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QR 방식 결제에 대한 몇가지 유용한 잡썰

ㅇㅇ(125.249) 2023.06.01 10:50:02
조회 12771 추천 53 댓글 63


a65614aa1f06b3679234254958c12a3ae31061529cdd2c06eb2824c1


1. QR은 중국인을 위해 만들어졌는가?


자동차 제조업 회사인 도요타에서 자사의 부품 관리를 위해 자회사인 '덴소 웨이브'를 통해 개발한 2D 바코드 형식이다.


개발 총 책임자는 타카유키와 하라 마사히로 두 사람이며 엄밀히 말하면 일본 회사의 기술이다.


기존의 1D 바코드와 동일한 방식이지만 확장성 넓혀 숫자 7천개, 영문 4천자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게 된다.


1994년에 세상에 나왔고 1998년에는 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 공인규격, 2002년에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국제 표준 규격으로 인증받는다.


일부 무식한 새끼들이 QR방식 결제를 짱깨 페이라는 멸칭으로 부르는데 QR 자체는 국제 표준 규격이며 일본에서 시작했다.


놀라운건 하드웨어에 NFC를 탑제하고도 시장 독점을 위해 서드파트에 사용을 개방하지 않는 애플과 달리


도요타는 소스를 고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QR의 특허권리행사를 포기했다는 점이다.


세상이 더 나아지기 바랬던 선도자들에 의해 누구나 무료로 쓸 수 있게 된 2D 바코드가 바로 QR인 것이다.


참고로 2D 바코드의 사업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던 것은 도요타뿐만이 아니었다.


당시 개발중이던 유사 기술들로는 크게 데이터 매트릭스와 맥시코드가 있었다.


09909d12e0d130a960b2d7a71d9c073219131d5ac7f9ad157d8b9ecec5623f745613c4f714998c7cc11631


3dbcd723f6ed35a776b6d5ba12d4692921fb9a786e5d0cd9a15b9b0afb905661873d62502028bd



하지만 당시 낮은 성능의 스캐너로 이런 복잡한 패턴을 인식하기에는 비용적 무리가 있었다.




03f3ef0ceac13db66680e1ba19d5283c42a6d515f7c9de2eaf1eb3a866246b55bd


노만 조지프 우드랜드가 최초로 고안한 1자 바코드 역시 스캔 성능의 제약으로 실용화 되기까지 25년이 걸렸는데 2D 바코드도 비슷한 상황이었던 것.


하지만 QR(Quick Response) 코드는 패턴을 최적화 함으로 최대 10배나 빠른 인식속도를 구현했고 결국 국제 표준 규격으로 안착한다.

1c8fef25ead63d9968b0c48a1bde2634d2d175173d3f085f9c19ed64c0a0ee397f06ca0d792299929fc3b166f61c3ef3d256003c4b09


참고로 QR 규격은 2014년에 특허가 만료됐기 때문에(애초에 권리를 행사하지도 않았지만)

0ebcc066b7826af523ef83f84580646cfe29dcc46ce692cadfdfea02f6dd6031365eba125890c684d5b720


진짜 민중의 오픈 소스라고 할 수 있다.



2. QR결제란 무엇인가?


실시간으로 토큰값이 변하는 가상카드번호를 QR로 데이터화 해서 전송하는 기술의 총체를 말한다.


NFC가 하드웨어에서 암호화 된 데이터를 근거리 주파수로 전송한다면


QR코드는 서버단에서 암호화 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전송한다고 보면 된다.


보안의 주체만 다를 뿐 카드값을 원거리로 입력시켜 결제망을 작동시키는 것은 동일하다.


대표적인 QR결제에는 MPM 방식이 있다.


37b8c229a5c239bf2eb2c6b858c12a3a98f20f1335b302e8b4707c8d


26bcdb27ea9235b663f1c6bb11f11a39568869f3490f5b5621


사용자가 QR을 찍어 송금 금액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포스의 역할을 이용자가 대신하는만큼 도입에 허들이 낮은 것이 장점이며 실제 중국의 노점상이 많이 이용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영세한 곳에서 컨택리스 결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0ebcc066b7826af523ef83f84580646cf929dac66ce393cadcd8e202f6dd60310400717b506e2c1e8a5a5b


판매자가 고객의 QR을 스캔하는 방식은 CPM이라 하는데 요즘 스캐너가 스쳐도 인식되는 수준으로 성능이 워낙 좋아져서 사용감이 상당히 좋다.


