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략/팁] 스압)따거햄들의 동료 무공 선택 가이드 겸 자주하는질문

낭갤러(116.33) 2024.12.17 04:10:22
조회 13387 추천 15 댓글 10
														

이 글은 신규 플레이어가 게임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초보자 가이드이다. 이 가이드는 플레이어가 생각을 정리하고 육성 방향을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며, 구체적인 조합은 이 가이드를 읽은 후 스스로 선택하도록 한다. 이 가이드는 2020년 10월에 작성되었으며, 버전 업데이트로 인해 많은 설명이 참고할 가치가 없을 수 있으니 신규 플레이어는 신중하게 학습해야 한다. 초보자 조합은 주인공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주인공의 육성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원보로 구매한 특정 캐릭터에 집중하여 주인공의 성장 속도를 늦추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주인공의 각 문파에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소림사: 곤(전방) 권(전방) 지(후방)

천도: 경도/중도(내공 졸업 전까지는 후방, 졸업 후 전방 가능)

태을: 검/권(전/후방)

창랑: 용계창법/창랑창법(전/후방)

영월: 검(후방) 권(유일하게 실용적이지 않음)ㅋㅋㅋㅋㅋ


여기서 괄호 안의 전방과 후방은 전투 시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육성 방향을 의미한다. 전방은 탱킹, 제어(남캐권), 치료를 육성 방향으로 하는 캐릭터를 의미하며, 후방은 공격, 제어(용계창법), 치료를 주로 하는 캐릭터를 의미한다. 초반 주류 육성은 2전방 2후방 조합으로, 최소한 한 명의 메인 탱커와 서브 탱커가 포함되어야 한다.


신규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사방진 배치를 사용하여 주 탱커가 피해를 견디게 한다. 이중 탱커의 장점은 주 탱커가 보스를 단독으로 견딜 수 없을 때, 가운데 줄을 비워 202 배치로 보스가 상하 두 방향의 캐릭터를 동시에 공격하게 하여 두 명이 피해를 분담할 수 있게 한다.


PVP 플레이어의 경우, 이중 전방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삼중 전방(삼보일무상)이나 사중 전방(남성 캐릭터가 강함)도 주류 육성 방향 중 하나이다.


주인공을 결정한 후에는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조합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자원 배분과 균형성을 고려한 것으로, 네 명의 캐릭터가 각각 다른 무공 연계 기술을 사용하여 게임 내 무학 자원과 장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세력의 강도를 고려한 것으로, 육선문 플레이어는 주로 검과 곤을 조합하고, 구혼각 플레이어는 주로 권과 검을 조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합은 무공 연계 기술의 중복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도 주인공이 육선문에 가입하면, 한 명의 캐릭터와 주인공이 모두 검을 사용하게 되어 권과 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참고로, 평민 곤 캐릭터는 후반에 주 탱커가 되므로, 초기에는 곤 캐릭터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소림사 곤 주인공을 제외한 다른 캐릭터는 중반에 곤을 150점까지 육성해야 무결곤(무하곤법?)을 배울 수 있다.)


다음은 각 무공 연계 기술의 캐릭터 선택과 무학 조합 추천이다.


전방 권 캐릭터:

1. 남지의(피해감소 1위)

2. 이일진(체력 1위)

3. 노승(던전용, 방어 1위)

4. 능연(던전용, 피해감소 기본 적용, 기혈)

5. 도연일(저렴, 3단계 재능은 무료 캐릭터 중 가장 튼튼함)


전방 권 캐릭터의 주요 정의는 자체 회복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유용한 디버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전방 권 캐릭터를 육성했다면 높은 대미지을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전방이 안정되어야 후방이 생존하고 대미지를 낼 수 있으며, 탱킹 능력이 부족하면 전반적으로 무너질 수 있다.


추천 조합:

일반 무학 조합

→ 무공 연계 기술: 철사장(능연 태조장권)

→ 내공은 도연일을 제외하고 모두 자체 내공을 가지고 있으며, 도연일을 얻었을 때는 진급을 사용한다. 일반 무학으로 수련을 채워 진급을 배운다.


진급 무학 조합

→ 무공 연계 기술: 1. 오행권; 2. 개산장법; 3. 파비퇴법

→ 내공: 1. 혼천기공(만능)


상승 무학 조합

→ 무공 연계 기술: 1. 대음양수(가장 좋지만 구혼각 한정); 2. 팔괘장(70 던전 최종 보스 군걸을 상대할 때 가장 유용한 상급 권법)

→ 내공: 1. 첩랑결(가장 빠르게 얻을 수 있는 상급 내공) 2. 세력 첫 번째 상급 내공(한빙결, 백승결) 3. 원인귀심결


진파 무학 조합

→ 무공 연계 기술: 오독신장(구유로 현음장 교체 가능)

→ 내공: 이화결/천일신공(이화는 거쳐가는 용도이며 열양신장과 연계, 후반에는 만상마공/건원공/벽파신공으로 교체 가능. 구유시련에서는 천일신공/건원공/장생결로 교체 가능)

→ 경공: 천원락/팔보간선/신공행/쇄성보


추천 능력치 분배: 근골 내식(남은 포인트는 진파 무학 능력치 분배 참고)



후방 권 캐릭터(추천하지 않음, 스스로 연구할 것)ㅋㅋㅋ


전방 곤 캐릭터:

1. 남지의

2. 이일진

3. 노승

4. 능연

5. 도연일

6. 류여의


순위 이유는 전방 권과 동일하며, 평민의 첫 번째 고려 사항은 탱킹 능력이다. 남지의가 가장 높은 탱킹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은 이일진과 노승이다. 도연일의 천부 업그레이드도 주류 선택이 되었다. 류여의는 추천하지 않으며, 연왕부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버틸 수 없다. (참고로, 평민은 무결장생 류여의를 맹목적으로 육성하여 던전 주 탱커로 만들지 말아야 한다. 평민이 제대로 육성하지 않으면 후반에 고폭발 보스에게 한 번에 당할 수 있으며, 회복할 기회가 없다.)


