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1872-1970) 저, 서상복 역, 《러셀 서양철학사History of Western Philosophy》(을유문화사, 2009)는 서양철학 입문서로는 몹시 부적절합니다. 저자인 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 혼자만의 특유한 관점을 매우 많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한글로 씐 알맞은 개론서가 없는 탓에 강단의 제 전문가만 해당 원서를 읽으며 우물 안에서 열심히 잘난 척하는 개탄스러운 현실입니다만, 그나마 현재 국내에 출간된 서양철학 입문서로는 Curt Friedlein 저, 《서양철학사Geschichte der Philosophie》(서광사)가 정도에 알맞습니다. 2011/01/22
●서양철학사는 독서 목적에 따라 책 선택이 다릅니다. Johannes Hirschberger 저, 강성위 역, 《서양철학사 상, 하》(이문출판사)는 철학 석사 학위 과정 이상에 다니는 학생이 읽는 책입니다. 책 자체의 난이도는 차치하고 서양철학 비전공자에게 불필요합니다. 그러나 서양철학 전공자라면, Johannes Hirschberger(1900-1990) 저, 강성위 역, 《서양철학사 상, 하》(이문출판사)뿐만 아니라 Sterling Power Lamprecht(1890-1973) 저, 김태길·윤명로 역, 《서양철학사Our Philosophical Traditions≫ (을유문화사), Samuel Enoch Stumpf(1918–1998) 저, 이광래 역, 《서양철학사》(집문당), 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1872-1970) 저, 서상복 역, 《러셀 서양철학사History of Western Philosophy》(을유문화사, 2009), 전 9권인 Frederick Charles Copleston(1907-1994) 저, 《A History of Philosophy》(vols. 1-9. IMAGE BOOKS 1993-1994) 등을 모두 다 읽어야 합니다. 이걸 전부 읽고 나면 시대별 철학사 책을 다시 읽어야 합니다. 예컨대, Étienne Henry Gilson(1884-1978) 저, 《중세 철학 입문》(서광사),William Keith Chambers Guthrie(1906–1981) 저, 박종현 역, 《희랍 철학 입문The Greek Philosophers》(서광사), Joseph M. Bochenski(1902-1995), 《현대 철학》 등을 전부 읽어야 합니다. 질문자인 푸른꽃 님이 이 책을 모두 읽어야 할 처지에 놓인 분이 아니라면, 즉 비전공자이지만 서양철학사에 관심을 둔 분이라면, Curt Friedlein 저, 《서양철학사Geschichte der Philosophie》(서광사)를 여러 번 읽으면 됩니다. 참고로, Curt Friedlein 저, 《서양철학사Geschichte der Philosophie》(서광사)와 더불어 William Leonard Langer 저, 박상익 역《호메로스에서 돈키호테까지》(푸른역사, 2001)·《뉴턴에서 조지 오웰까지》(푸른역사, 2004)와 로버트 러너 外 저, 《서양문명의 역사 상, 하》(소나무, 2007)를 함께 여러 번 읽으면 좋습니다. 그 외, 서양철학사에 국한하지 않고 이슬람 철학·인도 철학까지 널리 받아들여 모두 포함한 철학 입문서로는 로버트 솔로몬·캐슬린 히긴스 저, 박창호 역, 《세상의 모든 철학》(이론과실천, 2007)이 있습니다.
[단테 신곡]
●국역본 - Dante Alighieri 저, 한형곤 역주, 《신곡》(서해문집, 2005).
Dante Alighieri 저, 김운찬 역주, 《신곡(지옥)》·《신곡(연옥)》·《신곡(천국)》(열린책들, 2009).
●원전 - Dante Alighieri 저, POLACCO L. 편, 《LA DIVINA COMMEDIA》(HOEPI, 1989): 문헌학자·문학비평가·작가이며, Dante Alighieri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Giuseppe Vandelli의 서문과 주석, 이태리 단테 학회 중요 text.
●부연 - 고전을 읽을 때 초심자가 접하는 가장 심각한 오류가 있습니다. 전문 연구자의 text 해석이 독자를 압도해 버린 나머지, 독자가 다르게 해석하고 이해할 가능성을 원천봉쇄합니다. 각자 견해가 있으면서도 독자는 전문 연구자의 해석을 구관조처럼 따라합니다. 이 경향을 극복하는 방법은 text의 여러 다른 번역판을 참조하면서 거기에 실린 역주와 해제를 읽는 것입니다. 이 역주와 해제는 고전 정신에 입각해 작성하므로 설사 편견이 담겼더라도 다른 역주와 해제를 읽으면서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신곡》의 국역본으로 정평이 난 한형곤 역주, 《신곡》(서해문집, 2005)과 김운찬 역주, 《신곡》(전 3권)(열린책들, 2009) 두 권 모두 구매하여 서로 참조해서 여러 번 낭독하면서 유용한 참고 도서를 살펴서 때때로 도움을 얻으면 됩니다.
