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소련 기갑의 중추 T-34 개발사 - #1

기우(121.130) 2007.06.02 05:46:13
조회 2194 추천 0 댓글 15

 

T-34의 개발    Development

  <o:p></o:p>

1938년 소련 국방부에서 개최된 고위급 회의에서 앞으로의 전차 개발 방향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었다. 토론된 과제중의 하나는 최근 스페인과 몽골에 투입된 무한궤도 차량 BT-5와 BT-7에 대한 것이었다.

 

465e395045790&filename=T-34-hist-BT-5.jpg

BT-5

  <o:p></o:p>

BT들에 장착된 무한궤도는 험지주행시에는 궤도를 이용해 주행하고 도로 행군시에는 궤도를 걷어내고 바퀴로 주행하는 형식이었다. 이런 형식의 주행방식은 미국의 크리스티 전차에서 파생된 것 이었다. 스페인과 몽골의 실전에서 무한궤도 주행은 장기간의 행군을 감내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 더불어 다른 반대의견에도 불구하고 매우 신뢰할만한 장비라는 것 또한 입증되었다.

  <o:p></o:p>

465e39a015e59&filename=T-34-hist-BT-7.jpg

BT-7

 

결국 논쟁은 안정적인 주행성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구동부의 개선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이 모아졌으며 스탈린의 영향으로 도로주행용 장비를 제외하고 무한궤도 단독 주행방식이 결정되었다. 신형 프로토 타입의 설계 책임은 하르코프 코민테른 증기기관 공장의 구조 사무소에 주어졌다. 이 사무소에선 신형전차에 앞서 이미 A-20이라고 알려진 프로젝트를 1937년부터 진행 중 이었다. A-20은 BT의 설계원리에서 많은 부분을 채용했으며 개량시켰다. 구동부는 BT와 거의 유사한 방식이었지만 이 전차의 외형적인 면모는 BT보다는 앞으로 개발하게 될 T-34에 더 가까웠다. (경사진 정면, 포탑의 장갑 등) A-20은 BT-7과 마찬가지로 45mm포를 탑재했지만 BT-7과 구별되는 대형의 단일 해치를 장비하였다.

 

465e3a3a87795&filename=T-34-hist-A-20.jpg

 A-20 시험 전차

  <o:p></o:p>

개발의 다음 단계는 A-32 실험전차였다. A-20의 외형적 측면을 다량 흡수하였지만 무한궤도는 양용이 아닌 좀 더 일반적인 궤도전용으로 바뀌었다. 구동부는 5쌍의 로드휠(A-20은 4쌍)을 채택하였는데 이로 인해 중량 분배는 매우 수월해졌으며 주포는 L-10 76mm포를 탑재했다.

 

465e3ad417559&filename=T-34-hist-A-32.jpg

A-32 시험 전차

 

1938년 A-20(15t)과 A-32(19t)는 시험운용이 허가되었으며 야지 시험에 들어가기 전인 1939년 7월 하르코프 공장에서 테스트가 시작되었다. 이 두 종류의 전차는 서로 엇비슷한 성능을 내보여 최종적인 승자가 누가될지는 명확하지 않았다. 추가 시연이 9월의 전차 전시회에서 있었으며 A-32는 참호와 장애물 돌파에 있어 인상적인 성능을 선보이게 되었다.

 

또한 장갑의 강화가 요구되어 전면 장갑은 30mm에서 45mm로 증가되었다. 이렇게 개조된 A-32는 A-34로 불렸고 1940년 1월에 그 첫 테스트가 가능하게 되었다. 4월달에 드디어 테스트가 시작되었다. 국방성에서 요구한 1,000km 행군을 위해 두 대의 A-34가 준비되었으며 이들은 하르코프에서 모스크바로 정해진 구간, 시간내에 도착해야 했다.

