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mad r 제품군 vs mad g 제품군,3395 vs3950센서 장문

ㅇㅇ(124.216) 2024.11.07 19:55:07
조회 1264 추천 0 댓글 9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56c6c01648a9640e76f2a5414747b0059edcf1dffb666dcc87665876e66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56c6c01648a9640e76f2a5712727b0059ed3a08a1eacef5de41d17afd35



작성자 정보: g pro hero 3년째쓰다가 인식이 안되는 고장나서 같은쉘 모양인 g102를 임시로 구매후,

 비슷한 쉘 모양인 마이콩g3를 구매하려했으나 

mad 관련 마우스가 후기가 많아  mad r major + 구매하고 배송기다리는중.    그리고 마우스 잘모르는 문외한임.


궁금한게 3395 vs3950 이 두개중에 찾아보니까 3950이 조금 더 좋다는것같은데 사실상 별 차이 없다고 봐도 무방한거같음

요약하면 구글링 해보면3950이 더 최신제품이긴한데 결론은 3395가 더 좋다는 내용으로 귀결됨.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542a3f5


근데 챗지피티로 물어보니까 엉뚱하게 3395가 더 좋다고 하더라.  그 답변내용임

센서 비교


마우스 센서의 성능은 정확도, 반응 속도, 전력 효율성, 그리고 다양한 게임과 작업 환경에서 얼마나 정밀하게 작동하는가로 평가됩니다. PAW3395와 PAW3950은 모두 PixArt에서 만든 고성능 게이밍 마우스 센서인데, 주요 사양과 차이점을 통해 어느 센서가 더 적합한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PAW3395 vs. PAW3950의 성능 비교

1. 감도(DPI)와 최대 추적 속도

  • PAW3395: 최대 DPI는 약 26,000 DPI로, 높은 감도로 정밀한 움직임을 제공합니다. 게다가 최대 650 IPS(inches per second)의 추적 속도로 빠르게 움직이는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 PAW3950: 이 센서는 약 10,000 DPI로, 감도에서는 PAW3395에 비해 다소 낮습니다. 그러나 400 IPS의 추적 속도를 제공하여 충분히 빠르게 움직이는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 요약: PAW3395는 더 높은 DPI와 빠른 추적 속도를 지원하여 빠르게 움직이거나 더 높은 해상도를 선호하는 게이머와 그래픽 작업자에게 유리합니다.

2. 전력 효율성

  • PAW3395: PixArt의 최신 저전력 기술이 적용되어 배터리 사용량이 적어 무선 마우스에서 장시간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 PAW3950: 마찬가지로 저전력 설계를 지니고 있지만, PAW3395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무선 사용 시간 면에서는 PAW3395가 우수할 가능성이 큽니다.

📌 요약: 무선 사용 시간을 중시하는 사용자라면 PAW3395가 더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3. LOD(Lift-Off Distance)

  • PAW3395: 일반적으로 LOD는 약 1mm에서 2mm로 조절 가능하여, 마우스를 들어 올렸을 때도 정확한 추적이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PAW3950: 이 센서도 유사한 LOD 범위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사용자의 리뷰에 따르면 PAW3395만큼의 세밀한 조정은 어렵다는 피드백이 있습니다.

📌 요약: PAW3395는 LOD 조절이 더 세밀하게 가능하여 FPS 게임 등에서 정밀한 조작이 필요한 사용자가 선호할 수 있습니다.

4. 대기 응답 속도(레이턴시)

  • PAW3395: 최신 센서답게 지연 시간이 매우 짧아, 빠른 반응이 필요한 환경에서 탁월합니다.
  • PAW3950: PAW3395보다는 약간의 응답 시간 차이가 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 요약: 아주 미세한 반응 속도가 중요한 하이엔드 게이밍에서는 PAW3395가 좀 더 안정적이고 빠릅니다.

5. 기타 특수 기능

  • PAW3395는 더 높은 DPI와 고속 추적 외에도 Motion Sync와 같은 기능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이 기능은 마우스 움직임을 좀 더 정밀하게 동기화하여 화면상 커서와 손의 움직임을 일관성 있게 맞춥니다.
  • PAW3950도 전반적으로 높은 성능을 제공하지만, PAW3395와 같은 고급 게이밍 기능은 일부 제한적입니다.