※ 주지하다시피, 《신곡》은 산문인 소설이 아니라 운문인 시.
●영역본 - Robert HolanderㆍJean Holander 역주, 《Inferno》ㆍ《Purgatorio》ㆍ《Paradiso》(Random House):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사십 년간 《신곡》을 강의한 Robert Hollander 교수와 시인인 그의 부인 Jean Hollander가 함께 주석하고 번역한 이태리어·영어 대역본으로서 압도적 주석과 풍부한 해설로 《신곡》 영역본의 결정판 (http://etcweb.princeton.edu/dante/pdp/).
Allen Mandelbaum 역, 《The Divine Comedy》(Random House, 1995): 이태리 문학 교수이자 번역가이며 시인인 Allen Mandelbaum의 두드러지게 뛰어나고 멋스러운《신곡》영역본.
Henry Wadsworth Longfellow 역, 《The Divine Comedy》: Henry Wadsworth Longfellow(1807–1882)가 고어체로 번역한 《신곡》 영역본 (www.gutenberg.org).
Anthony M. Esolen 역, 《Inferno》·《Puragtory》·《Paradise》(Random House, 2003): Anthony M. Esolen의 번역, Paul Gustave Doré(1832–1883)의 삽화 수록, 신실한 기독교도가 선호할 번역, 주석에서 기독교 도덕을 노골로 표출, 동성애 비판 등 논쟁 가능성이 농후한 주석, 번역의 질이 매우 좋다고 정평이 난 이태리어·영어 대역본. Robert Pinsky(1940-)의 뛰어난 이태리어·영어 대역본, 지옥편.
William Stanley Merwin(New York City, September 30, 1927) 《Purgatorio: A New Verse Translation》(Knopf, 2001): 시인인 William Stanley Merwin(1927-)의 훌륭한 영역본, 연옥편.
●《신곡》 읽는 데 유용한 참고 도서 - 《성서》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1770–1831) 저, 정대성 역, 《청년 헤곌의 신학론집》(인간사랑).
Richard Warrington Baldwin Lewis(1917-2002) 저, 윤희기 역,《단테》(푸른숲).
Anicius Manlius Severinus Boëthius, commonly called Boethius(ca. 480–524 or 525) 저, 정의채 역, 《철학의 위안》(성바오로출판사).
John Westerdale Bowker(1935-) 저, 이종인 역,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성서》(시공사).
Peter Seewald 저, 이기숙 역, 최현식 감수, 《가톨릭에 관한 상식 사전》(보누스).
Jorge Francisco Isidoro Luis Borges Acevedo, 송병선 역, 《칠일 밤》(현대문학).
금도 우신(이마미치 토모노부) 저, 이영미 역, 《단테 신곡 강의ダンテ『신곡』강의》(안티쿠스).
Willis Barnstone,《숨겨진 성서The Other Bible 1》(문학수첩 : 총 삼권 중 제 일권에서 〈에녹의 책〉·〈에녹의 비밀의 책〉부분 참고.
Dante Alighieri 저, Robert HolanderㆍJean Holander 역註, 《Inferno》ㆍ《Purgatorio》ㆍ《Paradiso》(Random House).
Richard Lansing 편집, 《The Dante Encyclopedia》(Routledge, 2000): 2000년에는 사십이만오천 원 hardcover로 출간됐던 이 책이 작년에는 USD 56.70에 paperback으로 출간. 2011/01/23
[좋아하는 출판사]
정음사
[인생의 안목, 넓은시야]
●인생에 관하여: 김산해 저, 《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휴머니스트). 호메로스 저, 천병희 역, 《오뒷세이아》(도서출판 숲).
헤르만 헤세 저, 차경아 역, 《싯타르타》(문예출판사).
윌리엄 셰익스피어 저, 김정환 역, 《맥베스》(아침이슬).
미겔 데 세르반테스 저, 민용태 역, 《돈 끼호떼 1, 2》(창비).
에우리피데스 저, 천병희 역, 《메데이아》(도서출판 숲).
B. 파스칼 저, 하동훈 역, 《팡세》(문예출판사).
허먼 멜빌 저, 김석희 역, 모리스 포미에 화, 《모비 딕》(작가정신).
쇠얀 키에르케고어 저, 임춘갑 역, 《죽음에 이르는 병》(다산글방).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저, 이인웅 역, 《파우스트 1, 2》(문학동네).
