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마닐라 만의 불침전함 이야기 (하)

avrora 2005.09.04 12:42:05
조회 1496 추천 0 댓글 5

2. 코레히도르 공방전 : 전반 요새 완성후 약 20년, 1941년 12월 7일에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공격하면서 미국은 전쟁에 뛰어들게 되었소. 필리핀 역시 곧바로 최전선이 되어서, 12월 10일에 이르면 일본기의 공습으로 각지의 비행장이 괴멸되었고 22일에는 혼마 마사하루 중장이 이끄는 16사단, 48사단, 65여단 등 합계 43,000명의 일본군 주력부대가 마닐라 북부에 상륙하기에 이르렀소. 한편 미군과 필리핀군의 총지휘관인 맥아더 대장은 이미 마닐라의 유지가 불가능함을 깨닫고 12월 23일 부로 각 부대에게 작계대로 바탄반도로 후퇴하도록 명령했소. [(좌) 바탄으로 철수한 미군과 필리핀군들 / (우) 마닐라 시에서 퍼레이드를 벌이는 일본군] 맥아더가 이토록 쉽게 마닐라를 포기했던 이유는 다음과 같았소. 일본군이 마닐라를 거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닐라 항이 기능을 발휘해야 하고, 마닐라 항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입구인 마닐라 만을 장악해야 하오. 따라서 연합군이 코레히도르 섬과 다른 3개의 요새, 그리고 코레히도르 섬으로 이어지는 통로인 바탄반도를 장악하고 있는 한 일본군의 마닐라 점령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오. 맥아더 대장은 이를 두고 '적은 병을 가지고 있지만 병마개는 우리에게 있다.'고 비유했다고 하오만, 어쨌거나 이 때문에 일본군은 싫든 좋든 마닐라 만 장악을 위해 막대한 희생을 치뤄야 했소. 12월 29일에 최초로 일본기에 의해 코레히도르와 다른 3요새에 대한 폭격이 있었고 해를 넘긴 1942년 1월 2~6일중 또다시 일본기의 폭격이 있었소. 이때 드럼 요새 및 다른 2요새는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으나 코레히도르 섬만은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고 하오. 다만 미군의 대공포화 또한 만만치 않았기에 일본은 3월까지 항공기에 의한 공습을 중단하기에 이르오. [(좌) 바탄반도에 포진한 일본군 포대 / (우) 일본군의 92식 105mm 야포] 대신에 일본군은 1월 25일부터 마닐라만 남단의 카비테 군항 부근에 105mm 야포 4문과 150mm 야포 2문을 배치하기 시작했고 2월 5일부터는 드디어 만 입구의 요새에 포격을 가해오기 시작했소. 첫날의 주 표적은 포대에서 가장 가까운 드럼 요새였는데, 약 103회 정도의 명중탄이 있었으나 요새의 기능은 별다른 타격을 입지 않았소. 그날 이후 일본군은 만 입구의 4요새에 고르게 포격을 가해왔고 2월 중순에는 150mm 포를 2문 더 증강하기도 했소. 물론 요새들 역시 그들의 거포로 반격을 가했으나 일본측 포대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관계로 반격의 효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소. 2월말이 되자 일본군은 기존의 포대에서 포문 수를 줄이는 대신, 보다 요새들과 가까운 곳에 비장의 240mm 야포 10문을 배치하고 3월 15일부터 22일까지 약 1주일간 맹렬한 포격을 시작했소. 이것은 당시 일본 육군이 동원할 수 있는 최대 구경의 포병 화력이었는데, 덕분에 짧은 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최남단의 프랭크 요새는 요새포 전부를 파괴당하고 완전히 기능이 정지되었으며 드럼 요새 역시 서치라이트와 대공포 전부를 상실했소. 그러나 가장 중요한 14인치 포탑은 전혀 손상 없이 멀쩡했으며 요새 외벽 역시 몇 군데 패인 것을 제외하고는 별 이상이 없었소. 본래부터 전함에 준하는 방어력을 가졌던데다 포탑의 그것은 전함 이상이었는데 240mm 정도의 화력으로는 이빨이나 들어가겠소? 3. 코레히도르 공방전 : 후반 한편 이런 와중에 바탄반도는 점점 절망적인 상황에 놓이고 있었소. 연합군은 식량부족과 정글의 악조건, 그리고 일본군의 야습 등으로 인해 점점 지쳐가고 있었던 것이오. 1942년 3월말에 이르면 연합군 중에서 전투수행이 가능한 병사는 처음의 25%에 지나지 않았던데 비해, 일본군은 1차공격의 실패를 계기로 전력을 대폭 증강하여 150문의 야포와 60대의 폭격기, 30대의 전차가 증원되었소. 