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은 2009년부터 한국에서 사용이 전면 금지됨
과거 한국은 석면 사용에 대한 별다른 기준치 규제도 없었던 시절이 있었으며
지하철 역사내에도 석면이 무분별하게 사용됐는데
특히 과거에 공기청정 시설이 미비하던 시절에
환기도 안되던 지하내에서 석면 노출은 상당히 문제시 되었고
언론에서도 여러번 문제점으로 다룬점이 있음
석면 건물 철거나 공사시에도 지금과 달리 어떠한 규제나 절차가 없었기에
마구잡이로 뜯어내거나 부수는게 패시브였으며
이는 지하철 역사내에서도 마찬가지였음







2001년과 2004년에 한번 대대적으로 서울 지하철 석면 실태 조사에 들어갔던적이 있는데
특히 2호선을 중심으로 대다수의 역에서 석면이 검출되었고
일부 역들은 석면중에서도 위해도가 심각한 청석면(크로사이돌라이트). 갈석면(아모사이트). 트레몰라이트가 검출되어서 파장을 일으킨적이 있음









서울메트로는 2007년부터 석면 지도를 작성했으며 지하철 석면 역사에서 석면을 단계적으로 철거한다고 발표







그러나 석면 철거가 시작된 이후에도 뇌물 수수 발각. 부실공사. 날림공사. 공사 미고지. 공사 후 석면 잔재물 검출 등 온갖 잡음이 끊이질 않았음
그럼 현재의 규정대로 석면 철거가 시작된지 13-15년이 지난 현재의 상황은 어떨까?
자료 참고: 환경부 석면관리 종합정보망
볼드체-석면이 확실히 존재
검은 볼드체- 석면이 남아있으나 승객에게 영향은 비교적 적음
주황 볼드체- 일반 승객이 지나가는 공간에 석면이 존재
빨강 볼드체- 꽤나 위험
<서울 1호선>
청량리역? -정보 X


청량리역이 석면 건축물 목록에 뜨지만
위해성평가에서 정보가 나오지 않는다.
이 환경부 석면관리 종합정보망은 느리지만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하고 있으며
석면 철거가 완료된 건물들은 목록에서 누락시키고 있다.
석면이 남아있다면 위해성정보가 나와있기 마련인데
하지만 목록에 있음에도 위해성평가 정보가 나오지 않는 건물들이 있다.
이런 건물들은 석면이 철거됐는데도 업데이트가 안돼서 남아있는건지 정확히 사정을 알수가 없다.
정확한건 환경부나 서울교통공사에 문의해야 할듯
<서울 2호선>

서울 2호선은 4역이 목록에 뜬다. 성수역. 충정로역. 삼성역 / 아현역-추가
2호선은 2000년대 서울 지하철 석면 실태 조사에서 가장 석면 오염이 심각했던 노선이다.
성수역? -정보 X

성수역도 청량리역과 마찬가지다. 위해성 평가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PC웹으로 보면 조사일자가 2008년으로 나와 혹시 석면 철거가 완료됐는데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건가라고도 생각해봤는데
이 사이트는 석면 철거가 완료되면 목록에서 누락시키기 마련이다.
예를들어 부실공사 논란이 여러번 터졌지만 최근에 석면 철거가 완료된 2호선 시청역의 경우에도 목록에서 누락되었다.
따라서 정확한 사정이 뭔지 궁금하다.
지금부터 청량리역.성수역처럼 목록에는 남아있으나 위해성 평가 정보가 없는 역은 그냥 역이름뒤에 물음표를 붙이는걸로 간략하겠다.
충정로역-?
삼성역

삼성역은 보다시피 위해성평가 정보가 남아있고 이런 역들은 확실히 석면 철거가 완료되지 않고 석면이 남아있는 역인걸 나타낸다
보통 엥간하면 환경부에선 석면 위해성 등급에 낮음을 메기기 마련인데
중간이라는 말은 상당히 상태가 심각하다는걸 의미한다.
보통 석면이 깨지거나 파손되어 비산되고 있거나 천장에 석면을 말그대로 뿜칠 분무된 상태에나 메기는 등급이기 때문
과거 시청역도 석면 철거전에 천장이 뿜칠돼있었고 위해성 등급에도 중간 이상으로 분류되었던걸로 기억함.

