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연재] 농사학개론 2-2. 더 좋은걸 먹이고픈 당신에게 - 버섯 (세균,운송편)

하우스펫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1.17 13:36:52
조회 3409 추천 15 댓글 19
														

끼니이 농사를 열심히 짓다보니... 슬슬 좀 더 맛있어보이는 음식을 먹이고 싶어진 당신


지난번 글에서는 액체를 줘야 하기에 배관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는 센털꽃(와 수렁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많은 산린이들이 손대보고 싶지만 두려움을 갖는,


세균과 승화관리, 고체배송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어스름갓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시작 바이옴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센털꽃과 달리, 어스름갓은 슬슬 땅을 파며 기지를 확장해나가다 보면 외부의 초록색 바이옴에서 발견할 수 있다.




a14838ac352eb3748a33327a58c12a3abf55dab71f767eb65acf2942



와! 버섯! 너무 좋아!


버섯의 정보카드를 보자



a66f34aa011db4669b340561479f3433230a2cd4f174b0402eba69cf4c


일단 성장주기 7.5주기에 칼로리 2400 kcal 이면 주기당 320 kcal 다. 끼니이나 센털베리보다 노동력/칼로리는 이득이다.


환경은 암흑을 요구하고... 기체는 이산화탄소'만' 가능하고, 온도범위는 5~35도로 센털꽃/끼니이보다 살짝 넓다.


어? 온도범위가 더 넓다니, 키우기도 더 쉬운 게 아닐까? 이게 왜 난이도 높은 작물이지?

(사실 익숙해지면, 또는 몇 가지를 포기하면 더 키우기 쉬운 게 맞다.)


그런데 비옥화로 는지렁이를 4kg 요구한다. 는지렁이가 도대체 뭘까?



일단 이 게임에서 버섯을 포함한 대부분의 작물들은 자기의 원 서식처에 풍부한 자원을 먹고사는 경향을 보인다.


아마 는지렁이도 근처에 있는 자원일텐데...




a15908ac3212b34c9a3311559d11c5b105b263193e5187893358fd7daf4f0fac62b6


으악! 징그러! 이게뭐야!


세균을 맞닥트린 산린이는 비명을 지르게 된다.



그렇다. 버섯 키우기의 최대 난관은 바로 는지렁이인 것이다.



여기서 는지렁이가 무슨 자원인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는지렁이는 습지 바이옴에서만 자연 스폰되는 고체로, 자연 상태에서도 는지렁이 균을 잔뜩 포함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보기에만 좋지 않을 뿐이지만, 일단 채굴해서 잔해 상태로 떨어지면?




a65724aa2232b3668f332b61565dcee4ded5df2dcef9cecbe5d5de54c88c52dbfe4ad70f


이렇게 오염된 산소(는지렁이균 포함)를 뿜어내며 점점 줄어들게 된다.


오염된 산소는 그 자체로 산소요구량을 늘리고, 음식을 더 빨리 썩게 만들(고, 플레이어 장식수치를 떨어트리)며


거기에 포함된 는지렁이균은 듀플이 오래 마실경우 는지렁이 허파라는 질병을 유발한다.



여기서 두가지 난제가 생기는데


1. 승화(는지렁이 질량감소)의 방지


2. 는지렁이허파균의 처리


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는지렁이허파균은 기체로 뿜어져나온 상태에서만 질병유발을 하기 때문에 1을 처리하면 2는 자연스럽게 달성되게 된다.



그럼 승화 방지는 어떻게 해야할까?




1. 승화


이 게임에서 고체상태에서 바로 기체를 뿜어내며 줄어드는 자원이 4가지가 있다.



a15f00aa033eb44293f1c6bb11f11a39f9845e0bacc04c9283



가장 먼저 만나게 될, 시작하고 몇 주기간 우리를 살려주는 산소석




a66e30aa033e76b660b8f68b12d21a1da88f53728169


화장실의 부산물로 처음 만나게 될, 오산을 뿜어내는 오염된 흙





a04c2cad3503b44293f1c6bb11f11a3958fdbb5ff560633860



나중에 다루게 될, 염소가스를 뿜어내는 표백석



그리고 대망의 는지렁이가 있다.



거기에 번외로 액체상태에서 오산을 뿜어내는 오염된 물까지.




