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로스쿨입시] 리트 팁 - 저리트 편

실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2.11 20:23:16
조회 24350 추천 66 댓글 42
														

0. 들어가며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이 집리트를 풀어보지 않았다면, 22~24학년도 리트를 반드시! 시간 정확하게 재서 풀어 보고, 채점한 뒤(호머식 채점 안됨) 표준점수의 평균치를 계산해보고 오기 바람. 

이 글은 그러한 집리트를 풀어 본 사람 중, 평균치가 125점 아래인 사람들을 위한 글이니 참고하길 바랍니다. 평균 135 이상 나오는 사람들을 위한 글은 따로 업로드하겠음. 125~135 사이인 사람들은 두 글을 모두 읽어보길 권장합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이 글을 너무 맹신하지는 않아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어디까지나 작성자 개인의 사견일 뿐이고, 어느 정도 유의미한 준비 자료로 활용하되 꼭 이렇게 해야 한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우선 짚고 가겠음. 하지만, 열심히 적은 만큼 꽤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글의 순서는 목표 설정 – 언어이해 – 추리논증 – 기타 순으로 구성하겠음. 

1. 목표 설정 

집릿 평균치가 125 이하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현실적인 목표는 135~140점 사이가 될 것인데, 올해 시험으로 따지면 21/31(표준점수 137.5) 정도입니다. 백분위는 각각 94.5/95인데, GPA만 받쳐준다면 고로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만한 점수임. 대략 이 정도를 현실적인 목표로 잡고, 준비하는 걸 강력히 권장합니다. 

물론 목표는 높게 설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 라는 반문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좋고, 아울러 그 이상의 고득점을 노리고 준비하려면 적어도 거의 모든 문제를 시간 내에 다 풀 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하면 외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래에 설명할 8지문 풀이법 등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2. 언어이해

언어 점수가 잘 나오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푼 문제의 정답률은 높은데 시간이 부족한 것이고, 둘째는 풀기는 다 푸는데 정답률이 낮은 것입니다. 물론 시간도 부족한데 푼 문제의 정답률이 낮은 경우도 존재합니다. 

이 점수대에서는 10지문을 다 풀 생각을 하면 안 됩니다. 개인별로 차이는 다르겠지만, 본인은 8지문만 푸는 것을 권장하고, 8지문을 정확히 풀어서 푼 문제의 정답률을 최대한 높이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두 지문을 버리는 기준에 대해서는 개인별로 편차가 클 테니 굳이 설명하진 않겠습니다만 본인이 가장 취약한 분야의 지문을 버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릿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하나 더 있는데, ‘지문을 제대로 읽지 않는 것’입니다. 가장 권장하는 방법은 해당 지문에 들어갈 때 3문제를 대충 슥 보고, 지문을 꼼꼼하게 제대로 읽는 것입니다. 꼼꼼하게 제대로라는 말이 제대로 와닿지 않을 수 있는데, 제가 가장 좋아하는 국어 강사는 이를 ‘반응하며 읽기’라고도 합니다. 본인이 지문을 다 읽었을 때, 지문의 내용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에서 묻는 내용을 ‘지문으로 다시 돌아가지 않고’ 풀어낼 수 있어야 합니다. 

물론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슈능과 대학교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리트의 지문 수준이나 문제 난도는 당연히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만, 그럼에도 지문 읽는 데 문제 풀이 시간의 대부분을 과감히 투자해야 합니다. 그래야 안정적으로 정답을 맞히는 게 가능하고, 23~24개를 맞히는 고득점이 가능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3문제짜리 언어 한 세트 풀 때 지문 독해에만 5~6분을 활용하고, 문제 세 개 푸는 데는 2분 이상 투자하지 않습니다. 어떤 언어 시험이든, 지문에 없는 내용은 절대 묻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문을 꼼꼼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읽어내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앞서 언급했던 대로, 우리는 8지문만 풀 것이기 때문에 한 지문에 9분 정도 잡는다 생각하고 연습하기 바랍니다. 구체적으로는 9분 중 7분 정도 지문을 꼼꼼히 읽는다고 생각하고, 나머지 2분 안에 문제를 푼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지문의 이해도나, 문제를 보는 눈이 달라질 것입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정답률도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이 방법을 제대로만 체화한다면, 그 뒤로는 속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면 됩니다. 8지문 볼 거 9지문 보고, 좀 더 속도가 붙으면 10지문 다 보고 하는 식으로 늘려가도 됩니다. 다만 이렇게 속도를 높여가는 과정에서 시간이 좀 부족하다든가 하는 이유로 ‘지문으로 돌아가지 않고도 문제를 풀 수 있는 수준’으로 읽지 못할 것 같다면, 세트당 시간을 줄여 지문을 더 보는 것은 강력히 말리고 싶습니다. 본인 수준에 맞는 지문 개수를 정하고, 그 지문을 정확히 풀어낸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3. 추리논증

