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주코프 장군 (소비에트연방)

ㄴㄴ 2005.08.06 11:03:32
조회 1847 추천 0 댓글 7


미국영국독일의 장군에 대한 정보는 넘쳐나는데(특히 독일) 2차대전 종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소련측의 장군에 대한 정보가 의외로 많지 않네-_-; 주코프 원수나 다른 장군에 대한 자료 있는 횽아들은 좀 올려주라 낄낄 소련은 1991년 8월 붕괴됨으로써 역사에서 사라졌다. 89년 동독 등 구(舊)동구 공산권 국가들의 붕괴는 소련의 붕괴를 예고했고 소련의 붕괴는 곧 공산체제의 해체를 뜻하는 것이었다. 자유·자본주의와의 대결에서 열등체제인 공산 종주국이 소멸한 것이다. 소련은 또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국·영국·프랑스 등과 함께 연합국의 일원으로 히틀러의 나치군을 패배시킨 전승국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 나치즘을 물리치고 구 소련을 수호한 게오르기 콘스탄티노비치 주코프 원수의 무용담은 명장 열전에 오를 만하다. 주코프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소련에서 가장 뛰어난 장군으로 독일 나치군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격퇴하고 모스크바를 방어했다. 그는 스탈린그라드에서 나치군을 포위, 궤멸케 함으로써 사활을 건 쿠르스크 전투에서 승리했다. 주코프 원수는 또 자신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베를린으로 쳐들어가 대(對)독일 제2차 세계대전의 마지막 마무리를 한 장군이다. 그는 1896년 12월2일 모스크바에서 동쪽으로 90여㎞ 떨어진 스트렐코브카 농촌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5세 때 모피상을 따라다니면서 일을 돕기도 했다. 1915년 주코프는 제정 러시아 기마병으로 징용돼 상사로 진급했고 제1차 세계대전 초기 독일군과의 전투에서 용감성을 발휘, 여러 개의 무공훈장을 받았다. 주코프는 1920~30년대 신생 공산주의 소련군대에서 진급을 거듭했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 직전 그는 소련·몽골군을 지휘, 시베리아와 몽골 국경지대 칼킨 골 강(江)을 침공한 일본군을 물리치는 전공을 세웠다. 칼킨 골 강 지역은 노몬한으로도 불렸다. 소련과 일본 두 거인국은 오랫동안 서로 의심의 불꽃을 튀겨 온 터라 충돌은 불가피했다. 러시아는 일본군을 겨냥, 시베리아에 45개 사단을 배치했고 그때까지만 해도 무명 장군인 주코프가 칼킨 골 전투에서 일본에 대승함으로써 러시아 민족의 한을 풀어주었다. 주코프 군에 포위된 일본군은 1만8000명이 희생되고 4만여 명이 부상했다. 이때의 전투는 현대전에서 최초의 기갑전이었다. 그후 일본군이 2개 사단 병력의 증원군을 보냈으나 그해 9월10일 휴전했다. 이 전투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용맹을 떨친 주코프 장군의 화려한 데뷔전이 됐고 스탈린은 그후 이 같은 45개 사단을 동원해 나치군을 물리쳤다. 주코프는 당시 일본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공훈을 인정받아 육군원수로 진급, 키예프군구 사령관에 임명됐다. 주코프는 소련 권력자 이오시프 스탈린 수상을 1941년 1월 처음 만났다. 주코프는 이때 전쟁연습 경기에서 크게 승리한 후 스탈린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그러나 스탈린은 주코프의 군사적 성공을 시기한 데다 국민과 군인들 사이에서 주코프의 인기가 높은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두 사람 사이는 항상 긴장관계로 남아 있었다. 스탈린은 떠오르는 미래의 정치적 적수들과 자신이 싫어하는 정적들을 무조건 암살했지만 주코프만은 건드리지 않고 부하로 거느렸다. 주코프는 드디어 스탈린에게 목소리를 높이는 몇 안되는 부하 중 한 사람으로 떠올랐다. 