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조현병 관련 정보 정리

리얼리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9.08.13 22:21:53
조회 21883 추천 78 댓글 10
														

1. 조현병이란 무엇인가?

조현병(Schizophrenia)은 사고(思考), 감정, 지각(知覺), 행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걸쳐 광범위한 임상적 이상 증상을 일으키는 정신 질환이다. 속된 말로 ‘미쳤다’라고 표현된다. 영문 명칭인 Schizophrenia는 1908년 한 정신과 의사가 지은 이름이다. 이 이름이 제정되기 전에는 조기 치매(Dementia praecox)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그는 희망을 주기 위해 일부러 희랍어로 이름을 제정했다. schizo는 분열, phrenia는 마음을 뜻한다. 즉, 조현병의 예전 이름인 정신분열증은 이 희랍어 합성어를 있는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정신분열증이라는 이름은 다중인격이라 불리우는 해리성 정체성 장애와 오인될 수 있으며 지나치게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에 2010년에 병명을 개정하였다. 조현이란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는 뜻이다. 현악기는 줄을 적당히 튜닝해야 소리가 잘 난다. 이 점에 착안하여 조현병은 신경계나 정신의 튜닝이 잘 되지 않아 임상적 이상 증상을 드러내는 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또한 뇌를 적절히 튜닝하면 환자들도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조현병의 유병률은 국가나 사회문화적 배경과 상관없이 1%이다. 즉, 100명 중에 한 명은 조현병에 걸린다. 우리나라에는 약 50만 명이 조현병 환자이거나 환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조현병의 예후로 3분의 1은 정상적으로 회복되고 다른 3분의 1은 일상생활은 하나 병원을 오가며, 나머지는 예후가 불량하다고 한다.




2. 조현병의 종류

망상형 조현병은 편집형 조현병으로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언어나 행동에는 큰 문제가 없고, 망상이 나름대로 체계적이다. 혼란형 조현병은 파과형 조현병으로도 불리는 것으로 사고장애와 정동둔마를 특징으로 한다. 이 유형의 환자들은 사고와 언어가 혼란하고 지리멸렬하다. 긴장형 조현병은 정신운동장애를 특징으로 한다. 이 유형에서는 주로 신체적인 증상이 나타나는데, 환경에 대해 반응하지 않거나(부동증), 부자연스럽게 강직된 자세를 유지하거나(강직증), 몸을 구부려놓으면 그 자세를 유지하기도(납굴증) 한다. 어느 유형에도 해당하지 않는 미분화형 조현병도 있다.




3. 조현병 스펙트럼의 종류

조현병도 증상의 정도에 따라 스펙트럼(범주)을 가지는 여러 개의 질환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경증부터 중증까지 나열하자면, 조현형 성격(인격)장애와 약화된 정신증 증후군, 망상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조현양상장애, 조현병과 조현정동장애가 있다.


조현형 성격장애는 인간관계를 잘 맺지 못하고 인지적, 지각적 왜곡과 기이한 행동을 보이는 성격장애 종류이다. 마술적 사고, 비현실적인 것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으며 사회적 관습을 잘 신경쓰지 않는다. 조현병과 유전적인 관련이 있어 성격장애와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에 중복 분류된다. 약화된 정신증 증후군은 조현병의 증상이 매우 경미한 형태로 짧게 나타나는 경우이다. 망상장애는 정교하고 체계화된 망상을 지속적으로 보이는 정신질환이다. 인격기능은 유지한 채 망상 내용에 적절한 감정을 동반한다. 조현양상장애는 조현병의 증상이 6개월을 넘기지 않는다. 조현병은 엄밀히 말하면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진단할 수 있다. 조현정동장애는 조현병과 기분장애(주로 조울증)이 함께 나타나는 병이다.