결론: PAW3395 vs. PAW3950, 어떤 선택이 좋을까?

PAW3395는 고감도와 빠른 반응성을 요구하는 하이엔드 게이머나 그래픽 전문가에게 최적화된 센서로, FPS와 같이 빠르고 정밀한 움직임이 중요한 게임에서 특히 유리합니다. 반면, PAW3950은 일반 게이밍, 일상적인 작업이나 중급 수준의 게이머들에게는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며, 특히 DPI가 크게 필요하지 않거나 전력 소모가 약간 더 많아도 괜찮은 경우 적합한 선택입니다.

따라서:

  • 고성능을 필요로 하고 최신 기능을 모두 활용하고 싶은 사용자라면 PAW3395가 적합합니다.
  • 일반적인 게이밍과 작업 용도에서는 PAW3950으로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다시 챗지피티한테 물어봤음.    : 근데 3950이 더 최신제품인데 왜 성능이 3395가 더 좋다고하는거야?
ChatGPT의 말:
GPT

좋은 질문입니다! PAW3950이 더 최신 제품이지만, PixArt에서 PAW3950과 PAW3395 센서를 개발한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성능이 다르게 설계된 것입니다.

1. 제품 목적과 타겟 시장 차이

  • PAW3395: 고급형 게이밍 마우스와 전문가용 장비를 겨냥해 개발되었습니다. 그래서 DPI, 추적 속도, 응답 속도 등 정밀성과 빠른 반응성이 중요한 요소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죠. 이러한 성능 때문에 FPS나 정밀한 그래픽 작업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 PAW3950: 전력 효율성이 강화된 센서로, 일반적인 마우스 사용자나 배터리 수명이 중요한 기기(예: 무선 오피스 마우스)에 더 적합합니다. 또한, PAW3950은 DPI 범위를 아주 높게 설정하지 않고도 전력 소모를 줄여서 배터리 지속 시간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 요약: PAW3395는 고성능이 요구되는 게이밍과 프로 작업 환경에 맞게, PAW3950은 전력 효율성을 중시하는 일반 사용자와 무선 기기용으로 설계되었습니다.

2. 성능 vs. 전력 효율성의 트레이드오프

PAW3950이 최신 센서이지만, 모든 면에서 더 고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것은 아닙니다. PAW3950은 PixArt가 저전력 마우스 시장을 겨냥하여 배터리 사용 최적화를 중점으로 개발한 모델입니다. 이런 설계로 인해 PAW3950은 고급 게이밍 마우스보다는 일반 사무용 또는 일상적 용도로 적합하며, DPI나 IPS 등 성능 면에서는 PAW3395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입니다.

📌 요약: 최신 제품이라도 목적에 따라 성능이 다를 수 있습니다. PAW3950은 저전력 효율성에 맞춰져, 고성능을 위한 PAW3395와는 차별화된 성능을 보여줍니다.

3. 어떤 경우 PAW3950이 적합할까?

  • 일상 작업, 오피스용 무선 마우스: 낮은 DPI와 전력 효율성이 요구되는 무선 마우스 환경에서 유리합니다.
  • 배터리 사용 시간이 중요한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DPI가 낮고 전력 효율이 높은 PAW3950이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PAW3950은 고성능 게이밍보다는 저전력 무선 사용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PAW3395와는 다른 용도로 적합한 제품입니다.



근데 솔직히 그래도 별차이없다 생각하고 센서는 걍 넘어가고


노르닥 칩 차이점 

nordic nRF52840 nordic 52840 두제품 차이점은 뭐고 어떤 특성이고 뭐가 더 좋은지 상세하게 설명해줘
ChatGPT의 말:
GPT

Nordic Semiconductor의 nRF52840는 Bluetooth Low Energy(BLE)를 비롯해 여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고성능 저전력 무선 SoC(System on Chip)입니다. 일반적으로 nRF5284052840는 동일한 칩을 지칭하며, 여기서 ‘nRF’는 Nordic Semiconductor의 제품 시리즈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두 제품은 동일한 제품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주로 명칭에서 오는 혼동일 뿐이므로, 성능이나 기능 측면에서는 동일하게 동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 칩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모듈과 개발 보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환경이나 구성에 따라 성능이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과 장점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 이 칩이 적합한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Nordic nRF52840의 주요 특징

