 세팅 값은 알아서 맞추라고 하겠다. 이제 힘들다.



ae5831a50106bb43893c335b9534c5bee7f97576bfe4069da8edf05f44866b569f4e6a234440a9d8



(1) Sensor sensitivity: 센서 민감도. 이 값을 높이면 동일한 거리를 움직였을 때 카메라의 회전 반경은 증가한다.

(2) Sensor Horizontal-Vertical Ratio: 수평/수직의 비율. 이 값을 수정하면 동일한 거리를 움직였을 때 수평 회전 반경이 수직 회전 반경에 n배만큼 증감한다.

(3) Sensor curve: 패드의 이동 속도 곡선. 이 값을 높이면 패드의 이동 속도가 느릴 때 둔감해지고 빠를 때 민감해진다. 반대로 이 값을 낮추면 패드의 이동 속도가 느릴 때 민감해지고 빠를 때 둔감해진다. 레식의 경우 엄청난 실각싸움을 하거나 극도의 정교함을 요구할 때가 많기 때문에 나는 낮췄다. 다만 너무 낮추면(최소값 30), 너무 민감해서 힘들다. 그렇다고 높이면 실각 싸움에서 정밀성 저하로 골아프다. 나는 35정도 줬다. 좋은 reCAPTCHA 봇(또는 통피)은 너무 성기지도 않고, 너무 세밀하지도 않게 패턴을 구별해 내는 봇이다. 너무 성기면 건포도 컵케이크도 개로 인식하고 너무 세밀하면 치와와조차도 치와와로 인식하지 못한다. 언제나 좋은 패턴은 중용의 덕을 따르는 것에서 나온다.

(4) Deadzone Compensation 지터링 관련. Sensor curve를 너무 낮추면 에임이 지랄난다. 그러면 이걸 조금씩 올려주면 좋다. 너무 올리면 형용할수 없이 이상하게 움직인다. 이건 1퍼센트씩 오르내리락 하거나 제논의 역설 전략으로 가는것이 좋다. 나는 35줬다. 아름답다. 인게임 감도(수평)도 35, 응답 곡선도 35, 데드존도 35.


3. 결론.

지금까지의 연구를 종합하였을 때 조언

첫째, 자신이 빠르게 움직이는 플레이어다:시간을 적게 들게 하라. 느리게 움직이는 플레이어다: 시간을 조금 들게 하라.

하지만 우린 언제나 중간 어딘가에 위치할 것이다. 언제나 극단 사이에 있어야 한다는 것. 이것이 변화하는 선호 속에 살아야 하는 우유부단한 유기체들의 생즉필사의 문제노라.

둘째, 수직/수평-힙파이어/ADS 감도에 대해, 느린 감도와 빠른 감도를 찾아라. 그리고 가속 비율을 계산하라.


앞으로의 연구과제

아머엑스프로는 도대체 어떤놈의 감도를 시뮬레이팅 하는것인가를 알아내는 것.

다른 게임도 그런지 모르겠는데, 힙파이어 감도를 존나 올려도, ADS 감도를 존나 올려도 ADS 자이로 속도가 바뀐다.

뭔놈의 게임을 이따위로 만들었는지 유비가 유비했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게 생각보다 골아픈게 상시자이로를 할때 여전히 문제가 있다.

모난 돌 두드렸더니 다른 곳에 모가 또 난다.

어떻게 해야 최대한 모나지 않은 둥근 돌로 만들 수 있을지 여전히 미스테리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의 성과:

국내에 미미한 레식-패드-유저를 위한 설정 교두보를 한국어로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많은 연구논문이 그렇듯 본 글에서 해결하지 못한 과제들은 후속 연구과제로 남긴다.

또한 원래 입 터는 인간이 듣는 인간보다 더 많이 생각하고 배우는 법이다.

나 개인의 패드 경험과 관련하여 수많은 명제지를 획득한 것에 소소한 보람을 느낀다.