이렇게 기체를 뿜어내며 상 변화 하는 물질들의 공통점이라 한다면


뿜어내는 질량만큼 본인의 질량이 감소한다는 것과


<주변의 압력이 칸당 1800g을 넘으면 더이상 뿜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만약 잔해라면 , 그 잔해가 있는 칸의 기체/액체 질량 1800g이 넘을 경우에 승화하지 않고


자연타일 상태라면, 인접한 칸의 기체/액체 질량이 1800g이 넘으면 승화하지 않는다.





a15528aa2123b34c9a3311559d11c5b1773a594783a30f61834767081ec7fea3b307



이는 채굴하다 웅덩이에 빠진 잔해들이 멀쩡히 있는 걸 보면 간접적으로 유추 가능하다.


채굴할 때에 액체 웅덩이를 아래에 두고 차례로 채굴하는 식으로 하면, 잔해가 바로 웅덩이로 떨어져서 승화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이 성질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




a65724aa2232b3668f332b61565de4ddd87a7223c920c8bf9fc18e7fa48fc321ffaa3c17de3f


바로 '저장고를 액체 웅덩이에 짓고, 그 안에 는지렁이를 보관한다' 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액체 질량은 칸당 1.8kg 이상... 이면 되긴 하지만 안정적으로 몇 십 kg 이상 때려넣도록 하자.


듀플이 들고 이동하는 동안에는 승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하면 (이론상) 는지렁이를 질량 승화 없이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귀엽고도 멍청한 듀플은 자기가 들고 나르는 물건이 승화 하던지 말던지, 알지 못한다.



a14320ad1a1eb2768e343c41565ccee56c0501e6f0df1981889987587a988103eba23efc6faef5bef9


흐엥 졸려...


우선순위 9로 해 놓은 저장통이라 해도 들고 나르다가 밥 시간이. 잘 시간이 되면 그 자리에 그대로 떨구고 가는 것이다.


그러면 다른 듀플이 와서 주워갈 때 까지 는지렁이는 세균 가득한 오산을 잔뜩 계속 뿜어내게 된다.


채굴 후에 아무도 주워가지 않아서 공기중에 덩그러니 놓인 는지렁이들도 오산을 뿜기는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새어나올 는지렁이허파균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2. 세균처리


이쯤에서 우리는 는지렁이균의 성질에 대해 다시 알아볼 필요가 있다.



는지렁이균의 백과사전 항목을 보자.




a65724aa2232b3668f332b61565dfde9b92f1af241eff011bcdd7a7d741940373c84d6


는지렁이균은 10도~100도 사이에서 생존하며


는지렁이나 오산에서 증식하고


산소에서는 점차 사멸하며, 염소에서는 압도적인 속도로 소독된다.




a16d18ac3532b45cbaff5a75f65ddaf806b11e8f63a69c0da5ba2acfd217d4cdd9f3b7



즉 는지렁이 저장통을 냉동/가열멸균을 하거나




a14a0caa033e782a88535d5af35dcff93f26dce389cd157c09be95d6ad0f4a88

a14a0caa033e782a88535d5af35dcff92378c2eaaed32f7b34a0e3d4ac0b4b8f3d



염소가스가 가득찬 곳에 두면 는지렁이 균이 사멸한다


염소방 압력을 1800g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을 잊지 말도록 하자.




그럼 는지렁이 가득한 오산도 염소를 풀면 되나요?


a14a0caa033eb45eaa33346558c12a3aded3b112d9082cee3846239f


아쉽게도 염소의 소독력은 세균이 있는 원소가 염소와 '같은 칸'에 있어야 한다.


는지렁이균 가득한 오염된 산소(기체) 가 염소(기체) 의 옆 칸에 있는 경우엔 는지렁이 균 자체는 오산에 있는 취급이기에 오히려 증식한다.





a66d28ad352ab34496343f49565ddcf9a8c34388030c5e8fd651f9114bfc1f4c7d607ff1c0d0e5e99dfb



이렇게 아무리 둬봐야 오산의 는지렁이균은 소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미 는지렁이 균에 점령당해버린 오산은 방법이 없는 것일까...?



a05e38aa321ab27ebef1d1bc10f11a3991ea4a1a7ad1f298deef



이렇게 탈취기를 이용해서 오산을 산소로 정화해버리면, 염소에 있을 때 만큼은 아닐지언정 꽤 빠른 속도로 는지렁이 균이 사멸한다.