결국 4월 3일을 기해 일본군이 2차공격을 감행해오자 바탄반도는 결국 함락되고 말았고, 이제 남은 것은 만내에 있는 코레히도르 섬 외에 3개의 요새뿐이었소. [(좌) 미군의 방어선을 돌파하는 일본군 / (우) 코레히도르 요새 내부] 4월 11일, 일본군은 바탄반도 끝에 75~240mm에 이르는 각종 화포 110문을 방열하고 만내의 요새들에 대대적인 포격을 가해오기 시작했소. 뿐만 아니라 지난 1월 이후 나타나지 않았던 항공기들마저 출현하여 매회 평균 50기 정도의 일본 육군 폭격기들이 수 일마다 한 차례씩 폭격을 해왔소. 게다가 지상과 공중에서 정확한 포격 관측까지 수반되어 요새들의 피해는 점점 더해만 갔다고 하오. 요새들 역시 간간히 포격을 가하긴 했으나 여전히 관측 수단이 제한된데다 나날이 피해가 심해져서 반격은 이미 산발적인 몸부림에 지나지 않게 되었소. 4월 29일은 천황 히로히토의 생일이었다고 하오. 이 날을 기념이라도 하듯 일본군은 더욱 더 막대한 포격을 가해왔고, 특히나 성가신 드럼 요새의 포탑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글라이더에 폭탄을 매달아 직접 요새에 육박시키는 전법도 감행했소. 글라이더는 요새 측면의 우현 부포 포곽에 명중해서 포곽을 통째로 날려버렸으나 다행히 탄약은 인화하지 않아 그 이상의 피해는 없었다고 하오. [(좌) 포격을 가하는 드럼 요새 / (우) 일본군의 포격으로 파괴된 코레히도르의 포대] 그 후로도 4일동안 일본군은 쉬지 않고 포격을 계속했고 마침내 5월 2일에는 코레히도르 섬의 마지막 탄약고가 직격탄을 맞았소. 10톤이 넘는 요새포의 포신이 하늘을 날 정도로 큰 폭발이 일어났으며, 덮개가 없는 진지들은 차례차례  파괴되어 5월 5일에는 드럼 요새의 14인치 포탑과 코레히도르의 12인치 구포 1문, 155mm 야포 수 문을 제외한 전 화력이 완전히 정지되고 말았소. 그날 밤, 일본군은 일제히 코레히도르 섬에 상륙했고, 이들은 4시간이 되기도 전에 해안선의 방어진지를 돌파하고 사령부로 접근하고 있었소. [코레히도르 함락 직후의 일본군과 미군측] [그동안의 포격으로 엉망진창이 된 포탑 주변. 포신이 파괴된 것은 항복 직전 요새 주둔군의 사보타지 때문] 그리고 마침내 5월 7일, 연합군 측의 총지휘관인 웨인라이트 중장(맥아더 대장은 사전에 오스트레일리아로 탈출)이 필리핀 전역의 연합군에게 항복 명령을 내림으로써 5개월에 걸친 마닐라 만 공방전은 끝을 맺고 말았소. 하지만 웨인라이트 중장이 항복 메시지를 방송할 때까지, 드럼 요새는 마닐라 만에 남은 최후의 화력으로써 여전히 불을 뿜고 있었다고 하오. 4. 드럼 요새의 탈환 코레히도르 공방전이 종결된지 약 2년 후, 전황은 다시금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변했소. 미군은 1944년 10월 20일에 레이테 섬에 상륙함으로써 필리핀의 탈환을 시작했고 1945년 2월 3일에 마닐라가 함락될 때까지 일본군과 격렬한 지상전을 펼쳤소. 마닐라에서 지상전이 격화되는 동안, 미 해군 역시 함대 거점 확보를 위해 마닐라 만의 입구로부터 일본군이 장악하고 있던 요새들을 하나하나 공략해 들어가기 시작했소. 문제는 드럼 요새였소. 2년 전의 코레히도르 공방전에서 최후까지 버텨냈던 드럼 요새인만큼, 이제 미군 측이 공격자로 입장이 바뀐 지금에서는 과거의 보루가 최대의 골칫거리가 되어있었던 것이었소. 물론 주포 자체는 2년 전의 항복 당시 요새 주둔병들이 사보타지를 가했기 때문에 이제 와서 큰 위협이 되진 않았지만, 이곳에서 농성하고 있는 일본군들이 만을 지나가는 선박에 총격이라도 가해오면 항구의 기능도 완전히 발휘되지는 못할 것이 분명하기에 반드시 요새를 함락시켜야 했던 것이오. 한데, 과거의 일본 육군과 달리 요새를 제압하기 위해 16인치 포 전함이든, 항모의 함재기든 아쉬울 것 없이 동원할 수 있었던 미군이 선택한 방법은 의외로 소박한 것이었소. 1945년 4월13일, 미군은 2척의 상륙정에 각각 1개 소대씩의 병력을 탑승시킨 후 조용히 요새로 접근하도록 했소. 1개 소대는 모조리 저격수로 구성되어 요새의 어느 틈바구니에서든 일본군이 나타나면 바로 쏴버리도록 하였고 다른 1개 소대는 요새에 장착할 폭약을 잔뜩 짊어진 공병들이었소. 요새에 접안한 공병들이 저격수들의 엄호 하에 폭약 설치 작업을 마치자, 이번에는 또다른 상륙정 1척이 다가와서는 요새의 환기구를 통해 약 11,000리터에 달하는 기름을 들이붓기 시작했소. [(좌) 폭발하는 드럼 요새 / (우) 드럼 요새에 진입하는 미군들] [오늘날의 드럼 요새] 이 작업까지 끝나고 모든 상륙정들이 안전한 곳으로 물러나자 공병은 장치해둔 폭약을 기폭시켰소. 