1. 무선 통신 지원

  • Bluetooth 5.0: 블루투스 5.0을 지원해 2배 빠른 전송 속도4배 넓은 범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스마트 홈, IoT 디바이스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입니다.
  • 멀티프로토콜 지원: BLE 외에도 Zigbee, Thread, ANT, 802.15.4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여, 한 가지 칩으로 여러 가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장거리 통신 가능: 8dBm의 고출력 기능을 통해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여 넓은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2. 고성능 저전력 프로세서

  • ARM Cortex-M4 CPU: 64MHz의 고성능 Cortex-M4 프로세서를 내장하여, IoT 환경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필요한 연산 처리를 저전력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저전력 소모: 저전력 모드를 통해 배터리 사용 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어, 배터리가 중요한 웨어러블 기기나 IoT 센서에 적합합니다.

📌 설명: nRF52840는 저전력 환경에서도 고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배터리 수명이 중요한 무선 장치나 센서 디바이스에 이상적입니다.

3. 메모리와 확장성

  • 1MB 플래시 메모리256KB RAM이 탑재되어 있어, 복잡한 코드나 데이터 저장이 필요할 때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 USB 지원: USB 2.0 기능을 지원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나 데이터를 USB로 송수신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됩니다.

4. 강력한 보안 기능

  • AES-128, SHA-2와 같은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내장하여 보안이 중요한 IoT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RM TrustZone과 같은 하드웨어 보안을 지원하여,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nRF52840의 활용 예시와 장점

1. 스마트 홈 및 IoT 장치

nRF52840의 장거리 BLE 통신과 저전력 특성 덕분에 스마트 홈 센서게이트웨이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나 조명 조절 장치 등에서 nRF52840을 사용하면, 배터리 교체 주기를 줄이면서 넓은 공간에서도 통신이 가능합니다.

2. 웨어러블 및 헬스케어 기기

헬스케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도 전력 소모가 적고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가 중요합니다. 이 칩은 Cortex-M4 프로세서로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고, Bluetooth로 데이터를 쉽게 전송할 수 있어 스마트워치나 헬스케어 모니터링 기기에도 적합합니다.

3. 산업용 IoT

산업 환경에서는 보안이 중요한데, nRF52840의 AES-128, SHA-2와 같은 보안 기능은 데이터 송수신 시 보안을 강화합니다. 또한, 고성능 CPU와 충분한 메모리로 복잡한 프로토콜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산업용 IoT에도 유리합니다.


요약: nRF52840가 가지는 장점

  1. 멀티프로토콜 지원으로 다양한 무선 통신 요구에 대응 가능.
  2. 저전력 설계로 배터리 수명이 중요한 디바이스에 이상적.
  3. 고성능 프로세서와 넉넉한 메모리 덕분에 복잡한 작업 처리에 유리.
  4. 강력한 보안 기능으로, 민감한 데이터 전송에 안전함.

📌 결론: nRF52840은 다기능 무선 프로토콜 지원, 고성능 저전력 설계, 다양한 보안 옵션 등으로 고성능을 요구하는 무선 IoT, 스마트 홈 기기, 웨어러블 등에 최적화된 솔루션입니다.


그리고 노르닥칩 nRF52840 vs 52840 두개 구글링해봤는데 결과 안나오는걸로 봐서 거의 비슷하거나 동일한 제품인거같음.



그다음에 전송기술 


smart speed x wireless 전송기술과 highest wireless 전송기술의 차이점이 뭔지 상세하게 알려줘 어느게 더 좋은거야?
ChatGPT의 말:
GPT

Smart Speed X Wireless 전송 기술과 Highest Wireless 전송 기술은 무선 데이터 전송의 속도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무선 기술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두 용어는 서로 다른 전송 방식, 최적화 방식, 대역폭 사용을 의미하는데, 세부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떤 상황에서 유리한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Smart Speed X Wireless 전송 기술

특징과 작동 원리

  • 자동 최적화: Smart Speed X 기술은 전송 속도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환경에 맞게 최적화된 무선 전송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전파 간섭이 심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속도를 낮춰 신호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전파 간섭이 적거나 거리가 가까우면 전송 속도를 최대화하는 방식입니다.
  • 유연한 속도 조절: 이 기술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연결되거나 신호 강도가 불안정할 때 자동으로 최적의 전송 속도를 조정하여 데이터 전송 품질을 보장합니다.
  • 전력 효율성: 스마트 속도 조절을 통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므로 배터리 효율이 높은 편입니다. 이로 인해 전력이 중요한 모바일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에서 유리합니다.

