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툰의 FakeShadow를 이용하면 굳이 앞머리 매쉬를 추가할 필요 없이 다음과 같이 유사 앞머리 그림자를 만들 수 있다.


기반이 되는 기능 안내
https://lilxyzw.github.io/lilToon/index.html#/ja-jp/base/fakeshadow
https://lilxyzw.github.io/lilToon/index.html#/ja-jp/base/fakeshadow
릴툰 기술 페이지 보면 안내되어 있지만, 더 자세히 설명해봄.
일단 앞머리 매쉬에 적용되어 있는 머테리얼을 확인하여 찾은 뒤에, 복사해서 사본을 만들어준다.
그리고 복사한 머리테얼의 쉐이더를 liltoon FakeShadow 로 변경해준다.

그리고 앞머리 매쉬의 Skinned Mesh Renderer 설정에서 머테리얼 슬롯을 하나 추가해주고, 방금 만든 fakeshadow 머테리얼을 넣어준다.

그럼 이제 앞머리 머테리얼1(원본), 앞머리 머테리얼2(복사본,liltoon fakeshadow), 얼굴 매쉬에 적용된 얼굴 머테리얼
이렇게 세개의 머테리얼 설정을 만져줘야 한다.
먼저 원본 앞머리 머테리얼
스텐실 설정에서 다른거 건들거 없이 Pass 를 Replace로.
(Outline은 건들거 없음)

그리고 FakeShadow 머테리얼은 기존 앞머리 머테리얼을 복사했기 때문에,
메인 컬러에 들어가있는 텍스쳐는 지워주는걸 추천함.
그리고 그림자의 색상도 적당히 피부색에 맞춰서 컬러 찍어준다.
스텐실 설정에서 Ref 값은 51
Comp를 Equal로 설정.
그리고 렌더링 설정을 열고
Foward 접혀있는거 펴준 다음에
사진과 같이 SrcBlend RGB, DstBlend RGB 항목을
각각 Zero, SrcColor로 변경해준다.

다음으론 그림자가 지게 되는 얼굴 매쉬의 머테리얼 설정도 만져준다.
Ref 값 51,
Pass 를 Replace 로.

이렇게 기본 설정이 됐으면,
유사 그림자를 어떤 방향과 어느정도의 거리로 보이게 할건지를 만져주면 된다.
다시 FakeShadow 머테리얼로 돌아와서,
Base Setting 의 FakeShadow 쪽을 건드려주면 된다.

Vector는 빛의 방향을 연출해주는 설정에 가깝다(어느쪽으로 그림자가 지게 될 것인지).
Offset은 유사 그림자를 어느정도 이격해서 보이게 할건지(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건 앞머리와 얼굴 매쉬의 거리나 형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거라, 직접 테스트 해보면서 설정해야 한다.
그래도 너무 많이 어긋나는 수준은 아니니 대충 스크린샷 참조해서 해보길 바람.
그리고 이 단계에서 주의할 점으로는, Unity 상에서 보이는 그림자와 실제 VRC 안에서 VR로 볼때의 그림자의 위치, 방향, 깊이감이 제법 차이가 난다.
Unity 상에서 설정한것보다 더 과하게 보이는 경향이 있으니 그림자 위치와 깊이를 덜 튀어보이게 하는걸 추천한다.
직접 Unity에서 세팅하고 VR로 확인해보면 무슨 의미인지 쉽게 알 수 있을것임.
참고가 됐길 바래.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