추천 조합:

일반 무학 조합

→ 무공 연계 기술: 제미곤법

→ 내공은 있는 것을 사용한다.


진급 조합

→ 무공 연계 기술: 1. 패왕창법(추천, 높은 출력과 공격 감소 디버프, 매우 유용); 2. 축월창법(무료 획득, 반격과 연속 공격 가능)

→ 내공: 1. 혼천기공(만능)


상승 조합

→ 무공 연계 기술: 1. 쇄악창법(육선문 전용); 2. 백화창결(선택의 여지가 없음)

→ 내공: 1. 백승결/한빙결(세력 전용); 2. 첩랑결 3. 원인귀심결


진파 조합

→ 무공 연계 기술: 무하곤법

→ 내공: 1. 만상마공; 2. 창랑결; 3.장생결/건원공, 만약 이가 이라면 건원(?)

→ 경공: 천원락/팔보간선/신공행/쇄성보


추천 능력치 분배: 팔힘, 근골, 내식 (신법은 무하곤법에게는 쓸모없고, 만약 진파 경공의 스킬이 신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신법에 포인트를 주지 않음)


후방 곤

1. 양연현

2. 도화/배이나

3. 상호건

4. 두월한

5. 진무쌍


현재 버전에서 무하곤법의 메커니즘이 매우 강력하며, 첫 번째로 얻기 좋은 진파 탱커용 무학이다. 평민 유저는 대부분 무하곤을 주로 사용하여 주 탱커 역할을 맡기 때문에, 초반에 자원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후방 곤을 추천하지 않는다. 또한 후방의 탕마창결은 90레벨에 도달해야 얻을 수 있으므로, 시도해보고 싶은 유저는 탕마창결을 얻은 후 전직을 고려해야 한다. 이 공략에서는 추천하지 않는다.


전방 도 (상호건만 가능)


도는 딜링용 무공으로, 전방으로 육성하더라도 메인 탱커 역할을 맡기 어렵다. 여기서 말하는 전방 도는 서브탱커로 육성하는 딜탱으로, 혈마경, 순수유리체, 능파미보 등 고탱 무공과 함께 사용한다. 그러나 평민 유저는 능파미보가 없고, 순수유리체와 혈마경을 얻는 시기가 늦기 때문에, 평민의 전방 도는 주로 초반에 무하곤법를 얻기 전까지 딜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장 흔한 상도 전곤 또는 후반에 반탱 도로 자립하여 작은 몬스터의 피해와 출력을 담당한다.


추천 조합:

일반 무학 조합

→ 무공: 유운도법 (무료로 쉽게 얻을 수 있음)


진급 무학 조합

→ 무공: 2. 칠살도법 (무료이지만 얻는 시기가 늦음); 1. 분뢰도법 (풍뢰검법 + 분뢰도법의 이중 합격, 진급 최강)

→ 내공: 혼천기공


상승 무학 조합

→ 무공: 복희도법 (저렴하고 쉽게 얻을 수 있지만, 진파로 업그레이드 후 태허도법만큼 유용하지 않으며, 운철이 손해임)

→ 내공: 가장 빨리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용


진파 무학 조합

→ 무공: 적도결 > 태허신오도 > 파봉팔참 > 복희도법

→ 내공: 초반에는 용상반야공을 우선 사용하고, 다른 내공을 얻으면 용상반야공을 교체


1. 흡혈류 (혈마경 + 쇄성보/천원락)

2. 전통 탱커 (추천하지 않음, 무하곤법이 없으면 탱킹이 어렵고, 피해도 전방 권의 디버프만큼 강하지 않음)


추천 능력치 분배: 근골은 반드시 50 이상, 나머지는 무학에 따라 분배, 초반 대규모 전투가 필요한지 여부는 직접 느껴보길 권장.


후방 도

1. 상호건 (전후방 모두 최강의 도); 

2. 설용성 (자체 진파 적도결이 현재 버전에서 최고의 도); 

3. 도화/배이나 (만능 후방 여성 캐릭터); 

4. 맹상 (과금하지 않으면 2-3개월 내에 얻을 수 있으며, 비과금 유저에게 매우 추천되는 캐릭터); 

5. 두월한


상호건은 설명이 필요 없다. 상호건은 언제나 강력하다. 후방 출력 역할을 맡을 때 가장 신뢰할 수 있다.


설용성은 던전에서 매우 뛰어난 출력을 보여주며, PVE의 진정한 신으로 불린다. 출력이 부족한 평민 유저에게 최적의 선택이다.


도화와 배이나는 특성이 무공에 구애받지 않으며, 출력이 강력하다. 만능 캐릭터로, 어떤 무공이든 강력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스타일 전환 비용이 낮다.