📌 요약: Smart Speed X는 신호 상태에 따라 전송 속도를 유연하게 조절하여 안정성전력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입니다.


2. Highest Wireless 전송 기술

특징과 작동 원리

  • 최고 속도 전송: Highest Wireless는 항상 최대 전송 속도를 유지하려는 전송 기술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중요한 경우에 유리합니다. 이를 통해 파일 전송이나 실시간 고화질 스트리밍 같은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강점을 보입니다.
  • 고정된 전송 속도: 신호가 약해지거나 간섭이 발생해도 속도를 유지하려는 특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 속도 면에서는 항상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려 합니다.
  • 높은 전력 소모 가능성: 최고 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클 수 있으며, 무선 신호가 약해지면 연결 불안정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주로 배터리 제한이 없는 환경(예: 고정형 장치)에서 적합합니다.

📌 요약: Highest Wireless는 항상 최고 속도를 유지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지만, 전력 효율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3. Smart Speed X와 Highest Wireless의 장단점 비교

특성Smart Speed X WirelessHighest Wireless
전송 속도환경에 따라 조정됨 (변동적)항상 최고 속도 유지 (고정적)
전력 효율성높음 (배터리 절약 가능)낮음 (고속 전송으로 배터리 소모 큼)
안정성높은 안정성 (전송 품질 최적화)안정성이 낮을 수 있음 (간섭 시 불안정)
사용 환경이동형 기기, 배터리 의존 기기고정형 장치, 고속 전송이 필요한 환경

📌 설명: Smart Speed X는 배터리 의존도가 높은 모바일 장치에 이상적이며, 전송 품질을 자동 조정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데 유리합니다. 반면, Highest Wireless는 항상 고속을 유지하므로 배터리가 필요 없는 고정형 환경이나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적합합니다.


4. 어떤 상황에서 어느 기술이 더 좋을까?

  • Smart Speed X가 적합한 경우:
    • 배터리 효율이 중요한 모바일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에서 유리합니다.
    •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때 유리하며, 특히 이동 중에 전송 품질을 중요시하는 경우 적합합니다.
  • Highest Wireless가 적합한 경우:
    • 데스크탑 컴퓨터, 고정형 기기 등 배터리 소모가 큰 문제가 되지 않는 환경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할 때 적합합니다.
    • 대용량 파일 전송, 고화질 스트리밍과 같은 실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중요한 경우 유리합니다.

결론: 어떤 전송 기술이 더 좋을까?

두 기술은 상황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므로 사용 환경과 전송 안정성을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배터리 효율신호 최적화가 중요하다면 Smart Speed X Wireless가 더 좋은 선택입니다.
  • 항상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면 Highest Wireless가 적합합니다.

구글링했을때 Smart Speed X Wireless vs Highest Wireless  차이점은 잘안보임. 신경 안써도 될거같음. 그리고 무엇보다 환각일가능성도 있는듯



스위치비교

1. Omron 라이트 프렛(Light Pre) 스위치

특징

  • 부드러운 클릭감: 라이트 프렛 스위치는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가벼운 클릭감을 제공합니다. 버튼을 누를 때의 저항이 적어 손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고, 빠른 연속 클릭에 유리합니다.
  • 빠른 반응 속도: 게이밍에 특화되어 있는 만큼, 클릭 반응이 빠르며 특히 연속 클릭이 많은 FPS나 MOBA 게임에서 좋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 저소음: 클릭 소리가 크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조용한 사용 환경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 내구성: 평균 약 2000만 회 이상의 클릭 수명을 제공하여 내구성도 상당히 우수합니다.

📌 요약: 라이트 프렛 스위치는 가벼운 클릭감과 저소음이 특징으로, 장시간 사용에도 손이 덜 피로해지며 연속 클릭이 많은 게임에서 성능이 뛰어납니다.