 

465e3b15381ca&filename=T-34-hist-A-34.jpg

   A-34 시제 전차

  <o:p></o:p>

행군 도중 전차 한 대의 클러치가 망가져 일정이 수일간 지연되었지만 결국엔 모스크바로의 여정을 이루어내고 말았다. 이 전차들은 스탈린과 일행들 앞에서 기동, 화력 시범(45mm도 포함)을 선보였으며 그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국방성은 육군의 허가를 받는 조선으로 T-34(A-34)의 대량 조달을 주문했다. 1940년 하르코프 공업단지는 150대의 A-34를 생산하는 프로그램에 착수했다.

 

465e3b5695f4d&filename=T-34-hist-T-34KhPZ.jpg

포신을 미장착한 T-34 obr 1940이 출고되는 장면

 <o:p></o:p>

1940년 6월 7일 인민위원회 (Council of People‘s Commissars)는 600대의 신형 T-34 전차를 당해 생산하는 계획을 채택했으며 500대는 하르코프의 KhPZ에서 100대는 스탈린그라드의 STZ에세 제작될 것 이었다. 하지만 이 계획은 지나치게 졸속으로 이루어져 목표는 채워지지 않게 되었다.

 

독-소 불가침 협정에 의해 제공되어진 수 대의 Ⅲ호 전차 G형을 분석한 결과는 소련에게 심각한 의심을 불러일으켰다. T-34에 대한 자신들의 기대와는 달리 Ⅲ호 G형은 T-34에 우세한 성능을 과시한 것 이었다.

 

465e3c9cbb5ff&filename=pz3g_55.jpg

초기형 T-34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줬던 Ⅲ호 전차 G형

 

Ⅲ호 전차에 대한 집단 테스트는 매우 인상적이었다. - 전차장 큐폴라, 여유있는 포탑공간(Ⅲ호:3명 Vs T-34:1명)과 모든 승무원을 위한 차내 통신망 (T-34는 차장과 운전수만 차내 통신망이 설치되었으며 나머지 두 명은 악을 질러야 했다.) - T-34는 화력과 장갑에서 우위가 입증되었지만 Ⅲ호는 훨씬 정숙했고 자갈길 시험에서 T-34가 48kph을 달성하는 반면 Ⅲ호는 69kph를 달성하는 등 주행성능에서도 Ⅲ호는 T-34에 우세했다.

<o:p>

465e3d2451e9d&filename=T-34-hist-1940.jpg

T-34 obr 1940

 </o:p>

이 시험에 대한 리포트가 보고되면서 T-34의 생산은 일시적으로 중단되게 되었다. 이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조사가 진행되는 과정에 생산은 재개되었고 T-34의 개량 설계 또한 시작되었다. 현재 하르코프 설계팀은 A. A. 모로조프(A. A Morozov : M. I. 코슈킨은 하르코프 - 모스크바의 1,000km행군 도중 폐렴에 걸려 사망했다.)의 지휘하에 있었으며 향상된 신뢰성, 장갑, 무장을 개념으로 개량모델의 설계가 시작되었다. 이 개량형은 A-43 혹은 T-34m으로 알려져 있다.

  <o:p></o:p>

T-34 obr 1940의 시제품은 76mm L-11포를 장착하였으며 포신 연결부 상단의 벌브(bulb)가 구별 포인트가 된다.

 

465e3d7489495&filename=T-34-hist-1940P.jpg

T-34 obr 1940

   <o:p></o:p>

신형 A-43모델은 더 장포신의 더 고속인 76mm F-34포를 탑재하였으며 부피가 큰 크리스티식 스프링 완충장치를 제거하고 T-50과 KV에도 쓰였던 토션바 완충장치를 채택했다. 이로써 차체내의 여유공간은 증가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빨라진 속도에 어울리는 5단 기어박스를 적용했다. 또한 차장용 큐폴라가 설치되었고 포탑 공간 또한 3명을 확보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개량되었다. 하지만 즉각적인 생산에 들어가기엔 개조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o:p></o:p>

465e3db680768&filename=Mtsensk-T-34s-03.jpg

 T-34 obr 1941

  <o:p></o:p>

L-11의 생산은 1939년으로 종료되었고 곧 F-34가 이를 대체하여 후기 생산형에 탑재되었다. 이 형식은 대개 T-34 obr 1941라고 불려진다. 그 사이 119대의 T-34 obr 1940가 하르코르의 KhPZ에서, 23대가 스탈린그라드의 STZ에서 생산되었으며 이것은 소련이 목표로 했던 600대 생산엔 턱없이 모자란 수치였다.