두월한은 디버프에 의존한 출력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 보스는 디버프를 먹지 않거나 제거할 수 있어 던전에서는 추천하지 않는다.


PVP 유저에게는 맹상이 단지 외형일 뿐이라는 말이 있다. 맹상의 공격력과 특성이 뛰어나지만, PVP에서는 약하다는 사실을 바꿀 수 없다. PVP에 특화된 유저는 맹상 도를 사용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으며, 구혼각의 강보다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추천 조합:

일반 무학 조합

→ 무공: 유운도법


진급 무학 조합

→ 무공: 1. 무영도법 (육선문 전용, 가장 멋진 도법이지만 얻는 시기가 늦음); 2. 칠살도법 (무료); 3. 분뢰도법; 4. 설용성: 자체 무공으로 잔도결이 있어 필요 없음

→ 내공: 혼천기공


상승 무학 조합 

→ 무공: 1. 복해도법 (육선문 추격 도법); 2. 분뢰도결; 3. 복희도법

→ 내공: 1. 백병결; 2. 첩랑결;


진파 무학 조합

→ 무공: 1. 적도결; 2. 수춘도결; 3. 파봉팔참

→ 내공: 1. 천일신공; 2. 혈마경; 3. 천잠신공; 4. 태현진경

→ 경공: 쇄성보/추혼보


추천 능력치 분배: 후방 도는 주로 신법 도법으로, 신법 분배는 무학에 따라 참고; 내식은 최소한 초반 대규모 전투에 포인트를 주어야 함(1라운드에 스킬을 바로 쓸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의미같음). 근골은 50이 기본, 80이 최적; 팔힘은 남은 포인트를 주되, 150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 부족할 경우 신법과 근골 포인트를 줄임.


전방 검 (추천하지 않음): 

1. 남지의 

2. 이일진 

3. 노승(?)


전방 검은 사용할 수 있지만, 한서검법만 가능하여 던전에서 효과가 떨어지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후방 검

1. 도화

2. 배이나 

3. 월영

4. 두월한

5. 상호건


PVP만 따지면 월영이 강화된 후 매우 강력하지만, 여전히 도화와 배이나만큼 만능은 아니다. 자원이 많이 필요하며, 평민 유저는 던전에 중점을 두어야 하므로 도화를 첫 번째로 추천한다.


추천 조합: 

일반 무학 조합

→ 무공: 점묵검법


진급 무학 조합

→ 무공: 1. 풍뢰검법; 2. 황천검법 (얻는 시기가 늦음)

→ 내공: 혼천기공


상승 무학 조합

→ 무공: 1.혈의검법

→ 내공: 1. 백병결; 2. 첩랑결


진파 무학 조합

→ 무공 연계: 1. 서자검법 (최고의 검법, 검법동료의 구세주); 2. 오옥검결 (100레벨 버전에서 서자군검을 초월)

→ 내공: 1. 벽파신공; 2. 혈마경; 3. 천잠신공

→ 경공: 쇄성보/추혼보


추천 스탯 분배: 사용하는 무공 연계에 따라 신법과 팔힘을 분배, 오옥검법은 초반에 대규모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진영 조합과 무학 선택에서는 자신에게 맞는 것이 가장 좋다. 월카와 간디는 저렴하고 쉽게 얻을 수 있는 무학을 선택하고, 무과금 유저는 강력한 무학을 선택한다. 

연왕부 시기가 진정한 침전기이므로, 이 시기에 자신의 게임 이해도가 있다면 이 글을 참고할 필요가 없다. 


아래는 가성비 높은 무학을 추천한다.

도법:

일반:

1. 유운도법


진급:

1. 분뢰도법

2. 칠살도법


상승:

1. 복희도법 

2. 복해도법 (육선문 전용) 

3. 분뢰도결 (가장 비싸며, 뇌음반지와 조합하여 만뢰파공 사용) 

4. 혈전오식 (마지막 두 기술이 가장 쉽게 빗나가며, 강해 보이지만 맞추기 어려움)


진파: 

0. 적도결 (설용성 천부 진화) 

1. 태허신오도 (전방 도법) 

2. 수춘도결 (육선문 후방 도법) 

3. 파봉팔참 (적도결 없는 구혼각 유저는 선택 불가) 

4. 복희도법 (약함) 

5. 심음류도술 (설령 필요하지 않다면 추천하지 않음)



검법:

일반: 

1. 점묵검법

2. 삼재검법


진급:

1. 풍뢰검법

2. 칠성검법

3. 황천검법


상승: 

1. 혈의검법

2. 사상검결

3. 광풍쾌검


진파: 

1. 오옥검결

2. 서자군검 

3. 한서검법

4. 환영무형검 (시대의 눈물)

5. 회풍무류검



곤법:


일반: 

1. 제미곤법 (무관에서 구매, 유일한 선택지, 배우지 않으면 안 됨)


진급: 

1. 축월창법 

2. 패왕창법 (무관에서 구매, 직선 공격) 

3. 천균봉법 

4. 천라곤법 (육선문 전용, 약함)


상승: 

1. 백화창법 

2. 쇄악창법 (육선문 전용, 직선 공격)


진파: 

1. 무하곤법 

2. 촉룡창결 

3. 탕마창결 

4. 능상창법 

5. 진운창법



권법:


일반: 

1. 철사장 

2. 태조장권 (권여캐 유일 선택지)


진급: 

1. 오행권 

2. 개산장법 

3. 파비퇴법 

4. 최심장


상승: 

1. 쇄허지 

2. 팔괘장 

3. 대음양수 (필요한 효과를 내기 어려움)


진파: 

1. 오독신장 

2. 열양신장 

3. 현음장 

4. 응혈신조 

5. 취몽신권



내공:


일반: 도연일 외에는 일반 내공을 동료를 위해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대부분 자가 내공을 지님.


