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헤이 딥리서치, O1 pro하고 O3 mini high를 비교조사해줘

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2.04 21:29:32
조회 5177 추천 0 댓글 5
														

알겠습니다! O1 Pro와 O3 Mini High 모델 중에서 정확도와 성능을 중점적으로 비교하여 조사하겠습니다.

모델의 응답 속도, 처리 능력, 생성된 출력의 정확성 등을 분석하고, 최신 업데이트 및 개선 사항이 있는지도 확인해보겠습니다.

조사가 완료되면 결과를 공유해드릴게요.

Research completed in 18m · 16 sources

O1 Pro vs O3 Mini High 성능 및 정확도 비교

두 모델 O1 ProO3 Mini High는 OpenAI에서 제공하는 고성능 언어 모델로,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응답 속도, 처리 능력, 출력 정확성, 최신 업데이트 및 개선 사항, 벤치마크 결과 및 사용자 후기 측면에서 두 모델을 비교하고 어느 쪽이 더 우세한지 살펴보겠습니다.

응답 속도 (Response Speed)

  • O1 Pro: 답변 생성에 더 많은 연산을 투입하여 응답 속도가 비교적 느린 편입니다. 실제 사용자들도 “O1 Pro가 O3 Mini High보다 훨씬 더 지능적이지만 속도는 상당히 느리다”고 평합니다​
    . 이는 O1 모델이 응답 전에 심층적인 “사고”를 거치도록 설계된 영향으로 볼 수 있습니다.
  • O3 Mini High: 응답이 매우 빠른 편으로, 경량 최적화를 통해 속도 면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Plus 사용자의 초기 반응도 “속도와 비용 면에서 매우 인상적”이라며 O3 Mini High의 신속한 답변 생성에 만족감을 나타냈습니다​
    . 즉, 짧은 대기 시간으로 답변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델 처리 능력 (Processing Capacity)

  • 맥락 용량 및 입력 처리: O1 Pro와 O3 Mini High 모두 긴 문맥을 처리할 수 있지만, 지원 범위에 차이가 있습니다. O1 Pro는 ChatGPT Pro 플랜에서 최대 128K 토큰의 대용량 컨텍스트를 지원하며 이미지 입력까지 처리 가능한 멀티모달 모델입니다​

    . 반면 O3 Mini High텍스트 전용 모델로 이미지 이해 기능은 없지만, 한 번에 최대 200K 토큰의 입력을 받을 수 있고 출력도 최대 100K 토큰까지 생성 가능한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 이는 O1 계열(128K 한도)보다 한층 늘어난 입력 용량으로, 매우 긴 문서도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입니다. 다만 O3 Mini High의 내부 보이지 않는 추론 토큰도 출력 한도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론치만큼 최대 출력이 나오진 않을 수 있습니다​
    .
  • 복잡한 작업 처리: O1 Pro는 복잡한 코딩이나 논리 문제 같은 고난도 작업을 해결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안정적입니다. 실제로 한 사용자는 어려운 코딩 문제에서 O3 Mini High로는 수십 번 프롬프트를 바꿔가며 시도해야 했던 것을 O1 Pro는 한 번에 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 이러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O1 Pro는 긴 코드 분석이나 복잡한 논리 추론을 더 정확하게 처리하여 효율적인 결과를 낼 때가 많습니다. 반대로 O3 Mini High복잡도가 높은 문제에서 여러 번 시도하거나 세부 지침을 나눠주는 절차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약 300줄 분량의 코드 문제에서 O3 Mini High는 여러 차례 실패한 반면 O1 Pro는 한두 번의 시도로 해결에 성공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 즉, 단순하거나 규모가 작은 작업은 두 모델 모두 잘 처리하지만, 규모가 크거나 난이도가 높은 작업에선 O1 Pro가 더 나은 처리 능력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생성된 출력의 정확성 (Output Accuracy)