4. 조현병의 원인

유전적으로는 조현병 환자의 1차 직계가족에서 유병률이 10%로 올라간다. 쌍둥이 중 한 쪽이 조현병에 걸리면 다른 한 쪽은 40~65%의 발병률을 보인다. 생화학적으로는 조현병 환자에게서 도파민과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불균형하다고 한다. 해부학적으로는 환자의 두뇌를 일반인의 것과 비교했을 때 뇌 구조에 경미한 차이를 보인다. 조현병 환자는 뇌세포가 일반인과 차이가 있는데, 어릴 때는 차이가 드러나지 않다가 사춘기에 뇌 발달이 변하게 되면 정신병적 증상을 일으킨다는 이론이 있다. 환경적인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조현병은 원인을 어느 한 가지로만 단정지을 수 없으며, 상기한 여러 조건에 따라 발병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5. 조현병의 증상

조현병의 증상으로는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이 있다. 양성증상은 일반인에게는 없는, 일어나서는 안 되는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음성증상은 일반인에게는 있지만 환자에게는 없는 증상으로, 있어야 할 것이 없는 것이다.


5.1. 양성증상

환각은 다른 사람들은 느끼지 않는 것을 생생히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들리지 말아야 할 것이 들리거나(환청), 남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것이 보이거나(환시), 이상한 냄새를 혼자 맡거나(환후), 있지도 않은 벌레가 기어가는 것을 느끼는(환촉) 경우가 있다. 주로 환청을 듣는 경우가 많으며, 환자에게 명령을 내리거나, 욕을 하거나, 좋은 말을 해주거나, 여러 사람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 등 다양하다.


망상은 일반인들은 납득하기 어렵고, 사실도 아니며 다른 사람들의 말에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믿음이다. 일반적으로 그 문화권에서는 누구나 터무니없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타인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환자의 망상을 고치기 어렵다. 쉽게 볼 수 있는 예시로 누군가 자신에게 전파공격을 한다고 주장하거나, 자신이 마인드 컨트롤이나 조직 스토킹을 당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있다. 누군가 자신의 생각을 읽거나 자신의 생각이 방송으로 전파된다는 망상도 있다. 피해망상이 흔하지만 자신이 대단한 존재라고 주장하는 과대망상도 흔하다. 망상과 관련한 환각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다.


조현병 환자들은 사고의 흐름에서 문제를 경험하기도 한다. 사고가 논리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다른 사람들은 환자가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없게 된다. 묻는 말에 엉뚱하게 대답하거나, 앞뒤가 안 맞거나, 핵심을 말하지 못하고 사고과정이 빙빙 돌아가기도 한다.


5.2. 음성 증상

조현병 환자들은 상황에 맞지 않는 감정을 보이거나 감정이 사라지고 무표정하게 있기도 한다. 자기 방에 은둔하거나 기본적인 위생관리도 하지 않고 불결하게 지내기도 한다. 또한 사고 내용이 빈곤해지고, 의욕도 사라지고, 사회적 위축을 보이기도 한다. 음성증상은 일반적으로 양성증상보다 컨트롤하기 어렵다. 또한 다른 정신과 환자들처럼 집중력, 학습 능력, 기억력, 문제 해결 능력이 감소하는 인지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6. 조현병의 전구증상

조현병은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남자),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여자)에 나타난다. 사춘기 이전과 45세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조현병 환자들은 청소년기에 성적 하락, 대인관계 문제, 예민한 성격과 감각 등의 전구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를 조기 정신증이라고 부르며 이 시기가 조현병 발병과 예후에 결정적이라고 한다. 전구증상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출처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세면, 목욕, 청소 등을 잘 하지 않아 불결하고 지저분하게 지낸다.

• 옷을 입고 화장을 하는 등, 자기를 가꾸는데 있어서 전과 다르게 엉성한 모습이 나타난다. 외모에 관심이 없어지기도 한다.

• 수면시간이 불규칙해지고, 때론 밤낮이 바뀌어 생활한다.

• 막연하게 여기저기가 아프다고 호소한다.

• 신경이 예민해져서 사소한 일에도 짜증을 내고 불안하거나 긴장된 모습을 보인다.

• 감정의 기복이 심해진다.

• 분노를 심하게 나타내면서 공격적인 행동이 잦아진다.

