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소야 프로듀서 : TV 도쿄의 애니메이션 편성 담당자
1) 타츠키 강판 사태 당시 협상에 들어갔다고 발표를 했었으나, 사실 동시각에 인맥빨로 현 제작진을 소집함.
2) 인세 미지급 건이 폭로되자 바로 타츠키에게 문제가 있는 것처럼 언플을 시작, 완전 갈라서게 됨.
3) 짭켚 방영 중에는 몇몇 에피소드를 스스로 나서서 홍보하기도 했지만(6화, 9화) 모두 역효과.
4) 탗켚 팬들을 도발하는 트윗을 날려 TV 도쿄 소셜미디어 이용정책에 위반된다는 주장까지 제기됨.
5) 11화 이후 짭켚의 침몰이 사실상 확정되자 유체이탈 화법을 쓰며 꼬리를 자르려는 듯한 행보를 보임.
키무라 총감독 : 짭켚 프로젝트의 총지휘자
1) 방영 시작도 전에 감독 따윈 아무나 해도 된다는 무성실한 발언으로 비난을 받음.
2) 방영 도중 수차례에 걸쳐 직접 팬덤과 키배를 떴으며, 심지어 마지막화 방영 직전에도 사고를 침.
3) 마스모토의 인터뷰에 따르면 가방을 짭켚에 넣자고 한 것은 키무라였으나, 정작 가방은 완전 캐릭터성이 붕괴됨.
4) 사토 조감독의 트윗이 발굴되면서 짭켚의 스토리와 작화 붕괴는 감독의 검수가 없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생김.
5) 탗켚 이후의 이야기는 모른다고 충격고백하면서 '높으신 분'이 알아서 만들어주실 거라는 발언을 던짐.
미네 컨셉 디자이너 : 켚 IP의 원작자. 실제 업무 범위는 불명
1) 타츠키 강판 사태 당시 미네가 타츠키를 질투했다는 찌라시가 돌면서 미네 흑막설이 제기됨.
(이후 같은 소리를 호소야도 반복했으나 언플 취급됨.)
2) 구체적인 업무 범위가 불명이었으나, 탗켚 시절 짭켚과 비슷한 분위기의 각본을 냈던 것이 밝혀져 의심이 증폭됨.
3) 위 각본 발굴과 맞물려 탗켚 방영 시절 자신이 소외되었다며 타츠키를 겨냥한 듯한 트윗이 재조명됨.
4) 타츠키 강판 이후 한동안 총감독이라는 직함을 공공연히 달고 다녔던 적도 있음.
5) 짭켚이 니코동 워스트를 찍은 이후, 원작자가 작품이 이 지경이 되도록 침묵하는 건 무책임하다는 비난이 가중됨.
마스모토 총각본 : 원피스, 좀비랜드사가 등 참가. 개그맨 및 라노벨 작가 겸임
1) 짭켚의 침몰 원인 중 하나가 노잼에 전작 능욕하기 바쁜 스토리라는 점 때문에 마스모토의 비난 여론도 가열됨.
(하지만 각본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큰 위 3명에 비하면 아랫사람에 속하는지라 구체적인 책임 범위는 불명)
2) 고의성에 다소 논란은 있지만, 짭켚의 상층부가 문제고 자긴 억울하다는 것을 은유한 듯한 라노벨을 출간함.
3) 가방이 등장했던 6화가 역효과를 낸 미묘한 타이밍에 가방 등장은 키무라의 아이디어였다는 인터뷰를 함.
누마다 프로듀서 : 애니제작사 토마손의 2대째 사장
1) 본인 인터뷰에 따르면 짭켚 일을 받아왔을 당시 직원들이 전원 반대했으나 결국 제작을 시작했다고 함.
(익명의 고발에 따르면 이 때의 갈등으로 3D 작화감독 1명은 사퇴, 여러 직원은 정신적으로 앓았다고 함.)
2) 12화 방영 직후 '호랑이는 제작진의 사랑을 받지 못했군요?'라는 트윗에 좋아요를 눌러 다소 논란이 됨.
3) 제작 갈등과 별개로, 상영회 같은 이벤트마다 과도하게 자기 어필을 하려 해서 팬들의 반감을 사기도 함.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