하지만 탈취기가 일하는 사이에 새어들어오는 는지렁이 균조차도 거슬릴 수 있는 법.


아예 기지 내로 는지렁이 허파균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법은 없을까?




a1642cac301eb34e86f1c6bb11f11a3940034674fdc9e08a22



습지 지형에 존재하는 이 '친구눈' 이라는 식물을 사용하면 된다.




a76033ab1317b27ebef1c6bb11f11a395083acaa8994c8d8


친구눈은 존재하는 것 만으로도 '꽃향기' 를 뿜는데, 게임 시스템상 세균 취급이다 (꽃가루인가보다).


그리고 1칸 1원소 법칙은 세균이라고 적용 안되는 것이 아니기에, 이미 꽃향기에 점령당한 기체는 다른 세균이 침투하지 못한다.


즉, 기지 밖으로 가는 길을 한 곳으로만 뚫어놓고, 그곳에 친구눈을 심어서 배리어를 쳐두면?




a76500aa2232782ab8435a4bf35bf1f101ab01cb9ba6daf72a865e5bd73534e58890724f671a45


는지렁이 균이 막혀서 들어오지 못한다!


아주 안심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는지렁이와 는지렁이 균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하지만 채굴한 는지렁이를 농장에 공급하는 건 또 다른 고민거리일 수 있다.


손을 더럽히지 않고 깔끔하게 공급할 방법은 없을까?




3. 배송  ( 필수요소 아님)


자동화 공급? 그게 뭐지?


자동화 공급은 굳이 하지 않아도 되지만, 는지렁이 공급하다 밥먹으러 뛰어가는 듀플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을 수 있다


제련된 금속과 추가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생각없는 산린이는 신경 쓰지 않아도 버섯농사 할 수 있다.






a14704aa0313b451be3503799b3bfcb694f94a6758ca01fa36dc12834b002b04385a


연구가 완료되면 컨베이어 레일 오버레이가 해금된다



a16618ad3712b45bba332061565ddcf9032c7ed39dc63a1290ef9dc750c91a8ebcfc1dbb4edd7eeb95


그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자동 분배기, 컨베이어 레일, 컨베이어 적재기 등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면




a04020ad2336b36ca6333d489d3ec0730d0fed26cec7870eeeefcb62ea5bc6



자동 정리기가 저장통에서 집어서 -> 적재기에 넣고 -> 레일을 따라 이동하다가 -> 용기에서 내려지기를 기다린다/투하기에서 바로 떨어진다.


각각의 건물에 대해 짚고 넘어가자면





a14320ad0a2b782aae4a5d73da5bfcedcc94be6fed6095c99f8dd81f3a41bbce

자동 정리기는 해당 영역 안에서 고체를 집어들고, 내려놓는 역할로


영역 안에 저장소가 여럿 있을 경우 '낮은 숫자(1) 우선순위의 저장소에서 높은 숫자(9) 우선순위의 저장소로 물건을 옮긴다'


기억해두자. 낮은 숫자에서 높은 숫자로 간다.





a17d31aa1b1eb27ebef1c6bb11f11a39313005cf8d785e4bc6


적재기는 자원을 컨베이어 레일로 밀어 넣는 역할로, 어떤 자원을 적재할지, 우선순위는 어떻게 할지, 수동 사용을 허용할지 지정할 수 있다.


정리기는 적재기 안에 넣을 수는 있지만, 적재기에 한번 들어간 물건을 빼내는 것은 하지 못한다.




a14719ac3d022eb5e3571a38e329aee5f626f7fd4393d622180d19a21cc9f0dcaf13



용기와 투하기는 레일에서 자원을 뽑아내는 역할이다.


용기와 투하기의 차이점이라고 하면 용기는 내부 저장량(100kg)이 다 차면 저장된 자원을 꺼내가기 전에는 레일에서 자원을 더 이상 받지 않지만

투하기는 레일에서 계속 자원을 뽑아내어 바닥으로 떨군다는 차이점이 있다.