  • O1 Pro: 출력 품질 면에서 가장 정교하고 정확한 답변을 생성하는 모델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Plus 기본 모델(O1)과 비교해도 할루시네이션이 적고 응답이 더 신뢰할 만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실제 전문가들은 O1 Pro를 사용하면 복잡한 논리 문제도 거의 항상 올바르게 풀어내며, 다른 모델들이 따라오기 힘들 정도로 깊이 있는 해설과 정확성을 제공한다고 말합니다​
    . 한 사용자는 “O1 Pro는 당시에 나와있는 최고의 모델”이며 다른 어떤 모델보다 몇 수 앞서 있다고 극찬했습니다​
    . 이러한 평가처럼 O1 Pro는 전문 분야 지식, 긴 문맥 추론, 수학/코딩 정답률 등에서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여줍니다.
  • O3 Mini High: 이 모델은 일반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답변을 생성하지만, 출력의 깊이와 정밀도에서는 O1 Pro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실제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O3 Mini High의 출력 품질은 O1 또는 O1 Pro만큼 좋지 못하며, 기대했던 ‘와우’ 수준의 답을 얻지 못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 O3 Mini High가 명확한 질문에 대해서는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모호하거나 애매한 질문에 대해서는 추론을 잘못하거나 자신감 있게 틀린 답을 내는 경향도 지적되었습니다​
    . 예컨대 한 평가에서는 O3 Mini High가 문제가 애매할 때 성급하게 추측하여 잘못된 결론을 내리는 빈도가 O1보다 높았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 요약하면, 일상적인 정확도는 양호하지만 전문적 정확성과 세부적인 신뢰성 면에서는 O1 Pro가 한 수 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신 업데이트 및 개선 사항 (Latest Updates & Improvements)

  • O1 Pro 측 최신 동향: O1 Pro는 2024년 말경 ChatGPT Pro 구독자를 위해 도입된 프리미엄 모델로, 출시 당시 긴 컨텍스트 처리심층 추론 능력으로 큰 호평을 받았습니다. Pro 플랜을 통해 128K 토큰 맥락, 고급 음성 모드 제공, Sora 등 추가 기능이 활용 가능해진 것도 개선 사항입니다​
    . 그러나 2025년 초 일부 프로 사용자들은 O1 Pro의 성능이 초기보다 저하되었다고 불만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 예를 들어, 한 사용자는 “처음에 놀라웠던 긴 문서 요약이나 복잡한 코드 리뷰 능력이 지금은 많이 떨어졌고, 긴 대화에서는 문맥을 잃거나 복잡한 작업을 연달아 실패한다”는 등의 변화를 언급했습니다​
    . OpenAI 측에서 공식 스펙을 공개하지 않아 정확한 변화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이러한 피드백으로 미루어 볼 때 O1 Pro 모델에 자원 조정 또는 업데이트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1 Pro는 여전히 Pro 구독자들에게 가장 높은 성능의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업데이트를 통해 안정성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 O3 Mini High 측 최신 동향: O3 Mini 시리즈는 2025년 1월 말 새롭게 공개된 모델로, OpenAI의 세번째 “o 시리즈” 모델입니다​
    . O3 Mini High는 출시와 함께 여러 향상된 기능을 선보였는데, 그 중 하나가 앞서 언급한 맥락 길이 확장입니다 (기존 O1의 128K에서 200K 토큰 입력 지원으로 향상)​
    . 또한 토큰 당 가격이 크게 인하되어, API 기준으로 O1 대비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됩니다​
    . 예를 들어, O3 Mini의 가격은 입력 100만 토큰당 $1.10, 출력 $4.40로 책정되어 GPT-4o 대비 절반 이하, O1 대비로는 대폭 저렴한 수준이며​
    , 비용 효율성 면에서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OpenAI는 O3 Mini High를 향후 ChatGPT에서 웹 검색 기능과 연계시킬 계획도 밝혔는데, 이는 O1 계열 모델이 아직 실시간 웹 접근을 못하는 점을 보완하려는 것입니다​
    . 이러한 업데이트가 구현되면 O3 Mini High는 인터넷 정보를 검색·요약하는 새로운 활용 면모를 갖출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편 O3 Mini High는 텍스트 전용으로 개발되어 이미지 입력을 지원하지 않을 예정이며, 이는 차기 O 시리즈의 상위 모델에서 다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 현재 ChatGPT Plus 사용자에게 O3 Mini High가 시험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주당 50회로 사용량 제한이 있어(O1 모델의 Plus 사용 한도와 동일)​
    , 빈번한 활용이나 대량 작업에는 아직 제약이 있습니다. 앞으로 정식 O3 모델O3 Pro 버전이 추가로 출시되면 이러한 제한이 완화되고 성능도 더욱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벤치마크 결과 및 사용 후기 (Benchmarks & User Reviews)