프란츠 카프카 저, 오용록 역, 《성》(솔출판사).
도스토예프스키 저, 이동현 역, 《지하생활자의 수기》(문예출판사).
구약성서》 中 〈욥기〉. 홍정식 역, 《반야심경》(동서문화동판). 2011/01/22
●교양을 위한 양서: 서중석 저,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웅진지식하우스, 2005),
서중석 저, 《지배자의 국가, 민중의 나라》(돌베개, 2010).
리영희 저, 《전환시대의 논리》(창비, 1990).
최장집 저,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후마니타스, 2010).
서준식 저, 《서중식 옥중서한》(노사과연, 2008).
리오 휴버먼 저, 장상환 역,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책벌레, 2000).
하워드 진 저, 유강은 역,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이후, 2002).
칼 폴라니 저, 홍기빈 역, 《거대한 전환》(길, 2009).
로버트 러너 외 저, 박상익(上)·손세호(下) 역, 《서양문명의 역사 상, 하》(소나무, 2007).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역, 《논어》(이산, 2001).
강유원 저, 《인문 고전 강의》(라티오, 2010).
존 스탠리 저, 이창희·이용숙 역, 《천년의 음악 여행》(예경, 2008).
오주석 저, 《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솔출판사, 2005).
곰브리치 저, 백승길·이종숭 역, 《서양미술사》(예경, 2003).
로버트 솔로몬·캐슬린 히긴스 저, 박창호 역, 《세상의 모든 철학》(이론과실천, 2007).
[인생지침서]
●대학생 권장 도서: 서중석 저,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웅진지식하우스, 2005),
서중석 저, 《지배자의 국가, 민중의 나라》(돌베개, 2010).
리영희 저, 《전환시대의 논리》(창비, 1990).
최장집 저,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후마니타스, 2010).
서준식 저, 《서중식 옥중서한》(노사과연, 2008).
리오 휴버먼 저, 장상환 역,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책벌레, 2000).
하워드 진 저, 유강은 역,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이후, 2002).
칼 폴라니 저, 홍기빈 역, 《거대한 전환》(길, 2009).
로버트 러너 외 저, 박상익(上)·손세호(下) 역, 《서양문명의 역사 상, 하》(소나무, 2007).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역, 《논어》(이산, 2001).
강유원 저, 《인문 고전 강의》(라티오, 2010).
존 스탠리 저, 이창희·이용숙 역, 《천년의 음악 여행》(예경, 2008).
오주석 저, 《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솔출판사, 2005).
곰브리치 저, 백승길·이종숭 역, 《서양미술사》(예경, 2003).
로버트 솔로몬·캐슬린 히긴스 저, 박창호 역, 《세상의 모든 철학》(이론과실천, 2007).
[장자]
●초심자는 우선 복영광사(ふくなが みつじ) 저, 이동철ㆍ임헌규 역, 《장자》(청계, 1999)를 구해서 여러 번 읽으십시오. 그러고 나서 안동림 역, 《장자》(현암사)와 김학주 역, 《장자》(연암서가) 두 권을 비교하며 10번쯤 반복적으로 정독하고서 전권을 3번 이상 필사하십시오. 그럴 만한 환경이나 배짱을 갖추지 않았다면, 일독은 무의미합니다. 2011/01/22
●복영광사(ふくなが みつじ) 저, 이동철ㆍ임헌규 역, 《장자》(청계, 1999)의 부제는 ‘중국 고대의 실존주의’입니다. 후쿠나카 선생의 이 책을 읽음으로써 앞으로 《장자》를 어떻게 읽어야 할지 갈피를 잡고 틀을 견고히 세울 수 있습니다. 2011/01/22
●고전을 읽을 때 초심자가 접하는 가장 심각한 오류가 있습니다. 전문 연구자의 text 해석이 독자를 압도해 버린 나머지, 독자가 다르게 해석하고 이해할 가능성을 원천봉쇄합니다. 각자 견해가 있으면서도 독자는 전문 연구자의 해석을 구관조처럼 따라합니다. 이 경향을 극복하는 방법은 text의 여러 다른 번역판을 참조하면서 거기에 실린 역주와 해제를 읽는 것입니다. 이 역주와 해제는 고전 정신에 입각해 작성하므로 설사 편견이 담겼더라도 다른 역주와 해제를 읽으면서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장자》의 국역본으로 정평이 난 안동림 역, 《장자》(현암사)와 김학주 역, 《장자》(연암서가) 두 권을 비교하며 반복해서 읽으면 더할 나위 없이 없겠습니다.
