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만인부처, 만민평등이 불교 교리의 핵심

운영자 2008.11.03 13:17:22
조회 1102 추천 2 댓글 3


  거듭 강조하거니와 불교 교리의 핵심은 인간은 누구나 다 부처님이라는 데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해 만민은 평등하다는 얘기이고 인간이 인간을 지배하고 수탈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특히 불교에서는 기독교보다 한술 더 떠 인간뿐만 아니라 일체의 동물과 식물, 나아가 진딧물이나 아메바 등에 이르기까지도 다불성(彿性)을 지닌 평등체라고 주장한다.


  이 말은 물론 절대로 살생(殺生)을 하지 말라는 교리와 연계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인간은 누구나 다 평등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서 일종의 방편으로 제시한 교리라고도 볼 수 있다. 살생을 않고 살아가기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동물을 잡아먹지 않고 채식만 한다고 해도 식물 역시 같은 생명체이기 때문에 죽이는 건 마찬가지다.


  석가 역시 예수가 유태교에 회의를 품은 것과 마찬가지로 인도의 전통 종교인 힌두교에 회의를 품는 것으로 그의 종교활동을 시작했다. 따라서 인도 고유의 계급차별 제도인 카스트 제도가 불교에서 용납될 수 없었고,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는 사상이 불교 교리의 기초를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대 전제하에서 불교는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의 방법을 찾고 있는 것이다.


  불교가 내세중심적인 종교나 형이상학 위주의 종교가 아니라는 사실은 석가가 말한 ‘독(毒) 화살의 비유’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독이 묻은 화살을 맞아 죽어가는 사람이 있다고 할 때, 그 화살이 어디서 날아왔는가, 화살의 정체가 무엇인가 따위를 따지고 앉아 있다 보면 그 사람은 죽어버리고 만다. 그러니 우선 그 독화살을 뽑아 사람을 살릴 방도부터 찾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이 석가의 가르침이다. 그러므로 불교는 겉으로 보면 다분히 사변적인 모습을 띠고 있지만, 그 본질은 어디까지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실천의 종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석가는 인간의 불행은 일단 ‘욕망’으로부터 온다고 보았다. 그가 해탈 후 첫 설법에서 말했다고 전해지는 ‘네 가지의 고귀한 진리(四聖諦,)’는 “인생은 고통이다”(苦諦), “고통의 원인은 집착과 욕심이다”(集諦), “고통은 집착의 소멸과 더불어 멎는다”(滅諦), “집착을 없애려면 바르게 사는 법을 닦아야 한다”(道諦)인데, 그는 욕심을 없애는 방법으로 8정도(八正道)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8정도의 세세한 항목보다 중요한 것은 그것들을 꿰뚫는 대자비(大慈悲)의 정신이요, 대자비의 정신은 ‘인간은 모두다 존귀하다는 진리’를 깨달은 연후라야 가능한 것이다. 모든 사특한 욕망은 타인의 존재가치를 폄하했을 때만 그 몰염치한 추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석가는 시종일관 중생이 다 부처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가 말한 고제(苦諦)는 우리의 실존 그 자체가 실제로 고통으로만 가득 차 있다는 비관주의적이고 염세적인 사고방식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낙관적이고 휴머니즘적인 사고방식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사상과도 통하는 것인데, 그는 인간이 처한 절망적 한계상황에 대한 철저한 자각이 이루어진 뒤에라야 비로소 그것을 헤쳐나갈 용기가 생겨난다고 말했다. 그래서 사르트르는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라는 책을 썼던 것이고, 절대적 고통(즉 한계상황)에 대한 자각 끝에 진짜 ‘희망’이 생겨날 수 있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불교의 진리를 깨닫는 데 있어 필수적 선결요건인 ‘고통의 자각’이란 것은, 인간이 마땅히 누릴 수 있는 지상낙원(즉 彿國士)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확신과 구체적 실천을 고무하기 위한 변증론적 설득의 첫 번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생이 고통스럽지 않다고 보는 막연한 낙관론은, 혁명적 사고방식과 그에 따른 구체적 실천에 지장을 초래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누구나 다 부처이므로 완전한 자유를 소유하고 있다. 그런데 왜 인간은 고통을 느끼며 비극적인 일생을 살아야만 하는가? 석가의 주장대로라면, 그것은 인간이 스스로의 불성(彿性)에 눈을 감고 있기 때문이다. 불성(彿性)은 흔히 불광(彿光)으로 비유되어지는데, 빛에 대하여 눈을 감으면 암흑이 저절로 생가나듯이, 원융무애하고 자유자재로운 나의 실상(實相)에 대하여 눈을 감으면 자연히 고통이 생겨나는 것이다. 즉, 고통은 외부에서 인간에게 숙명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스스로 자기의 실상에 대해 마음의 눈을 감았을 때 그 마음의 눈 속에서 생겨난다. 말하자면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원리다.