다음 순간, 요새 후방부에 설치된 직경 1m, 무게 1톤에 육박하는 강철제 출입문이 흔적도 없이 날아가 버렸고 요새는 어마어마한 폭음과 함께 구멍이라는 구멍에서 전부 화염을 내뿜고 있었소. 미군들이 요새에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은 그로부터 5일이 지난 후의 일이었고, 그들은 요새 안에서 숯덩이가 된 65명의 일본군들을 발견했다고 하오. 그 이후 기능과 존재의의를 상실한 드럼 요새는 수복되는 일 없이 오늘날에 이르고 있소.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코레히도르 섬이 복원되어 관광지화 되고 많은 사람들에게 2차대전의 치열한 격전지로써 기억되고 있는 것에 비한다면 많이 썰렁해 보이오. 코레히도르 공방전에서 보여준 근성을 감안한다면 이곳도 복원되어 조금쯤 사람들의 발길이 닿아도 좋을텐데 조금 아쉽소.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71878 밑에 북쪽지역경계선 전차 [3] 스탈린의오르가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2 273 0
71877 강철의연금술사 오덕 [11] 스탈린의오르가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2 585 0
71876 다시 말하지만 미국은 전세계와 싸워도 이김 [6] 미국(121.129) 10.08.02 377 0
71874 [질문]2대갤에 독일어, 러시아어 능력자 있나요?(2차대전 얘기 함유) [12] 스리고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2 465 0
71873 독일이 실제론 미국보다 기술이 떨어졌음? [32] 이상해(61.106) 10.08.02 758 0
71872 진주만 이후 미드웨이때 일본해군은 왜 항모만 출동 했음 [24] 순두부와냉면(210.105) 10.08.02 556 0
71871 3D로 재현된 파괴된 바르샤바 [5] cbc(211.173) 10.08.02 554 0
71870 공부의비법 보다가 [7] 1231(125.133) 10.08.02 247 0
71868 베를린 전투 당시.. 상황판단을 상실한 히틀러의 모습..... ㄱㄱ(58.102) 10.08.02 483 0
71867 토치카앞에 돌격하기 vs 머스킷 소총병으로 적열앞에서 총 장전하긔 [4] 샌디빠미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2 321 0
71866 일본군은 미국한테 도청 당한다는 사실을 알았음여? [8] ㅂㅂㅂ(114.129) 10.08.02 402 0
71865 컬러로 보는 2차대전 당시 실제 화염방사 [3] 세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2 474 0
71864 전차에이스vs 전투기에이스 [11] 토텐코프(112.156) 10.08.02 408 0
71861 근데진짜 디시는유익한곳이라고생각함.. [4] 대전차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2 289 0
71860 엔하위키 2대갤 항목 담당하는 인간 누구냐? [4] 엔하위키(99.147) 10.08.02 217 0
71859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과 본좌 만슈타인-4 [5] 이제큐터(163.180) 10.08.02 493 0
71857 경사장갑의 메커니즘... [32] 팬져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2 724 0
71856 루즈벨트가 어떻게 미국인들을 속여서 2차대전에 참전시켰는가? [14] 네네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2 1033 0
71855 진주만 공습 당시 미국이 미리 대피시킨 미 항모들 [5] Skidrow(61.105) 10.08.02 1109 0
71854 중국도 북한을 매우 껄끄럽게 생각하지 않나요? [4] 후진타오(118.32) 10.08.02 269 0
71853 북한이 지금처럼 된 것은 국방과 경제발전을 동시에 추진하다보니 그런거죠. [5] 레이거노믹스(118.32) 10.08.02 195 0
71852 2채널 일본인들이 여기 올라오는 일빠글을 보면 뭐라 할까? [5] 골빈사나이(218.153) 10.08.02 231 0