스탈린이 주코프가 작성해온 작전계획이 쓰레기 같은 것이라고 소리치자 주코프는 “만약 수상님이 임명한 참모총장이 쓰레기 같은 존재라면 저를 이등병으로 강등시켜 소총과 대검만 갖고 조국을 위해 싸우게 해주십시오”하고 반발했다. 말하자면 백의종군하겠다는 배수진을 친 것이다. 하지만 스탈린은 이 소리를 듣고도 그를 이등병으로 강등시키지 않고 장차 독일군과의 전투를 위해 예비해두었다. 독일군은 마침내 1941년 6월22일 침공해왔고 주코프는 초기 전투 때 키예프 방위를 책임지고 있었다. 주코프는 모스크바 시 외곽에서 살을 에는 듯한 살인적 혹한을 배경 삼아 히틀러의 독일제국군에 첫 패배를 안겨줌으로써 전세계의 주목을 끌었다. 소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장군 주코프는 독일군과의 모스크바 전투에서 소련에 미래 승리를 가져다 줄 것을 예고하는 군사적 독창성을 선보였다. 그는 적군의 침공을 예상하고 모스크바의 지형·지물과 정보를 이용하는 점에서 달인의 경지에 도달해 있었다. 주코프는 휘하 지휘관들에게 즉각적인 복종을 요구하고 이에 반발·거부하는 부하들은 다른 곳으로 전근 보내거나 즉결처형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주코프는 주도면밀한 감독과 지휘를 하고 머리카락처럼 세밀하게 작전계획을 세웠다. 그는 일단 전투가 시작되면 일선 지휘관들에게 맡은 지역 내에서 독립해 전투하도록 융통성을 허용했다. 평소 큰소리치면서 무자비하고 복수심이 강한 주코프는 작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군의 대량 희생도 기꺼이 받아들이는 냉혈한으로 통했다. 그는 모스크바 방위에 성공한 다음 당장 독일군을 뒤쫓아 공세를 취할 것을 원했지만 현재 방위선을 강화하라는 스탈린의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안됐다. 그 결과 독일군은 다시 군대를 증강, 재편해 스탈린그라드에 대한 공세를 취했다. 주코프는 다시 스탈린그라드 방위에 나서 1942년 11월부터 1943년 2월까지 독일군의 대공세를 저지했다. 그는 뒤이어 자신의 작전계획대로 반격전을 개시, 제6 독일군을 포위한 후 소련 역사상 최초로 독일 야전군 원수를 포로로 잡아 항복을 받아냈다. 주코프는 스탈린그라드에서 독일군의 침략을 물리쳤지만 독일군의 공세는 끈질겼다. 1943년 여름 그는 쿠르스크의 대규모 탱크 전투에서 독일군을 패배시켰고 후퇴하는 독일군을 맹렬히 추격해 승리를 얻어냈다. 그후 독일 나치군은 다시는 소련을 공격해오지 않았다. 쿠르스크 전투 후 주코프는 제1 벨로루시 전선 사령관으로 발탁돼 독일 본토에 대한 작전을 시작했다. 벨로루시는 백(白)러시아로 불리기도 하는데 러시아와 폴란드 사이에 위치한 지역국가다. 1917년 공산혁명 후 소련연방공화국의 초기 4개 구성국 가운데 하나였다. 1991년 12월 독립 후 소위 독립국연합 구성국이 됐다. 주코프는 이 전투에서 나치군을 무찌르고 잇따라 승리하면서 자기 군대를 이끌고 베를린으로 진격해 들어갔다. 이때 전투 분위기는 마치 미·영군과 누가 먼저 베를린에 입성하느냐를 두고 경쟁하는 것 같았다. 그는 마침내 1945년 5월9일 이반 스테파노비치 코네프 원수 등 소련 동료장군들과 나란히 독일 나치군의 항복을 받아냈다. 주코프는 승리 후 조국 소련에 돌아가기 전까지 소련점령군 사령관으로 베를린에 머물렀다. 그후 그는 귀국해서 제2차 세계대전 중 소련과 서방세계 국가들에서 얻은 명성으로 열광적인 환영과 추앙을 받았다. 하지만 스탈린은 주코프의 명성과 대중인기가 무섭게 높아지는 데다 전쟁이 끝난 후 평화시 주코프의 효용성이 더 이상 필요치 않다고 판단, 그를 미미한 지역군구로 좌천시켜 버렸다. 스탈린은 전쟁 중 언제나 주코프의 거만한 태도가 불만이었지만 독일과의 전쟁 승리를 위해 꾹 참았다.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하자 주코프는 다시 권력을 찾아 1957년 니키타 흐루시초프의 최고 권력 장악을 도와주었다. 흐루시초프는 보답으로 직업군인인 주코프를 소련 공산당 최고간부회의 위원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흐루시초프도 곧 전임 권력자들처럼 주코프의 대중인기와 군사 쿠데타에 의한 집권 위협을 느꼈다. 흐루시초프는 주코프의 불복종을 비난하면서 막강한 군사적·정치적 권력을 빼앗고 그를 모스크바 아파트에 연금해 버렸다. 1964년 흐루시초프가 수상 자리에서 쫓겨나자 주코프에 대한 제약 가운데 몇 가지가 완화됐다. 