진급: 

1. 혼천기공


상승: 

1. 첩랑결 

2. 백병결 

3. 백승결/한빙결 (세력 전용)


진파:

1. 용상반야공 (퀘스트로 획득, 1회 턴제 제어 포함) 이화결 (퀘스트로 획득, 화상 디버프 포함) 천일신공 (던전에서 획득, 체력 보호막 포함) 현재 세 가지 진파 내공을 가장 빨리 획득 가능.

2. 장생결, 건원공, 만상마공, 창랑결 두 번째로 획득 가능한 진파 내공.

3. 보천가결 (육선문 전용, 잔혈 방어 3회 증가) 현명경 (구혼각 전용, 공격 명중 시 체력 회복 및 내공 회복) 세 번째로 획득 가능한 진파 내공.

4. 벽파신공 (유령도시 획득, 체력 회복 및 내공 회복, 파티 버프) 혈마경 (흡혈) 태현신공 (공격), 벽파 유령도시 15장, 혈마 구유 70층, 태현 과금 추첨.




경공:


일반: 

1. 건행보 (무관에서 구매) 

2. 경종술 (무관에서 구매) 거쳐가는 무학, 경공 수위를 쌓기 위해 모두 학습.


진급: 

1. 매화보. 수상표와 안행공은 유틸용 무학으로, 주로 주인공이 학습하여 사용하며, 동료는 수위를 쌓기 위해 사용.


상승: 전방 탱커에게 답랑결, 나머지 매화보법. 상승 경공은 기본적으로 대형 세력의 것을 사용하며, 매화보보다 나은 것이 없음. 천라보는 설날과 국경절의 묘회에서 필요하며, 월하비천과 진파 천회백전은 같은 시기의 무학.


진파: 

1. 신공행 

2. 쇄성보 

3. 천마무


친절한 팁: 무학 조합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추천 조합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개인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으며, 추천을 따르지 않아도 조합이 잘못되었다고 걱정할 필요 없다. 전후방 위치가 명확한 경우, 비슷한 강도의 무학 간 교체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거쳐가는 무학으로도 같은 단계의 던전을 클리어할 수 있다면, 완벽을 추구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초보자가 게임을 시작할 때 쉽게 혼란스러워하는 몇 가지 문제를 보충 설명한다.


1. 주인공 스탯 분배에 대해


여기서 초보자들에게 특별히 강조하고 싶은 점은, 절대 초반에 팔힘을 포기하고 신법만 올리는 순수 탱커 스탯 분배를 시도하지 말라는 것이다. 주인공이든 동료든 초반에는 팔힘을 올려야 한다. 초보자는 초반에 다양한 던전을 속전속결로 빠르게 클리어해야 하며, 팔힘을 올리지 않은 전방 캐릭터는 전체적인 공격력을 심각하게 저하시켜 진행 속도를 늦출 것이다. 팔힘을 올리지 않은 순수 탱커는 후반 PVP에서만 유용하다.


주인공의 능력치 분배는 공격과 방어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게임 내 많은 전투는 주인공이 단독으로 수행하며, 모든 문파의 출사 전투도 단독으로 진행된다. 많은 영월과 천도 신입 유저들은 최대한의 출력을 위해 만렙까지 근골을 전혀 올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내 제안은 전방 주인공도 동료와 마찬가지로 신법을 올리지 않고, 적절히 팔힘과 근골을 초과하여 올리는 것이다. 후방 주인공은 팔힘과 신법을 최대한 올리고, 근골은 최소 60점을 유지하며, 남는 점수는 상황에 따라 팔힘과 신법을 초과하거나 내식을 보충한다. 근골은 체력뿐만 아니라 방어와 피해 감소에도 영향을 준다. 후방 주인공이 60 근골을 올리면 전중기에는 서브탱커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전투에서도 승률을 크게 높인다. 또한 천무강기와 소림 약욕 모두 60 근골이 필요하다. 초기에는 근골을 올리지 않으면 후기에 천무를 배우거나 소림에서 약욕을 하려면 다시 능력치를 초기화해야 한다.


많은 신입 유저들은 초기 60 근골을 올리면 후기에 근골을 올리는 자질이나 장비를 얻으면 근골이 너무 많아지지 않을까 걱정한다. 후방 주인공의 능력치 분배는 팔힘과 신법을 최대한 올리고 남는 점수를 근골에 할당하는 방식이다. 근골을 올리는 과정에서 근골을 올리는 자질(예: 백전백승)을 얻고 이를 유지하고 싶다면 60점까지만 올리면 된다. 60점을 초과하여 근골이 초과되더라도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근골과 내식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며, 60점을 올리는 것은 천무와 목욕의 기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신입 유저에게 기준선을 제시하는 것이며, 초과된다고 해서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니다. 이는 주인공 육성의 중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른 선택이다.