버섯농장에 쓸 용도라면 자원을 들어오는 족족 뱉어버리는 투하기는 공기중에 있으면 증발해버리는 는지렁이와는 궁합이 좋지 않다.




컨베이어 레일 자체는 액체, 기체의 배관과 크게 다를게 없다.


딱 하나 유의할 점이라면 운송중인 물질이 레일 안에서도 승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있는데



a67a14aa0116b36686332b6958c12a3ad479e0fdec8c238f8b7969af



이는 레일을 액체나 고압기체를 통하게 하거나, 타일 안에 매설해버리면 문제될 게 없다.




정리하자면,


핵심 건물은 자동 정리기이고, 컨베이어 레일과 로더/언로더는 안 써도 된다.


자동 분배기는 우선순위가 낮은 저장소(와 용기)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저장소(와 적재기)로 물건을 옮기기 때문에


저장소를 여럿 짓고 우선순위만 조정해도 어느정도 컨베이어 레일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자 그럼 필요한 내용은 전부 배웠으니


이 내용을 적용해서 농장 구성을 해보도록 하자.


다시 한 번 버섯의 요구조건을 생각해보면 버섯은 '이산화탄소' 기체와 '암흑' 을 요구한다.


버섯을 키울 때 쯤 이면 기지 아래쪽에 이산화탄소가 고인 구덩이가 있을 것이다


모아둔 이탄이 없거나, 이탄을 그때 그때 처리하는 성격이었다면, 기지 아래, 위쪽으로 열린 농장을 구성하고 석탄 발전소를 돌려 이탄을 모으도록 하자.


농장의 한쪽 구석이나 입구에 친구눈을 심어서 꽃향기 배리어를 쳐 두면, 혹시나 생길지 모를 는지렁이 유출사태를 방지하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이제 버섯을 심으면 완성이다!



a76500aa2232b4538a34284d565ddad97310c5b2c7d3edd2b89dfded78498528ebed1dd95e31d05f8b

본인의 기지에 (25주기) 실제로 구성한 농장이다


어설퍼 보이지만, 본인은 빠른 끼니이 탈출을 지향하고 버섯을 애정하는 플레이어로서


이르게 나마 이렇게 임시로 만들어 놓고, 점점 설비를 추가하거나 보기 좋게 다듬는 걸 선호하는 편이다.



업그레이드는 그때그때 상황 봐가면서, 본인이 선호하는 방법과 본인 기지의 현재 스킬상태, 자원상태 등등을 봐 가면서 여러가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채굴한 는지렁이를 액체에 잠긴 저장소에 보관할 수도 있고, 염소 소독방에 보관할 수도 있으며


보관중인 는지렁이를 수동으로 공급할수도, 자동 분배기와 컨베이어레일을 이용해 자동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여러 방법을 조합한 버섯 농장 예시 사진을 보고, 본인이 생각하기에 적절한 방법을 찾도록 하자.




예시1


a14538aa0e2e69e87eb1d19528d527035454307883173c


농장 안에 작게 만든 물웅덩이에 는지렁이 보관함을 설치하고, 버섯에 공급은 수동으로 하는 형태이다.


농장 입구에 친구눈을 심어서 혹시 모를 는지렁이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시2



a14538aa0e2e6ae87eb1d19528d5270326f7d359c26706


위의 농장에서 자동 분배기를 추가한 형태이다.


분배기는 가로로 9칸을 커버하기 때문에 9칸마다 하나씩 저장통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가운데 저장통은 양쪽 분배기의 영역에 모두 겹치기 때문에, 가운데 저장통의 우선순위를 오른쪽 저장통 보다 높여두면


한쪽이 다 떨어져도 양쪽 모두 공급할 수 있다.



예시3



a14538aa0e2e6be87eb1d19528d52703174324d790e00c

a14538aa0e2e6b2a946b5a53d79f343324aed1a17e23055b55cd5d58b7


는지렁이를 저장할 고압 염소방을 따로 만들어 둔 형태이다.


염소방 안의 적재기는 염소방 안의 저장통보다 우선순위를 높여두어야 한다.


저장통 우선순위 7, 적재기 우선순위 8 정도면 괜찮을 듯 싶다.


컨베이어 레일은 전부 벽/타일 안을 통과하거나, 물웅덩이 안을 통과하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는지렁이 승화를 방지할 수 있다.




