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한창이던 기원전 430년, 어느덧 40대 아재였던 소크라테스는
중장보병 시민 예비군으로서 소집되어, 아테네 원정군 중장보병 3천 명중 선발대 1천 명의 일원으로서
멋쟁이 도련님, 애제자 알키비아데스와 함께 포티다이아 원정에 참전했다.
["우리는 함께 포티다이아 전투에 나갔고, 한솥밥을 먹었습니다.
이 전투에 대해 우선 말할 것은, 어려움을 견뎌낸다는 점에서 소크라테스 선생님은 나보다 뛰어나실 뿐만 아니라
군대 전체에서 선생님을 당할 자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알키비아데스, 플라톤의 "향연" 中"]
플라톤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포티다이아 전역에서 아테네군이 기습공격을 당했을 때
아직 애송이였던 알키비아데스는 (아마도 그가 명문가 도련님임을 과시하는,
금과 상아로 장식되어 번쩍이는 갑옷 때문에 적들의 다굴 표적이 되어) 부상을 입고 쓰러지고 말았다.
하지만 다행히도 알키비아데스 바로 곁에서 소크라테스가 함께 싸우고 있었다.
["내가 목숨을 건진 것은 전적으로 소크라테스 선생님 덕분이었습니다.
내가 부상을 당했을 때, 선생님은 내 곁을 떠나지 않고 나를 지켜주셨고, 나와 나의 무기를 구해 주셨습니다."]
즉 소크라테스는 기습공격으로 혼란스러워 각자 자기 몸을 돌보기도 급급한 상황에서
부상당해 쓰러진 제자를, 레어템을 노리고 개떼같이 달려드는 적들로부터 지켜냈으며
그 북새통에서 끌고 나와 구해낸 것이다.
고로 우리는 여기서 당시의 소크라테스가 20kg의 청동갑옷을 입은 상태로,
10kg의 청동방패를 한손에 들어 적"들"의 창을 막아내면서,
갑옷 무게까지 합쳐 최소 70~80kg였을 제자를 나머지 한 손으로 끌어낸 괴력의 소유자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나는 그 때 장군들에게 선생님께 무공훈장을 수여할 것을 건의했습니다.
그러나 장군들은 나의 가문 때문에 나에게 호의를 베풀었고,
무엇보다 선생님이 아닌 내가 포상을 받아야 한다는 선생님 자신의 의지가 장군들을 오히려 압도할 정도였습니다."]
포티다이아 연합군 전사 300명, 아테네군 전사 150명의 역전승으로 전투가 끝난 후
새 갑옷 한 벌과 금관을 상으로 받은 것은 석공의 아들 소크라테스가 아닌 귀족 도련님 알키비아데스였다.
그러나 다름아닌 소크라테스 본인이, 내가 아니라 내 제자가 상을 받아야 한다고 누구보다 우겼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 황문수 역 "소크라테스의 변명",
베터니 휴즈 저 "아테네의 변명" 에서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