추리논증의 경우에는 언어와 달리 문제 유형이 여러 개로 나뉘어 있습니다. 1번부터 14번까지 법조문 문제, 그 뒤로 20번까지 인문 문제, 그 뒤로 30번까지 사회 문제, 그 뒤에 논리게임 서너 문제, 그리고 그 뒤에 과학 문제 이런 식으로 되어 있는데 이 중에 본인이 어느 부분이 취약한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학원강사의 강의를 수강하든, 해당 부분 문제를 많이 풀어보든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찾아서 하면 됩니다. 시간이 부족한 경우 취약한 영역을 가장 나중에 풀기 바랍니다. 

추리를 풀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의 일관된 논리구조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기계적으로 ~하니까 ~하겠다 식으로 접근하지 말고, 오답을 할 때도 해설지 등에 의존하지 말고 본인의 일관된 논리구조를 확실히 정립하기 바랍니다. 본인이 직접 오답노트 등을 작성해 보고, 그래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해설지를 보고, 그래도 이해가 되지 않으면 로갤이나 스터디원 등에게 물어보고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사설 추리논증은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아니, 오히려 안 푸느니만 못합니다. 정 풀 게 없을 때 풀되, 오답에는 큰 의미를 부여하지 말기 바랍니다. 보통 문제별 정답률이 다 나올 텐데, 정답률이 높지만 나 혼자 틀린 문제만 오답하는 것을 가장 추천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ㄱㄴㄷ 문제에서 응시자의 80%가 ㄱ,ㄴ을 골라서 틀렸고 나도 ㄱ,ㄴ을 골라서 틀렸는데 정답이 ㄱ이다? 이건 문제가 잘못된 겁니다. 여기서 ㄴ이 왜 틀렸는지 오답하는 것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4. 기타 

기출이 가장 중요합니다. 교수들을 비롯한 고급 인력이 며칠을 공들여 만든 문제이기 때문에, 사설이랑 퀄리티 면에서 크게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기출을 꼼꼼히 분석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기출의 논리구조를 최대한 체화하려 노력하기 바랍니다(특히 추리). 

궁금한 게 있거나, 반박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에 적어주면 최대한 열심히 답해 보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66

