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이 글을 \'영상의 비트레이트\'가 뭔지 모르면 읽을 필요가 없으므로
비트레이트가 뭔지 모른다면 포털에서 알아보고 옵니다.
메구이인코더에는 bitrate calculator, 일명 비트레이트 계산기라는게 있습니다.
이거 쓰면 됩니다. 참 쉽죠?
근데 뭐 비트레이트 계산기는 메구이로 적당히 진행을 해야 쓸 수 있는거고
그냥 계획 잡는 선에서 젖절한 비트레이트를 잡아 줄적에는 대충 다음과 같은 것만 기억(혹은 스크랩) 해두면 됩니다.
수준 쩌는 수학 아닙니다. 사칙연산이에요. 윈도 내장 계산기만 있으면 됩니다.
공식 유도과정은 생략합니다.
1. 원하는 용량으로 인코딩 하고 싶을 경우.
( 8192 × 용량 ÷ 시간 ) - 오디오비트레이트 = 영상비트레이트
용량 : 단위는 MB(메가바이트)
시간 : 단위는 초. 만약 3분 41초 짜리 영상이라면 { ( 3 × 60 ) + 41 }
만약 1시간 6분 24초 짜리 영상이라면 { ( 1 × 3600 ) + ( 6 × 60 ) + 24 }
비트레이트 : 단위는 Kbps ( = Kb/s : 초당 킬로비트)
예제) 30초 길이의 영상을 10MB 크기로 인코딩 하고 싶다. 그러면 영상비트레이트를 얼마를 줘야 하는가? (오디오는 128Kbps)
( 8192 × 10 ÷ 30 ) - 128 = 2602.7Kbps
칼같이 2602.7을 넣어주면 10MB를 초과할 수도 있으므로 젖절하게 2550Kbps를 넣어주면 됩니다.
참 쉽죠? 사칙연산입니다. 사칙연산. 계산기만 두들기면 되니 초딩도 합니다.
2. 해상도와 초당프레임이 주어졌을 경우 최대 영상 비트레이트
가로 × 세로 × 초당프레임 × 0.27 ÷ 1024 = 최대비트레이트
가로 : 영상의 가로 해상도
세로 : 영상의 세로 해상도
초당프레임 : 영상이 1초동안 뿌려주는 화면 갯수. 단위는 fps ( frame / sec )
최대비트레이트 : 단위는 Kbps ( = Kb/s : 초당 킬로비트)
중간에 공식이 튀어나오길래 참조했습니다.
저 공식으로 계산된 값 이상의 비트레이트는 화질면에서 크게 의미가 없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080i 29.94fps TP/TS 소스를 생각해 보자면
1920 × 1080 × 29.94 × 0.27 ÷ 1024 = 16369.7Kbps = 16Mbps 이며 오디오 비트레이트 감안하면
실제 TP/TS 소스의 비트레이트인 17Mbps에 근사값으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죠.
3. (1과 2의 응용) 원하는 용량의 비트레이트 내에서, 대충 좋은 화질이 뽑히는 해상도
예제) 3분 20초 짜리 16:9 소스 영상을 100MB 용량으로 인코딩. 오디오는 128Kbps. 초당프레임은 29.97fps
( 8192 × 100 ÷ 200 ) - 128 = 3968Kbps → 인코딩 여부에 따라 오버될 수 있으므로 3900Kbps로 잡습니다.
2의 식을 해상도 식으로 변환하면
최대비트레이트 × 1024 ÷ ( 초당프레임 × 0.27 ) = 가로 × 세로
3900 × 1024 ÷ ( 29.97 × 0.27 ) = 493531
저 수치가 어떤 가로해상도와 세로해상도를 곱한 값에 근사하는지 알려면
주로 쓰이는 16:9 해상도를 곱한 값을 저 값과 비교해봐야겠죠.
1280 x 720 = 921600
960 x 540 = 518400
800 x 450 = 360000
뭐, 칼같이 해상도를 맞춰 들어갈 수도 있지만
특정경우 가로와 세로 해상도 각각이 16 혹은 4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인코딩이 안되므로
대충 가장 가까운 960 x 540 해상도를 선택하면 됩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