  • 공식 벤치마크 결과: OpenAI가 공개한 시스템 카드 및 평가에 따르면, O3 Mini High는 여러 평가 항목에서 기존 O1 모델보다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경쟁 프로그래밍 난이도를 측정하는 Codeforces ELO 테스트에서 O3 Mini High는 2130점을 받아 O1의 1891점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 또 다른 내부 평가에서는 라이브 코딩 벤치마크 점수가 O3 Mini High가 0.846로, O1의 0.674보다 높게 나온 경우도 보고되었습니다​
    . 다만 이러한 우세가 모든 분야에 걸쳐 일관된 것은 아니어서, O3 Mini High가 전반적으로 O1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일부 영역에서는 열세를 보인다는 점을 OpenAI도 밝혔습니다​
    . 예컨대 명령어 이해도모호한 질문 처리처럼 특정 테스트에서는 O1이 더 나은 결과를 낸 사례도 있었습니다​
    . 요약하면 벤치마크상 O3 Mini High는 많은 지표에서 향상된 성능을 입증했지만, 분야에 따라 우열이 갈리는 부분도 존재합니다.
  • 사용자 후기: 실제 사용자들의 평가를 살펴보면, 고도 활용자일수록 O1 Pro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는 인상을 줍니다. 여러 Pro 사용자들이 “O1 Pro의 답변은 매우 체계적이고 깊이가 있어 만족스럽다”거나 “다른 모델이 헤매는 복잡한 문제도 O1 Pro는 척척 해결한다”는 긍정 후기를 남겼습니다​

    . 반면 O3 Mini High에 대해서는 “속도가 빠르고 가벼운 질문에는 잘 대답하지만, 와우(Wow) 포인트가 부족하다”거나 “깊이 있는 전문 답변 측면에서는 아직 부족하다”는 반응이 많았습니다​
    . 특히 코딩 같은 전문 영역에서 두 모델을 비교한 사용자들의 후기를 보면, “O1 Pro가 한 번에 해낼 일을 O3 Mini High로는 여러 번 시도해야 했다”
    는 구체적인 증언도 있습니다. 한 개발자는 동일한 문제를 놓고 실험한 결과, “O3 Mini High에서는 제대로 된 코드를 얻기까지 30번의 프롬프트 수정이 필요했지만 O1 Pro나 다른 최신 모델(R1 등)은 한 번의 시도로 해결됐다”며 O3 Mini High의 실전 대응력이 기대에 못 미쳤다고 평가했습니다​
    . 이러한 이유로 전문가나 복잡한 작업을 다루는 사용자들은 느리더라도 결국 O1 Pro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일반 사용자 층에서는 O3 Mini High에 대한 만족도도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Plus 요금제 내에서 추가 비용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점도 작용하여, 일부 사용자는 “O3 Mini High가 **무료(Plus 포함)**인데도 O1 Pro보다 오히려 잘 활용되고 있다”며 굳이 유료 Pro로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을 못 느끼겠다는 의견도 제시했습니다​
    . 또한 “O3 Mini High의 빠른 응답과 합리적인 성능이 일상적인 질문에는 충분하다”는 평도 있어​
    , 사용 사례에 따라 두 모델에 대한 만족도가 갈리는 모습입니다. 요약하면, 정확성과 난이도 높은 문제 해결에서는 O1 Pro가 우수하며, 속도와 편의성 측면에서는 O3 Mini High가 호평받는 등 사용자 후기는 용도에 따라 상이합니다.