그럼에도 한국에서 QR결제가 보편화 되기 어려웠던 점을 몇가지 꼽자면


한국은 카드 사용이 너무나 잘 정착한 사회라는 점이다.


결제액의 93%가 무려 비현금인 캐시리스 1위 국가가 한국이다.


0ebcc066b7826af523ef83f84580646cf929d8c36ce29dcadbd8ea02f6dd6031d1663362e64340b4edc57a


문재인 정부 들어 소공상인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기존의 카드 수수료를 1/4토막 내버렸고


소공상인 대상으로는 신용카드 0.5%, 체크카드 0.25%, 지역화폐 0.05% 수수료를 강제하게 된다.


거의 독일 수준으로(0.2% 받는다) 조져버렸다.


그 결과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곳은 씨가 말랐고 노인들도 전통시장에서 카드를 쓰는 나라가 됐다 이 얘기다.


하지만 한국의 대표적 QR 기반 간편결제는(네이버페이, 페이코, 카카오페이) PG와 같이 별개 가맹점을 모으는 방식이라 수수료가 무려 2% 많게는 3%까지 된다.


어지간한 프랜차이즈 아니면 도입하지 않는 게 정상적이었다.




반면 실물 카드 수수료를 2~3% 뜯어가는 일본에서는 QR간편결제가 딱히 손해보는 것도 없으면서 결제시간을 줄일 수 있는 주효한 결제수단이었고


3dbcc936e4cb78ac7ef1dca511f11a398a24fdd08e28bd70


2fb1df29e8d03db469ffc6b40fc12524d80dee609ad2372c6a41a469943cea


3dbcc936e4cb78ab6fadddb002913735da0825d7eb30b4f0f78b42698c317aa5a228


2023년 기준으로 페이페이가 간편결제 시장 점유율 60%를 찍었다.



0ebcc066b7826af523ef83f84580646cf929d8c26ce39ccad6d8e502f6dd603121dd80dbda59db5c266b82

애플폰 사용자가 67%인 일본에서조차 애플페이를 안쓰고 그냥 페이페이를 쓴다.


아무리 자사 페이의 사용성이 좋다고 해도


페이페이처럼 깡적립 0.5~1.5% 해주면 대부분은 그 결제수단을 쓰는 것이다.


네이버페이와 페이코도 소위 '뽑기'라고 유사한 방식의 페이백 시스템을 갖고 있다.


하지만 위에서도 말했듯 한국에서 네이버페이 같은 자체 QR 결제망은 실물 카드에 비해 수수료가 너무 쎄서 보급의 한계가 명확하다.



0ebcc066b7826af523ef83f84580646cf929dac06ce691cadfd8e002f6dd60317aa3558765183adee69e5e



이번에 카드사들이 모여 모바일 QR규격을 통일한다고(EMV QR) 하는데 이게 시사하는 가장 큰 변화는 수수료 문제가 해소된다는 점이다.


카드사 자체앱을 사용한 결제는 실물 카드와 동일한 지위를 갖는 결제수단이고 (단지 전송방식만 가상카드번호일 뿐)


가맹점 입장에서는 더이상 QR 결제를 거부할 이유가 없게 된다.


kb pay, 신한페이, 원페이, bc 페이북 등등 기타 카드사앱 별도 가맹을 하지 않아도 그냥 실물카드 쓰듯이 하나의 프로세싱으로 결제망을 작동시킬 수 있게된다면


막말로 맴버십 찍으라고 달아놓은 키오스크 카메라로도 이제 쉽게 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


7ceb8873b08269f639e998bf06d60403a226bd3aa36e39559f


사용자 입장에서는 뭐가 이득이냐 할 수도 있는데



0ebcc066b7826af523ef83f84580646cf929ddc16ce594cad8dee602f6dd60313c95413d132070c4a93219