찾아봤더니 위해도가 심각한 트레몰라이트 석면이 천장에 그대로 뿜칠 분무된 상태로 남아있는것 같다.
위에 위해성평가 정보에도 천장에 분무재로 분류되어 있는걸 보면

뿜칠 분무란 말그대로 석면을 통으로 천장에다가 뿜칠한 상태인데 석면중에서도 가장 비산이 쉽고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니 위험할 수 밖에 없다. 철거도 가장 까다롭고.
주로 옛날에 건설된 지하 주차장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과거 지하철에도 많이 사용된듯
더군다나 이게 위치가 승강장이니까 흠좀무
아현역

<서울 3호선>

3호선은 13개 역들이 목록에 뜬다.
경복궁역.안국역.종로3가역.교대역.남부터미널역.잠원역 / 구파발역.녹번역.무악재역.홍제역.독립문역.동대입구역.금호역 -추가
경복궁역

꽤나 많은 석면 공간들이 남아있다. 다만 삼성역처럼 뿜칠은 없음
종로3가역

교대역

교대역도 삼성역과 마찬가지로 승강장에 석면 뿜칠이 그대로 남아있어서 상태가 좀 많이 안좋다.
남부터미널역

남부터미널역은 특히 지하상가에 석면이 아주 많이 남아 있다.
구파발역

녹번역

안국역.잠원역.무악재역.홍제역.독립문역.동대입구역.금호역-?
<서울 4호선>

4호선은 6개 역이 목록에 뜬다. 신용산역. 이촌역. 쌍문역. 서울역 / 노원역.한성대입구역 (추가)
쌍문역

이런 시설들은 그래도 역 직원들에게는 영향이 있을 수 있어도 일반 승객들에게는 비교적 영향이 적다
한성대입구역

신용산역.이촌역.서울역.노원역-?
<서울 5호선>

5호선은 무려 15개 역들이 목록에 뜬다.
군자역.애오개역.발산역.김포공항역.거여역.개롱역.오금역.방이역.올림픽공원역.여의도역.청구역.강동역.길동역.고덕역.상일동역
군자역

애오개역.발산역.김포공항역.거여역.개롱역.오금역.방이역.올림픽공원역.여의도역.청구역.강동역.길동역.고덕역.상일동역-?
하지만 나머지 14개 역들은 전부 정보가 없다. 진짜 귀찮아서 업데이트를 안한건가?
<서울 6호선>
없다. 전부 철거 완료 (아니면 비교적 늦게 개통됐기 때문에 건설 단계부터 석면이 사용 안된걸수도)
<서울 7호선>

7호선은 7개 역이 목록에 뜬다. 건대입구역.군자역.어린이대공원역.논현역.고속터미널역.장승배기역 / 노원역 (추가)
건대입구역

군자역(7호선)

5호선과 마찬가지로 7호선 군자역에도 석면이 남아 있음
어린이대공원역

논현역.고속터미널역.장승배기역.노원역-?
<서울 8호선>

8호선 역 7개 - 잠실역.복정역.가락시장역.석촌역.몽촌토성역.모란역.천호역
잠실역.복정역.가락시장역.석촌역.몽촌토성역.모란역.천호역-?
하지만 전부 위해성평가 정보가 없다
<서울 9호선>
석면이 금지된 이후 건설되었으므로 해당사항 X
<수도권 전철>
부평역


민자역사 내에 석면이 존재한다
천안역.부천역은 역과 연결된 지하상가가 석면 건축물





<분당선>
석면 철거 완료
다만 야탑역 환승주차장이 석면 건축물 목록에 있는데 위해성정보 평가가 없다.
<과천선>
석면 철거 완료
<일산선>
석면 철거 완료
<인천 도시철도>
석면 철거 완료. 부평역은 위에 수도권 전철 참고
<부산 도시철도>
석면 철거 완료. 불과 최근까지 서면역.범내골역이 부산 최후의 석면 역사였으나 최근 5년 내에 철거 끝난듯?
<대구 도시철도>
석면 사용 X. 대구 1호선은 석면 사용이 한창이던 1997년에 건설되었지만 대구교통공사에서는 대구 도시철도가 건설 단계부터 석면 자재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사항이 없다고 발표
다만 대구역은 역과 연결된 지하상가에 석면이 존재

<광주 도시철도>
석면 사용 X
<대전 도시철도>
석면 사용 X. 광주와 대전 도철은 석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