2. 다양한 속성의 용도와 초과의 이유


속성 점수 자체는 캐릭터의 능력치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일반적인 육성으로 졸업한 동료의 경우, 전방 탱커의 체력은 약 20000(속성 점수로 인한 증가 약 2000), 후방 딜러의 공격력은 약 5000(속성 점수로 인한 증가 약 500)이다. 따라서 120 팔힘과 140 팔힘의 차이는 수십 점의 공격력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20점의 근골 차이도 몇백 점의 체력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속성 점수의 차이는 무공의 연계 기술과 상대와의 차이에 있다.


무공의 연계 기술에서 팔힘은 주로 대기술(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액티브 스킬이 변하는 것)의 주요 피해에 영향을 준다. 팔힘을 올리지 않으면 대기술로도 큰 피해를 주기 어렵다. 신법은 연계 기술에서의 반격, 추격, 연속 공격 및 쌍격 치명타 확률(연계 기술 자체에 이러한 기술이 있는 경우), 경공에서의 속도, 명중, 회피 및 특수 기술의 증가에 영향을 준다. 근골은 내공에서 체력 증가와 방어 시 피해 감소 비율에 영향을 준다. 내식은 연계 기술에서 디버프 발동률과 감소 효과, 내공에서의 회복, 공격, 방어 등 각종 증가 비율 및 특수 기술 발동률과 발동 효과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연계 기술은 신법 검, 팔힘 검 등으로 나뉜다. 예를 들어 오독신장은 독 디버프를 가지고 있으며, 동료가 공격한 후 추가 공격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독신장을 후방 주먹 연계 기술로 사용할 때는 팔힘, 신법, 내식을 모두 고려하여 능력치를 분배해야 한다. 게임 중기에 게임에 대한 이해가 생기면 최종 연계 기술을 계획하고, 이에 따라 속성 점수 분배 비율을 조정해야 한다.


또한 상대와의 차이도 중요하다. 명중은 회피에 대응하고, 속도는 방어에 대응하며, 팔힘은 근골에 대응한다. 속성 점수 자체는 캐릭터의 능력치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같은 레벨에서는 초과된 속성의 차이가 주요 판단 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내가 3000 명중이고 상대가 3000 회피라면 큰 차이가 없지만, 내가 신법 명중을 3100으로 초과하면 판단의 균형이 나에게 기울어진다. 이는 다른 속성 대결에서도 마찬가지다. 왜 속성을 조금만 초과하고 계속 쌓지 않는가? 

첫째, 초과된 속성이 많을수록 증가 효과가 적어지는 시스템 설정 때문이다. 

둘째, 특정 속성을 과도하게 초과하면 다른 단점이 생긴다. 

셋째, PVP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초과된 속성 점수는 던전에서 큰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 평민 유저는 중후기에 던전 레벨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70레벨 철인문 던전은 보통 75레벨에 클리어하고, 80레벨 고골문 던전은 88레벨에 클리어한다. 따라서 던전을 클리어할 때 이미 판단의 균형이 유저에게 기울어져 있어 공격이 자주 회피되거나 방어되는 상황이 드물다. 던전 몬스터의 수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소량의 초과된 점수로 판단 우위를 확보하면 된다. 예를 들어, 90레벨 던전 연왕부의 보스는 높은 회피와 방어를 가지고 있어 몇백 명중을 더 쌓아도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소량의 초과된 점수로도 같은 레벨의 보스보다 높은 팔힘으로 공격을 가하고, 탱커의 근골이 보스의 팔힘보다 높아 방어 시 높은 피해 감소를 유지하면 충분하다.



3. 능력치 초기화에 대해


많은 신입 유저들은 능력치를 반복적으로 초기화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서 능력치를 초기화해야 하는가?



먼저 어떤 캐릭터인지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여진해나 진원봉과 같은 과도기형 동료는 능력치를 잘못 올려도 다시 초기화할 필요가 없다. 원래 거쳐가는 캐릭터로 대체할 선택지가 많기 때문이다. 여진해는 40레벨이 되면 종무월이나 강일천으로 대체할 수 있고, 진원봉은 도연일로 대체할 수 있다. 초반 40레벨 이전에는 능력치 초기화가 무료이므로, 40레벨 이후에 능력치를 잘못 올렸다고 해도 조금 더 버티면 두 번째 단계의 동료로 교체할 수 있다. 최종 파티의 캐릭터만 능력치 초기화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능력치 분배에 큰 오류가 있는지, 후반에 보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전방 캐릭터의 경우, 우선 근골을 최대한 올리고 그 다음으로 팔힘을 최대한 올려야 한다. 내식과 신법의 분배는 개인 스타일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만약 60레벨에 능력치 분배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예를 들어 네 가지 속성에 평균적으로 능력치를 분배해 각 속성이 50 정도라면, 능력치 초기화가 필요할까? 개인적으로는 초기화를 하지 않는다. 만레벨인 90레벨까지 30레벨 동안 90점의 보완 점수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만레벨 전에 팔힘을 최대한 올리고 근골을 약간 넘치게 보완하면, 내식이 조금 낮고 신법이 조금 높은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전방 캐릭터가 근골을 전혀 올리지 않았거나 팔힘을 전혀 올리지 않아 보완할 수 없는 경우에만 능력치 초기화를 고려한다. 일반적으로 능력치 초기화는 캐릭터 전환 시에만 필요하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문파를 변경하거나 후방 캐릭터가 전방 캐릭터로 전환할 때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처음에는 자신이 플레이하다가 일부 표준 능력치 분배 공략을 보고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해서 '완벽한 능력치 분배'를 위해 초기화를 시도한다. 이 게임에는 완벽한 능력치 분배라는 개념이 없으며, 약간의 속성 포인트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초보자는 속성 포인트에 대한 이해가 게임 초기에 모호하기 때문에, 보완할 수 있으면 보완하고, 초기화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정말 초기화가 필요하다면, 80레벨 이후나 90레벨 만레벨에 도달한 후 한 번에 만족스러운 초기화를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원보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