예시4



a14538aa0e2e6ce87eb1d19528d52703d17672ce20581e



위의 예시3 에서 농장으로 들어가는 문을 닫고 자동수확하도록 설계한 형태이다.


자연적으로 수확되기를 기다리는 4주기 동안 는지렁이 손해를 보겠지만, 는지렁이는 버섯 외에는 쓸 일이 거의 없는 자원이며 소모량도 많지 않기 때문에


자원보다 노동력을 더 소중하게 보는 플레이어라면 이런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농장의 천장에 붙어있는 적재기에는 수확물인 버섯과 버섯 씨앗만 받도록 설정해두면 된다.





이상 여러가지 예시를 보았지만, 플레이어에 따라 여러 층의 농장을 만들 수도 있고

아예 기지 바닥에 개방형으로 키울 수도 있을 것이다.


창의력을 발휘해보자! 버섯 만세!





DLC 특화 작물이자, 목축과의 협업을 요구하는 뱅이과실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부록 <광석 정화기의 무쓸모>



0fa8d92ae1db36a15190c4b029e2272fc17509a69e8e9dc8a2aca98694caa5f4d83dad8f


시설물 탭에 '광석 정화기' 라는 시설물이 있다. (차마 지을 생각도 못하고 사진은 위키에서 가져왔다)


염소가스를 파이프로 공급하면, 마치 세면대처럼 지나가는 듀플이 들고 있는 광석을 소독해준다는 컨셉의 물건이다.


이 물건은...


1. 소량이지만 지속적인 염소 공급이 필요하다


2. 듀플 노동력이 든다


3. 세면대처럼 누군가 쓰고 있는 동안에 다른 듀플은 그냥 지나친다


4. 1회 사용당 제거할 수 있는 세균량에 상한이 있어서, 세균이 더 많은 광물은 소독이 덜된다


등등등의 단점이 있어서 제대로 사용하기 참 까다로운 물건이다.


산린이들은 사용을 자제하도록 하자.