2. Omron 화이트 닷 라이트 마이크로 모션(White Dot Light Micro Motion)

특징

  • 확실한 클릭감: 화이트 닷 라이트 스위치는 클릭할 때 확실한 피드백과 무게감을 제공하여 정확한 클릭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버튼을 누를 때 손가락으로 전달되는 피드백이 강해, 클릭이 확실히 인지되도록 합니다.
  • 정확한 조작성: 클릭이 확실히 인지되기 때문에, 오작동 가능성을 줄이고 정확한 클릭이 필요한 환경에서 유리합니다.
  • 내구성: 3000만 회 이상의 클릭 수명을 제공하여 매우 높은 내구성을 자랑합니다.
  • 클릭 소음: 클릭음이 있는 편이라 타건 소리를 선호하거나 클릭 피드백을 느끼고 싶은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 요약: 화이트 닷 라이트 마이크로 모션은 명확한 클릭감과 높은 내구성으로 인해 정확한 조작과 강한 클릭 피드백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3. 성능 비교: Omron 라이트 프렛 vs 화이트 닷 라이트 마이크로 모션

특성Omron 라이트 프렛Omron 화이트 닷 라이트 마이크로 모션
클릭감부드럽고 가벼운 클릭감무게감 있고 확실한 피드백 제공
반응 속도빠른 반응, 연속 클릭에 유리클릭 피드백이 강하여 오작동 가능성 낮음
소음저소음타건 소리가 있음
내구성약 2000만 회 클릭약 3000만 회 클릭
적합한 용도장시간 연속 클릭이 필요한 게임 (FPS, MOBA 등)정확한 클릭이 필요한 게임 및 작업 (RTS, MMORPG 등)