4. 장비에 대해


초보자가 직면하는 첫 번째 문제는 장비를 구매하거나 제작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이다. 초반에는 게임 진행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40레벨이나 50레벨 이전에 레벨에 맞는 장비가 갖춰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먼저 어떤 부위의 장비가 부족한지 확인하고, 무기가 따라올 수 있도록 하고, 전방 캐릭터는 방어구가 따라올 수 있도록 한다. 초반에는 저레벨 장비로도 충분히 버틸 수 있다. 보유한 은화와 게임 진행 상황에 따라 장비를 보충할지 결정한다. 장비 제작의 경우, 드랍 장비는 기본적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70레벨 이전에는 각 단계의 드랍 주황 장비를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문파 전용 장비만 구매하거나 제작할 가치가 있다. 80레벨과 90레벨의 재료는 공용이므로, 80레벨은 과도기이기 때문에 재료를 모아 90레벨 졸업 장비를 직접 제작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다. 장비 선택에 대해 말하자면, 많은 초보자가 장비 등급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실제 속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파란 장비가 있으면 녹색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보라색 장비가 있으면 파란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며, 고급 장비가 있으면 저급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예를 들어, 전방 동료에게 방어력 100을 올려주는 녹색 반지와 같은 레벨의 속도 80, 회피 80을 올려주는 파란 반지 중에서는 전자가 더 가성비가 높고 실용적이다. 또 다른 예로, 후방 동료에게 공격력을 높여주는 60레벨 옷과 인내력을 높여주는 70레벨 옷 중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전자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장비의 조합은 캐릭터의 역할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많은 경우 전방 캐릭터가 안정적으로 서 있으면 상대방이 후방을 공격하는 스킬이 없는 한, 후방 캐릭터가 약해도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50레벨 진원 반지, 60레벨 마비 반지, 80레벨 집기 반지, 60레벨 기린 펜던트 등 기능성 장비는 상황에 따라 계속 교체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면 많은 전투가 훨씬 쉬워진다.



5. 천부와 세맥에 대해


세맥 공략은 비교적 복잡하므로 여기서는 몇 가지 조언만 제공한다. 세맥을 초기화하기 전에 관련 튜토리얼을 꼼꼼히 읽어 실수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피해야 한다. 먼저 세맥 초기화를 준비할 때 최소 300개(권장 500개) 이상의 세수단을 준비하고, 최소 3개의 천부 슬롯을 연 동료(또는 최소 3개의 천부 슬롯을 열 수 있는 자질단)을 준비해야 한다. 이 조건을 충족해야 세맥 초기화와 교체를 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맥 선택과 보존에 대해, 보라색 세맥이 없는 경우 모든 파란색 세맥과 녹색 세맥은 잠글 필요가 없다. 단, 천부 슬롯을 미리 열어 몇 개의 세수단으로 대충 사용할 계획이 아니라면, 평민의 첫 번째 보라색 세맥은 삼신맥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주탱커는 혼원맥을 사용하고 만상마공/보천가결과 조합할 수 있으며, 세 명의 동료 중 최소 한 명은 귀맥과 비파신공을 조합해야 한다. 두 번째 보라색 세맥은 무기 세맥을 보존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검술 무쌍과 같은 검술 보너스만 있는 천부는 캐릭터가 무기를 변경하면 쓸모없어지기 때문이다. 세맥 초기화 전에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끊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보호자와 함께 진행하는 것이 좋다(농담, 경험 많은 플레이어의 지도를 받으며 진행).