• 집중이 잘 되지 않아서 업무 능률이 떨어진다. 학생인 경우 이유 없이 성적이 떨어진다.

•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주제에 지나치게 몰두한다. 죽음과 자살에 대한 생각과 이야기가 많아진다.

•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진다.

• 말수가 줄어들고 무엇인가 골똘히 생각하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7. 조현병의 진단

조현병의 주요 증상은 망상, 환각, 혼란스러운 언어, 혼란스럽거나 긴장증적 행동, 음성증상으로 이들 중 2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증상(단 망상, 환각, 혼란스러운 언어 중 하나는 반드시 포함)이 나타나고, 사회적, 직업적으로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며, 이러한 상태가 6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조현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8. 약물의 종류와 부작용

조현병에는 주로 항정신병제가 쓰인다. 항정신병제는 조현병의 양성증상을 개선하며 요즘에는 음성증상에도 효과가 있는 약물이 나오고 있다. 항정신병제는 정형과 비정형 약물이 있다. 정형 약물은 옛날에 출시되어 전통적으로 쓰이던 약물을 말한다. 클로로프로마진, 할로페리돌, 플루페나진 등이 있다. 정형 약물은 강직, 근육경련, 진전 초조 등의 부작용이 있다. 비정형 약물은 1990년대 이후 개발된 신약들을 가리킨다. 이들은 정형 약물보다 부작용이 획기적으로 적다고는 하나 체중 증가, 당뇨 및 대사 증후군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정형 약물과 비정형 약물의 성분명과 상품명이다. (출처 : 패밀리링크 가족과 함께하는 교육 프로그램)


viewimage.php?id=3ebed82fffdd28ae7cbad8bc178174&no=24b0d769e1d32ca73ded87fa11d02831b24d3c2d27291c406c42f02d1a563e4a27fa3727607b887f5e3efd0896a0714c3ead0a95ee555fff1ec34d0c7bc65ad293e54d8a7e76



다음은 비정형 약물을 정리한 것이다. (출처 : 역시 패밀리링크)


1) 리스페리돈 Risperidone(리스페달 Risperdal)

• 비교적 빠른 효과

• 음성, 양성 증상에 모두 효과적

• 비교적 소량인 반알 (0.5mg)에서 시작하기도 함

• 리스페달 퀵릿: 입안에서 녹는 제형

• 리스페달 콘스타: 먹는 약 대신 2주마다 한 번씩 맞는 근육주사제

• 인베가: 리스페리돈 유도체로서 하루에 한번만 먹는 장점이 있음

• 팔리페리돈 서스티나: 4주(한달)마다 한 번씩 맞는 근육주사제

• 인베가 트린자: 12주(석달)마다 한 번씩 맞는 근육주사제


2) 올란자핀 Olanzapine(자이프렉사 Zyprexa)

• 비교적 진정효과가 강함 (응급실에선 주사제 사용 가능)

• 체중 증가, 졸리움 증상이 흔함

• 부작용으로 비만, 당뇨병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식욕 및 체중관리가 중요함

•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함

• 자이디스 Zydis: 입안에서 녹는 제형으로 개발됨. 속효성


3) 퀘티아핀(쿠에타핀) Quetiapine(세로켈 Seroquel)

• 유즙분비 등의 부작용 적음

•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

• 기분증상(우울감 등)에 효과가 보고됨


4) 아미설프라이드 Amisulpride(솔리안 Solian)

• 정신증상 및 이와 관련된 강박증상에 효과적

• 상대적으로 졸리움이 적음

• 유즙 분비 등 부작용 가능

• 심장병에 주의


5) 아리피프라졸 Aripiprazol(아빌리파이 Abilify)

• 체중증가, 졸리움, 손떨림, 유즙 분비 등 부작용이 적음

• 아빌리파이 메인테나: 4주(한달)마다 한 번씩 맞는 근육주사제


6) 지프라시돈 Ziprasidone(젤독스 Zeldox)

• 체중 증가 적음

• 심장병, 부정맥 존재시 주의해야 함


7) 팔리페리돈 Paliperidone(인베가 Invega)

• 리스페리돈의 대사물

• 빠른 효과를 보임

• 간대사의 문제가 있는 환자도 복용가능

• 팔리페리돈 서스티나: 4주(한달)마다 한 번씩 맞는 근육주사제


8) 블로난세린 Blonanserin(로나센 Lonasen)

• 체중증가와 유즙분비 부작용이 적음


9) 클로자핀 Clozapine(클로자릴 Clozaril)

• 체중증가, 졸리움, 변비, 침흘림 등이 흔함.