0ebcc066b7826af523ef83f84580646cf929ddc16ce390cadcdee002f6dd6031343356f61f2506b5c1f6


이런식으로 카드앱 결제에 한해 강력한 페이백이 있는 카드들이 슬슬 나오는 추세고


카드사 앱들 역시 네페, 페이코만은 못해도 (수수료때문에 당연한 얘기지만) 조금이나마 돌려주는 리워드 시스템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EMV 결제방식에 왜 QR 결제가 들어갔냐면


0ebcc066b7826af523ef83f84580646cf929dcc56ce594cad6dce102f6dd6031967f566bace3070e1da192


EMV의 회원사가 마스터카드, 비자카드, JCB,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UnionPay, 디스커버 총 6개로 이뤄져있기 때문이다.


26af9d37f79f31ab698086e658c12a3a62a7e8bb34d07d28793c4b3e


은련이 중국기업이기 때문에 당연히 얘네도 애플의 기술종속에 영향을 받지 않는 QR을 민다.


카드사들이 EMV NFC방식 대신 EMV규격 QR을 미는 이유는 아무래도 수수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EMV 기반의 컨택리스 결제는 놀랍게도 아직까지 ISO 표준규격이 아니며, 이를 근거로 추가 수수료를 받는다.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은 EMV QR은 수수료를 받지 않거나 아주 적은 기술 사용료만 내는 것으로 보인다.


EMV QR 방식은 제로페이, 유니온페이, 네이버페이, 페이북 가맹점 등에서 쓰인다.