[도덕경] 김탄허 역주, 《도덕경》(전 2권)(교림, 1982).
[논어입문서]
김학주 역주, 《논어》(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한자를 자주 읽거나 써 보지 않은 탓에 낯설고 어색하면, 최소한 3번 융통성 없이 고집 세게 필사 후 10번 낭독. 한자를 자주 보거나 겪은 덕분에 친숙하면, 최소한 10번 아주 세차게 낭독 후 3번 필사.
[참조] 미야자키 이치사다 해석, 박영철 역, 《논어》(이산, 2001).
김용옥 역주, 《논어 한글 역주》(전 3권)(통나무, 2009).
성백효 역주, 《논어집주》(전통문화연구회, 2010).
[자기계발서] George Leonard 저, 강유원 역, 《달인》(여름언덕, 2009).
[융]
Grundwerk C.G.Jung 저,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Grundwerk C.G.Jung 융 기본 저작집》(全 9卷)(솔출판사, 2008).
로버트 솔로몬·캐슬린 히긴스 저, 박창호 역, 《세상의 모든 철학》(이론과실천, 2007).
[카프카]
Frantz Kafka 저, 이주동 역, 《변신》(솔출판사, 1997): 《시골 의사》를 포함 단편소설 총 45편 수록.
Frantz Kafka 저, 오용록 역, 《성》(솔출판사, 2000).
[동양철학]
김영건 저, 《동양철학에 대한 분석적 비판》(라티오, 2009).
성백효 역주, 『대학·중용 집주』, 전통문화연구회, 2010.
금학주 역, 『대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박완식 편저, 『대학』, 려강, 2010. 2011/06/27
※ “한국고전번역원「한국종합고전DB」”로 검색 후 “경서성독” 참고
[논리와 철학]
●Anthony Weston 저, 이보경 역, 《논증의 기술A Rulebook for Arguments (Fourth Edition, 2008)》(필맥, 2010): 널리 알려진 논리학 입문 교과서.
※김광수 저, 《논리와 비판적 사고》(철학과현실사, 2007): 현대 논리학은 거의 취급하지 않아서 현대 논리학 입문으로는 부적절. 2011/01/20
●로버트 솔로몬·캐슬린 히긴스 저, 박창호 역, 《세상의 모든 철학》(이론과실천, 2007).
●Anthony Weston 저, 이보경 역, 《논증의 기술A Rulebook for Arguments (Fourth Edition, 2008)》(필맥, 2010): 널리 알려진 논리학 입문 교과서.
※김광수 저, 《논리와 비판적 사고》(철학과현실사, 2007): 현대 논리학은 거의 취급하지 않아서 현대 논리학 입문으로는 부적절. 2011/01/20
●로버트 솔로몬·캐슬린 히긴스 저, 박창호 역, 《세상의 모든 철학》(이론과실천, 2007).
[신에 관한 책]
Thomas Aquinas 저, 정의채 역, 《신학대전 1, 2, 4, 5, 6, 10, 11, 16》(바오로딸, 2003): 목차 확인 후 필요 부분 발췌 독.
Thomas Aquinas 저, 박승찬 역, 《신학요강》(나남출판, 2008).
Richard Dawkins 저, 이한음 역, 《만들어진 신》(김영사, 2007).
[주류철학] 하버드 철학 리뷰 편집부 篇, 강유원·최봉실 역, 《하버드, 철학을 인터뷰하다》(돌베개, 2010).
[그리스 신화]
Edith Hamilton 저, 장왕록 역, 《그리스 로마 신화》(문예출판사, 2010).
아폴로도로스 저, 천병희 역,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도서출판 숲, 2004).
아폴로도스 저, 강대진 역, 《아폴로도스 신화집》(민음사, 2005).
Thomas Bulfinch 저, 이윤기 역, 《벌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창해, 2009).
[라디오 신성원의 책읽기] http://www.kbs.co.kr/radio/1radio/culture/greatest/index.html
[필사] The Pen May Be Mightier Than The Keyboard.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09/09/090916173332.htm
[스탠드] 3M Finelux Kids: 전 세계 특허 기술 3MTM 편광 여과 패널 장착, 눈의 피로를 일으키는 눈부심 현상 방지, 인체공학적 설계와 사랑스러운 감성 디자인, 안전을 고려한 유선형의 갓 모양과 자동 꺼짐 기능,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쉽고 자유로운 각도 조절, 삼파장 램프 사용(FML 27W 타입), 인버터 회로 장착.
[미국 현대정치, 사회학 이해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 없을 만큼의 기본적인 경제학 다룬 책]
로버트 하일브로너 저, 장상환 역, 《세속의 철학자들》(이마고, 2008).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