• 무과립구증이 드물게 발생 - 정기적인 혈액검사 요구됨

• 정신 증상조절 측면에서 다른 신약들에 비해 뛰어남


아래는 치료 경향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출처 : 패밀리링크)


viewimage.php?id=3ebed82fffdd28ae7cbad8bc178174&no=24b0d769e1d32ca73ded87fa11d02831b24d3c2d27291c406c42f02d1a563e4a27fa3727607b887f5e3efd0896a0714c3ead0a95ee555fff1ec34c0b29c60b81a13a48df72de



항정신병제의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출처 : 또 패밀리링크)


1) 항콜린성 부작용

입안 건조, 시야 흐림, 변비, 배뇨 곤란과 심장 박동 증가


2) 추체외로증상

항정신병약물(특히 구약)은 정신증상과 관련된 도파민 신경세포에 관여할 뿐 아니라 신체의 운동과 연관된 도파민 신경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다양한 신경운동계 부작용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파킨슨씨병 증세 같은 신경운동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런 문제를 추체외로증상이라고 하며 좌불안석증, 급성 근긴장 이상증, 무동증과 지연성 운동이상증(TD) 등이 이에 속한다.


2-1) 좌불안석증

증상은 안절부절 못함, 자기도 모르게 걷고 싶음, 손 돌리기 등이다. 당사자들은 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므로 잠을 잘 수 없다.


2-2) 급성 근긴장 이상증

얼굴, 몸과 팔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므로 이상한 얼굴 표정과 자세를 짓게 된다. 혀를 내밀거나 고개를 뒤로 젖히고 눈동자를 위로 치뜨는 것 등이다.


2-3) 파킨슨 증후군

증상은 진전, 근육강직, 운동완만, 안면 무표정, 침흘림, 가속보행 등이다.


2-4) 지연성 운동이상증

본의 아닌 혀와 입의 움직임과 빈번한 눈 깜박 거리기, 안면 근육 경련은 당사자를 매우 힘들게 한다. 이러한 부작용은 대개 구약을 장기 복용한 후 생기지만, 의사가 복용량을 조절해 주면 나아진다. 이러한 부작용이 특히 문제가 되는 이유는 한번 생기면 대부분 회복불능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한번 나타나면 영원히 지속될 것이며 완치약이 없다.


3) 성기능장애

이는 항정신병약물의 상당히 흔한 부작용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를 의사와 이야기하기를 꺼려한다. 당사자들은 단순히 약의 복용량을 줄이거나 아예 복용을 중단한다. 이럴 경우 나중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실제로 이런 성기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있다. 당사자들은 이 문제를 가족이나 의사와 상의하여야 한다.


그 외에도 식욕 증가, 피곤함과 졸음, 월경 불순, 유즙 분비, 당뇨병 초래, 백혈구 감소 초래 등이 있다.




9. 단약에 관하여 (내 생각)

조현병은 꾸준한 유지 치료를 하지 않으면 자주 재발한다. 조현병과 같은 정신질환은 완치의 개념이 없고 ‘관해’ 개념으로 대신한다. 관해는 정신질환과 관련된 증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을 말하는 것이다. 조현병의 경우는 첫 5년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하며 최소 1년에서 3년을 치료 기간으로 둔다고 하지만 죽을 때까지 약을 먹으며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의사도 존재한다. 단약 후 재발하는 기간은 사람마다 다르다. 수 주 이내 재발하는 경우에서부터 수 년 후에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약 1%는 평생 재발 없이 단약 상태로 살아가기도 한다고 한다. 그러나 그런 확률 놀이에 기대는 것은 위험하다. 정신질환은 완치가 없으며 정신질환을 완치하는 약(진정한 ‘치료’제)도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단약 후 재발할 위험이 높으며 재발할수록 뇌 기능이 떨어지고 치료하기도 점점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치료 기간을 충분히 둘 필요가 있으며 의사와 상의 없는 단약은 매우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10. 산정특례