그러나 그에게 공산당과 군사적 활동은 결코 허용되지 않았다. 그후 그는 자신이 체험한 제2차 세계대전 전사와 전후 역사를 쓰면서 만년을 보내다가 1974년 6월18일 세상을 떠났다. 주코프는 비록 거만하고 무자비하며 때로는 거칠기도 했지만 소련에서 가장 위대한 장군이라는 존칭을 얻었다. 주코프는 집요하고 치밀하게 계획된 공격을 펼쳐 소련 내륙에서부터 베를린까지 독일 침략군을 단숨에 몰아낸 공로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때의 모든 지휘관 가운데 전략·전술 능력 면에서 상층부 장군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주코프가 스탈린과 후계정권 권력자의 숱한 숙청을 피해가면서 78세를 일기로 평화로운 임종을 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가 뛰어난 재능을 가진 인물이라는 것은 충분히 증명된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69188 전우때문에 부모님하고 싸웠습니다.. [13] zz(58.142) 10.06.20 768 0
69187 육이오 때 [4] 백인녀보호(61.254) 10.06.20 239 0
69186 앞에 미드웨이 떡밥에 대해 난Q의 주장이 생각남 [5] -_-(211.58) 10.06.20 224 0
69185 한국 전쟁서는 유엔군으로 참여한 다국적군 사상자가 [1] +^+(129.93) 10.06.20 208 0
69184 다시보는 20년전 여명의 눈동자.jpg [4] 듣보잡놈(118.45) 10.06.20 1019 0
69183 폴란드 침공 개시 [2] meltyhonn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20 375 0
69182 전우라는 드라마가 뭐죠? [4] 짝퉁람보(112.151) 10.06.20 277 0
69181 승태군은 KBS 드라마갤도 다니는듯. [1] 22n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20 214 0
69180 차라리 HBO가 [1] ㅇㅅ(121.144) 10.06.20 215 0
69179 최수종 군면제사유 "생계곤란" ㅋㅋㅋㅋㅋ [10] 듣보잡놈(118.45) 10.06.20 2722 2
69178 [2차대전 게임] 유럽의 종전을 6개월 늦추기 직전까지 왔음 [1] 스리고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20 560 0
69177 컬투쇼에 나온 6.25사연 [5] 컬2쇼(71.79) 10.06.20 801 0
69176 시발 네이버에 전우 검색하면 밑에 뜨는 뉴스기사 봤냐 [6] 음메가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20 528 0
69175 전우 전투장면에서 이런 장면이 나왔더라면 더 실감났을텐데 [9] 태극기펄럭이(175.116) 10.06.20 748 0
69174 전우의 시체를 넘고 넘어(스포있다) JaAiLin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20 352 0
69173 사진속에 독일 군모 이분들 어디서 산거죠? [3] 33(58.231) 10.06.20 498 0
69172 칼신 더도말고 30년전 영화인 철십자훈장정도만 되도 괜찮을텐데 [2] ㅂㅈㄷㄱ(121.138) 10.06.20 289 0
69170 오늘 전우를 보고 나니 [2] 大元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20 351 0
69169 솔직히 제작비만이 능사가 아니지 말입니다. [10] 히아킨토스(121.151) 10.06.20 396 0
69168 아낰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우 실감나는 전투신과 배우들의 연기력으로 화젴ㅋㅋ [8] 윈터스(211.208) 10.06.20 498 0
69167 칼전에 대해서 kbs 드라마갤은 1939식 칼빈은 착검 불가라고 하네. [14] 맹독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20 678 0
69166 일본 대전말기에도 중국전선에 대병력이 있었나요? 23개 사단이 중국에 있 [5] (58.231) 10.06.20 323 0
69165 전우 제작진 [10] Skidrow(61.105) 10.06.19 661 0