출처: 신용카드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53

고정닉 8

2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sns에 가장 미쳐사는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3/09/18 - -
공지 디시픽 AI 프로필 무료 제작 이벤트! 운영자 23/09/04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423/2] 운영자 21.11.18 2383035 334
170427 [식갤] 안녕하세요 뉴비에요 커피보고가세요 [17] 셀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029 37
170426 [카연] 졸렬 다이나믹-비 [63] ㅁㄷ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4828 128
170424 [V갤] [브갤요리] 아 그 기합찬 브갤 카이센동이여 [28] wall200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739 28
170422 [러갤] 성설자매집 키쿠이즈미의 마지막 영업날.after [23] 전궁물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0 1576 35
170419 [아갤] 스압)) 맨유전 직관 다녀왔습니다…jpg [36] 코맘(211.118) 08:40 3039 71
170417 [싱갤] 싱글벙글 아이돌 vs 개그맨 누가 더 힘든가 [14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9329 120
170416 [문갤] 마카롱 이야기 [102] 콩쿠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3279 25
170414 [프갤] (번역)빈스: 그 당시 CM펑크와 재계약하지 않은 이유【파이프밤 4부】 [75] ㅇㅇ(14.42) 08:10 7012 158
170412 [싱갤] 싱글벙글 삼부회촌 [215] ㅇㅇ(211.243) 08:00 25066 283
170411 [기음] 일본 편의점 마트 털이.jpg [169] dd(182.222) 07:50 15788 145
170409 [카연] 장모님 IN 마이홈 외전 - 마누라랑 같이 SOX하지 않으면 나가지 못하 [32] 진리엠캣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7231 70
170407 [리갤] 장님된 리플렉 부활시킴 (스압) [34] 김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3251 47
170406 [싱갤] 싱글벙글 도라에몽 세금 새 [138] 타원형플라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0 10730 112
170402 [검갤] 한심한심 펄어비스의 뜨거웠던 한여름밤의 꿈. txt [100] 검갤러(222.116) 07:00 11162 99
170401 [동기] 사향고양이가 현재 국내에서 분양 받기 어려운 이유 [334] 동갤러(185.253) 01:55 29214 97
170399 [싱갤] 싱글벙글 세계에서 제일 오래된 가게 TOP 10 [462] 노리유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42317 285
170395 [주갤] (블라) 미팅에서 먹튀 해병대런 당한 언냐들 [274] 블라탐험가페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31957 756
170393 [중갤] [200MB]"근첩"이 점령한 도쿄게임쇼 2023 VR 후기.webp [118] 지나가던뉴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15671 79
170391 [싱갤] 중고거래 사기꾼 레전드.jpg [133] 티리아=나레이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31076 158
170385 [미갤] 샤인머스캣 값이 폭락하고 있는이유.JPG [700] ㅇㅇ(211.234) 00:35 41967 529
170383 [싱갤] 유익유익 올챙이배 탈출하기 [344] !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5 29737 166
170381 [판갤] 냉혹한...중국...귀신 들린 계단의 세계..gif [183]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5 26257 353
170377 [싱갤] 디저트 장식인 로즈마리 키워보기.jpg [184] ㅎ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17155 298
170375 [부갤] 덴마크 공공임대주택의 현실 [641] 부갤러(176.113) 09.21 24607 228
170373 [싱갤] 싱글벙글 아프리카 문명이 뒤쳐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 [814] ㅇㅇ(175.205) 09.21 42886 403
170371 [주갤] [유튜브같이보자] 저출산은 남자들 탓이라는 영상에 대한 반응 [643] 주갤러(124.51) 09.21 25384 686
170369 [멍갤] 운전하다 댕줍하신 어느 운전자분 사연 [383] 멍갤러(103.216) 09.21 22442 555
170367 [싱갤] 싱글벙글 현재 여자테니스가 인기 많은이유 [285] ㅇㅇ(119.195) 09.21 50527 262
170365 [스갤] 중국 8.6mm 아웃폴딩폰 발표 ㄷㄷ [311] 맛갤러(220.92) 09.21 26789 86
170363 [무갤] 한효주네 돈까스 집의 비밀 [378] 무갤러(139.28) 09.21 38196 96
170361 [싱갤] 싱글벙글 채찍피티 [125] HKB60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25909 205
170357 [판갤] 냉혹한...아이언맨 딸배의 세계..jpg [196]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33834 167
170355 [오갤] 오메가엑스 템퍼링? ㄴㄴ 피프티랑 정반대 [스파이어 강성희&남편 녹취] [119] 인지웅 저격러(165.22) 09.21 9594 116
170353 [싱갤] 싱글벙글 역대 체포동의안 가결 사례 [38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40094 907
170351 [모갤] 못생긴 남친 고민...ㅠ.ㅠ.jpg [374] 돌궁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45854 270
170349 [주갤] (블라) 스릴을 즐기는 변호사햄 [294] 블라탐험가페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33714 756
170347 [해갤] 안정환이 알려주는 다이어트 꿀팁.jpg [337] 해축러(89.40) 09.21 33653 200
170345 [무갤] 중국인들이 한국 드라마 보는 법 [501] 무갤러(185.247) 09.21 35982 426
170343 [싱갤] 아픈 할아버지를 위한 신비의 약.jpg [370] ㅇㅇ(39.7) 09.21 33692 370
170341 [해갤] 토트넘, “손흥민 재계약… 이르면 몇 주 내“ [340] ㅇㅇ(117.111) 09.21 23454 398
170339 [싱갤] ㅈ소 명절 떡값 레전드 모음 [457] 뉴블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53386 391
170335 [상갤] 모두가 폭망할 거라 예상했던 영화 [437] ㅇㅇ(194.99) 09.21 48513 480
170333 [배갤] 안세영 선수의 보그 화보를 본 이용대.jpg [40] 배갤러(45.90) 09.21 22288 55
170331 [싱갤] 싱글벙글 개미와 베짱이 [162] ㅇㅇ(119.197) 09.21 16898 212
170329 [아갤] 아이폰 14퐁퐁단 개ㅈ됐다 ㅋㅋㅋㅋㅋ [306] Thiago..Jot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49512 392
170327 [부갤] 싱글벙글 요즘 똥쓰울턱뼐시민들 마인드 수준 ㄷㄷ.jpg [540] 부갤러(121.145) 09.21 25300 641
170325 [국갤] 윤대통령 외교기조, 북러가 아닌 '러북' 사용 (미북) [548] 집나간재매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18385 711
170323 [싱갤] 싱글벙글 키 199cm 가 최장신인 올해 농구 신인들 [24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23837 39
170321 [디갤] 디붕이 일본 놀러갔다왔어! (26pic.webp) [53] X-S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5152 4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

힛(HIT)NEW

그때 그 힛

1/3