고정닉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6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2831 AD 해커스로스쿨전국모의고사 5/10(토) 온·오프 동시시행 운영자 25/04/10 - -
2904 AD 선착순 300명! 메가로스쿨 온라인 모의고사 무료 제공 운영자 25/05/01 - -
294463 공지 안녕하세요. 뉴 파딱입니다. :) [18] itlaw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8 11835 26
292340 공지 Post-LEET 모음글 [1] 사울배드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27 6574 0
292339 공지 Pre-LEET 모음글 [1] 사울배드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27 7381 3
378695 일반 충남대 로스쿨 후리스 ㅇㅇ(1.212) 13:10 26 1
378694 일반 국숭세단 출신 개발자다. 격조했노 ㅋㅋㅋ [1] ㅇㅇ(118.36) 13:09 16 0
378693 일반 법전원 입학증으로 마이너스 대출 받을 수 있는거로 아는데 ㅇㅇ(106.101) 12:48 31 0
378692 로스쿨 메디컬 1학기 다닌게 정성 되냐? [3] 법갤러(210.103) 10:54 132 0
378691 일반 밑에 성대 전전 신입생한테 현실적인 조언 드간다 [1] 법갤러(58.141) 07:08 301 9
378690 일반 중대 로스쿨 재학생인데 졸업 후 지방 취업 [3] 법갤러(61.82) 04:16 213 0
378689 일반 형들 이거 진짜 있는 판결문이야? [2] 법갤러(183.91) 03:21 207 0
378686 일반 흙수저라서 정장 빌릴 돈도 없다 [5] ㅇㅇ(210.110) 00:35 191 0
378685 일반 한양로 이하 갈바엔 지방로 가셈 [3] ㅇㅇ(210.110) 00:33 304 0
378684 일반 형님들 이번에 전전 입학한 신입생인데 훈수 부탁드립니다. [6] 법갤러(175.120) 05.02 264 0
378681 로스쿨 변시가 어려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70 1
378680 일반 공인중개사는 가산점 1도 없나요? [5] 법갤러(119.202) 05.02 260 0
378679 일반 리트기출 09년도 부터 다 풀면 되는거임? 법갤러(116.32) 05.02 57 0
378675 일반 대학원 재학중이면 원서쓸때 대학원 학점 제출하나요? [1] ㅇㅇ(118.235) 05.02 78 0
378674 일반 경희 경희로 한양 충북로 뭐가나음 [4] ㅇㅇ(118.235) 05.02 342 0
378673 로스쿨 리트 과외 로스쿨 입시과외 해주실 분 찾습니다. [32] 법갤러(39.7) 05.02 585 3
378669 일반 공직 5년 있었는데 정성 반영되냐? [9] ㅇㅇ(202.14) 05.02 368 0
378668 로스쿨 님들 요즘 로입 고점이라는데 단국대 98 900 [4] 법갤러(163.152) 05.02 419 0
378667 일반 언어이해 지문 goat가 뭐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314 0
378666 일반 학부 중경외시 97 125 [5] ㅇㅇ(112.162) 05.02 249 0
378665 일반 13언어 개어렵네 스바 [2] 법갤러(106.101) 05.02 216 0
378663 일반 Aicpa, 노무사 두 자격증 정성요소 좀 크게반영하는 학교있나요? [2] ㅇㅇ(49.165) 05.02 238 0
378662 로스쿨 언어 공부하다 보니까 [5] ㅇㅇ(211.234) 05.02 347 0
378661 일반 본인만의 공부법 있음? 법갤러(223.39) 05.02 131 0
378660 일반 gpa 98이랑 99차이 크냐 법갤러(61.39) 05.02 148 0
378659 일반 25~19년 3회독or25~16년 2회독 뭐가 맞음 [2] 법갤러(218.158) 05.02 276 0
378657 로스쿨 직병 계획 평가좀 [1] 법갤러(218.158) 05.01 161 0
378655 일반 면접에서 정장 안입으면 대놓고 왜 정장 안입었냐고 꼽줘? [7] ㅇㅇ(106.101) 05.01 529 0
378654 로스쿨 언어이해 점수 올리는 팁좀 제발 ㅠㅠㅠ [3] 법갤러(121.140) 05.01 442 0
378652 일반 구라안치고 대부분의 경우 학부전공과 법학과의 시너지는 없음 [4] 법갤러(163.152) 05.01 461 4
378649 일반 ㅅㄷㅇㅈ 전모 2회 [2] 법갤러(114.205) 05.01 217 2
378648 일반 ㄴㅎㅅ 질문 답변 한 달을 넘도록 안 해주네 ㅋㅋㅋ [4] 법갤러(175.211) 05.01 468 0
378647 로스쿨 직병에 지금부터 시작이면 법갤러(218.158) 05.01 108 0
378644 일반 이제 리트에 문학은 안나오지? 리뷰할 필요도 없는거같은데 [3] ㅇㅇ(220.118) 05.01 405 0
378626 일반 나 이제 리트 공부 시작하는데 기출만 냅다 풀어도 될까? [2] 법갤러(58.123) 05.01 438 0
378622 일반 혹시 17기 있으면 법전원 장학금 언제 들어오는지 앎? [11] 법갤러(203.253) 05.01 473 0
378621 로스쿨 기출 몇 개년 정도 보는거 추천해? [6] ㅇㅇ(121.186) 04.30 484 0
378620 일반 혹시 로스쿨 자소서 첨삭 받으실 분 계실까요? [1] 법갤러(223.39) 04.30 267 1
378619 로스쿨 로붕이들아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치임? [3] 법갤러(49.165) 04.30 900 0
378618 일반 자교 말고 타교인 애들 에타 됨? [4] ㅇㅇ(110.70) 04.30 349 0
378617 일반 SKY 문과 로준생은 수능 2군이라는 8수 교대생.jpg [10] 법갤러(204.8) 04.30 1065 15
378616 로스쿨 이로 진짜 미워 ㅜ [3] 법갤러(210.112) 04.30 553 3
378615 일반 저릿인데 고학벌이면 커버됨? [4] ㄴㅇ(221.144) 04.30 404 0
378613 로스쿨 형님들 [2] 법갤러(106.101) 04.30 151 0
378612 일반 폴대가 빅펌가기엔 젤 유리한것같음 [3] 법갤러(211.209) 04.30 607 1
378611 로스쿨 올해 리트봐서 최종 합격하면 40살 되는 해 3월에 입학하는데요 [3] 강변의 무코리타(106.101) 04.30 418 0
378609 일반 학부s 저학인데 인설대형 가능한지 좀 봐주셈 [2] ㅇㅇ(211.212) 04.30 162 0
378606 일반 내가 총기분실로 영창갔다왔었는데 판검사 원천 불가능이야? [9] ㅇㅇ(106.101) 04.30 579 0
378605 일반 법모르는 일반인인데 궁금해서 법 질문) [2] 법갤러(125.138) 04.30 216 0
378603 로스쿨 리트 기출 사려고 하는데 어디가 젤 좋나요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360 0
뉴스 믿고 보는 A24 공포가 온다…‘브링 허 백’ 6월 6일 CGV 개봉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