  <o:p></o:p>

하지만 다음 해 생산분은 상향 조정되어 KhPZ는 1,800대, STZ는 1,000대가 할당되었으며 이 모두는 F-34를 탑재할 예정이었다.

 

465e3e1249fd9&filename=T-34-hist-1941P.jpg

 T-34 obr 1941

 

하지만 연이은 독일의 침공으로 KhPZ에서의 생산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1941년 9월 12일 생산 설비들의 대피가 시작되었으며 이 설비들은 우랄로 이전되었다. 곧 고르키에서 T-34의 생산이 개시되었고 하르코프의 설비들은 우랄산맥의 니즈니 타길(Nizhni Tagil)에서 재건되었다.

 

1941년, 총 3,014대의 T-34가 생산되었으며 아래의 공장들에서 생산되었다.

  <o:p></o:p>

공장 번호. 183 KhPZ (하르코프) : 니즈니 타길로 이전되었으며 1941년 가을에 183 우랄 열차 공장 (UVZ)으로 전환되었다.

공장번호 112 : 레드 소르모포 작업장 Red Sormovo Works (고르키)

STZ (스탈린 그라드 트랙터 공장)

http://blog.daum.net/_blog/BlogView.do?blogid=08cPM&articleno=10335603#home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112155 야 전투기 말이야 [1] 브래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8 244 0
112154 히틀러는 국뽕을 독일인에게 주입시켰지만, 정작 자기 자신은 국뽕이 아니었 ㅇㅇ(211.44) 13.11.28 217 0
112148 이 개소리는 어디서 처음 유래해 나온 거임?? [1] 맥스4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7 231 0
112134 일본 함선들 브래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7 217 1
112133 여기 5년전이랑 분위기 다르네여 [2] 브래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7 205 0
112129 이 괴담 혹시 들어봄?? 맥스4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6 682 0
112123 수호이는 뭐하는데냐 (182.213) 13.11.26 106 0
112122 이거 누구?? [1] 심지은(110.47) 13.11.25 92 0
112118 좆문가 10대밀덕 [2] 노력하자(211.37) 13.11.25 275 0
112116 이거 완전 바보구만. [1] 날조마라(117.53) 13.11.24 142 0
112106 최후의 삼국지인 스펀지송(119.75) 13.11.23 457 0
112105 룬테슈테드랑 롬멜을 비교하면? [2] 심지은(110.47) 13.11.23 443 0
112103 독일에게 치명적인 공격을한 부대는뭐죠? [7] 촌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3 551 1
112098 호이2 1936년 중화짜장 너무 힘들당... [8] 짱개(112.164) 13.11.23 310 1
112097 교육과 세뇌란게 진짜 무서운거야!!! [1] 관심법(121.149) 13.11.23 239 0
112093 독일에 대한 정신나간(?) 괴담.. 사실인겨? [8] 맥스4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2 758 1
112091 제국황군이 일러전쟁과 2대전때 북진해 러샤들을 정복했어야 [2] 이로리(210.107) 13.11.22 490 3
112089 Viva Franch! [1] 대륙의 한 Réservoi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2 196 0
112087 여기 온김에 짤줍이나 하고 가야지 [1] 초중무인전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2 195 0
112086 근데 도배율이 높은편이 아닌데 털리냐? [1] 초중무인전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2 150 0
112085 조센징들은 어찌하여 지나들 편만드는가? [1] 코무라사키(210.107) 13.11.22 288 1