추천 비추천

15

고정닉 5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7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91448 공지 산소미포함 공략 모음집 (2025.04) [45] ㄹ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27 10125 18
79045 공지 규칙과 신문고 [20]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0 2798 11
79364 공지 산린이가 참고하기 좋은 연재글 링크 모음 [10]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7 36421 15
92812 일반 아시발 실수로 3시간 빨리감기하고 방치함 ㅋㅋㅋㅋㅋ ㅇㅇ(14.4) 14:06 18 0
92811 일반 메모리 토글 질문 [8] ㅇㅇ(1.238) 13:53 28 0
92810 일반 핵 페기물 이거 왜 이러냐 [5] 아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7 62 0
92809 일반 로켓내렸는데 왜 데는중뜨는거임? [3] ㅇㅇ(211.226) 12:15 57 0
92808 일반 이겜 자동저장 없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2 55 0
92807 일반 질문) 탈염기에서 물 그냥 통과할 때 전기 사용 여부 [2] ㅇㅇ(125.189) 10:53 64 0
92806 일반 얘는 풍선을 어디서 갖고와서 달고 댕기는 거임? [3] 타카하시쥬리보유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6 77 0
92805 일반 재밋지만 진행이안대 공략보러왓는데 공략도 어렵다 [10] 이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8 79 0
92804 일반 처음 해봤는데 이 게임 쉽지 않네 [5] ㅇㅇ(112.165) 09:50 99 0
92803 일반 산린이가 느낀 듀플 말안듣는이유 [2] ㅇㅇ(121.188) 08:57 99 0
92802 일반 산린이 맵아래서 빨간거 보이기 시작하는데 어카냐? [5] ㅁ도롯(183.108) 08:42 86 0
92801 일반 전기만아니면 잘살수있을것같은데;; [8] 낚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6 89 0
92800 일반 바이오닉으로 게임 하다 날샜다.... [2]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5 121 0
92799 일반 혹시 수송관 잘 안쓰이나요? [8] 청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148 0
92798 일반 뉴비 타죽는중 [2] ㅇㅇ(221.140) 01:28 119 0
92797 일반 거대증기방 사숙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98 0
92796 일반 산린이 질문 여러개 [2] ㅇㅇ(116.126) 00:30 79 0
92795 일반 와 석유쿠킹 중요한거 하나 배웠다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45 0
92794 일반 기지가 오염산소로 점령당한거 아니면 [2] 낚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93 0
92793 일반 뭔 듀플이 로켓 안에서 무기력이 뜨나 했는데 [1] ㅇㅇ(116.124) 05.05 112 0
92792 일반 산린이 로켓쏘고 spaced out! DLC 켜고 다시시작했는데 감동먹음 ㅇㅇ(110.11) 05.05 81 0
92791 일반 아까 전해조 옮길라고 타일 뚤었다가 산소 넘친사람인데요 [2] ㅇㅇ(222.235) 05.05 93 0
92790 일반 원유에 좀비포자 섞인거 어케 제거하는게 좋을까 [6] ㅇㅇ(221.154) 05.05 155 0
92789 일반 염병할천연가스염병할염소염병맞을발전기 [4] ㅇㅇ(220.125) 05.05 86 0
92788 일반 오물보다 무거운거 있음? [3] ㅇㅇ(211.108) 05.05 124 0
92787 일반 바이오닉 침실이랑 세척실 효과는 어케해야 받음? [5] ㅇㅇ(221.146) 05.05 79 0
92786 일반 선생님들 압력 어떻게 낮추나요 ?? [8] ㅇㅇ(222.235) 05.05 139 0
92785 일반 다른건몰라도 원유쿠킹은 꼭해야겠다 ㅇㅇ(118.235) 05.05 99 0
92784 일반 DLC 뒤섞기가 뭐임? [10] ㅇㅇ(211.193) 05.05 190 0
92783 일반 뉴비 화장실 오폐수에 식중독균이 없는데 이유 알 수 있을까요 [4] ㅇㅇ(121.65) 05.05 130 0
92782 일반 뉴비 전해조 안쓰고 오염물 수조+ 탈취기로 산소뽑는데 [4] ㅇㅇ(118.235) 05.05 103 0
92781 일반 무한전해조 아직됨? [2] ㅇㅇ(211.193) 05.05 118 0
92780 일반 아 레진행성 마그마 터졌네 [1] 사숙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08 0
92779 일반 플라스틱 공부하고 온 뉴비... 힘들었다.... [6] ㅇㅇ(222.235) 05.05 217 0
92778 일반 기체타일에 소금물 들어감 [3] 기꾼러버(116.45) 05.05 136 0
92777 일반 얘는 굴착기술 숙련을 어떻게 갖고 있는거야? [4] 타카하시쥬리보유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73 0
92776 일반 소금물 튜닝 문제있는데??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53 0
92775 일반 시간이란 오묘하죠? [2] 사숙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62 0
92774 일반 100K 챌린지 파딱 시드로 플레이 [7] ㅇㅇ(175.123) 05.05 206 3
92773 일반 땅파는 게임인데 폭발물이 없다는게 아쉽다. [6] ㅇㅇ(211.105) 05.05 184 0
92772 일반 는지렁이 걍 무시하고 해도됨? [6] ㅇㅇ(210.204) 05.05 156 0
92771 일반 가마로 정제탄소 만들면 이산화탄소 원래 나오지 않았나?? [3] ㅇㅇ(221.146) 05.05 111 0
92769 일반 바이오봇 빌더 없애도 되나요? [6] ㅇㅇ(222.237) 05.05 117 0
92768 일반 바이오닉 물에 젖는건 그냥 무시하면서 씀? [1] ㅇㅇ(61.39) 05.05 96 0
92766 일반 어...??OneDrive 뭐냐....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38 0
92765 일반 뉴비 염소 살균 화장실 시설 만들었는데 세균이 안 나옴 [4] 연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02 0
92764 일반 서증 활용 질문 [2] ㅇㅇ(61.39) 05.05 88 0
92763 일반 어디까지 가야 안정화됨?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95 0
92762 일반 로드리게즈 별거 없네 [4] ㅇㅇ(221.140) 05.05 206 0
92761 일반 500주기 중반 넘어가는데 듀플들 미쳤나봐 [4] ㅇㅇ(175.223) 05.05 152 0
뉴스 양희은, 사칭 계정에 분노 “너 이름 뭐야”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