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백병전과 일본도

ㅇㅀ 2006.11.06 21:26:55
조회 2351 추천 0 댓글 18


지난 글을 보고 제 의견을 몇자 남겨보고 싶어 적습니다 1. 일본도는 일도양단??    - 영화나 특히 만화에서는 팔다리 심지어 몸통까지 잘라 이등분하는 장면이 많이 나옵니다만       일본검술도 유파마다 조금씩 강조하는 부분이 다릅니다 그중 주류의 검술은 일도양단 보다는       갑옷을 입었을때는 갑옷을 빈틈(목 주변, 몸통의 옆면, 대퇴부의 측후방)을 공격하는 방법       에도시대 이후 세련된 평복을 상정한 검술에서도 목,어깨에서부터 반대쪽 아래로 그어내리는       가사베기, 손가락의 근육,손목의 동맥, 몸통도 이등분이 아니라 갈비뼈와 골반 사이의 뼈 없는       부분에 칼을 꽂아넣어 빼는것에 가깝습니다       일도양단은 기세,공격성을 강조하기 위한 면이 강한것이지 일본도,일본검술이 뼈고 뭐고 마구 베는       그런 무식한 검술이 주류는 아닙니다 2. 찌름이 최고?    - 찌름은 매우 효율적인 공격입니다. 점으로 직선으로 오는 공격이기 때문에 빠르게 느껴지고        상대로 하여금 공포심을 유발하는 좋은 점이 있습니다  찔러들어오는 만큼       파괴력이 강하고 그만큼 살상력도 강한 기술이죠. 다만 찌름이 점이라 강한 만큼 상대가 미리 예측할      경우 그만큼 피하기도 쉽고(점이외의 남은 공간이 넓다고 보면 간단하죠) 자세가 무너지기도 쉽습니다      한마디로 하수가 마구잡이로 휘둘러대는게 어설프게 찔러들어오는것보단 까다롭다는 얘기죠      찌름이 나쁘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최고가 아니라는것뿐 3. 일본도는 품안으로 파고들면 무용지물?   - 칼자루로 인중,명치등 급소를 치는 기술, 칼자루를 수평으로 코나 목을 쳐버릴수도 있고     당구 큐를 잡듯 검신을 한손으로 잡고 가까이서 찌를수도 있습니다 무작정 크게 크게 휘두르는게 아니라는 거죠. 초보일수록 크게 크게 가르치고 점점 작고 세밀한 동작으로 갑니다. 영화등 보여주기 위한 시원시원한 칼부림만을 보거나 검도 맛만 보고 (사람 나름이지만 초단,2단 정도) 그렇게 착각하는 분들이 좀 계시는것 같습니다 말이 나와서 말인데 현대검도를 통해 배우는 점은 기세,간합(쉽게 말해 타이밍 이라고 할까요 틈을 찾고 만들고 그것을 이용하는 거리재는것도 포함합니다) 등을 익히는게 더 큽니다 검도를 배웠다고 해서 도장에서처럼 밀어걷기를하고 팡하고 치고 종종걸음으로 실전에서도 하진 않는다는거죠. 그건 그저 연습과정인겁니다 물론 요즘은 이 연습이 주가 되면서 문제가 되는 부분도 많지만요. 칼이란게 중세에는 창만 못하고 지금은 총에 밀려 쓸 일이 없는 무기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일본군의 군도도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생각하구요 하지만 칼이라는 무기는 배우기 힘든 만큼 잘 다루는 사람에겐 꽤 강력한 무기일수도 있는데 너무 폄하하시는것 같아서 몇자 적었습니다. 제 생각엔 동일한 수준이라면 부삽이나 나이프보다는 일본도가 길기 때문에 유리할테고 총검이 길어도 칼을 잘다루게 되면 변화가 매우 다양한 점이 장점이기에 칼이 더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만 (물론 제가 칼을 좋아해서 그렇게 생각하고 싶은건지도 모르죠) 배우기 어렵고 어렵게 배워도 총한발이면 쓰러지고 중세에도 어디선가 날아온 화살한방 잡병이 뒤에서 돌진해와서 찌르는 창에 덧없이 쓰러지는게 칼이었을거라 생각합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96487 독일군 특집 [4] 더글라스맥아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7 303 0
96486 만약에 발지전투떄 독일군이 연합군에 결정타를 갈겻다면? [8] ddd(1.242) 11.12.27 350 0
96485 프연모의 어떤 회원이 히아킨토스님에게 한 반론 [3] 하인부르크(121.191) 11.12.27 293 0
96484 1차대전때 대전차무기론 뭐가 잇었음? [5] Radio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7 246 0
96481 독일서 ‘하일 히틀러’ 나치 경례로 벌금 90만원 [8] 하일(211.173) 11.12.27 441 0
96477 독소 간의 치열한 과학기술 경쟁 스펀지송(119.75) 11.12.26 210 0
96475 마이웨이 갤러리에 송구하지만 질문 하나 올리겠나이다. [1] 서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170 0
96473 최초의 기갑전이 벌어진 곳이 [10] 스펀지송(119.75) 11.12.26 344 0
96472 마이웨이는 적어도 비쥬얼은 있네 [5] 스펀지송(119.75) 11.12.26 289 0
96470 마이웨이같은 명작은 두번 봐야한다 [7] 츠디처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266 1
96469 로리로드햏 댓글 보니까 슬로바키아랑 헝가리 부대가 나름 잘싸웠다고 하셨는데 [3] Radio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185 0
96468 밑에 해방초기 남한군복 보고싶다는 형 [6] 이하노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509 0
96467 네오나치의 "마이웨이" 감상문 [5] 하인부르크(121.191) 11.12.26 447 0