71850 자꾸 유태계 - 독일인이 독일에 충성했는지 물어보시는데.. [4] 허허(125.177) 10.08.02 386 0
71849 냉전시절 독일 공군의 모병 포스터 ㅎ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7] ㄱㄱ(58.102) 10.08.02 906 0
71848 일본법원 "99엔은 당시시대 고려한 적정한 보상"강제징용자 패소 [8] (121.55) 10.08.02 377 0
71847 유대인이라고 조국애나 애국심이 없는건 아닌거 같은데;;;;;;;;;;;; a(125.186) 10.08.02 83 0
71846 동맹 맺기전에 영연방-미쿡 사이가 안좋았었다는 증거 [1] Stinger I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1 229 0
71845 지하철에서 왜구들보면 도저히 2차대전 시절이 상상이 안간다.. [4] (125.186) 10.08.01 506 0
71842 다들 북한이 답 업ㅂ는 개막장이라 하는데 [6] (221.165) 10.08.01 290 0
71841 [질문] 왜 오삼계와 위안스카이가 대표적인 한간(漢奸)이라 보는걸까..? [5] 베르마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1 337 0
71840 라일구 최고 개념 자막은 머임? [1] 루싶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1 209 0
71839 유태인들중에도 1차대전에 독일군으로 참전한 경우가 많았다고 하던데... [8] 그로스(121.157) 10.08.01 448 0
71838 횽들 나 M1A1 바주카 만드려고 하는데 조언좀 해줘 [6] 밀덕공대(125.179) 10.08.01 241 0
71837 태양의제국 질문 [6] ㅇㅇ(222.119) 10.08.01 237 0
71835 퍼시픽 보면서 드는 의문 [2] 두정갑(218.153) 10.08.01 309 0
71834 독일 전차 차체에 대한 질문 [5] 수 양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1 356 0
71833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건 잘 한 일 [13] 골빈사나이(218.153) 10.08.01 343 0
71832 소련의 미국석유수입에 대해 [3] ㅇㄴ(222.239) 10.08.01 206 0
71831 일본은 호주도 폭격했던데 호주도 점령할려고 했었나요? [9] (58.231) 10.08.01 1097 1
71830 뉴비는 늅늅하고 울지요 [2] F씨(121.54) 10.08.01 118 0
71829 [전쟁만화 Burn-역] 진흙 속의 티이거(3) [9] 스리고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1 1102 0
71828 근데 울나라 무기 국산이 맞음? [23] 이상해(61.106) 10.08.01 555 1
71827 룬장군의 전공분야는 무엇일까? [2] 다빈치스플릿(118.37) 10.08.01 180 0
71826 ``m48 주력mbt ``라고 햇지 `m48 mbt``라고하지않앗다니까? [25] 팬져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1 288 0
71825 저격수 유명한놈 누구누구 있음? [6] 보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1 321 0
71824 퍼시픽 보고있는데.. 애초에 공군기를 투입했으면 어땠을까?(2차대전) [11] 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1 507 0
71823 입치료 함수갤에서 들통 났다 그리고 [1] 위현자(121.145) 10.08.01 159 0
71821 자주포 양산량에 관하여 [8] 다빈치스플릿(118.37) 10.08.01 328 0
71820 함수갤에 입치료좀 퇴치해주세요 [16] 비비빅송♡(119.201) 10.08.01 285 0
71819 클컴을 다시 잡고 있는데 지상전에서 진짜 전차만한 무기가 없네 [1] 샌디빠미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01 131 0
뉴스 신지 “문원과 결혼, 아직 아냐”…신중히 생각하기로 디시트렌드 07.2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