근데 잘 모르지만 어쨋든 옴론 스위치 좋다고 들어서 사실 mad r,g 둘다 뭐 나쁘지는 않아보임


내가 이렇게 뻘글을 쓴 이유와 결론

MAD R MAJOR + 를 배송기다리는 시점에서 MAD G 제품군이 출시해서, 아 뭐가다르고 큰 차이점있으면 걍 배송취소하고 G사야하나 고민하는 나같은
사람있을까봐, 구글링쪼끔에 지피티햄한테 물어본 결과, 큰 차이점은 없어보임 
결론: 그냥 배송취소안하고 MAD R MAJOR + 쓸란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792540 공지 신고용 공지(부매니저) [1] Dar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4 8467 2
687574 공지 신고용 공지 ㅇㅇ(23.237) 24.01.03 11165 5
76558 공지 [필독] 손크기측정 및 그립 방법 [861] mou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1.08 321583 213
174064 공지 마우스 갤러리 공지(운영방침) mou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13 78267 15
659654 공지 갤러리 이용 방향 전환 [75] mou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21510 47
664568 공지 앞으로 눈쟁이 언급하는 게시글 댓글 다 삭제함 [38] Dar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44393 215
124287 공지 마우스 갤러리 후기 모음집 [57] mou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24 191047 158
433862 공지 거래관련 [18] mou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3 36734 38
174052 공지 🌑🌕🌑🌕((필독))거래글 관련 공지🌑🌕🌑🌕 [37] 뮤직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2.13 80713 49
842822 💭일반 18마넌 안으로 마우스 ㅊㅊ 나무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7 7 0
842821 💭일반 짐승 맥스 배터리 타임이 얼마나 됨? ㅇㅇ(221.153) 12:14 10 0
842820 💭일반 슬라패드는 마우스 누를 때마다 미끌거림?? ㅇㅇ(39.124) 12:13 8 0
842819 💭일반 알리에서 산 파로 배송중 떴다 ㅇㅇ(222.103) 12:12 9 0
842818 💭일반 손가락 하나로 마우스 움직이면 손가락이 오히려 미끄러지는정도의 [2] 찐곽곽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4 27 0
842817 💭일반 아티산 재입고 언제되냐 ㅅㅂ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8 57 0
842816 💭일반 atk a9 pro 주문완료 [3] Dev1c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2 55 0
842815 💭일반 시발 못참고 질렀다.......... [2] 피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5 163 0
842814 💭일반 뭐임 짐미듐 팡이 재입고됐네 [6] 피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1 66 0
842813 💭일반 다이소 토시 이거임 [1] 후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5 97 3
842812 💭일반 지금 나온 ec2-dw는 초기불량 없지? [1] ㅇㅇ(118.39) 11:24 46 0
842811 💭일반 무선마우스 조금느려서 유선쓰는데 [4] ㅇㅇ(14.5) 11:23 60 0
842810 💭일반 VXE R1 pro /gpro 발로란트용으로 추천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61 0
842809 💭일반 다이소토시가 이거말하는거? [2] 화려한휴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 105 0
842808 💭일반 kysona 마우스 몇개 추가됨 [1] 데비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94 0
842807 💭일반 랑그릿사 모바일 장패드 데비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1 77 0
842806 💭일반 usb 장치 인식 실패 문제 도움 부탁 ...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6 54 0
842805 💭일반 마우스랑 마우스 패드 구매할려고하는데 [10] ㅇㅇ(222.96) 10:40 90 0
842804 💭일반 손작은데 매드알 ㄱㅊ? ㅇㅇ(119.67) 10:29 28 0
842803 💭일반 바브삼 말고 바브이 사도 되는 부분이야?? [6] ㅇㅇ(116.34) 10:26 106 0
842802 💭일반 여러 대칭을 써 왔지만 종결은 결국 비대칭에 있었구나 [1] ㅇㅇ(175.215) 10:16 107 0
842801 💭일반 g309 이게 배터리 잔량이야? [4] ㅇㅇ(222.111) 10:10 135 0
842800 💭일반 g309 배터리 잔량 어디서 확인함? [1] ㅇㅇ(222.111) 10:01 32 0
842799 💭일반 로지텍 사무용 마우스 이거 매크로 안됨?? [1] 루까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9 21 0
842798 💭일반 핑거팁 마우스 입문으론 뭐가 좋음? [1] tenukan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7 46 0
842797 💭일반 페르세우스 에센셜 vs 펄사 es2 ㅇㅇ(27.100) 09:51 40 0
842796 💭일반 19 10 10.5 바브삼 잘 맞나요? [1] ㅇㅇ(114.202) 09:38 44 0
842795 💭일반 형들 짐승 도트피트 따로 구입하려면 어떤거 구입해야해? [8] ㅇㅇ(118.217) 09:09 110 0
842794 💭일반 안녕하세요 마갤님들 [5] ㅇㅇ(222.96) 08:38 121 0
842793 💭일반 9년간 402만 써왔는데 [6] ㅇㅇ(112.160) 08:29 136 0
842792 💭일반 잠자리 스위치 교체 암거나사면 되지? [2] ㅇㅇ(118.32) 08:12 52 0
842791 💭일반 이거 바브삼 펌웨어 최신이야?? 잘몰라서 그래 도와주시옹.. [1] ㅇㅇ(115.143) 08:09 133 0
842790 💭일반 레이스 코스믹 신작 한정판 엎어짐 [8] Nui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3 352 1
842789 💭일반 새마우스 샀는데 기존거랑 큰차이를 못느끼겠다.. [1] ㅇㅇ(59.12) 07:46 181 0
842788 💭일반 u2-dw 클릭압 어떰? ㅇㅇ(175.197) 07:36 36 0
842787 💭일반 펄크라 아래로 세게 내릴때마다 플라스틱 긁히는데 as각임? ste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5 49 0
842786 💭일반 공격상어 x3 아직도 무선 문제 뭐 이런거 있음? ㅇㅇ(211.219) 07:33 30 0
842785 💭일반 펄es살지 ec2dw살지 고민임 [1] xehc(183.98) 07:15 108 0
842784 💭일반 후아노 블루 인코더 부드럽고 좋은듯 [4] ㅇㅇ(58.140) 06:58 58 0
842782 💭일반 자이우는 바이탈 지금이 최고점이라 마우스 딱히 안바꿀듯 [7] gee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56 243 2
842781 💭일반 졸업한다 [4] ㅇㅇ(125.246) 05:01 231 1
뉴스 강하늘·유해진 ‘야당’ 황금연휴 접수…올해 韓영화 흥행 2위 등극 디시트렌드 05.0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