6. 육선문과 구혼각 선택


많은 초보자가 육선문과 구혼각에 대해 전혀 개념이 없고, 어떻게 선택해야 할지 모른다. 단지 구혼각에는 검법과 권법이 있고, 육선문에는 도법과 곤법이 있다는 것만 알고 있다. 먼저 오해를 바로잡자면, 주인공이 사용하는 무기와 선택하는 세력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남녀 주인공 모두 최소 4개의 문파를 배울 수 있으며, 도, 창, 검, 권 등의 내공과 경공을 주인공이 배우고 싶은 대로 배울 수 있다. 세력 무공은 주로 동료을 강화하는 데 사용된다. 세력 무공을 주인공에게 사용하는 것은 일반 플레이어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세력 선택은 수익을 고려해야 한다. 어떤 세력을 선택할지 결정하려면 두 세력의 특수 수익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먼저 육선문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비문파 무공 중 가장 튼튼한 내공인 '보천가결'이 있으며, 던전에서 가장 강력한 무료 동료인 '종무월'이 있다. 또한, 대량으로 판매되는 신기 '기린추'와 '수춘도결' 세트도 제공된다. 다음으로 구혼각을 살펴보면, 두 가지 고상한 검법인 '광풍쾌검'과 '환영무형검', 두 가지 기능성 내공인 '한빙결'과 '대성라공', 그리고 '응혈신조'가 있다. 만약 무과금이나 월정액 소과금 유저라면, 편하게 게임을 즐기기 위해 주저하지 말고 육선문으로 가는 것이 좋다. 육선문에 가면 먼저 '보천가결'을 얻을 수 있다. 보천가결은 보스를 상대할 때 세 번의 방어 버프를 제공하며, 각 버프는 2000에서 5000의 피해를 막아준다. 최소 2000으로 계산해도 세 번의 방어로 6000의 피해를 막아주므로, 원래 20000의 체력이 필요했던 보스를 14000의 체력으로도 상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6000의 체력을 쌓는 자원을 절약해주는 셈이다. 또한, 종무월은 던전에서의 역할이 어떤 원보 동료보다도 강력하여 졸업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원보 동료를 구매할 돈을 절약해준다. 간단히 말해, 육선문은 빠르게 던전 클리어 기준에 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세력이다. 반면, 소과금이나 중과금 유저라면, 자신이 투자한 자원으로 던전 클리어 기준에 쉽게 도달할 수 있으므로 구혼각으로 갈지 고민할 수 있다. 이런 유저들에게는 주인공의 역할에 따라 선택을 권장한다. 만약 자신이 탱커 역할을 맡고자 한다면, 예를 들어 창랑이나 소림 유저라면, 보천가결 없이도 던전 탱킹 기준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구혼각으로 가서 강력한 검 동료를 육성해 딜을 보충하는 것이 좋다. 두 세력 간에 절대적인 강약은 없으며, 과금 정도가 높다고 해서 구혼각이 육선문보다 무조건 강한 것은 아니다. 단지, 육선문은 0에서 60레벨 구간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구혼각은 60에서 90레벨 구간에서 빠르게 성장한다. 90레벨 이상에서는 두 세력의 장점이 다시 비슷해진다.


7. 초보자 시작 시 자원이 부족할 때


게임 시작 시 은화가 매우 부족하다. 많은 초보자들이 무공을 사지 못하고, 약초를 사지 못하며, 식재료를 사지 못하고, 심지어 마차를 타는 것도 아까워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아래에 초보자가 시작 시 큰 돈을 벌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방법 1: 하룻밤에 부자가 되는 유주 매화장. 게임 시작 시 두 가지 경공을 배우고 문파에 가입해 경공 수련이 20이 되면 유주 무관에서 매화장을 뛸 수 있다. 인내심과 집중력이 있다면, 매화장 10단계를 도전한 후 극한 모드에서 500번을 뛰면 약 100냥의 은자와 여러 신법 자질 단을 얻을 수 있으며, 비기인 '도약술'을 얻을 확률도 있다. (대만섭은 모르겠지만 한국섭은 극한도전이 50레벨이후에 열린다. 참고하자)


(PS: 내가 매화장을 뛸 때 사용하는 작은 팁을 공유하자면, 먼저 마음가짐을 편하게 하고 목표를 500번으로 정하지 말고, 100번, 200번, 300번도 보상이 있으니 여러 번 뛰면서 도약술을 얻는다고 생각하자. 한 번에 500번을 뛰지 말고 중간에 쉬는 것이 좋다. 나는 경쾌한 음악을 틀어놓고 음악에 맞춰 뛰며, 음악이 끝나면 담배 한 대 피우는 시간만큼 쉰다. 또는 이어폰을 끼고 소설이나 프로그램을 들으며 무의식적으로 뛴다. 이 작은 팁은 100번 정도 뛸 수 있는 유저에게만 해당된다. 몇 번 뛰고 포기하는 유저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방법 2: 성실한 탐사대. 낙양에는 강호지리록 임무가 있다. 각 지도를 90% 이상 탐사하면 상당량의 은자와 열력을 얻을 수 있다. 인내심과 시간이 있다면, 모든 지도를 탐사해 총 50만 열력과 75냥의 은자를 얻을 수 있다. 동시에 모든 지도의 보물 상자와 나무 구멍을 열어 초기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S: 나무 구멍의 은자는 레벨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얻을 수 있지만, 레벨이 올라갈수록 은자를 벌기 쉬워지고 은자를 사용하는 속도도 빨라지므로, 나무 구멍을 보면 바로 열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업데이트 날짜: 2021.3.2