F20-F29 범위 내의 질병코드를 부여받은 사람은 산정특례를 등록하여 치료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산정특례를 받으면 본인 부담금이 10%로 감소하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산정특례를 받은 사실 자체는 다른 병원에서 알 수 있다. 신청은 현재 다니는 병원에 산정특례를 받고 싶다고 신청하면 된다. 단, 기초생활수급자 등 의료급여 수급자는 정신질환 사유로 산정특례를 받을 수 없다. 다만 의료급여 1종은 본인부담금이 1500원, 2종은 5%(F20-F29만)이기 때문에 치료비 할인 혜택 자체는 의료급여가 더 뛰어나다.




11. 장애인 등록

조현병 환자는 정신장애를 신청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정신질환자들이 등록 가능한 것은 아니며 조현병, 조울증(양극성 장애), 반복성 우울장애, 조현정동장애만이 정신장애 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1년 이상 지속적인 치료를 받았음에도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 신청이 가능하다. 주치의로부터 장애진단서와 관련 자료(의무기록, 심리검사 결과 등)을 발급받아 동사무소에 제출하면 국민연금공단에서 심사한다. 등록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급은 중증(구 1-3급)만 존재한다.




12. 참고문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928&cid=51004&categoryId=51004

(이를 기반으로 작성함)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D%98%84%EB%B3%9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403071531392

https://ppss.kr/archives/112463

https://blog.naver.com/kangdong85/221366300943

http://www.familylink.or.kr/m/data/filedown2/mental_edu02_03.pdf

http://www.bokjiro.go.kr/welInfo/retrieveGvmtWelInfo.do?searchIntClId=07&welInfSno=12346&pageGb=1&domainName=&searchSidoCode=&searchCggCode=&key1=list

