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포된 게 군갤이니 여기다 질문한다
출처로 추정되는 과거 군갤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772712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895787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169071
인터넷을 보면 대숙청을 평가한다면서 KCI에 2019년에 게재된 논문을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해당 논문에서 다루는 피숙청 장교는 61명으로, 논문에서도 겨우 61명 가지고 대숙청 일반화하는 주장은 없는데 인터넷에만 있다. 특히 군갤)
논문의 다운로드 주소: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32754


(384-385)
이 논문에선 피숙청 사례가 군기문란이라고 주장하며 대표적인 또 다른 사례를 언급하고 있음. 여 각주의 출처는 Vladimir S. Mil'bakh의 2002년 논문이다.


Vladimir S. Mil'bakh의 영문 논문은 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가 있다.
PDF 다운로드 주소:
Repression in the 57th special corps (Mongolian people's republic)
Mil'bakh, Vladimir S.
Journal:The Journal of Slavic Military StudiesYear:2002 Language:English File:PDF, 1.75 MB
https://booksc.eu/book/55069617/77c6b6
Red army artillery in the armed conflict on the Khalkhin‐Gol river
Mil'bakh, Vladimir S.
Journal:The Journal of Slavic Military StudiesYear:2002 Language:English File:PDF, 534 KB
https://booksc.eu/book/32721958/a2112b
Political Repression of the Pacific Ocean Fleet Commanders and Chiefs in 1936–1939 1
Mil'bakh, Vladimir Spartakovich
Journal:The Journal of Slavic Military StudiesYear:2008 Language:English File:PDF, 337 KB
https://booksc.eu/book/35077772/458ef9
Activities of the Siberian Military District Command during the Mass Political Repression of 1937–1938
Mil'bakh, Vladimir S.
Journal:The Journal of Slavic Military StudiesYear:2012 Language:English File:PDF, 111 KB
https://booksc.eu/book/30757009/e95a95
Vladimir S. Mil'bakh 논문에서 설명하는 군기문란의 대부분은 대숙청 시기 군부 숙청 이후이며, 오히려 군부숙청 때문에 군대 체계 붕괴와 군기문란들이 발생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실제 논문과 전혀 다르게 인용한 건데 이에 대해 해당 KCI 논문에선 논문의 주장에 대해 언급, 반론을 하지 않고 있음.
그리고 2019년 KCI 논문은 "군부 숙청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의 주장": "전후 권력투쟁 시기 스탈린", "군부 엘리트였던 기병 지휘관이 자신들의 영향력 유지와 조직기반인 적군 기병을 보호할 목적", "기병 지휘관의 군사혁신에 대한 반대와 무지 그리고 개인 권력을 강화하고자 했던 스탈린"이라 설명했는데...
'전쟁 위기(안보 위기) 상황'과 '군기문제'(문란까지인지는 모르겠는데)과 대숙청 시기 군부 숙청 가해자들의 이유 (대숙청 원인 X, 군부숙청 원인X, 숙청 가해자들의 이유 O)라는 건 이미 Vladimir S. Mil'bakh 논문 2002년 논문부터 설명되어 있었다. 심각한 전쟁 위기와 안보 위기가 발생했는데 군기가 없고 의지가 없는 게 숙청의 이유 라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선 오히려 대숙청 때문에 체계가 더 붕괴되서 심각한 사고들과 군기문란, 군인범죄(약탈, 폭행, 강간미수 등)들이 대량으로 발생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 논문은 리처드 오버리도 2005년에 인용 했을 정도로 서구 학계에서 인지되는 논문임.


https://books.google.co.kr/books?id=32Vy2Fj4KFUC&pg=PA2002-IA14&dq=VS+Mil%27bakh&hl=ko&sa=X&ved=2ahUKEwjKyeD_sNb1AhXMyIsBHXkyAqMQ6AF6BAgJEAI#v=onepage&q=VS%20Mil'bakh&f=false
그런데 KCI 논문에서 "기존 연구"설명에서만 이 논문이 생략됐다. 언급, 반론 어느 것도 해당 논문에서 서술되지 않았다.
그뿐 아니라 해당 논문이 게재된 이후 "기존 연구"라고 인용되는 논문들의 년도가 끊겨있다.



(362-363)
"기존 연구"를 언급하고 반박하면서 17년전 게재된 Vladimir S. Mil'bakh 논문 언급이 전혀 없고, 당연히 해당 논문에 대한 반론도 없다.
그리고 언급되는 논문들의 년도가 Vladimir S. Mil'bakh 논문이 학계에 게재된 년도에서 딱히 1년 늦은 2003년까지만 되어있고 그 이후 년도가 끊겨있다.
위의 Vladimir S. Mil'bakh 논문을 통해 알 수 있는 건 스탈린 정 권의 군부 숙청 이유와 전쟁위기와 군기문제와 관련성은 이미 서구 역사학계에서 인지되는 사실이고, 위 KCI 논문에는 언급이 없고, 반론도 없다는 거임.
그리고 블류헤르가 몽골에서 약탈, 강간 방조했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그 출처를 알 수가 없음. KCI 논문이 인용한 Vladimir S. Mil'bakh의 2002년 논문에 의하면서 대숙청 시기 군부 숙청 이후 오히려 몽골에서 약탈, 폭행강도, 강간 미수 등이 발생했다고 설명하고 있음.(그리고 해당 KCI 논문에선 논문 내용에 이에 대해 언급이나 반론이 없다.)
요약
1. 군부 숙청의 이유에서 전쟁 위기(안보 위기), 군기 문제과 관련된 건 이미 서구학계에서도 알려진 사실이므로 전혀 새로운 사실이 아님에도 KCI 논문에서 해당 논문들에 대해 언급도 없고, "기존 연구"의 언급부분에도 알려진 시기 이후부터 년도가 끊겨있다.
2. '군부 숙청의 원인이 군기문란'이라고 KCI 논문이 인용한 Vladimir S. Mil'bakh의 2002년 논문은 오히려 '군부 숙청 때문에 대량의 사고와 군인 범죄(약탈, 폭행, 강간미수 등)'했다고 서술되어 있고, KCI 논문에선 이에 대해 언급이나 반론이 없음.
내 말 못 믿을 대붕이들은 직접 영문 논문 다운로드 받아서 원문 확인해봐라.
내가 궁금한 건
1. 왜 학계 동향에 대한 설명이 군갤글과 다른거임?
2. 블류헤르가 몽골에서 약탈, 강간 방조했다는 이야기 출처가 뭐임?
3. KCI 논문에서 다루는 피숙청 장교는 피숙청 장교는 61명인데 이게 왜 군갤에선 '대숙청'으로 일반화가 됨?
‘대숙청 수정주의’ 아치 게티의 논문에 의해서도 대숙청 기간중 사망한 386,798명은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테러”였고 “그들 중 대다수가 엘리트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이었고, 그들 대부분이 비난이나 조사를 통해서나 그들이 저지른 어떤 특정한 행위 때문에가 아니라 범주나 배경에 의해 선택”였고 “15개월 간 지역에서 무작위로 식별된 목표물에 대한 광범위한 학살”, “1937-38년의 쿨락 작전은 피비린내 나는 20세기의 주요 학살 중 하나”라고 평가했음
J. Arch Getty, "" Excesses are not permitted": Mass Terror and Stalinist Governance in the Late 1930s." The Russian Review vol.61, no.1 (2002), p. 113-114, 137.
피숙청 장교 61명이 대숙청으로 일반화 되는 근거가 뭐임?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