결론: 어느 모델이 더 뛰어난가?

성능(지능)과 정확성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O1 Pro가 더 뛰어나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최신 분석 글에서도 “O1 Pro는 여전히 이용 가능한 모델 중 가장 지능적인 모델”로서, 프로 사용자가 순수 성능을 원한다면 O1 Pro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특히 전문 지식이 요구되는 작업이나 잘못된 답변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O1 Pro의 심층적이고 정확한 응답이 큰 장점이 됩니다. O3 Mini High는 이러한 최상위 성능에는 약간 못 미치지만, 경량 모델로서 응답 속도가 빠르고 비용 효율이 높아 일상적인 활용도와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 게다가 특정 코딩Benchmark 등 몇몇 영역에서는 O1를 능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개선 여지도 큽니다. 결국 사용 목적에 따라 우선순위가 갈리는데, 복잡한 문제 해결이나 높은 정확도가 최우선이라면 O1 Pro가 적합하며, 빠른 응답이나 저비용 대화가 중요하다면 O3 Mini High도 효과적인 선택지가 됩니다. 최신 데이터와 평가를 종합하면 **“순수 성능 면에서는 O1 Pro 우위, 실용성 면에서는 O3 Mini High 강점”**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571617 공지 뉴비 가이드)gpt 뭐 써야 해요? 특이점이 뭐에요? (25030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23 31085 42
609935 공지 특갤 통합 공지 / 댓글 신고,문의 / 차단 해제 요청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1.18 12510 27
571620 공지 본 갤러리는 타 갤러리 분탕과 관계 없음을 밝힙니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23 5352 15
572292 공지 직업 비하, 조롱 글 30일 차단됩니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24 4657 6
710159 일반 속보) 구글 딥마인드 "존나 큰거온다" [3] ㅇㅇ(220.78) 10:44 93 0
710158 일반 지금 챗지피티 되냐? [1] ㅇㅇ(183.100) 10:44 19 0
710157 일반 바이브코딩 해볼라는데 아이디어좀... 코막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2 9 0
710156 일반 딴거보다 일본어 번역은 진짜 특이점 온거같긴 함 ㅇㅇ [2] ㅇㅇ(125.137) 10:42 36 1
710155 일반 구글 신모델 곧 같긴한데 [1] ㅇㅇ(121.178) 10:40 85 1
710154 일반 데미스 하사비스가 요새 하는 게임 [3] ㅇㅇ(121.178) 10:33 150 2
710153 일반 특이점 오면 부작용 없는 정신과 약 나올까 [1] Kal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3 25 0
710152 일반 4o가 럭키 심심이가 아닌이유ㄹㅇ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60 0
710151 일반 좀 마이너한 일본영화나 미국영화같은거 영어나 일본어 자막 번역해서보려면 [1] ㅇㅇ(125.137) 10:30 28 0
710150 일반 gemini 2.5로 오디오 텍스트 받아쓰기 하려면 뭐 어떻게해야함? ㅇㅇ(125.137) 10:29 20 0
710149 정보/ [다시보기] 일리야 수츠케버(SSI) 최근 타임라인 [3] ㅇㅇ(121.178) 10:27 105 4
710148 일반 o3는 멍청하거나 쓸 줄 모르면, 제대로 이용을 못한다는 느낌일까? [3] ㅇㅇ(125.241) 10:27 115 1
710147 정보/ 후지쯔·리켄, 256큐비트 초전도 양자컴퓨터 공개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27 3
710146 일반 ai로 인한 자유의 보급 기원 2일차 유동에거(122.44) 10:22 11 0
710145 일반 제미니가 제일 기억력 좋은거 같음 [2] ㅇㅇ(116.212) 10:19 50 0
710144 일반 [속보]中, 소금 배터리 충격, 드릴로 뚫거나 전기톱으로 잘라도 불 안 [9] ㅇㅇ(182.211) 10:11 210 2
710143 일반 아레나 구글 모델들 무슨 뜻일까? ㅇㅇ(122.36) 10:08 52 0
710142 일반 나만 Veo2가 소라(Sora)보다 영상 퀄 떨어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7 71 0
710141 일반 내인생에 가장 큰 영향력을 준 두가지 패러다임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3 258 2