96466 오랜만에 전투짤짤이 [5] 이하노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192 0
96465 랜드리스관련 [3] Großdeutschlan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162 0
96464 독일인이 일본인에게 자주 건네는 농담 [8] 오오미(58.145) 11.12.26 573 0
96463 마이웨이 봤음.(스포) [금감곰찌질이]1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176 0
96462 기록사진 몇장 [2] Radio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223 0
96461 나르는 땅크 [4] IIIIIIIII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233 0
96460 구일본군 군복보다 디자인 더 구린게 해방직후 남한 국군 군복이라던데 [2] 근데(58.145) 11.12.26 297 0
96459 선택지 [4] Radio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172 0
96458 노르망디상륙작전 에서 생존확률 이오지마 상륙 에서 생존확률 ?? [7] JAPan(119.195) 11.12.26 524 0
96456 프랑스군의 근성돌격과 영국군의 근성돌격.wmv [1] ㅇㅇ(211.215) 11.12.26 242 0
96450 연합국이 노르망디 상륙할때 독일 잠수함들은 뭐함?... [5] dda(1.242) 11.12.26 431 0
96448 근데 솔직히 막장성 따지자면 [5] Radio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247 0
96447 야 이 근형대사 교과서 표지 사진 말이야....JPG [6] 555(58.236) 11.12.26 284 0
96446 마이웨이 보지마라 [1] 2차세계대전(14.45) 11.12.26 229 0
96445 마이웨이 오마하해변에서 연합군이 왜 계단 안타냐고 까냐 [4] ㅇㅇ(121.177) 11.12.26 349 0
96443 마이웨이 감상문 (스포 강함) [4] 휴대폰충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342 0
96442 나치가 유대인을 학살한 근본적인 이유 두정갑(222.107) 11.12.26 591 1
96441 ‘히틀러의 가수’ 헤스터스 별세 히틀러(211.173) 11.12.26 113 0
96440 근데 인간적으로 야호실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6 72 0
96437 빠르게 보는 스페인내전 01 - 전쟁 이전 스페인의 상황 [4] M46 패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5 319 0
96436 기록사진 몇장 [3] Radio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5 200 0
96435 Radio머리 햏님이 말씀하신짤 이건가요? [1] 더글라스맥아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5 185 0
96434 마이웨이를 통해서 공감대를 형성한다? 스펀지송(119.75) 11.12.25 160 0
96433 마이웨이 까지마. 존내 재밌음(약간스포) [5] 굴렁쇠(125.184) 11.12.25 397 1
96432 대동아연방.JPG [3] ㅇㅇ(211.215) 11.12.25 453 0
96430 2차대전 필리핀에서 일본군에게포로되서 바탄죽음의행진하기vs [3] 요염한스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5 410 0
96429 이사진 내용이 [15] Radio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5 438 0
96428 이대갤분들아 만약에 타임머신타고 2차세계대전때로 돌아간다면 [14] 요염한스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5 362 0
96427 히틀러가 가장 좋아했던 배우가 스펀지송(119.75) 11.12.25 199 0
96426 히틀러가 가장 좋아한 영화가 킹콩이라던데 [3] ㅇㅇ(211.215) 11.12.25 295 0
96425 어떻게 군필국가가 전쟁영화더 못만드냐 [8] dd(59.9) 11.12.25 363 0
96423 정말 오랜만이구나 이대갤이여~ [2] 라인하르트하이드리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5 134 0
96422 누가 미친척하고 2차대전 배경으로 격겜 내주면 좋겠따 [3] ㅁㅁ(220.126) 11.12.25 220 0
96421 히틀러가 소련에 생포됐으면 볼만했겠다 [11] ㅁㅁ(220.126) 11.12.25 405 0
96420 님들이 보기에 태극기 고증은 어땟음? [6] Radio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25 313 0
96419 마이웨이는 적어도 외국에선 따먹어줌 [5] ㅁㄴㅇㄹ(112.163) 11.12.25 434 0
96418 라일구나 에너미엣더게이트나 밴드나 패시픽도 고증실수 존나 많다 [7] ㅇㅇ(211.58) 11.12.25 387 0
뉴스 여리(如理)∙Raynes∙Bright World, 7월 5주 차 위클리 키트앨범 스포트라이트 선정! 디시트렌드 08.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