추천 비추천

78

고정닉 1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62199 공지 삭제/신고/문의 글타래 [28] 뮤리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1994 6
16069 공지 질문하기 전에 꼭 읽어야 하는 조현갤 Q&A [11] 리얼리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26 8075 45
공지 조현병 관련 정보 정리 [10] 리얼리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8.13 21883 78
109631 일반 항우울제도 어지간한 각성제이상 느낌 받은게 조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5 0 0
109630 일반 울 아빠는 하루종일 뉴스만봄 [1] 조갤러(183.103) 11:09 10 0
109629 일반 이 노래 좋다 [2] ㅇㅇ(175.206) 11:08 10 0
109628 일반 adhd약물이 정말 각성하고,운동,공부퍼포먼스 내기좋다고 느낀게 조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6 6 0
109627 일반 코박홍 ㅋㅋㅋㅋㅋㅋㅋㅋ 조갤러(183.103) 10:58 6 0
109626 일반 조현병환자들은 결혼안하고혼자살아야됨 [2] 조갤러(183.103) 10:53 16 0
109625 일반 조현여자,일반여자 결혼 그나마 쉽다고하는데 조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7 7 0
109624 일반 82킬로가 내몸무게됐다 [1] 조갤러(183.103) 10:41 16 0
109623 일반 60.5-》56.8 조갤러(219.248) 10:39 12 0
109622 일반 ㅋㅋㅋㅋㅋ 소먕(119.77) 10:29 18 0
109621 일반 이 우주엔 작용 반작용의 법칙이라는게 있다 ^^>>&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5 0
109620 일반 복지센터 조현병들끼리 프로그램받는거 소먕(119.77) 10:28 13 0
109619 일반 sk 유심 정보유출사건보면 울나라 기업하기 좋은환경은 맞는듯 조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2 13 0
109618 일반 인제 여름인건가 여름인건가 조갤러(183.103) 10:05 10 0
109617 일반 시간은 잘안가는데 하루는 후딱가는듯 조갤러(183.103) 09:47 13 0
109616 일반 생수 생수 생수 온더비치 조갤러(183.103) 09:44 8 0
109615 일반 시발 정신과 심리검사 왜 iq검사만하고 eq검사안하냐 조갤러(140.248) 09:11 27 0
109614 일반 오늘의 아침식사 : 된장비빔밥 [1] JUN(58.65) 08:15 21 0
109612 일반 마 오늘아침 남은 낚지볶음 궁물이노 조갤러(183.103) 07:50 13 0
109611 일반 복수가 되면 좋겠음 ㅇㅇ(119.206) 07:44 16 0
109610 일반 아니나 조현아니지? [1] 조갤러(106.101) 06:23 27 0
109609 일반 여자 만나면 1초 스캔하는 나 정상인가요? 증상인가요? 조갤러(121.134) 00:21 29 0
109608 일반 종교는 하이브리드로 가는게 좋은듯 토스트예프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0 31 0
109607 일반 부처님 말씀 들으니까 힘든거 싹 사라진다 [1] 손오공(49.166) 04.25 32 1
109606 일반 아 삼양라면 한사바리 한다 [2] 손오공(49.166) 04.25 29 0
109605 일반 인터넷 아이큐는 실제지능보다 10점ㅡ15점 높게 나온댄다 [1] ㅇㅇ(223.38) 04.25 35 0
109604 일반 아이큐는 116 나왔는데 사람만 만나면 지적장애 되는게 정상인가?ㅡㅡ; [2] 조갤러(121.134) 04.25 57 0
109603 일반 환청 안들릴때까지 약 용량 계속 올려야함? [3] 조갤러(218.154) 04.25 36 0
109602 일반 조현병약 맞는것 같음? 약에 대한 지식이 없으니 내가 무슨약을 먹는지도 [2] 조갤러(121.134) 04.25 48 0
109601 일반 ㅎㅇ조붕이들 하이 [1] 조갤러(125.138) 04.25 30 0
109600 일반 이틀후면 절 갈수있다 [1] 손오공(49.166) 04.25 26 0
109599 일반 자라나라 모발모발 손오공(49.166) 04.25 18 0
109598 일반 백단향 123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2 0
109597 일반 40살에 독립할까 30살에 독립할까 [2] 손오공(49.166) 04.25 46 0
109596 일반 나는야 퉁퉁이 노진구 도라에몽 손오공(49.166) 04.25 17 0
109595 힘들다 기분이 매우 그거 같음 ㅇㅇ(121.134) 04.25 16 0
109594 일반 오늘 암기 고수보며 느낀점 조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31 0
109593 일반 노동 못하면 자원봉사라도 해야 된다 ㅇㅇ(223.38) 04.25 19 0
109592 일반 우리 집안은 돈이 13억 정도있는데 [2] 손오공(49.166) 04.25 51 0
109591 일반 난 귀염귀염 큐티큐티하다 손오공(49.166) 04.25 19 0
109590 일반 지적장애 등장 손오공(49.166) 04.25 31 0
109589 일반 나의 눈은 「 광기 」다. 손오공(49.166) 04.25 28 0
109588 질문 나 77곱하기 63 암산할줄암 ㅇㅇ [5] 조갤러(49.167) 04.25 52 0
109587 일반 조현병 아빌리파이 용량 내가 알아서 하는급인데 ㄱㅊ냐 [1] 조갤러(218.154) 04.25 46 0
109586 일반 나는 왜 고난이 갈수록 심해질까? [1] 조갤러(121.134) 04.25 34 0
109585 질문 근데 66년생이면 젊으신편아님?? 조갤러(49.167) 04.25 20 0
109584 일반 아빌리파이 적정용량인거 어케암? [2] 조갤러(218.154) 04.25 41 0
뉴스 ‘갱스 오브 런던3’ 신승환 “경상도식 영어 구사…韓배우도 할 수 있어” 디시트렌드 04.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