710140 일반 난 컴터에 인공지능 설치하는게 악성코드 설치하는거 같아서 [5]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6 195 0
710139 일반 근데 4o같은 가성비 모델들 성능 좋아지는건 매우 긍정적임 ㅇㅇ(124.146) 09:46 90 1
710138 일반 알트만 4o가 너무 예스맨이라는 지적에 고치겠다 방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4 194 0
710137 일반 원래 Browser Use mcp가 api사용량 많음?? (ㅈ됌) [6] ailov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3 125 0
710136 일반 gpt4o 만 계속 업데이트하는 이유가 뭐임? [1] chatgpt4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8 191 0
710135 일반 챗gpt 그림 이런거 할 때 너무 좋다 [2] 방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4 244 1
710134 일반 GPT 4o가 현시점 1황인 이유 근거있음 [6] ㅇㅇ(59.23) 09:28 371 2
710133 일반 젬마의 콩쿨리쉬 발음 봐라 [2] ㅇㅇ(112.161) 09:27 137 0
710132 일반 최고의 항노화는 운동과 식단이네 [9] ㅇㅇ(183.101) 09:19 231 0
710131 일반 밑에 아니메 글 보고 바로 젬황한테 그리게 해봄 [3] ㅇㅇ(125.140) 09:17 192 0
710130 일반 GPT 아니메 이미지도 엄청 잘그리네 [3] 비오는날의개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2 307 1
710129 일반 갤럭시에 추가된 제미나이 2.0 플래시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 232 0
710128 정보/ lmarena에 등장한 새로운 구글 모델 "sunstrike" [3] 초존도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0 440 6
710127 일반 이 정도면 4o가 gpt5 아닌가 [2] ㅇㅇ(222.107) 08:57 297 0
710126 일반 ais 보니까 잼민이 RLHF하는 것 같더라 [1] ㅇㅇ(125.247) 08:55 130 0
710125 일반 Oai = 4O깎는장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2 342 1
710124 정보/ 알트만 "GPT-4o를 업데이트했습니다!" [6] 초존도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1 864 15
710123 정보/ 샘 알트만은 GPT-4o의 성능을 향상시켰다고 알림 티바트바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0 280 6
710122 일반 구글이 시장 장악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떠오름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9 201 1
710121 일반 O3 환각 왜 이러냐 [3] ㅇㅇ(220.65) 08:40 202 0
710120 일반 4.5도 수납했네 [1] ㅇㅇ(114.205) 08:37 202 0
710119 일반 챗지피티 3번째 버턴 뭔가요? 천재(59.4) 08:33 89 0
710117 일반 근데 2.5 프로 가격이 말이 되나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1 366 0
710116 일반 제미니 자꾸 현 대통령 바이든이라고 할때마다 개패고 싶네 ㅋㅋ [2] ㅇㅇ(211.62) 08:10 207 3
710115 일반 Ais 사용자 늘어난 거 걱정이긴하네 [2] ㅇㅇ(218.152) 08:03 258 0
710114 일반 Openai 영주권못받은개발자 중국인이네 [5] 탈조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0 326 2
710113 일반 갤럭시 이용자중 AI어시스턴트 GPT로 이용가능 [1] ㅇㅇ(1.240) 07:47 311 4
710112 일반 환각 더 심한걸 내놓고 3시간씩 안쓰면 뒤떨어진다는 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6 232 4
710111 일반 알트만, o3를 매일 3시간씩 쓰지 않으면 힘들 것 [9] 방울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690 3
710110 일반 Gpt 이성하고 심층 리서치랑 뭔 차이야? [1] ㅇㅇ(112.156) 07:14 81 0
710109 일반 법률 ai에 대한 챗지피티의 대답 ㅇㅇ(124.49) 07:03 123 0
뉴스 은지언니(이은지), 키모우이x톡스앤필 참석으로 빛난 자리! 디시트렌드 04.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