112084 2대갤 씨발 역갤 식민짘ㅋㅋㅋㅋ [1] 초중무인전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2 213 1
112083 솔까말 전쟁할때마다 무수한 소녀 처녀가 성숙한 여자로 재탄생했다고카던데 카류사이 쇼코(210.107) 13.11.22 3378 1
112082 일빠놈 대체뭐여 [2] 촌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22 181 0
112081 36년간 인구는 2배되고, 경제는 10배이상 풍부해져, 평균 수명도 2배 아카바네 텐젠(210.107) 13.11.22 465 0
112078 일본에 의해 합병 근대화 된것은 사실 [3] 도라쿠 우타게(210.107) 13.11.22 484 0
112077 일제수탈론의 목적은- 반일 이데올로기 유지라는 정치적 이유뿐이다 하코니와유라기(210.107) 13.11.22 176 0
112076 일제시대 조선인들은 일본을 조국으로 생각했다.이게 팩트다 [2] 요시와라토우야(210.107) 13.11.22 245 0
112075 국뽕들이 뭔데 친일의 애국을 간섭하고 참견하는것인가? [3] 시시모리소우가(210.107) 13.11.22 233 0
112074 한국정부가 양심이 없는이유 레이카도아야메(210.107) 13.11.22 439 1
112073 8.15해방의 최대 피해자는 한반도에 살고 있던 조선민족 야와카제코나기(210.107) 13.11.22 276 0
112070 한국교육이 세뇌라는증거 10가지다 [6] 유메시마카라스(210.107) 13.11.22 1136 1
112069 왜 일한합병이 합법인가? 그 이유를 설명해주마 [3] 유키히라후라노(210.107) 13.11.22 319 1
112068 한국에서 유독 반일이 강한 이유는 아마쿠사카나데(210.107) 13.11.22 197 0
112067 일제시대 피해자 배상금을 꿀꺽한 파렴치 조센징 이시카와호노카(210.107) 13.11.22 1188 0
112066 애초에 친일파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니까 후지미야코노미(210.107) 13.11.22 102 0
112065 일본에 의해 조선이 근대화 되었다는것은 객관적으로 봐도 사실 카가야마카에데(210.107) 13.11.22 4648 0
112064 조센징들이 이번일 후에 또 배상하라는 시나리오 하나 남겨본다 코시가야스구루(210.107) 13.11.22 3055 0
112063 조선말 양반폭정에 비해 일제는 절대적으로 살기좋았제 코시가야유키코(210.107) 13.11.22 225 0
112062 일제가 조선을 고문했다? [1] 미야우치히카게(210.107) 13.11.22 5794 0
112061 킬구 쉴드 치려다 일제의 모든 행동을 스스로 받아 들이는 미야우치카즈호(210.107) 13.11.22 2484 0
112060 조선사람들이 머릿속으로 전쟁이라 생각하면 그게 전쟁이 되는거냐? 코시가야코마리(210.107) 13.11.22 168 0
112058 한국인들도 참 답답한게 지금 중국이 반일정책 펼치는 궁극적 목적이 이시키 이로하(210.107) 13.11.22 145 0
112057 일제 시대가 축복인 이유. 이토가미 센라(210.107) 13.11.22 178 0
112055 한국은 중국편에 붙어 결국 세계적 왕따를 자처할 것인가? 우치다 료(210.107) 13.11.22 92 1
112054 애초에 일제시대가 기회주의라고 성공하고 아니면 성공못하는 수준낮은 시대가 [1] 타나하라유우호(210.107) 13.11.22 71 0
112053 고종새끼가 전권이양해서 체결한게 을사조약인데 [1] 츠키시마 린(210.107) 13.11.22 164 0
112052 이완용은 조선왕조에 충성을 받친 충신인데 왜곡 쩔음. [7] 마키무라요스케(210.107) 13.11.22 1865 2
112051 왜 조선은 전범국이 되지 않았나..? [1] 시즈카 코요미(210.107) 13.11.22 2128 9
112050 이대갤은 4~5년전에도 망갤이었어 무슨 전성기야. 카나세 카논(210.107) 13.11.22 79 0
뉴스 [티처스2] 정승제&조정식, 2026 수능 일급 비밀 대방출! “처음 보는 유형 등장? 모두가 당황스러울 것” 평정심 강조! 디시트렌드 07.2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