69164 미의 기준은 백인 [1] 카케카츠(210.107) 10.06.19 323 0
69162 3명이서상륙씬 만들어내는 영국놈들 [4] 찌질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448 0
69161 전우 코메디인가? [8] 맹독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719 0
69160 조선의 위기.. 카케가츠(210.107) 10.06.19 95 1
69159 지금 전우에 나온 장군 [8] 분필한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508 0
69157 호국영령들에게겐 죄송스런 질문이지만 6.25때에 [10] 질문좀(121.138) 10.06.19 363 0
69156 새역모에 등장하는 임나제국부. 카케가츠(210.107) 10.06.19 47 0
69155 이차대전 말기에 b29폭격기가 조선반도 지역에도 날았다던데요? 카케가츠(210.107) 10.06.19 154 0
69154 이용구는 조선과 제국이 대등하게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카케가츠(210.107) 10.06.19 44 0
69153 아...........전우............. [3] ㄷㅇㅇㄷ(121.133) 10.06.19 263 0
69152 궁금한거~ [4] 풍문(61.98) 10.06.19 112 0
69151 방심하지않고 제대로 정찰 돌리고 대응했다면 맥아더가 ㅁㄴ(116.44) 10.06.19 71 0
69150 레알 전우 국군 대박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새벽아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207 0
69149 아니 10월에 넘었다는데 맥아더는 모했나연 [3] ㅁㄴ(116.44) 10.06.19 181 0
69148 전우 병맛이네 [2] 찌질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203 0
69147 아놔... 전우 칼전..-_-;; [9] 분필한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678 0
69146 전우. [2] 폭격용 항공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130 0
69145 이제는 글제목하고 댓글수만 보고도 보군이출몰을 감지할수 있는게 자랑 ㅅㅅㅅ(203.254) 10.06.19 45 0
69144 아니 왜 전우에서도 트럼펫은 [2] 大元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287 0
69143 아래 스탈린그라드전투글을 보니 몇가지 떠오르는 생각이 [3] ㅂㅈㄷㄱ(121.138) 10.06.19 166 0
69142 전우 시작한다 大元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68 0
69141 김병연 장군??? [1] 탈영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99 0
69140 아마도 전우 인터넷 방송 링크(2차대전 이야기 첨부) [2] 분필한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100 0
69139 여기서 부적절하게 1차대전 떡밥 [2] meltyhonn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143 0
69138 룬트슈테트 진격보다 더 대단한게 만슈타인의 겨울폭풍작전 아냐? meltyhonn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173 0
69137 누가 신보군 댓글 지우라고 그러는데 구별법좀 [6] 탈영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6.19 138 0
69136 우와.. 형들 이거 한번만 봐줘.. 진짜 이사람 대단하다 [3] ㅁㄴㅇㄴㅁ(125.184) 10.06.19 225 0
뉴스 ‘남겨서 뭐하게’ 박태환, 누나들 챙기는 스윗함으로 골드미스들에게 심쿵 연하 등극! 디시트렌드 07.3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