>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SNS로 싸우면 절대 안 질 것 같은 고집 있는 스타는? 운영자 24/05/06 - -
55 퇴폐도 약이다 [6] 운영자 08.12.29 1823 1
54 깨진 그릇이 오래 가는 이유 [3] 운영자 08.12.24 1374 4
53 본능적, 비교훈적 예술작품을 통해 운명 극복해야 [3] 운영자 08.12.23 582 1
52 ‘인공적 길몽’을 통한 카타르시스는 운명을 창조한다’ [2] 운영자 08.12.22 519 1
51 도덕주의의 한계를 못 뛰어넘은 프로이트 [4] 운영자 08.12.19 868 1
50 윤리적, 도덕적 가치관의 개입 불허하는 꿈속 행위 [2] 운영자 08.12.17 648 1
49 극단적으로 이기적인 꿈만이 길몽 [2] 운영자 08.12.15 682 1
48 적당히 퇴페해야 행복해진다 [2] 운영자 08.12.12 1392 1
47 불행한 운명의 근본적 치유책은 가족관계로부터의 탈출 [3] 운영자 08.12.08 1376 5
46 불행한 결혼의 원인 역시 성장기 때 가족간의 갈등 [3] 운영자 08.12.05 1291 1
45 개천이라야 용 난다 [8] 운영자 08.12.04 1630 5
44 존속살해, 근친성교, 식인풍습의 원형적 기억 [13] 운영자 08.12.03 2708 1
43 ‘효’의 진정한 의미 [2] 운영자 08.12.02 1283 2
42 부친(모친)고착 심리의 필연적 파생물인 ‘운명’ [4] 운영자 08.12.01 997 3
41 전혜린이 죽음을 선택한 이유 [2] 운영자 08.11.28 2162 5
40 모든 애증병존 심리의 뿌리는 가족관계에서부터 [2] 운영자 08.11.27 1373 3
39 가족관계의 굴레로부터 탈출해야 운명을 이긴다 [4] 운영자 08.11.26 1270 4
38 인간은 그가 상상하는 상태대로 존재한다 [3] 운영자 08.11.25 1067 4
37 성적 쾌락에 적극적일 것을 강조한 도교 [7] 운영자 08.11.24 1493 3
36 상상력을 적극 활용, 운명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도교 [2] 운영자 08.11.21 722 3
35 현세적 쾌락을 궁극적 목표로 설정한 도교사상 [4] 운영자 08.11.20 945 3
34 ‘남녀칠세부동석’과 ‘군사부일체’의 허구성 [11] 운영자 08.11.19 1301 2
33 역사의 무게에 짓눌리면 나라 발전 늦다 [11] 운영자 08.11.18 739 1
32 공자 역사관의 치명적 결함은 과거지향적 가치관 [9] 운영자 08.11.17 860 0
31 운명적 결정론에 근거한 유교의 계급차별의식 [4] 운영자 08.11.14 848 0
30 두 얼굴을 가진 ‘논어’ [13] 운영자 08.11.13 1282 1
29 체념적 사고 만든 유교의 ‘천명’, 삶의 즐거움 준 도교의 ‘상상’ [2] 운영자 08.11.12 544 3
28 ‘홀로서기 정신이 참된 운명극복의 비결 [5] 운영자 08.11.11 977 0
27 출가와 탈가족주의의 의미 [4] 운영자 08.11.10 851 2
26 진솔한 본성에 눈떠 순수한 욕망에 정직해져야 [2] 운영자 08.11.07 728 1
25 임제 선사의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 [7] 운영자 08.11.06 1790 1
24 무명을 없애는 것이 업(業)을 이기는 길 [3] 운영자 08.11.05 786 0
23 깨달음이 육체적 고통으로부터 온다는 것은 환상이다 [4] 운영자 08.11.04 915 2
만인부처, 만민평등이 불교 교리의 핵심 [3] 운영자 08.11.03 1102 2
21 지배계급의 통치수단으로 전락한 종교의 비극 [4] 운영자 08.10.31 731 0
20 석가는 육체를 긍정함으로써 업(業)을 이기고 중도(中道)를 얻었다 [6] 운영자 08.10.30 1057 1
19 아이들처럼 솔직하지 못하면 천국 못 간다 [6] 운영자 08.10.29 949 2
18 이기적 욕망은 당당하게 성취되어야 한다 [5] 운영자 08.10.28 1099 1
17 가식 없는 사랑은 운명을 콘트롤한다. [4] 운영자 08.10.27 1016 1
16 원초적 사랑의 욕구 은폐하면 불행 [6] 운영자 08.10.24 1510 1
15 ‘내 탓이오’ 강조하면 죄의식만 커져 [8] 운영자 08.10.23 1240 1
14 예수 생각의 핵심은 ‘죄의식으로부터의 해방’ [5] 운영자 08.10.22 1051 1
13 ‘최후의 심판’은 로마의 멸망 꿈꾼 것 [7] 운영자 08.10.21 1007 0
12 예수는 인간의 노력에 따른 운명개척 가능성 시사 [7] 운영자 08.10.20 912 0
11 ‘욥기’에 나타난 유태민족의 운명관 [5] 운영자 08.10.17 1082 1
10 예수는 유일신에 의한 운명결정론을 거부했다 [12] 운영자 08.10.16 1625 1
9 운명론의 본질은 도덕적 금욕주의 [18] 운영자 08.10.15 1613 3
8 순자의 제천론(制天論)은 천인합일 사상 깨는 일대 혁명 [20] 운영자 08.10.14 1810 2
7 모든 행, 불행은 능동적으로 조절 될 수 있다 [16] 운영자 08.10.13 1487 2
6 ‘운명적 체념’ 처방은 왜 불합리 한가 [44] 운영자 08.10.10 3665 1
12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