추천 비추천

13

고정닉 7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12585 공지 게임패드 갤러리 운영 수칙 [14] strongcid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2 14198 20
13559 공지 딱지가 필요할때 링마벨 [287] strongcid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6 12061 7
33069 공지 패드를 써보고 싶은 사람 필독! [2] 폭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11 34480 21
22448 공지 질문글 작성요령.txt [21] strongcid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25564 17
36176 공지 후기 모음.zip [4] 폭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6 23699 10
26645 공지 정보글 모음.zip [7] 폭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24 37760 35
102505 일반 진동 개쩔고 백패들4개에 tmr넣은 그런 엑박패드 없냐 [1] 부왘꾸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8 54 0
102504 일반 패드 실사용할거면 뒷면 검은색이 낫겠지? [3] ㅇㅇ(175.202) 11:08 57 0
102503 질문 슈퍼노바 자동 절전 모드 못끄나본데?.. [3] 패붕이(1.240) 10:50 81 0
102502 일반 팔얼블2는 보따리상들 왜이리 늦음? [1] ㅇㅇ(110.9) 10:23 63 0
102501 질문 게임패스 용 게임패드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패붕이(211.38) 09:57 88 0
102500 질문 도움이 필요해요~!! 8비토 얼티메잇2 전원관련 [1] 패붕이(218.157) 08:49 76 0
102499 질문 사이클론 vs 블리츠 [1] 패붕이(112.146) 08:29 58 0
102498 일반 백버튼 설정하느라 몇시간 낑낑댓더니 패붕이(45.112) 08:15 45 0
102497 일반 어린이날기념 패드할인없나 ㅇㅇ(59.3) 08:05 45 0
102496 정보 자이라오스탑마켓 사기업체 입니다 [2] 패붕이(58.227) 07:19 190 5
102495 일반 베5프에 바라는점 딱 한가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6 120 0
102494 질문 팔얼2 게임시 진동x [1] 패붕이(210.206) 05:40 76 0
102493 질문 ㅌㅁ에 사이클론2 독포함 3.5 떴는데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99 0
102492 질문 패드 살까 고민중인데 패붕이(220.88) 04:48 46 0
102491 질문 8얼2 이거 왜이렇게 끊기는 이유 아는 사람? [4] 패붕이(125.143) 03:49 127 0
102490 질문 님들 스틱 개찌그러졌으면 스틱 바꾸고 스틱커버 껴야됨? [3] ㅇㅇ(175.112) 03:05 137 1
102488 일반 팔얼2 7만원이어도 살만함? [4] 바다건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3 179 0
102487 추천해 형님들 패드좀 추천해주세요 [1] 움파룸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98 0
102486 소식 Gamesir G7 Pro, 6월로 밀릴거 같대 [5] 래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306 0
102484 추천해 패드 추천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98 0
102482 일반 스틱제거 재밌는 툴 발견함 [10] ㅇㅇ(39.7) 00:46 245 0
102481 일반 사클2 진동모터 살짝 맛간거같은데 [1] 패붕이(175.117) 00:14 75 0
102480 질문 님들 백버튼 보통 멀로 씀? [3] 패붕이(210.106) 00:13 88 0
102479 질문 팔얼2 진동 지원이 되는 게임을 하려면 [3] 패붕이(210.206) 05.04 107 0
102478 질문 팔얼2 원래 양쪽 진동이 다른 가요? [3] 패붕이(210.206) 05.04 105 0
102477 질문 scuf envision 에 쓰이는 기계식 스위치 뭔지 아는 갤럼 있음? [2] ㅇㅇ(175.202) 05.04 92 0
102476 질문 패드 스틱 방향 보정하는 방법 있어? 패붕이(58.233) 05.04 27 0
102475 질문 손 크기 잴 때 편하게 아니면 쫙 펴서? [1] 패붕이(222.104) 05.04 41 0
102474 질문 파얼블 파얼2 질문 a(121.180) 05.04 39 0
102473 질문 Y700에 gamesir x5 lite 쓰는 사람 있음? [1] 패붕이(175.198) 05.04 84 0
102472 일반 요새 글 보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85 0
102471 질문 폴드6 레이저 키시 vs g8+ 어떤게 더 낳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71 0
102470 질문 이거 가격 살만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90 0
102469 일반 패드 입문을 재작년 엘패2로 했었는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81 0
102466 질문 사클2 질문 하나 더잇슴 xinput으로 변경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13 0
102465 추천해 싸클2 샀는데 패붕이(221.143) 05.04 83 0
102464 질문 얘들아 홀센서가 알프스보다 구조적으로 인풋렉이 심할 수 밖에 없다는데 [5] 패붕이(61.79) 05.04 191 0
102463 질문 사클2 동글을 독에 꽂아놓는거였음??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00 0
102462 질문 듀얼센스 엣지 힘줘서 쥐거나 비틀면 [2] 패붕이(118.218) 05.04 105 0
102461 일반 검지중지트리거 파지법 유저에게 백버튼4개는 무쓸모일까? [8] 패붕이(175.193) 05.04 99 1
102460 일반 흑흑 굴리킷 센세 감사합니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207 2
102459 일반 PC유저는 팔얼블2를 굳이 살필요가 있나 [1] 패붕이(220.89) 05.04 187 0
102458 질문 패드에 영구 매핑은 못함? 패붕이(222.117) 05.04 43 0
102457 일반 왜 비싸봐야 십만따리 소모품에 자아를 의탁하냐 [5] 패붕이(116.255) 05.04 179 0
102456 일반 팔얼2 11자 이지럴 하는놈들 개파오후임 [4] 패붕이(211.211) 05.04 195 3
102454 질문 스팀컨 한국어 키보드가 안된다는게 사실임? [7] 패붕이(112.148) 05.04 86 0
102453 일반 키압 높은 게 내구도면에선 좋을 수도 있지 않을까? [5] 패붕이(58.140) 05.04 138 0
102452 일반 듀속쉘이 개인적으로 패드 쉘 중 goat라고 생각함 [1] 패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44 1
102451 질문 8얼불 pc 안드 블투연결이 안댄다 [5] 패붕이(122.38) 05.04 90 0
102450 추천해 모바일 게임패드 추천 [4] 김현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4 107 0
뉴스 성민정, ♥김문호 ‘방출’ 떠올리며 눈물…“최강야구 출연하라고 무릎 꿇어” 디시트렌드 05.0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