아는건 최대한 한국섭에서 쓰는 명칭으로 바꿨고 모르는건 그냥 냅뒀음. 읽다가 ? 이게뭐임 하는게 나와도 나도모름. 반박시 님말이 맞음

추천 비추천

15

고정닉 4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3002 AD 작혼X페스나 헤븐즈필 콜라보 개시! 운영자 25/04/22 - -
18739 공지 신문고 [37]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12 2522 0
20991 공지 처음시작하는 뉴비 및 부캐 위한 육성방향 2025,01,22 업데이트 [21] 핑크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22 9754 44
17268 공지 전체 무학 목록(완) [14] 쌈무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07 2573 37
602 공지 자양서원 문제 답 (업뎃예정) 2024.12.18ver [88] 낭갤러(182.224) 24.11.06 41296 18
896 공지 자질 변경 방법 (세수단 사용법) [2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10 8773 17
38464 일반 구유해야되는데 귀찮아 육봉스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7 1 0
38463 일반 장비작 천장 나오게 하는거 질문 [1] 암령(117.111) 15:44 25 0
38462 일반 하 사타구니 개짜증나는 녀석이네 ㅋㅋ 낭갤러(110.12) 15:41 31 0
38461 일반 형들 장웅의 집 어딨슴 낙양 다뒤지고있는데 못찾겠음 [2] 낭갤러(211.110) 15:38 20 0
38460 일반 신캐 능력 좀 난해하네 [3] 히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0 83 0
38459 일반 세수 연못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5 17 0
38458 일반 오픈떄부터 한 무과거지 [3] 낭갤러(124.53) 15:25 54 1
38457 일반 내일 누충+동료 [4] 낭갤러(118.217) 15:24 83 1
38456 일반 와 구유에서 능파 있고없고가 차이가 말이 안되네 [2] 장삼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9 42 0
38455 일반 흑룡 vs 자양검 [3] 암령(117.111) 15:09 34 0
38454 일반 내일 동료 우영이인가 나온다던데 [1] 낭갤러(1.216) 15:01 74 0
38453 일반 아 개억까.. 하 한번 깨봐서 쉽게 될줄 알았는데 [2] 낭갤러(110.12) 15:00 44 0
38452 일반 뉴비는 집 안건드는게 좋겠지? [4] 코코넛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9 42 0
38451 일반 육선문 장비들이나 연왕부 드랍장신구 100급으로 업글 ? 낭갤러(89.147) 14:34 41 0
38450 일반 용상 13찍었음 [3] 크버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8 53 0
38449 일반 뭐야 태을교 돼지고기도 먹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2 50 0
38448 일반 이번주는 여기가 한계군 [4] 여자친구없어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3 74 0
38447 일반 태을이면 축검검보다 태을검이 낮제 [2] 매일주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5 93 0
38446 일반 헐 아니 님들 이거 알고있었음? 제작할때 [10] 여자친구없어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2 140 0
38445 일반 천도 진파 배우기 거지같네 쌈무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4 43 0
38444 일반 드디어 혈마경 10중찍엇다 [6] 여자친구없어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4 112 0
38443 일반 관문 보라템 날짜 넘어가도 나오나? [2] 낭갤러(218.52) 13:03 47 0
38442 일반 천마무 가람노도 어떻게 얻어? [2] 낭갤러(220.124) 12:42 48 0
38441 일반 이벤트 할까봐 천무강기 근골 안맞추고 있는데 [2] 매일주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2 100 0
38440 일반 서자도화 비결세팅 어떻게 해놓는게 좋을까 [9] 낭갤러(118.217) 12:21 109 0
38439 일반 서자군검 외유내강 주면 신법 안 찍어도 되는거임? [4] ㅇㅇ(61.81) 11:47 116 0
38438 일반 구유는 진짜 4능파 4무하라고 생각해야할듯 ㅋㅋ [8] 낭갤러(110.12) 11:27 131 0
38437 일반 2군으로 키울 캐릭 고민 중이야 [4] 낭갤러(118.235) 11:27 57 0
38436 일반 (갤기장)경공내공 분배 메모장 [2] ㅇㅇ(218.148) 11:25 75 0
38435 일반 천마무 모래치우기 질문 [2] 낭갤러(118.217) 10:46 58 0
38434 일반 정진 이후의 반야선장 성능 [2] 낭갤러(211.105) 10:38 136 0
38433 일반 장비작 분기점 질문글 제발 알려줘 [14] 암령(117.111) 10:16 105 0
38432 일반 도화 서자군검 스탯 팔신내 111 맞음? [6] ㅇㅇ(211.44) 10:09 126 0
38431 일반 사타무 쓰러트렸다 [4] 히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27 0
38430 일반 나도 이제 소형세력작 끝나감 [3] 육봉스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3 115 0
38429 일반 <피해면역 획득처 정리> [23] 암령(117.111) 08:36 317 6
38428 일반 천강검지결은 공덕필요없어 ? [3] 낭갤러(211.114) 07:46 106 0
38427 일반 구도육좌가 좋긴 하네 [2] ㅇㄹ(121.165) 07:22 142 0
38426 일반 뉴비 이제 레벨60인데 [2] 찌질양민(61.42) 05:48 89 0
38424 일반 원래 80넘으면 구혼각 임무 이따군가 [5] 대두등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27 0
38423 일반 서자검 얻는데 존나 오래걸릴거같은데 오옥검이라도 얻어두는게 낫나 [11] 대두등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7 178 0
38422 일반 갑옷 선택존 ㄹㅇ [4] 여자친구없어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8 193 0
38421 일반 비틱같아서 미안한데 평가좀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261 0
38420 일반 뭐가 더 좋을지 추천좀 [3] ㄹㅇ(211.168) 04.26 107 0
38419 일반 밥해먹기 귀찮다 [3] 쌈무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90 0
38417 일반 낭만강호 시작 이래 처음으로 꼴려봄 [6] 낭갤러(118.235) 04.26 318 2
38416 일반 천도 구유 질문 [5] 낭갤러(106.101) 04.26 82 0
38415 일반 종무월 쫄 시작하자마자 쓸수있는거 처음암... [3] ㅇㅇ(220.72) 04.26 128 0
38414 일반 녹나무 유력때만 물어와?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223 8
38413 질문 응혈 능지처참 질문좀 [8] 벽안독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131 0
뉴스 ‘여왕의 집’ 함은정, 일일드라마 치트키 활약 예고….역대급 복수 서막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